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유승민)]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제21대 대통령 선거/대권주자)] [include(틀:유승민)] [include(틀: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목차] == 개요 == 정치인 [[유승민]]의 대권주자로서 갖는 장점과 단점이다. == 장점 == === 경제·안보 등 정책 전문성 === 유승민은 경제학자임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외교|외교]], 국방, 복지, 교육, 지역균형발전, 문화예술 등에 대한 지식이 풍부한 정책통으로 꼽히며, 여러 공약에 대해 본인이 스스로 입안을 한다는 점이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홍준표]]도 대선 경선 토론에서 유승민이 정책 준비는 자신보다 훨씬 잘 됐다며 자신이 대통령이 되면 유승민의 정책을 참고하겠다고 말했을 정도다.] [[한나라당]] - [[새누리당]] - [[바른정당]] - [[바른미래당]] - [[새로운보수당]] - [[미래통합당]] 내의 대표적인 정책통이었으며, 이는 유승민과 사이가 좋지 않은 [[친박]] 정치인인 [[최경환]]도 인정한 바 있다. [[친유]] 정치인인 [[정병국]]은 유승민 의원이 [[대한민국 헌법|헌법]] 그 자체이며 컨텐츠가 좋다 하기도 했다. 그리고 동 세대의 정치인 중 [[대한민국의 젠더 분쟁|젠더 이슈]]에 대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2030 청년 지지층들을 모으기 유리하다. 실제로 본인도 [[바른미래당]] 시절부터 [[이준석]], [[하태경]], [[정병국]]과 같이 젠더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 사실 지난 19대 대선에서도 유승민은 2030 청년들이 문재인 다음으로 많이 뽑았다. 즉 유승민은 당시부터 청년들에게 호감을 샀던 것이다.] ==== [[경제통|경제정책 전문성]] ==== [[제20대 대통령 선거|20대 대선]] 주자 가운데 '''유일한''' 경제학자 출신이다.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국내 최고의 국책연구기관인 KDI에서 근무했던 경제학자답게, 재정, 산업, 복지, 노동 등 전반적인 경제정책에 대한 전문성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전공이었던 재벌 분야에 대해선 다른 주자들보다도 구체적이고 높은 식견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된다.[* 그래서 이재명이 국민의힘의 대선 주자들 가운데 유승민을 까다로운 상대라고 평하기도 하였다. 19대 대선에서도 민주당이 유승민을 가장 까다로운 상대들 중 하나라고 평하기도 했다.] 언제부터인가 '경제 대통령'이라는 문구가 유행처럼 번지면서 너도나도 사용하고 있는데, 진짜로 경제 대통령이라고 주장할만한 사람은 유승민 뿐이다. 국민의힘 경선에서 윤희숙이 경제학자 출신이었으나, 사실상 정계를 은퇴하면서 비교할만한 사람은 이제 없다. 최근에도 [[이재명]]과 논쟁하면서 [[한국개발연구원]] 시절부터 쌓아온 경제적 식견을 거침없이 드러내고 있으며, 이재명의 [[이재명/비판 및 논란/경기도지사#s-12|기본소득]]에 대해서도 [[윤희숙]]과 함께 비판했다. ==== 투철한 안보관 ==== 경제학자 출신임에도 안보 및 국방 분야에서도 전문성이 뛰어나며, 국회 [[국방위원회]] 위원장을 맡으면서 호평을 받았다. 지지자들 사이에서 농담 삼아 안보관은 '''강경 [[우파]]''' 수준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대북·[[반중/국가별 사례/대한민국|대중]] 강경파이다.[* 2015년 국방위원회 국정감사 평가에서 중간, 최종 평가 모두 1등 최우수였다.] 또한 군인들의 보훈에도 여타 정치인보다도 많이 신경을 쓰고, 매년 [[천안함 피격 사건]]이나 [[서해 수호의 날]] 등의 기념식에 참석해 유족들을 만나기도 하였다. [[천안함 피격 사건]] 생존자인 전준영 씨 또한 유승민에 대해 고마움을 표한 바 있다.[[http://m.kmib.co.kr/view.asp?arcid=0013166268|#]][[https://www.facebook.com/permalink.php?story_fbid=3834309719961605&id=100001478447504|#]] === 논리력과 토론 실력 === [[제19대 대통령 선거]] TV토론에서 5명의 후보들 중 가장 잘했다는 평을 받을 정도로 토론 실력이 매우 뛰어나다. 정책 전문성을 바탕으로 자기 고유의 견해를 명확히 드러냈다는 평가가 있다. 전문가들의 평도 유승민이 가장 좋았고, 여론조사에서도 유승민이 가장 잘 했다고 평가받았다. 특히 마지막 대선토론 연설에서 좌우를 막론하고 정연하다는 평을 받았다.[[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704141642295913|#]] [[https://news.joins.com/article/21513664|#]] [[https://www.sedaily.com/NewsVIew/1OEO5Z42Z8|#]] === 잠재적 확장성 === 당내 대표적인 [[자유보수주의]], [[공화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성향을 가진 정치인으로써 과거 [[친박]] 핵심일 때도 [[남원정]]이나 [[소장파]]와 같이 당내 개혁을 도모한 바 있다. 그리고 [[비박]]으로 분류된 이후에도 [[정병국]], [[하태경]], [[이준석]] 등과 같이 당내 중도화와 [[자유보수주의]]를 확립하는 데 힘을 썼고, 2030들의 정치 진출에 큰 힘을 보태주었다. 원내대표 시절 노무현 정권의 정책 중 일부를 칭찬했고 이를 계승하겠다고 발언하여 당시 좌파 일부의 지지를 받기도 했다. === [[동구 을|지역구]] 내 강한 입지 === 유승민의 지지율이 [[대경권]]에서 상대적으로 낮다고는 하나 그래도 과거 지역구였던 [[동구 을]]에서 유승민의 입지는 막강하다. 실제로 [[새로운보수당]] 시절 [[자유한국당]] 상대로도 접전을 이끌고 간발의 차이로 승리로 이끌 수 있는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유승민에게는 [[동구 을]] 내의 안정적인 기반은 큰 장점이 될 수 있다. [[안방 챔피언|텃밭에서 압도적으로 승리한 경험]]도 있고, 유승민이 불출마를 선언하고도 여러 친박 인사들이 [[친유]] 정치인인 [[강대식]]에게 도전장을 내밀었지만 [[강대식]]이 압도적으로 경선과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본선]]에서 승리하였다. 그리고 옆 [[동구 갑]] 역시 [[친박]], [[친황]] 인사인 [[이진숙(기자)|이진숙]]을 꺾고 [[친이]], [[친유]] 인사인 [[류성걸]]이 당선되었다. 일각에서는 [[텃밭(정치)|텃밭]]에서만 정치한 것을 약점으로 꼽고 있지만, 비례대표직을 사퇴하고 출마한 첫 지역구 선거였던 [[2005년 재보궐선거|2005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당시 [[열린우리당]] [[이강철(정치인)|이강철]] 후보를 [[대구·경북|TK]] 치고는 적은 표차로 꺾었고[* 게다가 이 당시에 [[유승민]]은 현역 의원 공천 + 텃밭 프리미엄 + [[참여정부|정권]] [[레임덕]]으로 인한 여러가지 호재였음에도 불구하고 '''겨우 8%p''' 격차로 신승하였다. 상대가 아무리 경쟁력이 만만치 않는 [[이강철(정치인)|이강철]]이었다고 해도 보수최강 텃밭인 [[대구·경북|TK]]에서는 '''꽤 충격적인 결과일 수밖에 없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대 총선]]에서 [[동구 을]]의 개발로 진보세가 강한 층의 유입에도 불구하고 '''75%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어 4선 의원을 지냈다.[* 그것도 [[박근혜]] 대통령과의 갈등 때문이었는지 결국 [[새누리당]] 공천에서 배제되어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국회의원 재임 시절 [[대구 공군기지]], [[대구국제공항]] 문제 해결, [[대구신서혁신도시]], [[이시아폴리스]],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등 신도시 유치, [[대구 도시철도 1호선]] [[하양대구가톨릭대역]] 연장,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등 인프라 건설에 성공해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내 입지가 강하다. === [[친유|어느 정도 기반을 갖춘 계파]] === 과거의 [[친이]], [[친박]]이나 지금의 [[친윤]]에 비해서는 계파의 크기도 작고, 사실 [[김영우]], [[조해진]], [[이학재]] 심지어 [[이혜훈]], [[하태경]]까지 다른 후보 쪽으로 이탈하면서 [[친유]]의 세력이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 전에 비해 약해진 것은 맞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 결속성이 강한 계파는 장점이라고 볼 수 있다. 유승민 본인은 물론이고 대부분의 정치인들은 [[친유]]라는 계파가 애매하다고 평가하기도 하고 [[친유]] 인사 중 상당수가 [[소장파]], [[친이]] 등 타 계파와 겹치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 세력이 있는 것은 사실이고 타 계파와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더 나아가 대부분이 [[한나라당]], [[새누리당]] 시절부터 같이 가면서 결속력이 강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도덕성 === [[제20대 대통령 선거]] 당시 도덕성 관련 여론조사에서 유승민 후보는 도덕성 논란이 적은 인물로 나오고 있다. 유승민은 비례대표 초선 시절부터 4선에 성공할 때까지 도덕적으로 논란이 되거나 부정부패에 연루된 적이 없었다. 그리고 [[새누리당]] 원내대표 시절 [[박근혜 정부]]로부터 비공식적인 내사와 사찰을 받았지만 어떠한 논란도 없었다.[* 물론 [[안종범]]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에게 청탁했다는 의혹이 있었지만 무죄로 판명났다. 애초에 이건 [[수시]] 교장추천과 같이 자격요건이 되는 자를 추천하는 것이고, [[김어준]]을 비롯한 극성 좌파들이 뿌린 가짜뉴스다.] 가족의 경우도 부정 입학, 부정 취업 등 비리 문제가 없고, 오히려 아들 유훈동이나 딸 [[유담]] 모두 정상적인 방식으로 입학했다. 재산 및 부정부패에서도 가족과 측근들이 연루된 적은 없었다. 오히려 모친인 강옥성 씨의 경우 지역 사회에 대한 봉사를 해 지역 내 평판이 좋다. 발언 문제에 대해서도 막말을 한 적도 없었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도 많은 인물이었다. [[홍준표]]의 경우 [[홍준표/비판 및 논란/발언|막말 논란]]이나 [[홍준표/비판 및 논란/말바꾸기|말바꾸기 논란]]이 있고, [[윤석열]]의 경우에도 [[윤석열/비판 및 논란/정계입문 선언 이후|정치적 논란]]과 [[윤석열/비판 및 논란/발언|망언 논란]] 등이 있으며 다른 대권주자인 인물들이 하나 둘 나사빠진 사고를 한 두번은 쳤지만 적어도 [[유승민]]은 그런 논란이 일절 없다시피 하다. == 복합적 == === 정책 및 공약의 일관성 === [[제19대 대통령 선거]] 때, 2020년까지 최저임금 1만원 달성, 강정마을 구상권 철회, 원전의 점진적 축소 등의 공약을 내세웠으나, 이후 해당 공약을 철회하고 사과했다. 잘못을 인정하고 고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쪽도 있으나 보통 이러한 경우엔 정책의 일관성이 떨어진다는 평을 받기 마련이다. 물론 1만원 공약은 사과했다. 그러나 공약 하나의 번복과 사과만으로 유승민의 모든 정치적 경력과 정책적 방향성들을 일관성 없다고 하기는 힘들다. 오히려 유승민은 대한민국에서 일관된 경제와 안보 정책을 꾸준히 동일한 내용으로 20년 이상 주장해오고 있는 몇 안되는 정치인 중 한 명이다. 유승민은 연구원 시절부터 지금까지 똑같은 경제개혁을 정치권에 주문해오고, 또 정치인이 된 이후로는 직간접적으로 실현하려고 노력해왔다. [[1997년 외환 위기|IMF]] 때 재벌개혁-금융개혁-정부 구조조정을 골자로 하는, 다시 말해 [[대한민국/경제|한국 경제]]의 체질을 완전히 바꾸자는 이야기를 꾸준히 해왔으며, 이는 정치인이 된 이후로도 유승민이 일관되게 주장해오고 있는 사실이다. 이는 단순히 주장을 하는 차원을 넘어선 것인데, 왜냐하면 국책기관 연구원 신분으로 당시 [[국민의 정부|정부]], [[새정치국민회의|여당]], 그리고 [[김대중|대통령]]의 정책과 각을 세우는 행위이며 실제로 이러한 언행들로 유승민은 노골적인 압박과 심한 처우를 받았다. 이후 유승민은 [[한나라당|야당]] 신분으로서 [[참여정부]]를 날카롭고 일관된 기준에 근거하여 감사해왔다. 심지어는 [[한나라당]]이 여당이 된 이후에도 똑같은 기준으로 같은 당에서 배출한 [[이명박 정부]]를 혼내는 것을 멈추지 않았다. 정계 입문 후 [[이회창]], [[박근혜]]와 같이 활동하면서도 직언하기를 주저하지 않았고, 특히 박근혜의 경우 이것이 심화되어 한때 친박계였던 유승민이 본인의 정치생명을 걸게 된 행보를 하기에 이른다. 이렇듯이 유승민이 지나온 정치 행보의 궤적만 보아도 일관성이 없다는 것은 매우 온당하지 못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안보 정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인데 유승민은 국방위원장을 역임한 것을 비롯해 안보전문가로서 늘 일관된 안보정책관을 보여왔다. 심지어는 사드 도입을 위하여 [[대경권]] 정치인 신분으로서 [[대경권]]에 사드 배치를 찬성하는 등 솔선수범하는 모습도 보였다. 특히 매년 [[서해수호의 날]] 행사, [[천안함 피격사건]] 추모식, [[연평도 포격전]] 추모식, [[포항 해병대 헬기추락 사고|마린온 추락사고]] 순직자 추모행사 등 보훈 관련 행사에도 언제나 참석하는 유일한 인물이다. === 소신 있는 모습 === [[친박]]과 [[극우|강성 지지층]]들에게는 배신자라고 비난받을 정도이지만 유승민은 [[참여정부]],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 가리지 않고 긍정적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은 칭찬하고 부정적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을 비판하는 모습을 보였다. [[박근혜 정부]]와 틀어진 이유도 본인이 정부의 성공을 위해 쓴소리를 했기 때문이다. 특히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라는 명언을 남겼다가 친박의 찍어내기로 '''정치적 사망 선고 직전까지 갔었다.''' 다만 이 점은 양날의 칼이 되기도 하는데 소신이 너무 강하다보니 구성원들과 의견 충돌이 일어날 때 '''이를 제대로 봉합하지 못한다는 평'''을 받기도 한다. 오죽하면 유승민 전 의원과 정치적 행보를 한 5선 중진 [[정병국]] 전 의원은 [[미래통합당]] 창당 당시 유승민을 향해 '''"정치는 혼자 하는 것이 아니다"''', '''"배제가 아니라 같이 할 때는 같이 해야 된다"'''라고 했다.[* 여담으로 [[제20대 대통령 선거]]가 지난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8회 지방선거]]를 앞둔 [[경기도지사]] 경선에서 [[친윤]]인 [[김은혜]]에게 패한 뒤 [[윤석열 정부]]에서 '''[[비윤|반윤]]성향'''을 드러내어 '''지나친 소신 때문이었는지 결국엔 제대로된 화합이 되지 못한 큰 리스크'''가 되고 있다.] 결국 유승민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고, [[새로운보수당]]은 [[자유한국당]]과 합당하게 된다. === [[중도좌파]] 성향의 일부 정책 === [[제19대 대통령 선거]] 공약들 중 비정규직 고용총량제, 2020년까지 [[최저임금]] 1만원 달성[* 범보수로 분류되는 홍준표와 안철수는 2022년까지 1만원으로 올리겠다고 한 데 비해, 유승민은 문재인과 심상정처럼 2020년까지 1만원으로 올리겠다고 공약했다. 단 최저임금의 경우 본인이 사과하고 다시 플랜을 구성하기로 했다. 여담으로, 실제로는 2023년까지도 최저시급 1만원은 달성되지 못했다.], [[탈원전]] 정책[* 이 부분은 한 지지자와의 문자에서 정책을 재검토하고 원전과 친환경 에너지가 공존하는 형태로 방향을 틀었다고 답변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 유승민이 주장하는 것은 수사청으로 문재인 정부에서 설치된 공수처와는 디테일이 다르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302124700502?input=1195m|#]]], [[임대차 3법|임대료상한제 및 계약갱신청구권제 찬성]], [[법인세]]를 비롯한 각종 증세 등 상당수의 공약이 보수층의 반감을 샀으며, 좌파 성향 정책이 비판받았다. 또한 [[진보적 보수주의|개혁보수]]라고 내세운 공약들 역시 [[더불어민주당|민주당]]이나 내놓을 수준이라는 점과 '''사회일자리 100만 개'''와 같이 민간 부분의 영역까지도 아예 문재인 정부의 공약과 비슷한 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충분히 의심이 가는 공약도 존재한다.[* 물론 [[유승민/20대 대선 공약|20대 대선 공약]]에서는 중도좌파 성향의 공약이 완전히 수정되기는 했다.] 이는 중도와 좌파까지 포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도 하지만 오히려 보수층의 입장에서는 이런 공약들을 보고 '''"사실상 우파 표 자체를 받아가려 하지 말라"'''고 인식할 수밖에 없다. 이런 이유로 여론조사 결과에 비해 '''당심에서 계속 밀리는 원인의 일부'''로 보인다. == 단점 == === [[배신자]]·내부총질 프레임 ===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17대 대선]]을 앞두고 당시 [[한나라당]] 경선 때만 해도 [[박근혜]] 대표를 지키겠다고 말할 정도[* "평소에 좀 잘하지,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선거]] 앞두고 박근혜 대표 잘 지키겠다 그럽니다. 여러분, [[박근혜]] 대표 끝까지 지키고 아무리 위기가 오더라도 끝까지 지킬 사람 누굽니까 여러분!"]로 [[김무성]]과 같이 한때 원조 [[친박]]으로 유명했지만[* 그 이후로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18대 총선]]에서는 [[친이]]계의 공천 학살로 인해 [[김무성]]은 불복하여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했지만 의외로 이러한 상황에서도 유승민은 공천을 받았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친박계 대표주자 중 한명이자 내각의 [[기획재정부장관|경제부총리]]를 지낸 [[최경환]] 전 의원도 이 시기 [[경산시(선거구)|보수텃밭 지역]]에서 한나라당의 공천을 받았다. 그렇다고 의외의 상황까진 아니다.], 19대 국회 말기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역임하면서부터 [[박근혜]]와의 관계가 멀어지게 되었다. 절정은 본인이 [[박근혜 정부]]의 '증세 없는 복지' 등 정부 정책을 대놓고 반대하였고, 심지어 [[박근혜 정부]]가 원하는 공무원연금 개정안을 해결한 대신 야당이 요구했던 [[국회법]] 개정안을 '''의도적'''으로 통과시켰다. 이에 [[박근혜]] 대통령은 국회법 개정안을 거부권으로 응수하며 '''"배신의 정치"'''라고 유승민을 직격했다. 결국 국회법 문제로 인해 당정 간 갈등이 심하게 증폭되면서 새누리당 의원총회에서도 유승민 사퇴 결론이 나게 되었고 원내대표 직에서 사임했다.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15050372681|#]] [[https://www.yna.co.kr/view/AKR20150708106500001|#]] 이후에 유승민은 [[김무성]], [[정병국]] 등 [[비박]]계 정치인들과 함께 새누리당 내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박근혜 탄핵소추안 통과]]를 '''주도했다.''' 그리고 이들과 함께 [[새누리당]]을 집단탈당해 [[바른정당]]을 창당하여 [[제19대 대통령 선거|19대 대선]] 후보로 나왔으며, 당내에서 보수 후보 단일화 요구가 있었지만 새누리당 후신인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와의 단일화를 거부했다. 그리고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과 합당해 [[바른미래당]]을 만들었고, 이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 직전 다시 분당해 [[새로운보수당]]을 만든 뒤 [[자유한국당]]과 합당해 [[미래통합당]]을 만들며 보수 분열을 막았다. 이와 같이 '국회법 개정안 통과→탄핵 주도→집단탈당'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행보들로 인해 [[국민의힘]] 전신이던 새누리당 시절부터 [[친박]]에게 '배신자', '내부총질', '보수 분열의 원흉', '기회주의자', '분탕종자' 등의 비난을 받았으며, 이는 친박이 몰락한 후에도 [[친홍]], [[친윤]] 등의 세력들과 [[태극기 집회|극우]]층[* 여담이지만 [[극우]]층의 대다수가 노년 세대인걸 감안하면 과거 2004년 [[정동영/비판 및 논란#s-2|정동영의 노인폄하 논란]]이 지난 8년 이후로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노인들의 압도적 지지를 얻어 당선된''' [[박근혜]]가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연루되어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이 가결되고 2017년 3월 10일 헌법재판소에서 탄핵안이 인용되어 파면당하자 잠시나마 '''그 발언이 재평가받기도 했다.''']에게 '''여전히''' 같은 사유로 비난받는다.[* 실제로 이와 비슷하게 지난 [[제20대 대통령 선거|20대 대선]] 이후로 현재 야당인 [[더불어민주당]]도 과거에 [[2003년]] 하반기 당시 여당인 [[새천년민주당]]에서 당내 갈등으로 인하여 [[친노|주류계]]들이 집단탈당한 후, 결국엔 [[열린우리당]]을 창당하여 분당되었다. 그 이후로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을 주도했던 당시 새천년민주당 [[조순형]] 의원과 [[함승희]] 의원은 덕분에 [[제17대 국회의원 선거|17대 총선]]에서 [[자업자득|탄핵 역풍을 아주 제대로 맞았고]], 특히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또한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을 '''주도적으로 큰 역할'''을 했기 때문에 결국 역풍 맞을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총선의 어젠다는 대통령 탄핵을 시도한 새천년민주당에 대한 심판인지라 추미애 전 장관은 텃밭인 [[광진구]]에서조차 쓴맛을 봤으며 이로써 새천년민주당은 총 9석(지역구 5석, 비례대표 4석) 밖에 건지지 못한 결과로 '''폭망했다.'''][* 여담으로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의 같은 주역 중 한명이었던 당시 [[한나라당]] 현역 의원인 [[김기춘]] 전 [[대통령비서실장]]은 그의 지역구가 경남 [[거제시(선거구)|거제시]]였으므로 탄핵 역풍이고 뭐고 상관없이 [[제17대 국회의원 선거|17대 총선]]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다.''' 물론 선거 직전에 터진 [[열린우리당]] [[정동영]] 의장이 '''[[정동영/비판 및 논란#s-2|노인폄하 발언을 한 논란]]도 결정적인 영향'''을 줬는지 아무래도 보수층의 결집이었다고 봐야한다.] === 리더십과 존재감의 부재 === [[제19대 대통령 선거]] 이후부터는 존재감이 서서히 없어지기 시작했다. 그가 몸담고 있었던 [[바른정당]]은 [[바른정당 탈당 사태|의원들의 잇따른 탈당]]으로 인해 서서히 무너져가기 시작했다. 이후 [[안철수]]가 이끌던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과 [[국민의당-바른정당 합당|합당]]하며 [[바른미래당]]이 출범했지만,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7회 지선]]에서 참패했고 [[안철수]], [[손학규]] 등 국민의당 출신들과 갈등이 지속되었다. 이로 인해 유승민은 [[친유]]계 정치인들을 이끌고 바른미래당을 탈당해 [[새로운보수당]]을 만들었다. 물론 바른정당, 바른미래당의 분열을 모두 유승민 탓으로만 돌릴 수는 없지만, [[제20대 국회]]에서 그의 개혁보수 신당은 실패한 셈이다. 또한 [[새로운보수당]]과 [[자유한국당]]이 합당하면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제21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는데, 이는 낙선으로 인한 정치적 타격을 회피하는 듯한 인상을 줄 여지가 있었다.[* 다만 이 부분에 있어선 당시 보수통합 당시 [[친박]] 측이 요구한 조건이 유승민의 불출마였기에 불가피했다는 평가도 있다. 실제로 유승민의 불출마 선언 이후 유승민을 그렇게 비난했던 [[친박]] 정치인인 [[김진태]] 등도 "이게 보수 우파가 바라던 모습이다"라며 고평가했다.] [[국민의힘/제3차 전당대회|국민의힘 3차 전당대회]] 국면에서는 방송 출연도 자주하고 자신을 '''배신자''', '''내부총질'''이라고 쉴새없이 저격하는 [[홍준표]]와 [[윤핵관]] 정치인들에게 바로 페이스북을 통해 반박하는 등 [[비윤]]계의 대표 주자로서 입지를 굳혀가는 듯 했다. 그러나 당대표 선출 룰 개정까지 이뤄지자 2023년 1월 31일에 결국 당대표 '''불출마''' 선언을 했다.[* 기자회견도 없이 SNS에 달랑 글 하나만 올려 불출마를 알리는 모습을 보고 유승민답지 않다며 실망했다는 지지자들도 여럿 보이는 상황이다.[[https://m.dcinside.com/board/newconservativeparty/3760705|#]]][* 오히려 불출마를 선택하여 '''정치생명을 유지했다는 점'''에서 보면 괜히 4선 중진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했다. 만약 [[이준석계]]에 속한 [[천하람]]이 얻은 득표 약 15%(정확히 14.98%)가 유승민한테 갔다면 대권주자로서 정치인생의 삶은 사실상 '''끝났다'''고 봐야된다.] === 부족한 본인 홍보 === '''가장 치명적인 유승민의 단점.''' 대선주자 가운데 유독 정치력과 대중성이 떨어지는 후보라는 평을 받는다. 특히 유승민은 평소 활발한 공개활동을 하지 않고 칩거하거나 잠행을 자주 하다가 선거 때만 모습을 드러낸다는 비판을 많이 받는다. 대선 후보라면 공개적인 활동을 해서 인지도를 높이거나, 자신의 정치적 신념을 담은 책을 출간하거나, [[유튜브]], 방송 출연 등 적극적으로 활동하며 비전을 알려야 하는데, 다른 주자들에 비해 이러한 공개활동량이 현저히 적고 '''오로지 [[페이스북]]만을 사용하고 있다.''' 오히려 이 부족한 본인 홍보가 본인의 '배신자' 프레임을 '''벗어나지 못하는 원인의 일부이다.''' 당장 유승민과 가까운 [[이준석]]이 대구에 가서 탄핵은 정당했다고 하면서도 당대표가 된 것을 생각해보면 답이 나온다. 물론 현재는 원외 평당원 신분이고 당직을 맡지 않고 있어 [[대한민국 국회|원내]]에 있을 때보다 제약적일 수밖에 없고, 본인도 정책 연구에 힘을 쓰고 있다고 하지만 정책 연구만큼 중요한 것이 자기 홍보인데 그런 면에서 '''많이 부족한 모습을 보인다.''' [[이준석]], [[오세훈]]과 같이 2030이나 중도층이 가까이 하고 본인의 지지율을 올릴 수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하는데, 그것이 상당히 부족하다는 평가이며 이 부분을 해결하지 않을 경우 유승민의 지지율이 오르기는 힘들다. 그나마 [[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국민의힘 대선 경선]] 때부터 [[유튜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긴급 기자회견이나 [[2021년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 논란|여성가족부 폐지]] 등 주요 공약을 발표하고 [[이재명]], [[윤석열]]을 공격하면서 서서히 홍보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주요 대권주자에 비해서는 주목도가 떨어졌었다. 그러나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징계 사건|이준석 징계]]를 기점으로 해서, [[윤핵관]]과 [[중앙윤리위원회|윤리위]]를 강도높게 비판하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하더니, 최근 들어 [[윤석열]] 대통령의 [[윤석열 미국 순방 중 욕설 논란|순방 중 욕설 논란]], [[윤석열 정부/임기 초 지지율 급락 사태|지지율 급락 사태]] 등이 발생하면서 [[유승민]]이 선두를 달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준석 추가 징계 사건|이준석 추가 징계]]와 법원의 이준석 가처분신청 기각 등 여러 가지 사건을 거치면서 [[친윤]] 세력이 [[이준석]]을 제거하려는 것이 드러나자, 이전과 달리 [[윤석열]], [[윤핵관]] 등을 거침없이 비판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비윤]] 진영의 중심으로 활약하기 시작한다. [[윤석열]]이 각종 여론조사에서 20대 지지율 최저치를 찍고, 이준석 징계로 인해 [[친윤]] 진영에게 반발하는 이준석 지지층의 대다수가 유승민이 당권주자로 나서면 무조건 지지를 하겠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보이고 있기도 하기 때문에, 이준석의 주요 지지층인 20대 유권자들을 흡수해서 세력 불리기를 하려는 것 아니냐는 예측도 많다. 결국 이준석 추가징계 이후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이준석이 조사 대상 명단에서 빠지고, 그 수치만큼 유승민의 선호도가 오르며 압도적인 격차로 1위를 하면서, 이준석 지지층을 흡수할 것이라는 전망은 현실이 되었다. 그와 동시에, 공중파 방송출연을 다시 복귀해 인터뷰하면서, 공식 출마선언을 하진 않았지만 당권 도전에 대한 준비를 하고 있음을 암시하는 발언을 했기 때문에 본격적으로 앞으로의 활동 노선을 매우 활발한 쪽으로 틀 것으로 전망되며, 모든 준비가 끝나면 공식 출마선언을 할 것이라는 예측이 많다. 그와 더불어 이후 국민의힘 지지층만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도 나경원과 거의 비슷한 수치만큼 치고 올라옴으로서, 나경원에 전혀 꿀리지 않는 결과로 당심에서도 제법 크게 선전 중이다. 최근에는 [[대경권]], [[대한민국의 보수주의|보수층]], [[국민의힘/지지 기반|국민의힘 지지층]] 등에서 1위 혹은 오차 범위 내 2위를 차지하면서 점차 개선되고 있다. ==== 높은 비호감도 ==== 차기 대선 주자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한동훈]] 법무부 장관의 지지율이 '''근접했다는 결과가 나오면서''' 여권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범보수·범진보 진영 전체로 보면 이전 결과와 큰 변화가 없다는 지적도 동시에 나오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634449?sid=100|#]] 한국갤럽이 2023년 12월 5~7일 진행해 지난 8일 공개한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 조사에 따르면 한 달 전 조사에 비해 한동훈 장관의 지지율은 3%포인트 오른 16%를 기록했다. 이재명 대표는 같은 기간 2%포인트 떨어진 19%로 집계됐다. 1·2위를 기록한 두 사람의 지지율 격차는 3%포인트로 오차범위(±3.1%포인트) 내였다. 한 장관이 이 조사에 처음 등장한 지난해 6월 2주차 이래 격차가 가장 작은 결과이기도 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327483?sid=100|#]]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2255916?sid=100|#]] 한 장관은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과 더불어 내년 4·10 총선에서 국민의힘 간판 역할을 한 핵심 전력으로 꼽힌다. 국민의힘 지지층만 놓고 봤을 때 한 장관이 '''41%'''로 압도적이고, 뒤이어 홍준표 대구시장이 7%인 것만 봐도 여권에서 '''한 장관이 차지하는 비중'''을 알 수 있다. 한 장관 역시 최근 전국을 다니며 공개 활동을 늘린 데 이어 지난 6일 국민의힘 의원총회에 처음으로 참석해 '상견례 겸 신고식'도 치렀다. 하지만 범보수 진영과 범진보 진영 전체 합계 지지율로 따지면 큰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 올 들어 첫 조사가 이뤄진 3월 1주차 때 한 장관(11%)을 비롯해 [[홍준표|홍]] 시장(5%), [[안철수]] 의원(4%), [[오세훈]] 서울시장(3%),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2%), [[원희룡]] 장관(2%), [[유승민]] 전 의원'''(1%)'''의 지지율 전체 합계는 28%였다. 같은 조사에서 이 대표(20%)와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3%)의 지지율 합계는 23%로 범보수와 범진보 진영 주자 지지율 합계의 격차는 5%포인트였다. 지난 8일 조사에선 범보수와 범진보가 각각 27%와 24%로 두 진영의 격차가 3%포인트였다. 9개월 사이 진영 간 대결의 양상으로 보면 큰 차이가 없다는 의미다. 여권 인사들 중 한 장관에의 쏠림 현상이 나타났을 뿐 여권 전체의 파이가 커졌거나 중도층으로의 의미있는 확장이 이뤄지진 않았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112154?sid=100|#]] [[https://n.news.naver.com/article/029/0002842064?sid=100|#]] 국민의힘 중진 의원은 “보수층에서 한 장관이 인기 있는 건 분명하지만 선거에서 중요한 건 확장성”이라며 “지금 같은 상황에선 한 장관이든 원 장관이든 총선에 보탬이 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국민의힘 지도부 인사는 “확장성과 별개로 지금 지도부는 지지층의 결집도 제대로 못 시키는 상황”이라며 “한 장관과 원 장관이 투입돼 이슈를 만드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http://www.00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1859|#]] 한편, 유승민 전 의원은 이준석 전 대표보다 낮은 '''겨우 1%'''대 득표를 기록하여 '''꼴지로 나타났다.''' ---- 대구 시민들이 범보수 인사 중 호감을 갖는 인물은 [[한동훈]] 법무부 장관, [[홍준표]] 대구시장 순이라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2023년 12월 4일, 한국여론평판연구소(KOPRA)가 고성국TV의 의뢰로 대구시민 중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천9명을 상대로 이달 1∼3일 실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범보수 인사 중 가장 호감이 가는 인물은 한 장관 38%, 홍 시장 13%의 순으로 집계됐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369368?sid=100|#]] [[https://n.news.naver.com/article/005/0001656866?sid=100|#]] 국민의힘 유승민 전 의원(본인)과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각 9%)''',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7%), 오세훈 서울시장(6%),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4%)이 뒤를 이었다. [[https://m.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463414|#]] 이준석 전 대표의 [[이준석·유승민 신당론|신당]]창당 행보에 대해서는 '관심 없다'는 응답이 '''42%'''로 가장 많았다. '국민의힘으로 복귀 바란다'가 '''23%''', '신당 창당 바란다'는 '''21%'''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88/0000849511?sid=100|#]] ‘총선 출마설’이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한 장관은 최근 전국 곳곳을 방문하며 보폭을 넓히고 있다. 지난달 17일 대구, 21일 대전, 24일 울산을 연이어 방문하며 정책행보 외에 시민들을 만나 소통하는 시간도 가졌다. 지난달 16일에는 한 장관의 아내 진은정 변호사가 한 장관 취임 1년 6개월 만에 처음으로 공개석상에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다. 특히 이번 조사의 경우 한 장관이 현직 시장인 홍 시장을 호감도 측면에서 큰 차이로 따돌리며 주목을 받았다. 특히 유승민은 1위를 차지한 한동훈에게 4배로 밀려 사실상 '''본인의 주목도가 상당히 떨어진게 드러났다.''' [[http://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49083|#]] === 상대적으로 느린 이슈 선점 === [[홍준표]]가 [[윤석열-이준석 갈등|윤석열과 이준석의 갈등]] 당시 미리 [[이준석]]을 지지하고 [[여명숙]] 교수와 [[문성호]] 당당위 대표를 영입하고 캠프를 꾸릴 동안 늦게서야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이처럼 [[홍준표]]에 비해 이슈 선점이 느리고 임팩트가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평가가 있다. [[홍준표]]가 2030 남성 지지층이 많은 [[이준석]]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여명숙]], [[문성호]]를 영입하고 나서 뒤늦게 [[홍준연]]을 영입한다던가 하는 등 느린 모습을 보여 [[윤석열]]의 2030 지지율 중 일부만 흡수했다.[* [[윤석열]]의 [[윤석열/비판 및 논란/정계입문 선언 이후|논란]]으로 인해 [[유승민]] 역시 지지율을 챙겨갔지만 상대적으로 효과가 적은 편이었어서 윤석열에게 제대로 대적해볼 만한 인물은 홍준표가 독보적이었다.] ===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및 험지에서의 정치경험 부족 === 유승민 본인은 항상 중도확장성을 강조하며, 책임감 있는 정치를 하기 위해 특정 세력의 텃밭이 아닌 수도권 공략을 강조하지만 정작 이와 반대로 학창시절을 지낸 보수정당의 텃밭인 [[대구광역시|대구]]에서만 4선 의원을 한 데다 본인의 지역구를 두고 [[험지]]라고 자칭해 논란이 된 적도 있다.[* 물론 그의 친구이자 동갑내기로 [[정병국]] 전 의원 역시 수도권에서만 계속 출마했을 뿐, 그것도 5선을 지낸 보수텃밭인 [[여주시·양평군]]이라 험지에서 정치경험은 없었다. 참고로 이전에는 선거구 명칭이 변경 및 조정 되었으나 특히 자신의 고향인 양평군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1990년 [[3당 합당]] 이후엔 [[민주당계 정당]] 후보로 정치적 고향이자 험지인 [[부산광역시|부산]]에서만 출마하여 계속 낙선함[* 이러한 노력으로 동료 [[문재인]]과 그 측근 [[김경수]] 등 [[부울경|PK]]지역에서 유수한 정치인을 길러냈고, PK 중 [[창원시|창원]]([[성산구]] 한정), [[김해시|김해]], [[양산시|양산]], [[거제시|거제]], [[서부산]] 등 민주당이 해볼만한 지역을 여럿 만들었다. 그래서 3당 합당 이후 보수정당의 텃밭이 된 PK를 다시 접전지로 끌어오는 데 성공했다.]으로써 바보 이미지까지 얻은 [[노무현]] 전 대통령[* [[동구(부산 선거구)|동구]] - [[부산광역시장]] - [[북구·강서구 을]]][* 심지어 [[1998년 재보궐선거]]에서 대한민국 정치 1번지라 불리는 [[종로구(선거구)#s-6.4|종로구]]에 출마하여 결국엔 당선되어 15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송파구 갑]] - [[동대문구 을]][* 과거 1988년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 보수텃밭 지역으로 유명했지만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19대 총선]]부터 완전히 [[더불어민주당|민주당]] 텃밭이 되었다.]에서 국회의원을 지낸 [[홍준표]][*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에서 공천 불복하여 처음으로 [[국민의힘|보수정당]]의 텃밭이자 학창시절을 보낸 [[대구광역시|대구]] [[수성구 을]]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이후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8회 지선]]에서 [[대구광역시장]] 자리로 오르기까지 하여 '''민선 최초로 복수 광역자치단체장이란 타이틀'''을 얻었다.], 험지인 [[노원구 병]][* [[통합민주당(2008년)|민주당]]이 폭망했던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18대 총선]]에서도 [[노원구 병|노원 병]]에 당선된 [[한나라당]] [[홍정욱]] 후보가 [[김성환(1965)|김성환]] 후보의 표가 분산된 덕에 [[진보신당]] [[노회찬]] 후보를 3%p 차이로 꺾어 신승할 정도로 보수정당의 험지였다.]에서만 출마하여 연이은 낙선한 [[이준석]][* 자세한 사항은 [[이준석/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s-2.4|이준석/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에서 참고하면 된다.] 등과 비교해도 수도권과 험지 경험이 부족하다. 앞서 언급한 지역 내 기반이 있는 것은 역으로 보면 [[안방 챔피언]]이라는 것으로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내에서의 경험과 험지 부족은 향후 전국적인 선거에서 불리하게 작용될 수 밖에 없다. [[박정희]] - [[육영수]] 프리미엄을 달고 나온 [[박근혜]]가 [[경상도|영남권]]과 [[옥천군|옥천]] + [[영동군|영동]]과 같은 정치적인 기반에서는 강세를 보이지만 수도권이나 대도시권에서 [[이명박]]에 비해 약세를 보였다. 이는 정치색 차이 때문일 수도 있지만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에서의 선거를 경험한 이명박에 비해[* 심지어 민주당의 강세로 불리는 대한민국 정치 1번지라 불리는 [[종로구(선거구)|종로구]]에서 국회의원을 지내기도 하였다.] 수도권에 대한 이해도가 낮을 수 밖에 없는 한계가 큰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유승민]]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동구 을 등 일부를 제외하면 대경권에서 밀리다보니 오히려 더 불리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한국]] 인구의 48~50%를 차지하고 다양한 집단이 있는데다 중도층이 많은 수도권에서 승리해야 어느 정도 안정적으로 승리할 수 있는 환경에서 수도권에서 경험이 부족하면 상대적으로 불리할 수 밖에 없다. 물론 텃밭에서 안정적인 지지세를 확보했기 때문에 험지나 경합지 후보를 지원할 수는 있지만, 수도권이나 경합지 후보에 비해 지역 이해도가 낮을 수 밖에 없다. 그렇기에 본인도 2022년 당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8회 지선]]을 앞두고 국민의힘 [[경기도지사]] 후보 경선에 도전했고 민심에서는 압도적이었지만, 본인의 약점인 당심에서 지지를 제대로 받지 못하여 [[김은혜]] 후보에게 밀렸다. 더군다나 그렇게 해서 본선에 올라간 [[김은혜]]도 민주당의 [[김동연]]과 초접전 끝에 떨어졌다.[* 사실 개표 초반부터 완료까지 '''워낙 접전'''이었던만큼 '''불과 0.15%p 차이'''밖에 나지 않았다. 게다가 역대 [[경기도지사]] 선거에서 '''가장 적은 격차'''라 일명 초박빙으로 불리는 승부였다.] 이로 인해 수도권 경험을 쌓지는 못 했다. [[분류:유승민]][[분류:대한민국의 대통령 선거]][[분류:인물에 대한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