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유비트 시리즈)] [include(틀:유비트 시리즈)] [목차] [clearfix] == 개요 == * 각 항목 별 상위 10개를 적으며 수치가 같은 항목은 같이 게재함. * [[유비트 애비뉴|애비뉴]] 기준 유비트 시리즈의 모든 아케이드 수록곡을 기준으로 함. 단, [[유비트 플러스]]의 수록곡과 삭제곡은 제외함. * 애비뉴 기준으로 수록된 곡의 목록을 보려면 [[유비트 시리즈/수록곡]]항목 참조. * BPM 순위에서 변속곡은 제외함.[* 대표적인 예가 [[JOMANDA]]. 조만다는 변속후 최대 '''300'''으로 eyes와 동일하나, 이는 잠시동안의 BPM이며, 메인 BPM은 195로 이에 랭크하는 것은 불가능이라 판명났다.] * 라이센스곡은 특별히 표기하지 않는 한 전부 원곡임. * 9레벨과 10레벨은 [[유비트 페스토]]에서 소수점 단위로 분화되었지만 이 문서에서는 각각 단일한 것으로 취급함. == 노트 수 == === 최다·최소 === ==== 각 레벨별 최다 노트 수 ==== ||제목||아티스트||레벨||노트수||최초 수록 버전||기타|| ||[[灼熱Beach Side Bunny]](EXT)||[[DJ Mass|DJ Mass MAD Izm*]]||10||1606||<#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매주! 이치카의 초 BEMANI 러시 2020]] 해금곡|| ||[[Sulk]](EXT)||[[SYUNN]]||9||1000||<#1C1C1C> [[유비트 클랜|{{{#EC1D51 c}}}{{{#5CC0C0 l}}}{{{#A0C520 a}}}{{{#672D7A n}}}]] ||[[유비트 클랜/SHOP|clan RECORDS]] 해금곡|| ||[[Shine On Me]](EXT)||[[kors k]]||8||932||<#ffd700> [[유비트 니트|{{{#000 knit}}}]] ||CRIMSON 셔츠 해금곡|| ||[[Crackpot Evangelist]](BSC)||BEMANI Sound Team "[[ZAQUVA]]"||7||771||<#255258> [[유비트 애비뉴|{{{#!html Ave.}}}]] ||[[LIGHT CHAT]] / HALO 해금곡|| ||[[Daisuke]](ADV)||[[Y&Co.]]||6||621||<#DAE1EB> [[유비트 큐벨|{{{#000 Qubell}}}]] ||掘りすぎdig Rush 3rd dig|| ||[[Struggle]](BSC)||Masayoshi Minoshima(ALR)||5||544||<#ffffff> [[유비트 프롭|{{{#ff69b4 pr}}}{{{#00bfff op}}}]] ||BEMANI x TOHO Project|| ||[[KHAMEN BREAK]] -SDVX Infinity Mashup-(BSC)||くふおー effected by Megacycle||4||490||<#DAE1EB> [[유비트 큐벨|{{{#000 Qubell}}}]] ||[[FLOOR INFECTION]] & [[POLICY BREAK]] 기념 수록|| ||[[トリカゴノ鳳凰]](BSC)||[[L.E.D.]] Vs. [[유폐 새틀라이트|幽閉サテライト]]||3||438||<#f8f8ff> [[유비트 소서|{{{#000 saucer}}}]] ||[[Café de Tran]]|| ||[[GRADIUS Ⅱ〜ビーストメドレー〜]](BSC)||[[Sota Fujimori]]||2||271||<#DAE1EB> [[유비트 큐벨|{{{#000 Qubell}}}]] ||BeatStreamのあの曲達がjubeatでも遊べちゃう!제 4탄|| ||[[ミックスナッツ]](BSC)||([[Official髭男dism]])||1||169||<#255258> [[유비트 애비뉴|{{{#!html Ave.}}}]] ||라이센스곡|| ==== 각 레벨별 최소 노트 수 ==== ||제목||아티스트||레벨||노트수||최초 수록 버전||기타|| ||[[sola(BEMANI 시리즈)|sola]] [2](EXT)||[[오노 히데유키|小野 秀幸]]||10||594||<#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1월 T-emo SHOP 추가곡|| ||[[Dispersion Star]](EXT)||[[ZUKI]]||9||528||<#f8f8ff> [[유비트 소서|{{{#000 saucer}}}]] ||[[열투! BEMANI 스타디움]] 기념 지금만 악곡 || ||[[スミスえかきうた]](EXT)||jubeat staff||8||268||<#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이치카의 BEMANI 투표선발전 2019]] 100만표 공약|| ||[[532nm]](BSC)||[[Ryu☆]]||7||306||<#483d8b> [[유비트 코피어스 어펜드|{{{#fff copious}}}]] ||[[APPEND TRAVEL]] 연동곡|| ||[[50th Memorial Songs -The BEMANI History-]](BSC)||[[DJ TOTTO|BEMANI Sound Team]]||6||229||<#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KONAMI 50th Memorial Songs|| ||[[スミスえかきうた]](ADV)||jubeat staff||5||180||<#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이치카의 BEMANI 투표선발전 2019]] 100만표 공약|| ||[[Invisible Border]](BSC)||[[무라이 세이야|world sequence]]||4||167||<#DAE1EB> [[유비트 큐벨|{{{#000 Qubell}}}]] ||掘りすぎdig Rush 4th dig|| ||[[39(VOCALOID 오리지널 곡)|39]](BSC)||[[sasakure.UK]]&[[DECO*27]]||3||116||<#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라이센스곡[br]2018/10/15 추가곡|| ||[[LANA - キロクノカケラ -]] [2](BSC)||[[TOMOSUKE]]×Jazzin'park||2||91||<#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라이센스곡[br]미션 트래블 해금곡|| ||[[スミスえかきうた]](BSC)||jubeat staff||1||72||<#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이치카의 BEMANI 투표선발전 2019]] 100만표 공약|| === 많은 순 === ==== 레벨 10 ==== ||제목||아티스트||노트수||최초 수록 버전||기타|| ||[[灼熱Beach Side Bunny]]||[[DJ Mass|DJ Mass MAD Izm*]]||1606||<#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매주! 이치카의 초 BEMANI 러시 2020]] 해금곡|| ||[[Crackpot Evangelist]]||BEMANI Sound Team "[[ZAQUVA]]"||1252||<#255258> [[유비트 애비뉴|{{{#!html Ave.}}}]] ||[[LIGHT CHAT]] / HALO 해금곡|| ||[[Thanatøs]]||[[RoughSketch]]||1219||<#1e1e1c> [[유비트 비욘드 디 애비뉴|{{{#!html beyond the Ave.}}}]] ||[[유비트 비욘드 디 애비뉴/LIGHT CHAT|LIGHT CHAT]] / SAM 해금곡|| ||[[XENOViA]]||[[BlackY]]||1149||<#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유비트 페스토/TUNE RUN|TUNE RUN]] 코스 클리어 해금곡|| ||[[1116(BEMANI 시리즈)|1116]]||[[SYUNN|Dustup]]||1116||<#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유비트 페스토/TUNE RUN|TUNE RUN]] 코스 클리어 해금곡|| ||[[I(BEMANI 시리즈)|I]]||[[쿠로마|黑魔]]||1111||<#255258> [[유비트 애비뉴|{{{#!html Ave.}}}]] ||[[LIGHT CHAT]] / TSUMABUKI 해금곡|| ||[[ピアノ独奏無言歌 "灰燼"]]||[[wac|Virkato Wakhmaninov]]||1109||<#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유비트 페스토/미션 트래블|미션 트래블]] 해금곡|| ||[[Lachryma《Re:Queen’M》]][br](BEMANI SYMPHONY Arr.)||[[かねこちはる]] × Morrigan + gaQdan||1079||<#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플래그 랠리 SYMPHONY편|| ||[[ドーパミン]]||[[U1-ASAMi|U1 overground]]||1077||<#010101> [[유비트 소서 풀필|{{{#fff,#e5e5e5 saucer[br]fulfill}}}]] ||[[유비트 소서 풀필/saucer macchiato|소서 마키아토]] 시즌2 최종해금곡|| ||[[POLICY BREAK Medley from SOUND VOLTEX×jubeat]]||United Composers from jubeat||1074||<#DAE1EB> [[유비트 큐벨|{{{#000 Qubell}}}]] ||SOUND VOLTEX×jubeat 스페셜 음원|| 별도 표기가 없는 모든 곡은 EXT 채보이다. 9레벨 수록곡 중 노트수가 1074개를 넘는 곡이 없는 관계로 위 목록은 전체 수록곡 중 최다 노트수 10곡과 같다. ==== 레벨 9 ==== ||제목||아티스트||노트수||최초 수록 버전||기타|| ||[[Sulk]]||[[SYUNN]]||1000||<#1C1C1C> [[유비트 클랜|{{{#EC1D51 c}}}{{{#5CC0C0 l}}}{{{#A0C520 a}}}{{{#672D7A n}}}]] ||[[유비트 클랜/SHOP|유비트 클랜 SHOP]] 해금곡|| ||[[로스트 원의 호곡|ロストワンの号哭]] [ 2 ]||[[Neru]]||984||<#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미션 트래블 해금곡|| ||[[ここからよろしく大作戦143]]||BEMANI Sound Team "[[아사키(비마니 시리즈)|あさき隊]]"||978||<#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무장신희 아머드 프린세스 배틀 컨덕터 X BEMANI 가동기념 캠페인 || ||[[NEON WORLD]]||[[SOUND HOLIC]] feat. Nana Takahashi||968||<#ffffff> [[유비트 프롭|{{{#ff69b4 pr}}}{{{#00bfff op}}}]] ||BEMANI x TOHO Project|| ||[[KINGWORLD]]||[[시라카미 후부키|白上フブキ]]||960||<#255258> [[유비트 애비뉴|{{{#!html Ave.}}}]] ||라이센스곡(2022/10/26 추가)[br]아시아판(지역코드 A) 플레이 불가|| ||[[Paranoia(동방 프로젝트)|Paranoia]]||DiGiTAL WiNG feat. [[하나땅|花たん]]||965||<#1C1C1C> [[유비트 클랜|{{{#EC1D51 c}}}{{{#5CC0C0 l}}}{{{#A0C520 a}}}{{{#672D7A n}}}]] ||2017/8/3 추가곡[br]레벨 9.0|| ||[[トリカゴノ鳳凰]]||[[L.E.D.]] Vs. 幽閉サテライト||947||<#f8f8ff> [[유비트 소서|{{{#000 saucer}}}]] ||Cafe de Tran|| ||[[SigSig]] [ 2 ]||[[kors k]]||939||<#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유비트 페스토/SHOP|유비트 페스토 SHOP]] 해금곡|| ||[[Gimme a Big Beat]]||[[kors k]]||933||<#f8f8ff> [[유비트 소서|{{{#000 saucer}}}]] ||[[KAC 2013]] 예선곡|| ||[[凛として咲く花の如く ~ひなビタ♪edition~]]||[[日向美ビタースイーツ♪]] ||932||<#f8f8ff> [[유비트 소서|{{{#000 saucer}}}]] ||2013/9/1 추가|| 별도 표기가 없는 모든 곡은 EXT 채보이다. === 적은 순 === ==== 전체 수록곡 ==== ||제목||아티스트||노트수||최초 수록 버전||기타|| ||[[スミスえかきうた]]||jubeat staff||72||<#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이치카의 BEMANI 투표선발전 2019]] 100만표 공약|| ||[[Initial Song|Initial song]]||[[40mP]]||73||<#1C1C1C> [[유비트 클랜|{{{#EC1D51 c}}}{{{#5CC0C0 l}}}{{{#A0C520 a}}}{{{#672D7A n}}}]] ||2017/12/21 추가곡|| ||[[BEEF]]||[[BEMANI Sound Team]] "牛"||85||<#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2019/5 T-emo STORE 해금곡|| ||[[그저 네게 맑아라|ただ君に晴れ]]||[[ヨルシカ]]||87||<#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2019/2/26 추가곡|| ||[[LANA - キロクノカケラ -]] [2]||[[TOMOSUKE]]×Jazzin'park||91||<#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미션 트래블 해금곡|| ||[[Drenched in Air]]||Camellia feat. [[Ninomae Ina'nis]]||98||<#255258> [[유비트 애비뉴|{{{#!html Ave.}}}]] ||2023/4/5 추가곡|| ||[[おにぎりディスコ]]||Blanc Bunny Bandit||100||<#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2019/11 T-emo STORE 해금곡|| ||[[미쿠미쿠하게 해줄게♪|みくみくにしてあげる♪【してやんよ】]]||[[ika]]||101||<#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2022/2/17 추가곡|| ||[[とってもとっても、ありがとう。]]||[[日向美ビタースイーツ♪]]||104||<#f8f8ff> [[유비트 소서|{{{#000 saucer}}}]] ||5/1 추가곡|| ||[[花のやくそく]]||[[日向美ビタースイーツ♪]]||104||<#1C1C1C> [[유비트 클랜|{{{#EC1D51 c}}}{{{#5CC0C0 l}}}{{{#A0C520 a}}}{{{#672D7A n}}}]] ||2018/4/2 추가곡|| 별도 표기가 없는 모든 곡은 BSC 채보이다. ==== 레벨 10 ==== ||제목||아티스트||노트 수||최초 수록 버전||기타|| ||[[sola(BEMANI 시리즈)|sola]] [2]||[[오노 히데유키|小野 秀幸]]||594||<#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1월 T-emo SHOP 추가곡|| ||[[December in Strasbourg]]||nana(Sevencolors) feat. mana||610||<#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미션 트래블 해금곡|| ||[[SPACE INASAKU]]||BEMANI Sound Team "[[극단레코드|サイバー劇レコ]]"||621||<#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미션 트래블 해금곡|| ||[[Wuv U]]||[[kors k]]||631||<#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2월 T-emo SHOP 추가곡|| ||[[Lava Flow]]||BEMANI Sound Team "[[S-C-U]] & [[SYUNN]]"||637||<#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emoSAPO 1000만 기념 스탬프 챌린지 해금곡|| ||[[out of focus]]||[[Qrispy Joybox]]||647||<#255258> [[유비트 애비뉴|{{{#!html Ave.}}}]] ||[[LIGHT CHAT]] / BABY-LON 해금곡|| ||[[檄]]||[[Ryu☆|Ryu☆ feat.靑龍]]||659||<#DAE1EB> [[유비트 큐벨|{{{#000 Qubell}}}]] ||掘りすぎ dig RUSH FINAL Stage 2 해금곡|| ||[[StaRgAZER]]||BEMANI Sound Team "[[TAG(작곡가)|TAG]]"||660||<#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미션 트래블 해금곡|| ||[[最小三倍完全数]]||[[DJ TECHNORCH]]||666||<#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이치카의 BEMANI 투표선발전 2019 || ||[[Lava Flow]] [2]||BEMANI Sound Team "[[S-C-U]] & [[SYUNN]]"||683||<#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emoSAPO 1000만 기념 스탬프 챌린지 해금곡|| 별도 표기가 없는 모든 곡은 EXT 채보이다. === 홀드노트 === * 최다 홀드노트 수(상위 5개) ||제목||아티스트||레벨||홀드노트||최초 수록 버전||기타|| ||[[灼熱Beach Side Bunny]](EXT)||[[DJ Mass|DJ Mass MAD Izm*]]||10.7||667||<#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매주! 이치카의 초 BEMANI 러시 2020]] 해금곡|| ||[[サヨナラ・ヘヴン]][br](BEMANI SYMPHONY Arr.)(EXT)||[[猫叉Master]] × Morrigan feat.Lily + gaQdan||9.3||154||<#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라이센스곡[br]플래그 랠리 SYMPHONY편|| ||[[pray nightly]](EXT)||BEMANI Sound Team "[[猫叉Master]]"||10.7||152||<#1e1e1c> [[유비트 비욘드 디 애비뉴|{{{#!html beyond the Ave.}}}]] ||[[LIGHT CHAT]] 해금곡|| ||[[トリカゴノ鳳凰]] [2](EXT)||[[L.E.D.]] Vs. [[유폐 새틀라이트|幽閉サテライト]]||10.3||147||<#ffffff> [[유비트 프롭|{{{#ff69b4 pr}}}{{{#00bfff op}}}]] ||[[유비트 프롭/Step|유비트 프롭 Step]] 해금곡|| ||[[물거품, 슬픔의 절경|泡沫、哀のまほろば]](EXT)||[[幽閉サテライト]]||9.3||137||<#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라이센스곡|| * 난이도별 최다 홀드노트 수 ||제목||아티스트||레벨||홀드노트||최초 수록 버전||기타|| ||[[灼熱Beach Side Bunny]](EXT)||[[DJ Mass|DJ Mass MAD Izm*]]||10.7||667||<#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매주! 이치카의 초 BEMANI 러시 2020]] 해금곡|| ||[[Sky High(BEMANI 시리즈)|Sky High]](ADV)||[[dj TAKA|Cuvelia]]||10.6||130||<#DAE1EB> [[유비트 큐벨|{{{#000 Qubell}}}]] ||[[유비트 큐벨/BeatStream 곡 이식|비트스트림 이식곡]] 제 9탄|| ||[[Everybody's Rich]](BSC)||[[DJ Remo-con|REMO-CON]]||5||89||<#1C1C1C> [[유비트 클랜|{{{#EC1D51 c}}}{{{#5CC0C0 l}}}{{{#A0C520 a}}}{{{#672D7A n}}}]] ||[[유비트 클랜/이벤트|거리 대항전 4회]] 해금곡|| * 최소 홀드노트 수 * 1개 * [[aleatrik]] '''전 보면''' * [[Metamorphic]] BSC/ADV * 2개 * [[Towards the TOWER]] BSC/ADV * [[Hunny Bunny]] '''전 보면''' * [[Four Leaves]] BSC * [[No One Can Reach The Truth]] BSC * [[WELCOME TO MOTOWN PARK]] BSC * [[スミスえかきうた]] BSC * [[Metamorphic]] EXT == BPM == === 전체 === ==== 빠른 순 ==== ||제목||아티스트||BPM||최초 수록 버전||기타|| ||[[Rampage☆Rag]]||[[かめりあ]]||334||<#1C1C1C> [[유비트 클랜|{{{#EC1D51 c}}}{{{#5CC0C0 l}}}{{{#A0C520 a}}}{{{#672D7A n}}}]] || || ||[[eyes(BEMANI 시리즈)|eyes]]||[[오노 히데유키|小野秀幸]]||300||<#20b2aa> [[유비트 리플즈|{{{#fff ripples}}}]] || || ||[[Hopeful Frontier!!!]]||[[cosMo@暴走P]]||298||<#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The 8th KAC]] 공개곡|| ||[[量子の海のリントヴルム]]||[[TOMOSUKE|黒猫ダンジョン]]||280||<#483d8b> [[유비트 코피어스|{{{#fff copious}}}]] ||특수 해금곡|| ||[[COSMIC SYMPHONY]]||[[OSTER project]]||280||<#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배달! 광차 대작전 2|| ||[[HYDRA]]||[[96]]||277||<#010101> [[유비트 소서 풀필|{{{#fff,#e5e5e5 saucer[br] fulfill}}}]] || || ||[[LIKE A VAMPIRE]]||koyomi,[[호시노 카나코|星野奏子]] by BEMANI Sound Team "[[dj TAKA|TAKA]]"||276||<#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BEMANI 2021 한여름의 가합전 5번승부]]|| ||[[Never Look Back in Sorrow]]||[[오오이 아이코|AIKO OI]]||270||<#f8f8ff> [[유비트 소서|{{{#000 saucer}}}]] || || ||[[Jetcoaster Windy]]||BEMANI Sound Team "[[dj TAKA]]" feat.のの||268||<#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매주! 이치카의 초 BEMANI 러시 2020]]|| ||[[Got more raves?]]||E.G.G.||266||<#010101> [[유비트 소서 풀필|{{{#fff,#e5e5e5 saucer[br] fulfill}}}]] ||천하제일리겜축제 대상곡|| 해석에 조금 주의할 점은, bpm이 빠른데도 불구하고 8비트, 16비트 연타만 있는 경우와 조금 낮아도 32비트 폭타가 있는 곡은 후자가 훨씬 빠르게 쳐야 된다는 것. 그 예시로 [[Riot of Color]](BPM 150)의 최후반 24비트 폭타와 [[Garakuta Doll Play]](BPM 256)의 최후반 8비트 폭타를 비교해보면 라오컬이 더 빠른걸 알 수 있다. ==== 느린 순 ==== ||제목||아티스트||BPM수||최초 수록 버전||기타|| ||[[LANA - ココロノキオク -]]||[[TOMOSUKE]]×Jazzin'park||84||<#f8f8ff> [[유비트 소서|{{{#000 saucer}}}]] ||6/1 추가곡|| ||[[妖隠し -あやかしかくし-]]||[[DJ TOTTO]] feat.3L||85||<#ffffff> [[유비트 프롭|{{{#ff69b4 pr}}}{{{#00bfff op}}}]] ||BEMANI x TOHO Project|| ||[[花のやくそく]]||[[日向美ビタースイーツ♪]]||85||<#1C1C1C> [[유비트 클랜|{{{#EC1D51 c}}}{{{#5CC0C0 l}}}{{{#A0C520 a}}}{{{#672D7A n}}}]] ||2018/4/2 추가곡|| ||[[Initial Song|Initial song]]||[[40mP]]||90||<#1C1C1C> [[유비트 클랜|{{{#EC1D51 c}}}{{{#5CC0C0 l}}}{{{#A0C520 a}}}{{{#672D7A n}}}]] ||2017/12/21 추가곡|| ||[[とってもとっても、ありがとう。]]||[[日向美ビタースイーツ♪]]||92||<#f8f8ff> [[유비트 소서|{{{#000 saucer}}}]] ||5/1 추가곡|| ||[[Pretender]]||[[Official髭男dism]]||92||<#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2020/9/18 추가곡|| ||[[廻る季節のゆく先に]]||[[나카시마 유키|中島由貴]]||102||<#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2019/2 T-emo STORE 해금곡|| ||[[追憶のアラウカリア]]||Cororo||106||<#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이치카의 BEMANI 초 가위바위보 대회 2020]]|| ||[[マリーゴールド]]||[[아이묭|あいみょん]]||106||<#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festo}}}]] ||2020/9/18 추가곡|| ||[[Crosswind]]||[[Mutsuhiko Izumi]]||107|| [[유비트|{{{#fff jubeat}}}]] |||| == 기타 기록들 == 이 부분은 삭제 및 교체 여부와 관계없이 기입합니다. 작성할 때 가독성을 위해 유비트 시리즈라는 말을 '''넣지 마세요'''[* [[사운드 볼텍스/기네스]]의 형식을 적용합니다.] * [[유비트]] * [[Polaris]] - 레벨 10 달성 (로케테스트 포함)[* 유비트 초대 [[로케 테스트]]에서 10렙이였던 유일한 악곡이였으나, 정식판에서 9레벨로 강등, [[유비트 리플즈]]에서 8렙으로 하향되었다.] * [[천국과 지옥]] - [[유비트|초대]] 수록후 한 번도 삭제되지 않은 최장 기간 잔류곡. * [[Chance and Dice]] - 수록곡 중 최초로 타 기종에 이식된 곡. DDR X에 수록되었다. * [[SigSig]], [[Slang]], [[TRUE♥LOVE]], [[凛として咲く花の如く]] - 최초의 이식곡, 이후 [[quaver♪|다른 이식곡]]이 나올 때까지 약 3년 반 이상이 걸렸다. * [[IN THE NAME OF LOVE]][* 리플즈에서 9레벨로, 클랜에서 8레벨로 하향되었다.], [[GIGA BREAK]] - 레벨 10 달성 (정식 가동판 한정) * [[Evans]] - 최초의 베이직 7레벨 곡이자 초대 최종보스곡. [* 리플즈에서 6레벨로 하향되었으며, 그 다음인 [[Macuilxochitl]]이 에반스의 뒤를 이어 베이직 7레벨을 기록했다.][* 단 온라인 패치 이전--무확장팩-- 한정이면 [[GIGA BREAK]]가 초대 최종보스. 다만 GIGA BREAK를 보스곡으로 보기에는 난이도나 상징성이 꽤 미묘해서 대부분 무시한다. 이후 GIGA BREAK는 9.7로 내려갔다.] * [[유비트 리플즈]] * [[Scatman(Ski-Ba-Bop-Ba-Dop-Bop)]] - 초대작 수록곡으로, 리플즈에서 최초로 EXTREME 난이도가 상승한(6→7) 곡. * [[하루하루]] - 최초의 한국곡 수록이자 한국어 수록곡 * [[GyaShan]], [[Control]], [[Golden House]] - 중국어로 불려진 곡 중 최초 수록곡들. GyaShan은 대만에서 발표된 곡이고, Control과 Golden House는 홍콩에서 발표된 곡이다. * [[AIR RAID FROM THA UNDAGROUND]] * ADV 레벨 9 달성[* [[IN THE NAME OF LOVE]]가 먼저 어드밴스 9레벨을 기록했지만 리플즈에서 물레벨 판정을 받고 7레벨이 되었다. 그리고 클랜 때 6레벨로 하락.] * [[APPEND STYLE|연동 이벤트]] 대상곡 * [[Kiss Kiss]] - 최초의 삭제곡 * [[유비트 니트]] * [[STELLAR WIND]] - 하위 패턴이 상위 패턴보다 더 많은 노트수 달성 (ADV: 713 > EXT: 712) ~~및 옆비트를 조장하는 최초의 곡~~ * [[Kick It Out]] * 라이센스 곡 레벨 10 달성 * 최초의 10레벨 삭제곡이자 부활곡.[* 2011년 9월 [[유비트 코피어스]]에서 출시전 삭제되고 2013년 5월 [[유비트 소서]]에서 부활. ] * [[유비트 코피어스]] * [[THIS NIGHT (jubeat EDITION)]] - 자켓에 앨범 표지를 사용한 오리지널 곡[* [[TЁЯRA]]의 2집 앨범 [[ЁVOLUTIΦN]]의 표지다.] * [[yellow head joe]] * ADV 레벨 10 달성 * 하위 패턴과 상위 패턴이 같은 레벨 달성 (ADV = EXT) * [[candii]] - [[보컬로이드]] 사용 * [[유비트 소서]] * [[천본앵(VOCALOID 오리지널 곡)|천본앵]] - 최단기간 삭제('''15일''') * [[Beastie Starter]] - 노트 수 1000개 달성[* 아케이드 한정. [[유비트 플러스]]까지 포함하면 [[ねこバス]]가 먼저 1000노트를 찍었다.] * [[Confiserie]] * ADV 노트 수 900개 이상 달성 * EXT 노트 수 1000개 초과(1021개) * [[GIGA BREAK]] - 오리지널 곡 10레벨 최초의 교체곡 * [[Mynarco]] - 가동 중 음원 교체 * [[squall]] - 최단기간 재수록곡[* 2013년 3월 1일 교체되고 바로 '''1개월''' 후인 4월 1일 부활] * [[とってもとっても、ありがとう。]] - 오리지날 수록곡 중에서 '''최초''' BSC 레벨 1 * [[Triple Journey(악곡)]] - 최초로 ADV, EXT 레벨이 둘 다 9인 곡 * [[Water Horizon]] - 라이센스곡이 해금곡으로 등장 * [[V(BEMANI 시리즈)|V]] - 이식곡 최초로 시리즈 최종해금곡 등장 * [[Silent Scream]] - 예고된 기간한정곡 * [[유비트 소서 풀필]] * [[セツナトリップ]] - 유비트 소서 때의 곡으로, 풀필 가동 중 패턴 교체[* 2014년 8월 19일 교체되었다.]. * [[嗶嗶嗶 -Bi Bi Bi-]] - 최다 동시치기(11개) 달성 (EXT) * [[유비트 프롭]] * [[Let It Go(겨울왕국)|レット・イット・ゴー~ありのままで~]] - 최초의 2자리 노트수 (BSC) 홀드의 경우 하나뿐이었던 홀드 1레벨 보면이었다. (BSC) * [[天国と地獄]] - 최초의 동명이곡[* 초대부터 개근 중인 [[이즈미 무츠히코]]의 것과 프롭에 추가되었다가 클랜 가동 중에 삭제된 [[UNISON SQUARE GARDEN]]의 것이 있다.] * [[glacia]] * [[무리배치]] 등장[* 1+8+13 동시치기] * 패턴이 수정되면서 노트수 감소 (946→945) * [[アガット]] - 최초의 별도 표기 없이[* {{{[2]}}}] 홀드마커가 적용된 곡. [* 클랜에서 {{{[2]}}}가 생겼지만 홀드가 없다.] * [[世界五分前仮説]] - 최초의 홀드 마커 적용 통상해금곡. * [[イ号零型]] - 존재하지 않는 [2] 채보가 공식에 의해 언급됨[* 2016년 3월 27일에 당시 존재하지 않던 \[2\] 채보가 오늘의 추천곡으로 선정되는 오류가 있었다. 당일 오후에 수정. 그리고 클랜에서 \[2\] 채보가 진짜로 등장했다.] * [[유비트 큐벨]] * [[Pen-Pineapple-Apple-Pen|ペンパイナッポーアッポーペン]] * 각 레벨별 최소 노트수 동시에 달성 * 러닝타임이 1분 미만인 곡 [* 이후 이 곡이 삭제되고 스미스 그리기 노래가 46초로 이 곡의 뒤를 이었다.] * [[Megalara Garuda]] * BSC 레벨 10 달성 * 전 패턴 같은 레벨 달성 [* [[유비트 클랜]]까지만 같은 10레벨이였으며 [[유비트 페스토]]이후엔 각각 10.4, 10.5, 10.7로 배정됐다.] * 베이직 보면 노트가 익스트림 보면 노트 수보다 많은 곡(BSC: 932 > EXT: 914). 물론 어드밴스드 보면 노트 수보다 많기도 하다(BSC: 932 > ADV: 912). * [[유비트 클랜]] * [[천본앵(VOCALOID 오리지널 곡)|천본앵]] - 소서때 통삭을 당해 클랜 버전 신곡으로 분류되었다. * 최장기간 부활곡[* 2012년 10월 15일 삭제 후 2017년 7월 26일 부활] * 랭킹 집계 제외 * 특정 지역코드[* L44:J:E:A, L44:A:E:A]가 적용된 기기에서만 플레이 가능한 최초의 곡 * [[Sulk]] - 9레벨 최초 노트수 1000개 달성 * [[アガット]]{{{[2]}}} - 최초의 {{{[2]}}} 표기가 붙은 홀드가 '''없는''' 곡. * [[Diastrophism]] * BSC 레벨 9 * 최초로 BSC과 ADV만 난이도가 같음 (클랜 버전 한정) [* 페스토에서 소수점까지 받았으나 각각 9.4와 9.6으로 배정되었다.] * [[やんややんやNight]] 〜踊ろよ※※〜[* ※※에는 각 [[도도부현]]의 이름이 들어간다. 각 도도부현별로 1곡씩 총 47곡] - 특정 지역에 설치된 기기에서만 플레이 가능[* 한국 및 해외 지역에서는 [[https://twitter.com/4our_zer0_ei8ht/status/989384025516134406|도쿄 버전이 출현한다]].] * [[やんややんやNight]] 〜踊ろよ日本〜 - 행각 플레이에 의한 해금곡 * [[Let It Go(겨울왕국)|レット・イット・ゴー~ありのままで~]] [2], [[Dragon Night]] [2] - [2] 표기가 붙은 보면 삭제[* 라이센스 만료로 원 보면과 함께 2018년 2월 6일 삭제] * [[Chocolate Planet]], [[Spirit of the Beast]] - 최초로 곡 자켓이 검열 * [[Evans|Evans ~NOSTALGIA Ver. ~]] - 동명의 곡이 리메이크로 실린 최초의 사례 (채보만 다른 {{{[2]}}} 제외) * [[유비트 페스토]] - 최장기간 가동 시리즈(3년 11개월, 1428일)[* 2018년 9월 5일 ~ 2022년 8월 3일] * [[POP TEAM EPIC]] - '''애니메이션''' 장르곡 유일한 10레벨(10.0) * [[1116]] - EXT레벨 최고기록 갱신, 최초의 10.9레벨 * [[革命パッショネイト]] - 히나비타 곡 최초 EXT 10레벨 * [[BEEF]] * 1레벨 BSC와 10레벨 EXT가 동시에 존재 * 노트 수가 2자리 수인 채보를 지닌 오리지널 곡 * [[toy boxer]] - 최초의 BSC 8레벨 곡 * jubeat × 나가타니엔 콜라보 수록곡 4곡 ( [[お茶づけ☆パラダイス]], [[ちょちょいとちょいだよ夢浪漫]], [[椀・of・Relaxation]], [[拙者はSAMURAI FOOD]]) * '''유비트 오리지널 곡 최초 삭제곡''' [* 유비트 시리즈는 오리지널 곡 삭제가 한 번도 진행되지 않았던 시리즈였다. 다만, 콜라보 곡이라는 특이점은 있다.] * [[ピアノ独奏無言歌 "灰燼"]] - 홀드 마커 없이 노트 수 1100개 초과 * [[유비트 애비뉴]] * [[Explore Every Ave.]] - 채보 제작 콘테스트를 통해 유저가 제작한 채보를 공식 채보로 수록한 악곡 * [[Crackpot Evangelist]] * 홀드가 없는 10.9레벨곡 * 홀드 마커 없이 노트 수 1200개 초과 * ADV 노트 수 1000 돌파 * [[Anubis]] * 외국인 작곡가가 최초로 기용된 오리지널 곡 * [[ARForest|대한민국 작곡가]] 기용 * [[유비트 비욘드 디 애비뉴]] * [[pray nightly]] * 한 곡에 일반 채보와 홀드 채보가 서로 다른 난이도로 공존하는 곡[* ADV는 홀드가 전혀 없는 반면에 EXT에는 홀드가 있다. 사실 두 채보는 모양만 같지 홀드의 유무 차이일 뿐이다.] * [[Thanatøs]] * 미해금자가 해당 곡이 매칭될 시 곡 자체가 아닌 본 곡의 해금 루트가 전도됨 * 각 기종별 최초의 이식곡 * [[beatmania IIDX]] - [[SigSig]](20081215) * [[기타프릭스·드럼매니아]] - [[Slang]](20081215) * [[GITADORA 시리즈]] - [[雨ノチHello]](20130214) * [[댄스 댄스 레볼루션]] - [[TRUE♥LOVE]](20081215) * [[팝픈뮤직]] - [[凛として咲く花の如く]](20081215)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quaver♪]](20120925) * [[키보드매니아]] - [[Pink Rose]](20130101) *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 - [[PULSE LASER]], [[TYCOON]](20130701) * [[FLOOR INFECTION]] - [[caramel ribbon]](20130722) * [[BeatStream 시리즈]] - [[ビビットストリーム]], [[パ→ピ→プ→Yeah!]], [[EBONY & IVORY]](20150617) * [[노스텔지어 시리즈]] - [[nostos]](20170315) * [[오토이로하]] - [[Welcome!!(BEMANI 시리즈)|Welcome!!]](20170726) * [[MÚSECA]] - [[みたらしプラトニック(feat. nicamoq)]](20170726) * [[미라이다갓키]] - [[アドレナリン]](20170726) * [[DANCERUSH STARDOM]] - [[Get On The Floor]](20200803) * [[DANCE aROUND]] - 없음(20XXXXXX) ## * [[채향DJ 아니쿠라게]] - 花ハ踊レヤいろはにほ ~ハピネス mix~, ハム太郎とっとこうた(すーぱーとっとこりみっくす) (2019XXXX) == 같이보기 == * [[팝픈뮤직/기네스]] * [[리플렉 비트 시리즈/기네스]] * [[사운드 볼텍스/기네스]] * [[beatmania IIDX/기네스]] [[분류:유비트 시리즈]][[분류:기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