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건국대학교)] [include(틀:역대 건국대학교 총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건국대학교|{{{#FFF 건국대학교 설립자 겸 초대 총장}}}]][br]{{{#FFF {{{+1 유석창}}}[br]Yoo Seok-Cha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유석창.jpg|width=100%]]}}} || ||<|2> '''출생''' ||[[1900년]] [[3월 17일]] || ||[[대한제국]] [[함경남도]] [[단천시|단천]] || || '''사망''' ||[[1972년]] [[1월 1일]] (향년 71세) || || '''직업''' ||'''의사''', '''교육자''', '''독립운동가''' || || '''학력''' ||[[경신고등학교(서울)|경신학교]] {{{-2 (수석졸업 / 17회)}}}[* 현 [[경신고등학교(서울)|경신중·고등학교]]][br] [[경성의학전문학교]] {{{-2 (졸업)}}}[br][[경성제국대학]] {{{-2 (의학박사)}}} || || '''약력''' ||민중병원 설립자[br]조선보건협회장[br][[건국대학교]] 설립자 겸 초대 총장[br][[국민훈장]] 모란장 수훈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한국]]의 [[독립유공자|독립운동가]], [[건국대학교병원|민중병원]]과 [[건국대학교]]를 설립한 의사이자 교육자. 호는 상허(常虛). == 생애 == 1900년 3월 17일 [[함경남도]] [[단천군]] 이중면 돌산리에서 유승균과 홍숙경의 [[차남]]으로 태어났다.중농으로 비교적 윤택한 집안이었고 아버지 유승균은 [[한의사]], 개화 지식인, [[기독교]] 신자였으며 독립을 위해 헌신한 우국지사였다.[* [[아호]]는 일우(一憂)] 1912년 유승균이 독립운동을 위해 [[만주]] 장백현으로 이주하자 유석창은 그곳에서 아버지가 교장으로 있던 관화학교(官話學校)를 졸업하고 아버지를 도와 독립운동 전선에서 활동하였다. 오랜 망명생활 끝에 직접적 항일무장투쟁보다 지속적인 실력양성운동으로의 전환을 도모, 1921년 고향에 돌아온다. 모국에서 학업을 계속 이어나가고자 [[중앙고|중앙고등보통학교]]에 편입하려 하지만, 당시 중앙고보는 [[기숙사]]가 없었기에 기숙사가 잘 갖춰져 숙식을 해결할 수 있는 [[경신고등학교(서울)|경신학교]]에 편입하였다. [[경신학교]] 졸업을 앞두고 [[경성의학전문학교]][* 아버지가 [[한의사]]였던 것과 만주 망명시절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고 고통받던 동포들을 목도한 경험이 경성의학전문학교에 진학하는 동기가 되었다.]에 진학하기로 결정하자 에드윈 쿤스(한국명 군예빈) 교장은 경성의전은 총독부 관립학교이고 입학생의 4/5가 일본인이니 조선인이 입학하기 쉬운 [[세브란스의전]]에 응시하라고 권유하지만[* 당시 유석창은 [[경신학교]] 수석졸업생이었기에 경성의전에 낙제하면 학교 평판이 떨어질 수 있었던 것도 한 몫했다.], 결국 1924년 경성의전에 합격하여 입학하였고 이에 쿤스 교장은 유석창에게 졸업할 때까지 학비를 지원해주었다. 경성의전 재학중 '[[기독교]] 동우회'에서 활동하였는데, 민중병원 설립 시절부터 유석창의 후견인이자 동지 역할을 하는 [[이대위(1896)|이대위]]와 [[오화영]], 그리고 첫 번째 부인인 한동죽을 그곳에서 만나게 되었다. 1928년 경성의전 졸업 후 [[함경남도]] [[장진군|장진]]에 공의(公醫)로 부임하였으나 부인 한동죽이 [[폐결핵]]에 걸리는 바람에, 아내의 병 치료를 위해 1929년 [[함경북도]] [[성진]]의 제동병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동죽은 1929년 11월 2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1930년 상경, 구료사업을 일으키겠다는 결심으로 실비병원 건립을 위해 노력한 끝에 1931년 사회영(社會營)[* 영리업체가 아니라 사회에 봉사하기 위한 비영리 공영기관임을 강조한 명칭.] 중앙실비진료원이 개원하게 되었다. 개원 1년 후 화재로 진료원이 몽땅 타버리는 사고를 겪었으나, 새 병원건물을 마련하였고 1933년 '사회영 중앙진료원', 1934년 '사회영 민중의원'으로 개칭, 1949년에는 '사단법인 민중병원'으로 거듭났으며 훗날 [[건국대학교병원]]으로 이어진다. 실비병원이 궤도에 오르자 의료계의 새 지식과 동정을 알리는 간행물인 '보건시보'를 1932년 창간하여 발간하였으나 재정난으로 1937년 폐간하였다. 1937년 경성의전 시절의 [[은사]]였던 쓰자키(津崎) 교수가 재직 중인 [[경성제국대학]]에 [[연구생]]으로 입학하여 [[박사]] 과정을 밟게 되었다. 연구 주제는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에 관한 것이었는데 민중의원 경영[* 즉 병원장 신분으로 학위 과정을 진행한 것.]과 [[전쟁]]이라는 사회적 상황 때문에 연구의 진척은 순조롭지 못했다. 1945년 8월 말에서야 의학박사 학위[* 논문 제목은 '췌장 랑게르한스씨 섬에 관한 발생학적 지견보유']를 받았다. 사실 일제 패망으로 본국으로 귀향하는 일본인 교수들이 떠나는 마당에 고생한 제자들에게 박사학위를 남발한 소위 '[[해방 박사]]'에 해당되는데 유석창 본인도 뒷날 '자신의 논문은 미완성품이며, 쓰자키(津崎) 교수가 베풀어준 [[선물]]에 지나지 않는다'면서 명예스러운 것으로 여기지 않는다고 회고했다. 해방 후 1945년 10월 [[낙원동]]에 건국의숙을 설립하였고, 건국의숙이 조선정치학관, 정치대학을 거쳐 1959년 [[종합대학]]인 [[건국대학교]]로 승격함에 따라 건국대학교 초대 총장에 취임하였다. 1972년 1월 1일에 사망하였다. == 가족관계 == * 장남 : 유일윤 前 건국대 이사장[* 1978년 사망] - 며느리 : 김경희 前 건국대 이사장 * 딸 : 유자은 現 건국대 이사장[* 1994년 홍익대학교 금속재료공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MBA)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14년 9월부터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이사로 선임돼 상임이사로 재직해 왔으며, 2017년 4월 26일 이사회에서 새로운 이사장(제26대)으로 선출됐다. 모친 김경희 당시 이사장은 2017년 4월 [[대법원]]에서 징역형을 최종 확정함에 따라 이사장직을 상실했다.] * 차남 : 유승윤 前 건국대 이사장[* 1950년생, 2005년 사망] * 아들 : 유상현 現 건국대 대학원장 * 조카 : 유만윤 == 여담 == * 1922년 [[경신학교]] 편입시험 때 [[일본어]]가 미숙하여 입학을 허가받지 못했지만 쿤스 교장의 배려 덕에 청강생 자격으로 수업을 들었다. 이후 [[일본어]] 시험에서 100점을 받아 2학기부터는 정규학생으로 수업을 들을 수 있었다. * [[세종대학교]] 설립자 [[주영하(1912)|주영하]] 박사와 [[단천시|고향]], [[경신학교|출신학교]]가 같다. * 캠퍼스 안에 그의 유택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이는 거짓이다. 그것은 가묘이기 때문. [[분류:단천시 출신 인물]][[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대학교 설립자]][[분류:1900년 출생]][[분류:1972년 사망]][[분류:대한민국의 의사]][[분류:건국대학교 총장]][[분류:서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의과대학]][[분류:건국대학교 재직]][[분류:실향민]][[분류:경신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국민훈장 모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