[include(틀:다른 뜻1, other1=민주당과의 합당 이후의 내용, rd1=민진당)] ||<-5> '''[[일본/정당|{{{#fff 일본의 보수정당}}}]]''' || ||<|2><:> [[일본 유신회(2012년)|{{{#6fba2c 일본 유신회}}}]] ||<|4><:>{{{+1 →}}}||<|3><:>{{{#fff '''유신당'''}}}||<|3><:>{{{+1 →}}}||<:>[[민진당(일본)|{{{#014099 민진당}}}]][br],,(합당),,|| ||<:>[[일본 유신회(2016년)|{{{#1dac42 오사카 유신회}}}]][br],,(분당),,|| || [[결속당|{{{#0640a1 결속당}}}]]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e60012 20%, #f39800 20%, #f39800 40%, #009143 40%, #009143 60%, #00a0e9 60%, #00a0e9 80%, #1d2088 80%)" {{{#ffffff [[개혁결집회|{{{#ffffff 개혁결집회}}}]]}}}[br]{{{#ffffff (개별 합류)}}}}}} || ||<-3><:>{{{-2 ※ 아래 정보는 해산 당시를 기준으로 함}}}|| ||<-3><:>[[파일:유신당 로고.png|width=100%]]|| ||<-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1c4995 1%, #ea1d26 99%)" {{{+1 {{{#ffffff '''維新の党'''}}}}}}[br]{{{#ffffff (いしんのとう)}}}}}}|| ||<-2><:>'''영문 명칭'''||Japan Innovation Party|| ||<-2><:>'''약칭'''||維新(유신)|| ||<-2><:>'''한글 명칭'''||유신당|| ||<-2><:>'''창당일'''||[[2014년]] [[8월 1일]]|| ||<-2><:>'''해산일'''||[[2016년]] [[3월 27일]]|| ||<-2><:>'''전신'''||[[결속당]], [[일본 유신회(2012년)|일본 유신회]]|| ||<-2><:>'''후신'''||[[민진당(일본)|민진당]], [[일본 유신회(2016년)|오사카 유신회]], [[개혁결집회]]|| ||<-2><:>'''이념'''||[[자유보수주의]] [br] [[국민자유주의]] [br] [[오사카]] 지역주의 [br] [[신자유주의]]|| ||<-2><:>'''스펙트럼'''||[[중도우파]]|| ||<-2><:>'''주소'''||[[도쿄도]] [[치요다구]] 나가타초2초메 9-6[br](東京都千代田区永田町二丁目9-6)|| ||<-2><:>'''대표'''||[[마쓰노 요리히사]] (松野 頼久)|| ||<-2><:>'''간사장'''||이마이 마사토 (今井 雅人)|| ||<|2><:>'''의[br]석[br]수'''||<:>'''[[일본 참의원|참의원]]'''||5석 / 242석 (2.1%)|| ||<:>'''[[중의원]]'''||21석 / 475석 (4.4%)||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a012875b52d56970c01b8d06e2d2f970c-800wi.jpg|width=100%]]}}} || [[2014년]] 8월 1일에 [[하시모토 도루]]의 [[일본 유신회(2012년)|일본 유신회]]와 [[에다 겐지]]의 [[결속당]]이 합병하는 형태로 결성된 [[일본/정당|일본의 정당]]이며 소속 [[국회의원]] 수(야당)로는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에 이어 제2야당의 규모를 가지고 있었다. 다른 정당과 달리 [[도쿄도|도쿄]]가 아닌 [[오사카부|오사카]]를 기반으로 둔 정당이다. 사실상 지역정당이나 중앙정치를 가장 활발히 활동하기 때문에 지역정당에서 벗어난 독특한 케이스다. == 성향 == [[보수주의]]를 표방했다. 전신인 유신회가 우익~극우 정당이긴 하나 합당 파트너인 결속당이 중도우파·신자유주의 성향이기에 잡탕. 유신회보단 나은게 어딘가... [[하시모토 도루]]가 이끄는 오사카계 의원들이 당으로부터 제명되면서 성향이 중도성향에 가까운 형태가 되었다. == 역사 == [include(틀:일본의 보수정당(제2차 아베 신조 내각-현재))] [include(틀:일본의 자유주의 정당(제2차 아베 신조 내각-현재))] 오사카 시와 부를 합해 거대 광역도시 오사카 도를 만들려던 하시모토의 구상은 2015년 5월 17일 선거에서 뿌리채 흔들렸다. 반대 50.4%, 찬성 49.6%으로, 하시모토는 연말 정계은퇴를 선언했다. 이후 유신당은 내분 정국에 들어갔다. 하시모토 당 최고고문은 "정권에는 시시비비에 대응하고 민주당 통째로과 합병하는 형태로 야당 재편은 있을 수 없다"고 주장했으나, [[마쓰노 요리히사]] 등 집행부 측은 민주당과 사실상 통째로 합병하는 형태로 야권 개편을 진행해나갔기 때문이다.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 [[일본 공산당]]과의 연대에 대한 시각차는 덤. 하시모토는 분당 선언에 나섰고, '오사카 유신회'라는 신당의 설립을 목표로 집행부 측과의 분당 협상을 벌였다. 집행부는 분당협상이 실패하자 2015년 10월에 [[요시무라 히로후미]], [[가타야마 도라노스케]], [[마루야마 호다카]], [[바바 노부유키]] 등 오사카계 의원들을 당으로부터 제명 처분하였다. 이에 반발해 [[오자와 사키히토]], [[스즈키 요시히로]], [[오구마 신지]] 등은 [[개혁결집회]]를 창당했다. 한편 제명된 오사카계 의원들은 10월 31일 [[오사카 유신회]]라는 당을 창당했다. 오사카 유신회는 중의원 13명에 참의원 5명으로 구성되었는데, 유신당의 잔류 참의원 4명 중 3명이 2016년 참의원 선거로 임기가 끝난다(...) 하시모토는 오사카유신회의 법률고문으로는 남되 정계은퇴를 선언하면서 이래저래 하시모토 도루의 정치 풍운은 여기서 끝나게 되었다. 2016년 2월 26일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를 앞두고 제1야당인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과 합당 및 신당 결성에 합의했고, 3월 27일에 [[민진당(일본)|민진당]]으로 합당되었다. == 계파 == * 오사카계 * [[일본 유신회(2012년)|일본 유신회]]계 * [[하시모토 도루]] * [[마쓰이 이치로]] * [[마루야마 호다카]] * [[요시무라 히로후미]] * [[바바 노부유키]] * [[이마이 유타카(정치인)|이마이 유타카]] * 이마이 마사토 * [[시게토쿠 가즈히코]] * [[마쓰노 요리히사]] * 겐마 켄타로 * 잔류 [[태양당]]계 * [[가타야마 도라노스케]] * [[결속당]]계 * [[에다 겐지]] * [[오치아이 다카유키]] * 오노 지로 * 이사카 노부히코 * 아오야기 요이치로 * 마키 요시오 * 시노하라 고 == 역대 선거결과 == ===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의석 증감은 선거 공시 당일 의석 수와의 비교임. ||<|2><:>'''{{{#ffffff 연도(회차)}}}'''||<-3><:>'''{{{#ffffff 후보자}}}'''||<-3><:>'''{{{#ffffff 당선자}}}'''||<-2><:>'''{{{#ffffff 정당투표}}}'''|| ||<:>'''{{{#ffffff 지역구}}}'''||<:>'''{{{#ffffff 비례}}}'''||<:>'''{{{#ffffff 합계[br]{{{-5 (중복 제외)}}}}}}'''||<:>'''{{{#ffffff 지역구}}}'''||<:>'''{{{#ffffff 비례}}}'''||<:>'''{{{#ffffff 합계 [증감]}}}'''||<:>'''{{{#ffffff 득표수}}}'''||<:>'''{{{#ffffff 득표율}}}'''||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47회)]]||<:>77||<:>83||<:>84||<:>11||<:>30||<:>41 [{{{#blue ▼1}}}]||<:>8,382,699||<:>15.72%|| ===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존속 기간이 1년 반이었기 때문에 3년 주기의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는 참가할 기회가 없었다. 참의원 의원은 결당시 11명, 해산시 5명이었다. == 관련 문서 == * [[일본/정치]] * [[일본/정당]] * [[일본 유신회(2012년)]] * [[하시모토 도루]] * [[에다 겐지]] == 둘러 보기 == [include(틀:제46대 일본 중의원의 원내 구성)] [include(틀:제47대 일본 중의원의 원내 구성)] [[분류:일본의 없어진 정당]][[분류:국민자유주의 정당]][[분류:자유보수주의 정당]][[분류:지역주의 정당]][[분류:2014년 정당]][[분류:2016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