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전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유성구의 법정동)] ||<-4> '''[[대전광역시|{{{#000000,#dddddd 대전광역시}}}]]의 [[자치구|{{{#000000,#dddddd 자치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유성구 CI.sv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유성구}}}'''[br]儒城區[br]{{{-1 Yuseong-gu}}}}}}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대전광역시 유성구, 너비=100%, 높이=100%)]}}} || ||<-2> '''[[유성구청|{{{#fff 구청 소재지}}}]]''' ||<-2> 대학로 211 (어은동) || ||<-2> '''광역자치단체''' ||<-2> [[대전광역시]] || ||<-2> '''하위 행정구역''' ||<-2> 13[[행정동|동]][* 53개 [[법정동]], 13개 [[행정동]]] || ||<-2> '''면적''' ||<-2> 176.46㎢ || ||<-2> '''인구''' ||<-2> 366,294명[* 2023년 1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2> '''인구밀도''' ||<-2> 2,006.49명/㎢ || ||<-2> '''구청장'''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정용래]] {{{-2 (재선)}}} || ||<|3><-2> '''구의회'''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8석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4석 || ||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2석 || ||<|3><-2> [[대전광역시의회|{{{#ffffff '''시의원'''}}}]] ||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2석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1석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1석 || ||<|2> {{{#!wiki style="margin: 0px -10px;" '''국회의원'''}}} || [[유성구 갑|{{{#ffffff '''갑'''}}}]]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조승래]] {{{-2 (재선)}}} || || [[유성구 을|{{{#ffffff '''을'''}}}]] ||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이상민(1958)|이상민]] {{{-2 (5선)}}} || ||<-2> [[지역번호|{{{#ffffff '''지역번호'''}}}]] ||<-2> '''042''' || ||<-2> '''링크''' ||<-2> [[http://www.yuseong.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facebook.com/happyyuseon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instagram.com/yuseonggu/|[[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channel/UC-uECMRjE1ncGuHE4hEVLl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happy_yuseong, 크기=25)] | [[http://blog.naver.com/prologue/PrologueList.nhn?blogId=yuseonggu|[[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이.jpg|width=100%]] || [[파일:유성구 정책비전.png|width=100%]] || || '''마스코트 유성이''' || '''정책비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유성구청.jpg|width=100%]]}}} || ||<-2> '''유성구청''' || [[대전광역시]]의 서부에 위치한 [[자치구]]. 대전에서 [[서구(대전)|서구]] 다음으로 인구가 많고, 대전에 있는 자치구들 중 면적이 가장 넓다. 유성구의 면적이 176.53㎢인데, 53.44㎢인 [[경기도]] [[부천시]]가 3개 정도 들어가고도 남는 면적이다, 심지어는 넓다는 [[동구(대전광역시)|동구]]보다도 면적이 더 넓다. [[충남대학교]]와 [[한국과학기술원]]을 비롯한 여러 [[대학교]], 국내 최대의 과학기술 연구단지인 [[대덕연구개발특구]], 그리고 [[유성온천]]으로 유명한 곳이다. 유성네거리([[유성온천역]]) 일대가 유성구 중심지이다. 비수도권 정부주관 [[2기 신도시]]인 [[도안신도시]]가 [[서구(대전)|서구]]와 걸쳐 조성되고 있다. == 역사 == 기록상 최초로 표기된 이름은 [[백제]] [[대전광역시/역사#s-1|우술군]](현 [[대덕구]] [[회덕동(대덕구)|회덕동]] 일대)의 산하에 속한 '노사지현(奴斯只縣)' 혹은 '노질지현(奴叱只縣)'으로, 둘 다 동일한 [[순우리말]] 지명을 [[음차]] 표기한 것이다. [[고대 한국어]]에서 [[叱]](꾸짖을 질)이 'ㅅ', [[只]](다만 지)가 '기'의 음차자로 쓰였음을 감안한다면 실제 발음은 '놋기' 정도로 추정된다. 이후 [[신라]] [[경덕왕]] 때인 [[757년]]에는 전국 지명의 한화(漢化)가 추진되면서 '유성(儒城)'으로 개칭되었다.[* '놋기'는 '노+[[사이시옷|ㅅ]]+기'로 분석될 수 있는데, 여기서 '기'는 [[백제어]]로 [[성(건축)|성]]을 뜻했으므로 유성의 '성([[城]])'과 대응한다. 또한 [[儒]](선비 유)의 경우 [[상고한어]] 재구음이 '노'에 가까우므로 '노사지'의 '노(奴)'와 대응된다. 즉 유성(儒城)이라는 지명은 기존 [[고유어]] 명칭인 노사지(奴斯只)를 적절하게 음차, [[훈차]]하여 탄생한 결과인 것이다.] [[유성온천]]은 [[삼국시대]]부터 알려져 있었으며, 상술했듯 [[남북국시대]]에 유성으로 불리기 시작한 뒤 현재까지 그 지명이 사용되고 있다. [[고려시대]]에는 유성현이 공주의 속현으로 있었으며, 지금의 유성구와는 영역에 차이가 있어 [[둔산동(대전)|둔산동]]과 [[은행동(대전)|은행동]]을 지나 대전의 남동쪽 끝까지 뻗어 있었다. 한편 유성현 북쪽에는 [[덕진동|덕진현]], 남서쪽에는 [[진잠동|진잠현]], 북동쪽에 회덕현이 있었으며, 조선 초에 진잠과 회덕만 별도의 고을로 독립되었고 유성과 덕진은 공주에 편입되었다. 구한말에는 옛 유성현과 덕진현의 상당수 지역이 회덕군으로 넘어갔다. 현 유성구 영역 중에는 북부 지역이 해당한다. 공주군에 잔류했던 지역은 1914년에 대전군 편입. 이후 현 유성구 영역은 [[대덕군]] 유성읍, 진잠면, 탄동면, 구즉면 4개 읍면이었다가, [[1983년]] 유성읍 전역 및 진잠·탄동·구즉면의 일부가 먼저 대전시 중구에 편입되고, [[1988년]] 중구에서 서구가 분구되어 서구 관할이 되었으며, 이듬해인 [[1989년]] 다시 유성구가 분구되고 대덕군이 폐지되면서 진잠(남선리 제외)·탄동·구즉면의 전역을 편입하면서 현재에 이른다. == 인구 == || [[파일:유성구 CI.svg|width=50]]'''[[유성구|{{{#000 대전광역시 유성구}}}]] {{{#000 인구 추이}}}''' [br] {{{-3 (1985년~현재)}}} || || [[1983년]] [[2월 15일]] 대전시 중구 유성출장소 설치 [br] [[1984년]] [[9월 1일]] 대전시 유성출장소(시 직할)로 승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10.61%, #888 0%, #888 100% , #AAA 0%)" {{{#fff 1985년 42,454명}}}}}} || || [[1989년]] [[1월 1일]] 대전직할시 승격 [br] 유성출장소 + [[대덕군]] 구즉면·탄동면·진잠면(남선리 제외) → '''유성구''' 승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19.83%, #888 0%, #888 100% , #AAA 0%)" {{{#fff 1990년 79,30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31.17%, #888 0%, #888 100% , #AAA 0%)" {{{#fff 1995년 124,68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0.56%, #888 0%, #888 100% , #AAA 0%)" {{{#fff 2000년 162,26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55.66%,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222,64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70.42%,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81,69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3.83%,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335,31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7.76%,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351,04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1.27%,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1월 366,294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0만 명 1985-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ffffff 행정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100%, #888 0%, #888 100%, #AAA 0%)" {{{#fff 온천2동 40,46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1.8175%, #888 0%, #888 100%, #AAA 0%)" {{{#fff 노은3동 36,72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4.61%, #888 0%, #888 100%, #AAA 0%)" {{{#fff 관평동 33,84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2.9125%, #888 0%, #888 100%, #AAA 0%)" {{{#fff 구즉동 33,16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69.92%, #888 0%, #888 100%, #AAA 0%)" {{{#fff 원신흥동 27,96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65.8275%, #888 0%, #888 100%, #AAA 0%)" {{{#fff 전민동 26,33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65.6675%, #888 0%, #888 100%, #AAA 0%)" {{{#fff 온천1동 26,26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64.5%, #888 0%, #888 100%, #AAA 0%)" {{{#fff 신성동 25,80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63.695%, #888 0%, #888 100%, #AAA 0%)" {{{#fff 상대동 25,47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62.425%, #888 0%, #888 100%, #AAA 0%)" {{{#fff 진잠동 24,97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59.11%, #888 0%, #888 100%, #AAA 0%)" {{{#fff 노은2동 23,64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52.935%, #888 0%, #888 100%, #AAA 0%)" {{{#fff 노은1동 21,17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8.1325%, #888 0%, #888 100%, #AAA 0%)" {{{#fff 학하동 19,253명}}}}}} || || {{{-2 2023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 || ===# 행정동별 인구 #=== ||
[[파일:유성구 CI.svg|width=50]]'''[[진잠동|{{{#000 진잠동}}}]]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35.543%,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2,44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35.22%,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2,32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35.651%,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2,47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37.62%,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13,167명}}}}}} || || [[1983년]] [[2월 15일]] 진잠면 일부 → 대전시 편입 및 원내동 신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12.594%, #e52d1f 0%, #e52d1f 38.014%, #888 0%)" {{{#fff 1985년 13,305명(진잠면 4,408명 + 원내동8,897명)}}}}}} || || [[1987년]] [[1월 1일]] 진잠면 계산리 → 원내동 편입 [br] [[1989년]] [[1월 1일]] 대덕군 진잠면 → 대전직할시 편입 및 폐지 [br] 진잠면 → '''진잠동''' 전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10.886%, #ed1c23 0%, #ed1c23 51.683%, #888 0%)" {{{#fff 1990년 18,089명(진잠동 3,810명 + 원내동14,279명)}}}}}} || || [[1995년]] [[5월 20일]] [br] '''진잠동''' → 진잠1동 개칭 [br] 원내동 → 진잠2동 개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7.206%, #ed1c23 0%, #ed1c23 36.323%, #888 0%)" {{{#fff 1995년 12,713명(진잠1동 2,522명 + 진잠2동 10,191명)}}}}}} || || [[1998년]] [[10월 26일]] 진잠1동 + 진잠2동 → '''진잠동''' 합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1c23 63.66%,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22,28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1c23 72.166%,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25,25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1c23 84.937%,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9,72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1c23 99.94%,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34,97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1c23 100%,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35,106명}}}}}} || || [[2021년]] [[11월 1일]] '''진잠동''' 일부 + 온천1동 일부 → 학하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1c23 71.343%,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0월 24,970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유성구 CI.svg|width=50]]'''[[학하동|{{{#000 학하동}}}]] {{{#000 인구 추이}}}''' [br] {{{-3 (2021년~현재)}}} || || [[2021년]] [[11월 1일]] 진잠동 일부 + 온천1동 일부 → '''학하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5.225%, #888 0%, #888 100%, #AAA 0%)" {{{#fff 2021년 12월 17,04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5.16%,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1월 17,03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5.805%,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4월 17,16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6.09%,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7월 17,21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1.29%,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10월 18,25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2.315%,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월 18,46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5.015%,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4월 19,00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5.895%,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7월 19,17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6.265%,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0월 19,253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2021.12-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유성구 CI.svg|width=50]]'''[[상대동(유성구)|{{{#000 상대동}}}]] {{{#000 인구 추이}}}''' [br] {{{-3 (2021년~현재)}}} || || [[2021년]] [[11월 1일]] 온천1동 일부 + 원신흥동 일부 → '''상대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0.051%, #888 0%, #888 100%, #AAA 0%)" {{{#fff 2021년 12월 22,01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6.436%,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1월 23,77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9.804%,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4월 24,69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0.938%,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7월 25,00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1.556%,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10월 25,17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2.095%,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월 25,32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2.255%,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4월 25,37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2.542%,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7월 25,44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2.647%,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0월 25,478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2021.12-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유성구 CI.svg|width=50]]'''[[온천동(대전)|{{{#000 온천1동}}}]]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50.374%,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7,63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57.109%,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9,988명}}}}}} || || [[1973년]] [[7월 1일]] 유성면 → 유성읍 승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65.169%,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22,80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2.537%,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28,888명}}}}}} || || [[1983년]] [[2월 15일]] 대덕군 유성읍 → 대전시 편입 및 폐지 [br] 유성읍 → '''온천1동''', 온천2동 분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8.569%,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16,99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56.549%,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19,79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50.177%,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17,56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55.274%,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19,34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66.749%,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23,36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6.82%,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33,887명}}}}}} || || [[2013년]] [[9월 16일]] '''온천1동''' → '''온천1동''', 원신흥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4.963%,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29,73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9.486%,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34,820명}}}}}} || || [[2021년]] [[11월 1일]] 진잠동 일부 + '''온천1동''' 일부 → 학하동 분동 [br] '''온천1동''' 일부 + 원신흥동 일부 → 상대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75.049%,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0월 26,267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유성구 CI.svg|width=50]]'''[[온천동(대전)|{{{#000 온천2동}}}]] {{{#000 인구 추이}}}''' [br] {{{-3 (1985년~현재)}}} || || [[1983년]] [[2월 15일]] 대덕군 유성읍 → 대전시 편입 및 폐지 [br] 유성읍 → 온천1동, '''온천2동''' 분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37.289%,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15,848명}}}}}} || || [[1989년]] [[1월 1일]] 대덕군 탄동면 → 대전직할시 편입 및 폐지 [br] 탄동면 → 탄동 전환 [[1990년]] [[6월 1일]] 신성동 일부[* 하기동 일부지역] → '''온천2동''' 편입 [br] 탄동 일부[* 추목동, 신봉동, 자운동] → 신성동 편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9.913%, #ed1c23 0%, #ed1c23 57.257%, #888 0%)" {{{#fff 1990년 24,334명(온천2동 21,213명 + 탄동 3,12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4.202%, #ed1c23 0%, #ed1c23 89.534%, #888 0%)" {{{#fff 1995년 38,052명(온천2동 35,786명 + 탄동 2,266명)}}}}}} || || [[1998년]] [[10월 26일]] '''온천2동''' + 탄동 → '''온천2동''' 합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2.247%,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34,955명}}}}}} || || [[2003년]] [[1월 28일]] '''온천2동''' → '''온천2동''', 노은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5.647%,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40,65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79.769%,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33,90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78.814%,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33,49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4.541%,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40,18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5.202%,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0월 40,461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25만 명 1985-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유성구 CI.svg|width=50]]'''[[노은1동|{{{#000 노은1동}}}]] {{{#000 인구 추이}}}''' [br] {{{-3 (2005년~현재)}}} || || [[2003년]] [[1월 28일]] 온천2동 → 온천2동, 노은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100%,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48,378명}}}}}} || || [[2007년]] [[2월 5일]] 노은동 → '''노은1동''', 노은2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8.124%, #888 0%, #888 100%, #AAA 0%)" {{{#fff 2008년 22,85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8.288%, #888 0%, #888 100%, #AAA 0%)" {{{#fff 2009년 22,93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50.507%,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3,99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50.92%, #888 0%, #888 100%, #AAA 0%)" {{{#fff 2011년 24,18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50.672%, #888 0%, #888 100%, #AAA 0%)" {{{#fff 2012년 24,06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52.234%, #888 0%, #888 100%, #AAA 0%)" {{{#fff 2013년 24,81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50.082%, #888 0%, #888 100%, #AAA 0%)" {{{#fff 2014년 23,78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9.411%,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23,47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9.510%, #888 0%, #888 100%, #AAA 0%)" {{{#fff 2016년 23,51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8.177%, #888 0%, #888 100%, #AAA 0%)" {{{#fff 2017년 22,88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7.876%, #888 0%, #888 100%, #AAA 0%)" {{{#fff 2018년 22,74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6.907%, #888 0%, #888 100%, #AAA 0%)" {{{#fff 2019년 22,28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6.743%,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2,20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5.952%, #888 0%, #888 100%, #AAA 0%)" {{{#fff 2021년 21,82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5.118%,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21,43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4.577%,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0월 21,174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75만 명 200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유성구 CI.svg|width=50]]'''[[노은2동|{{{#000 노은2동}}}]] {{{#000 인구 추이}}}''' [br] {{{-3 (2008년~현재)}}} || || [[2007년]] [[2월 5일]] 노은동 → 노은1동, '''노은2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2.053%, #888 0%, #888 100%, #AAA 0%)" {{{#fff 2008년 43,07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2.535%, #888 0%, #888 100%, #AAA 0%)" {{{#fff 2009년 43,33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3.634%,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43,90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5.564%, #888 0%, #888 100%, #AAA 0%)" {{{#fff 2011년 44,92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6.836%, #888 0%, #888 100%, #AAA 0%)" {{{#fff 2012년 45,58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8.248%, #888 0%, #888 100%, #AAA 0%)" {{{#fff 2013년 46,33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100%, #888 0%, #888 100%, #AAA 0%)" {{{#fff 2014년 52,756명}}}}}} || || [[2015년]] [[7월 20일]] '''노은2동''' → '''노은2동''', 노은3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9.373%,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25,92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9.850%, #888 0%, #888 100%, #AAA 0%)" {{{#fff 2016년 26,17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9.010%, #888 0%, #888 100%, #AAA 0%)" {{{#fff 2017년 25,73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8.316%, #888 0%, #888 100%, #AAA 0%)" {{{#fff 2018년 25,36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7.962%, #888 0%, #888 100%, #AAA 0%)" {{{#fff 2019년 25,18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7.333%,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4,85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6.413%, #888 0%, #888 100%, #AAA 0%)" {{{#fff 2021년 24,36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5.606%,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23,94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5.036%,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0월 23,644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25만 명 2008-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유성구 CI.svg|width=50]]'''[[유성구/행정#s-4.2|{{{#000 노은3동}}}]] {{{#000 인구 추이}}}''' [br] {{{-3 (2015년~현재)}}} || || [[2015년]] [[7월 20일]] 노은2동 → 노은2동, '''노은3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8.408%,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33,15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1.192%, #888 0%, #888 100%, #AAA 0%)" {{{#fff 2016년 34,19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6.499%, #888 0%, #888 100%, #AAA 0%)" {{{#fff 2017년 36,18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7.643%, #888 0%, #888 100%, #AAA 0%)" {{{#fff 2018년 36,61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6.797%, #888 0%, #888 100%, #AAA 0%)" {{{#fff 2019년 36,29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100%,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37,83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9.515%, #888 0%, #888 100%, #AAA 0%)" {{{#fff 2021년 37,31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8.368%,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36,88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7.939%,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0월 36,727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유성구 CI.svg|width=50]]'''[[신성동(대전)|{{{#000 신성동}}}]] {{{#000 인구 추이}}}''' [br] {{{-3 (1985년~현재)}}} || || [[1983년]] [[2월 15일]] 대덕군 탄동면 일부 → 대전시 편입 및 '''신성동''' 신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24.223%,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7,267명}}}}}} || || [[1990년]] [[6월 1일]] 신성동 일부[* 하기동 일부지역] → 온천2동 편입 [br] 탄동 일부[* 추목동, 신봉동, 자운동] → '''신성동''' 편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26.54%,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7,96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56.94%,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17,08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1.75%,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27,52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1.083%,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27,32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3.78%,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8,13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8.327%,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26,49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6.193%,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5,85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6%,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0월 25,800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1985-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유성구 CI.svg|width=50]]'''[[전민동|{{{#000 전민동}}}]] {{{#000 인구 추이}}}''' [br] {{{-3 (1985년~현재)}}} || || [[1983년]] [[2월 15일]] 대덕군 구즉면 일부 → 대전시 편입 및 '''전민동''' 신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509%,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2,34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7.826%,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2,15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2.298%,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22,63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7.047%,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26,68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9.615%,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27,39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6.815%,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6,62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2.371%,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25,40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8.92%,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7,20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5.749%,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0월 26,331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1985-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유성구 CI.svg|width=50]]'''[[구즉동|{{{#000 구즉동}}}]]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33.651%,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1,77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30.411%,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0,64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29.203%,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0,22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27.266%,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9,543명}}}}}} || || [[1983년]] [[2월 15일]] 대덕군 구즉면 일부 → 대전시 편입 및 전민동 신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19.949%,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6,982명}}}}}} || || [[1989년]] [[1월 1일]] 대덕군 구즉면 → 대전직할시 편입 및 폐지 [br] 구즉면 → '''구즉동''' 전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19.931%,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6,97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47.551%,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16,64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9.903%,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31,46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6.52%,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30,282명}}}}}} || || [[2010년]] [[4월 27일]] '''구즉동''' → '''구즉동''', 관평테크노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3.191%,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32,61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8.177%,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30,86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79.529%,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7,83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4.757%,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0월 33,165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유성구 CI.svg|width=50]]'''[[관평동|{{{#000 관평동}}}]] {{{#000 인구 추이}}}''' [br] {{{-3 (2010년~현재)}}} || || [[2010년]] [[4월 27일]] 구즉동 → 구즉동, 관평테크노동 분동 [br] [[2010년]] [[8월 11일]] 관평테크노동 → '''관평동''' 개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2.574%,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8,90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5.42%, #888 0%, #888 100%, #AAA 0%)" {{{#fff 2011년 29,89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6.197%, #888 0%, #888 100%, #AAA 0%)" {{{#fff 2012년 30,16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7.406%, #888 0%, #888 100%, #AAA 0%)" {{{#fff 2013년 30,59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5.886%, #888 0%, #888 100%, #AAA 0%)" {{{#fff 2014년 30,06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4.791%,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29,67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4.729%, #888 0%, #888 100%, #AAA 0%)" {{{#fff 2016년 29,65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3.229%, #888 0%, #888 100%, #AAA 0%)" {{{#fff 2017년 29,13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2.829%, #888 0%, #888 100%, #AAA 0%)" {{{#fff 2018년 28,99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2.471%, #888 0%, #888 100%, #AAA 0%)" {{{#fff 2019년 28,86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3.02%,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9,05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2.143%, #888 0%, #888 100%, #AAA 0%)" {{{#fff 2021년 28,75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1.131%,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28,39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6.697%,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0월 33,844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2010-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유성구 CI.svg|width=50]]'''[[원신흥동|{{{#000 원신흥동}}}]] {{{#000 인구 추이}}}''' [br] {{{-3 (2013년~현재)}}} || || [[2013년]] [[9월 16일]] 온천1동 → 온천1동, '''원신흥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64.088%, #888 0%, #888 100%, #AAA 0%)" {{{#fff 2013년 30,44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5.08%, #888 0%, #888 100%, #AAA 0%)" {{{#fff 2014년 40,41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88.667%,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42,11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5.423%, #888 0%, #888 100%, #AAA 0%)" {{{#fff 2016년 45,32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8.078%, #888 0%, #888 100%, #AAA 0%)" {{{#fff 2017년 46,58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7.823%, #888 0%, #888 100%, #AAA 0%)" {{{#fff 2018년 46,46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7.954%, #888 0%, #888 100%, #AAA 0%)" {{{#fff 2019년 46,52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97.059%,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46,103명}}}}}} || || [[2021년]] [[11월 1일]] 온천1동 일부 + '''원신흥동''' 일부 → 상대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58.310%, #888 0%, #888 100%, #AAA 0%)" {{{#fff 2021년 27,69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57.013%, #888 0%, #888 100%, #AAA 0%)" {{{#fff 2022년 27,08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6eb8 58.88%,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0월 27,968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75만 명 2013-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지역 특징 == 유성구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연구단지인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연구단지)]]'''[* 명칭과는 달리 '''[[대덕구]]'''가 아니라 유성구에 있다. --낚였다.-- 엄밀히 말하면 대덕연구개발특구의 '대덕'은 현 대덕구가 아니라 舊 대덕군을 의미한다. 조성 당시에는 해당 위치가 대덕군(유성읍, 탄동면, 구즉면)이었기 때문이다.]가 있으며, 이곳에는 [[정부출연연구기관]] 26개소, 교육기관 7개소, 국공립 연구기관 3개, 기타 연구기관 10개, 정부기관 10개소, 공공기관 18개소, 기타 비영리기관 등 31개소, 기업 2,356개소가 입주해있으며, 연구인력 38,000여 명을 포함해 86,000여 명의 인력이 근무하고 있다. 또한 대덕연구개발특구 내에는 [[과학기술원]]인 '''[[한국과학기술원|한국과학기술원(KAIST)]]''', [[국가거점국립대학교]]인 [[충남대학교]], [[대학원대학]]인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등이 위치해 [[대전광역시]] 고등교육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그 덕분인지, 유성구는 서구와 함께 대전에서 살기 좋은 지역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대전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아 집값도 비교적 비싼 곳이다. 실제로 유성구는 전국적으로도 살기 좋은 기초지자체에 상위권으로 자주 랭크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4835754?sid=102|#]] 또 유성은 과거에는 전국적인 관광지로도 유명세를 떨치기도 했다. [[1993년]] [[1993 대전 엑스포|대전 엑스포]]를 개최하면서 [[유성온천]]이 관광특구로 지정되었고 [[대전월드컵경기장|2002 월드컵 땐 경기장이 지어지는]] 등 생각 외로 대형 국가 행사의 버프를 많이 받은 편이다. 특히 [[유성온천]]은 1993년 엑스포 개최를 이유로 설악산, 제주도와 함께 전국에서 세 군데뿐이었던 관광특구로 지정되어 당시만 해도 건재하던 심야영업 제한의 미적용으로 인한 특수를 입었다. 관광특구 내에서는 합법적으로 심야 영업을 할 수 있었기에 서울에서 한 밤 유흥을 위해 택시를 대절해 놀러 내려오는 인구가 심심찮기도 했다. 당시 충남대와 KAIST 사이의 궁동은 불야성으로 이름 높았다. [[유성온천]]의 경우 전성기 때는 전국구급으로 매우 유명했고 온천 시설과 [[유흥업소]]가 공존하는 양상이었으나 2010년대 들어 급속도로 몰락했다. [[성매매 특별법]] 시행과 [[KTX]] 개통 등의 영향으로 유동인구가 급격하게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도안신도시]]까지 개발되면서 유흥업소들이 하나 둘 철거되고 [[주상복합]] 아파트와 [[오피스텔]] 등으로 바뀌어 관광특구의 이미지는 사실상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020년대 기준으로 유성온천 유명 호텔들이 반도 안되게 남아 있는 것을 빼면[* 그나마 온천탕을 보유하고 있는 역사 깊은 3성급 이상 호텔 중에서는 사실상 유성호텔과 계룡스파텔 정도가 건재하고 있다. 유성온천 내 4성급 호텔인 호텔인터시티는 온천장이 있었으나 온천장 영업을 현재 중단한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유성온천역]] 일대는 그냥 평범한 부도심일 뿐이다. 또한 유성구는 여려 군 기관이 밀집되어 있는 국가 핵심 중추 군사 도시이기도 하다. [[자운대]]에는 [[합동군사대학교|합동군사대학]], [[국방과학연구소]], [[국군간호사관학교]], [[국군의무학교]], [[육군교육사령부]], [[육군종합군수학교]], [[육군정보통신학교]] 등이다. 자운대 외에는 유성구 관내에 [[국방과학연구소]]와 칠성대라고 불리는 [[육군군수사령부]]가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인지 유성온천 내에도 계룡스파텔이라는 이름의 군 휴양소가 있다. 다른 민간 호텔과 달리 부지가 대단히 널찍한 것이 특징. 역사도 꽤 오래된 곳으로, 1970년대에 군 휴양소로 지은 계룡호텔을 2001년에 재건축한 것이다. 군 휴양소지만 호텔 객실, 식당, 온천장, 웨딩홀 같은 주요 시설은 민간인도 사용 가능하고, 현역 군인(병사 포함)이나 중사 이상 예비역은 요금을 할인해준다. 굳이 군인이 아니라 일반 이용객 입장에서도 스파 이용료는 다른 온천탕에 비하면 비교적 저렴한 것이 메리트다. 그 외에 공주 방면으로 가는 길에 [[국립서울현충원]]에 이어 두번째로 건립된 국립현충원인 [[국립대전현충원]]도 있다. 유성은 대전광역시에 속한 지역이지만, 대전 도심에서 거리도 조금 떨어져 있고 대덕군 시절 읍으로 승격했을 정도로 별도의 시가지도 형성되었다. 그래서 고속버스 노선도 따로 있고[* [[유성IC]]가 [[호남고속도로지선]]에 위치한 관계로 서울행 고속버스는 경부선터미널이 아닌 [[센트럴시티]]로 간다. 호남고속도로 지선은 타자마자 바로 나가는 수준] 다른 구에는 없는 [[마을버스]] 체계가 존재하며[* 유성구 독자 3개 노선. 원도심+둔산+신탄진의 원래 [[대전광역시 시내버스]] 체계에는 마을버스가 없다.] 5일장도 서는 등 독자적인 지역 색채가 강한 편이다. 단, 여기서 말하는 지역적인 색채가 강한 유성은 유성구 전체가 아닌 구 유성읍 지역, 다시 말해 유성온천과 유성터미널 일대를 말한다. 이는 80년대 이전의 서울 강북과 영등포 간 관계도 이와 비슷했다. 그러나 1990년대 유성 바로 건너편에 대전 신도심인 [[둔산신도시]]가 조성되고 아예 2000년대 이후에는 유성온천이 몇몇 대형호텔의 부진과 부도로 몰락하고 주변 지역이 점차 재개발되면서 택지지구가 많이 생기고, 대전의 다른 신도심처럼 변해가고 있다. 특히 2010년대 이후에는 유성온천 바로 앞에 [[도안신도시]]가 조성되면서 서로 [[연담화]]되는 모양세다. 한편 [[전민동]], [[관평동]] 등의 경우에는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속해있어 수도권 등 타지역에서 이사 온 경우가 많아 지역적인 색채가 강하지 않다는 점에서 대전 여타 지역, 특히 구도심 중구/동구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유성 출신 유명인으로는 골프선수 '''[[박세리]]'''가 있다.[* 출생은 [[광주광역시|광주]] [[광산구]]에서 했고 고등학교는 공주금성여자고등학교를 나왔다.] == [[유성구/교통|교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유성구/교통)] == 경제 == 대전에서 가장 경제 상황이 좋은 구이다. 과거에는 [[정부대전청사]], [[대전광역시청]] 등 공공기관들이 밀집한 [[서구(대전광역시)|서구]]에 밀려 2인자 신세였지만 유성구도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성장하고 [[한국조폐공사]], [[한전원자력연료]], [[한국가스기술공사]] 등 공기업들도 자리잡으면서 대전 5구 중에서 자체 경제력이 상당했었고, 2012년 인근에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고 서구의 개발이 정체되며 개발이 활발한 유성구가 1인자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물론 인구 자체는 서구가 15만 명 차이로 대전에서 가장 많지만, 2000년대 들어 [[노은지구]] 건설로 인한 인구 유입 등으로 가장 높은 인구 성장률을 보였고, 2010년대 이후로도 [[도안신도시]], [[학하지구]]가 건설되면서 대전 내에서 유일하게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구이다. 노은지구 일대가 개발되기 전에는 대전 시내 5개 구 중에서 가장 '''인구가 적었다.''' 일단 유성구는 주변 환경도 나쁘지 않고 서구 [[둔산신도시]]와 함께 대전에서 교육열이 높은 편이다. 다만 아직까지는 전통적인 유성의 중심지인 중부와 서구와 맞닿아 있는 남부가 많이 발달한 반면, 세종시와 대덕구에 맞닿은 북부는 [[그린벨트]]로 묶여 발달이 덜 되었다. === 주요 시설 및 기업체 === ====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정부출연연구기관]] 및 [[특정연구기관]] ==== * [[국방과학연구소]] 본부 * [[기초과학연구원]] 본원 * [[기초과학연구원]] 부설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본소 * [[기초과학연구원]] 부설 [[RAON(중이온가속기)|중이온가속기연구소]] 본소 * [[기초과학연구원]] 부설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본소 * [[한국과학기술원]] 부설 [[나노종합기술원]] 본원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본원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부설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본부 * [[한국기계연구원]] 본원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본원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본원 * [[한국연구재단]] 본사 * [[한국연구재단]] 부설 [[정보통신기획평가원]] 본원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본원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본원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본원 * [[한국원자력연구원]] 본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본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설 [[국가보안기술연구소]] 본소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본원 * [[한국천문연구원]] 본원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본원 * [[한국한의학연구원]] 본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본원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본소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본원 * [[한국화학연구원]] 본원 * [[한국화학연구원]] 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 본소 ==== 기타연구기관, 관공서 및 정부유관기관 ====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 * [[국립문화재연구원]] 본원 * [[국립중앙과학관]] * 국제지식재산연수원 본원 * 관세평가분류원 본원·대전세관 *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대전과학수사연구소 * [[대한민국 기상청|대전지방기상청]] * [[중소벤처기업부|대전세종지방중소벤처기업청]]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전충남지원단 * [[대한민국 환경부|금강유역환경청]] * [[국세청|북대전세무서]] * [[대한민국 법무부|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 대전솔로몬로파크 * [[경찰인재개발원]] 경찰견종합훈련센터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본사 * [[한국가스기술공사]] 본사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대전세종광역본부 * [[한국수력원자력]] 중앙연구원 *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인재개발원 * [[한국에너지공단]] 대전충남지역본부 * [[한전원자력연료]] 본사 * [[한전원자력연료]] TSA Plant * [[한국원자력환경공단]] 고준위기술개발원 *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설비진단처 * [[한국전력공사]] 대덕유성지사 * [[한국전력기술]] 원자로설계사업본부 * [[한국조폐공사]] 본사·기술연구원 * [[한국조폐공사]] ID본부·통합데이터센터 *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한국콘텐츠진흥원]] 스튜디오큐브 * [[국민건강보험공단]] 대전유성지사 * [[도로교통공단]] 대전세종충남지부 * [[대전지방법원]] 등기국 * [[대전광역시청|대전광역시]] 인재개발원 * [[대전광역시청|대전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대전광역시청|대전광역시]] 스마트도시통합센터 * [[대전광역시 소방본부]] 119특수구조단 * 대전세종연구원 본원 * 대전교육정보원 본원 * 대전교육과학연구원 본원 *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본원 *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본원 * 대전교통문화연수원 본원 * 대전과학산업진흥원 본원 *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본원 * 대전광역시 농업기술센터 본원 * [[대전관광공사]] 본사 * 대전광역시시설관리공단 본사 * [[대전시민천문대]] ==== 언론기관 ==== * [[대전문화방송|대전MBC]] * [[대전방송|TJB]] * [[대전극동방송]] ==== 민간 연구소 및 민간기업 ==== * [[금호석유화학]] 중앙연구소 * [[금호폴리켐]] 대전연구소 * [[대한송유관공사]] 대전지사 * [[대한항공]] 항공기술연구원 * [[롯데정보통신]] 대전센터 * [[롯데케미칼]] 종합기술원 * [[머크|한국머크]] 일렉트로닉스 대전사이트 * [[삼성화재]] 대전캠퍼스 * [[삼성중공업]] 대덕연구센터 * [[삼양사]] 중앙연구소 * [[삼양사]] 대전EP공장 * [[쎄트렉아이]] 본사 * [[애경케미칼]] 대전연구소 * [[풍산그룹|풍산]] 방산기술연구원 * [[코오롱그룹|코오롱제약]] 의약연구소 * [[태광산업]] 중앙연구소 * [[하림]] 중앙연구소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테크노돔(중앙 R&D센터)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생산기술연구소 * [[한국앤컴퍼니|한국엔지니어링웍스]] 본사 * [[한진]] 대전종합물류센터 * [[한화|한화인텔리전스]] 본사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전 R&D센터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전사업장 * [[한화솔루션]] 중앙연구소 * [[DL케미칼]] 대덕연구소 * [[DL이앤씨]] 건축환경연구센터 * [[GS칼텍스]] 기술연구소 * [[KB국민은행]] 콜센터 * [[KT]] 대덕1연구센터(OSP 이노베이션 센터) * [[KT]] 대덕2연구센터(인프라 연구소) * [[KT]] 북대전지사 * [[KT]] 유성지점 * [[KT&G]] R&D본부 * [[LG화학]] 기술연구원 * [[LG화학]] 대전R&D캠퍼스 * [[LG에너지솔루션]] 대전R&D캠퍼스 * [[LX MMA]] 기술연구소 *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LG생활건강]] 대전R&D캠퍼스 * [[LG에너지솔루션]] 기술연구원 제2캠퍼스 * [[LG U+]] 대전R&D센터 * [[LIG넥스원]] 대전하우스 * [[LX세미콘]] 본사 * [[엠케이에스|MKS instruments]] Power Solution Aisa * [[SK|SK그룹]] 대덕연구단지 * [[SK주식회사]] R&D센터 * [[SK이노베이션]] 기술혁신연구원 * [[SK온]] 연구원 * SK바이오텍 본사·R&D센터 * [[SK C&C]] 데이터센터 === 대형 상업시설 === * [[대전신세계|대전신세계 Art & Science]] * [[NC백화점]] 유성점 * [[현대프리미엄아울렛 대전점]] * [[모다아울렛 대전점]] * [[홈플러스 유성점]] * [[홈플러스 서대전점]] * [[롯데마트 노은점]] * [[롯데마트]] 대덕점 * [[롯데마트 서대전점]] * 노은농수산물도매시장 === 금융 === ||<-4> '''{{{#ffffff 유성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 제1금융권}}}'''[*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 국가기관 }}}''' || ||<-4> [[우정사업본부|{{{#ffffff '''대전유성우체국 (13)'''}}}]] || ||<-4> '''{{{#1d1e23 국책은행 }}}''' || ||<-2> [[한국산업은행|{{{#ffffff '''한국산업은행 (1)'''}}}]] ||<-2> [[기업은행|{{{#ffffff '''중소기업은행 (2)'''}}}]] || ||<-4> '''{{{#1d1e23 특수은행 }}}''' || ||<-4> [[농협은행|{{{#ffffff '''농협은행(중앙회) (6)'''}}}]] || ||<-4> '''{{{#1d1e23 시중은행 }}}''' || ||<-2> [[신한은행|{{{#ffffff '''신한은행 (4)'''}}}]] ||<-2> [[우리은행|{{{#ffffff '''우리은행 (8)'''}}}]] || ||<-2> [[하나은행|{{{#ffffff '''하나은행 (9)'''}}}]] ||<-2> [[국민은행|{{{#ffffff '''국민은행 (9)'''}}}]] || ||<-4> '''{{{#1d1e23 지방은행 }}}''' || ||<-4> [[전북은행|{{{#4169e1 '''전북은행 (3)'''}}}]] || ||<-4> '''{{{#ffffff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ffffff 농업협동조합 }}}''' || || [[농협|{{{#fcaf16 '''유성농협 (12)'''}}}]] || [[농협|{{{#fcaf16 '''북대전농협 (3)'''}}}]] || [[농협|{{{#fcaf16 '''탄동농협 (4)'''}}}]] || [[농협|{{{#fcaf16 '''진잠농협 (4)'''}}}]] || ||<-4> [[농협|{{{#fcaf16 '''회덕농협 (1)'''}}}]] || ||<-4> '''{{{#ffffff 새마을금고 }}}''' || || [[새마을금고|{{{#afeeee '''유성새마을금고 (3)'''}}}]] || [[새마을금고|{{{#afeeee '''유성온천새마을금고 (3) '''}}}]] || [[새마을금고|{{{#afeeee '''진잠새마을금고 (3) '''}}}]] || [[새마을금고|{{{#afeeee '''탄동새마을금고 (4) '''}}}]] || ||<-2> [[새마을금고|{{{#afeeee '''대전온천새마을금고 (1) '''}}}]] ||<-2> [[새마을금고|{{{#afeeee '''한국과학기술원새마을금고 (1) '''}}}]] || ||<-4> '''{{{#ffffff 신용협동조합 }}}''' || || [[신협|{{{#ffa500 '''대전유성신용협동조합 (5) '''}}}]] || [[신협|{{{#ffa500 '''구죽신용협동조합 (3)'''}}}]] || [[신협|{{{#ffa500 '''충남대학교신용협동조합 (1) '''}}}]] || [[신협|{{{#ffa500 '''한국전자통신연구원신용협동조합 (1) '''}}}]] || ||<-4> '''{{{#ffffff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 || ||<-4> [[저축은행|{{{#999999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1)'''}}}]] || == 교육 == [include(틀:대전광역시 유성구의 초등학교)] [include(틀:대전광역시 유성구의 중학교)] [include(틀:대전광역시 유성구의 고등학교)] === 고등교육기관 ===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본부 * [[대덕대학교]] * [[배재대학교]] 대덕밸리캠퍼스[*이 이원화캠퍼스] * [[충남대학교]] 대덕캠퍼스[*본 본부캠퍼스] * [[한국과학기술원]](KAIST) 본원(대덕캠퍼스)[*본] *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지캠퍼스[*이] * [[한남대학교]] 대덕밸리캠퍼스[*이] * [[한밭대학교]] 유성덕명캠퍼스[*본] * [[한밭대학교]] 대덕산학융합캠퍼스[*이] * [[한국침례신학대학교]] * [[충남농업마이스터대학]] * [[LH토지주택대학교]] * [[국군간호사관학교]] == 문화 및 체육시설 == * 대전광역시 북부여성가족원 * 대전시립박물관 * [[대전월드컵경기장]] * [[대전이스포츠경기장]] * 진잠다목적체육관 * 유성문화원 * 유성도서관 * 노은도서관 * 관평도서관 * 구암도서관 * 구즉도서관 * 진잠도서관 * 원신흥도서관 == 의료기관 == [[영훈의료재단 유성선병원|유성선병원]](329병상)이 가장 큰 종합병원이다. 원래 중구에 있는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대전성모병원]]이 유성구로 이전할 계획이었으나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 유성선병원은 모체인 중구 대전선병원보다 훨씬 규모가 크고 시설도 좋게 만들었다. [[국군병원]] 중 [[국군수도병원]] 다음으로 위상이 높은 [[국군대전병원]]도 [[자운대]] 안에 위치하고 있으나 일반인들은 이용이 제한되어 있다. * [[영훈의료재단 유성선병원]] * [[국군대전병원]] * 대전광역시립정신병원 * 대전광역시립제1노인요양병원 * 유성구보건소 * 유성구보건소 진잠보건지소 * 유성구보건소 구즉보건지소 == [[유성구/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유성구/정치)] == 군사 == 교육기관 중심의 중추 군사시설들이 대거 밀집해 있다. * [[국방부 직할부대]] * [[자운대]] * [[국군간호사관학교]] * [[국군의무학교]] * [[국군의학연구소]] * [[국군대전병원]] * [[국방정신전력원]] * [[국군복지단]] 대전본부 * [[국방정보본부]] 지리공간정보여단(옛 [[국방지형정보단]]) * [[제2정보통신단]] 제56정보통신대대 * [[제5정보통신단]] 위성관제대대 * [[자운대 근무지원단]] * [[대한민국 육군]] * [[자운대]] * [[육군교육사령부]] * [[육군종합군수학교]] * [[육군정보통신학교]] * [[전투지휘훈련단]] * [[육군대학]] * [[제1115공병단]] * [[제53군수지원단]] * [[육군군수사령부]](칠성대) * [[제32보병사단]] [[제505보병여단]] 3대대 * [[대한민국 해군]] * [[자운대]] * [[해군대학]] * [[대한민국 공군]] * [[자운대]] * [[공군대학]] == [[유성구/행정|하위 행정구역]] == 지역은 크게 유성부도심을 중심으로 한 생활권, 구 구즉면 생활권, 진잠부도심 생활권으로 나눌 수 있는데, 실제로 생활권이라고 할만한 곳은 유성부도심 정도이며, 구 구즉면 생활권은 테크노밸리와 전민동으로 나누어져 있고, 진잠부도심은 조성이 계속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며 서구 관저동과 연담된 상태이다. 구 경계가 갑천을 따라 형성된 결과 구 영역이 길게 늘어져 생활권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기묘하게도 [[대전광역시]]의 구 중에서 [[행정동]]과 [[법정동]]의 차이가 가장 큰 곳이다. 유성구에서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하는 곳은 '''단 한 군데도 없다.''' 심지어, [[지족동]]과 [[죽동(대전)|죽동]]은 1개 법정동이 3개 행정동으로 찢어져 있다. 면적이 넓은 반면에 행정동은 2021년 11월 상대동과 학하동이 분동되기 전까지 대전에서 수가 가장 적었다. 그래서 하위 행정동들이 상당히 큼직큼직하다. 1/2/3동으로 찢겨나간 노은동만 해도 제일 작은 노은3동 하나가 만년동 + 둔산1/2/3동 + 탄방동을 전부 합친 크기랑 거의 비슷하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유성구/행정)] == 기타 == 2016년 11월 27일 오전 6시 53분경에 규모 2.5의 지진이 발생한 적이 있다. 그리고 얼마뒤 2017년 2월 13일 오전 3시 8분경에 이곳에서 규모 1.9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때문에 [[북대전IC]] 부근에 있는 원자력연구소의 안전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유는 이곳에 연구용 '''[[원자로]]'''인 '''[[하나로]](4번 항목)'''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전에서 롯데마트는 유성구에만 존재한다.[* 한때 동구 대동에도 하나 있었으나 사라졌다. 남은 세 곳은 관평동, 하기동, 원내동에 위치한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2013년 대전 유성구 쥬피터에서 [[이준석 성접대 의혹|성상납을 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 출신 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분류:유성구 출신 인물)] * [[이진숙(교수)|이진숙]] - 제19대 [[충남대학교]] 총장, 제29대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학장. * [[김수진(공무원)|김수진]] - 前 충청남도 행정/정무부지사. * [[제이미(가수)|박지민]] - [[15&]] 출신 가수. 전민동 출생. * [[류수정]] - 걸그룹 [[러블리즈]]의 멤버. * [[손석구]] - 배우. 중구 태평동에서 태어났으나 학창시절 일부를 전민동에서 보냈다. * [[수빈(배우)|수빈]] - [[VICTON]] 출신의 배우. * [[쿠기]] - 대한민국의 래퍼. * [[조보아]] - 배우. 노은중 반석고 출신 * [[헤이지니]] - 유튜버. 지족중 지족고 출신 * [[고상지]] - 반도네온 연주가. 어은초 어은중 대전과학고 KAIST * [[카엘(LUN8)]] - 보이그룹 [[LUN8]]의 멤버 [각주] [[분류:유성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