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990년대 후반에 활동했던 4인조 댄스그룹으로 지금은 트로트 가수로 더 유명한 [[장민호]]가 속했다. 팀명인 유비스는 "You Will Be with Us"의 약칭이며 U-BeS로도 쓰인다. || [[파일:유비스.jpg|width=500]] || 왼쪽부터 이충인, 김준우, 김무경, 아랫줄에 앉은 이는 장호근[* [[장민호]]의 본명이다.] 이들의 포즈는 당시에 유행했던 전사 컨셉에 맞게 지은 포즈와 표정이다. == 멤버 == 데뷔 당시 대학생 2명과 고등학생 2명으로 구성됐다. 장호근([[장민호]]의 본명): 1977년생, [[중부대학교]] 연극영화과, [[인천대건고등학교]] 졸업 김무경: 1978년생, [[가야대학교]] 중국어과, [[인천대건고등학교]] 졸업 이충인: 1979년생, [[용문고등학교(경기)|용문종합고등학교]] 3학년, [[우송정보대학]] 방송음악학과 김준우: 1980년생, [[동산정보산업고등학교|위례상업고등학교]] 2학년 == 활동 == 1997년 7월 15일[* 현재 음원서비스가 중단되어 있고 이 앨범의 발매일자가 정확히 적힌곳이 없어 한국음원저작권협회에서 U-Bes의 1집 음원을 검색한 결과다. 1997.07.15에 공표 된것으로 나온다.] 정규 1집을 발매하며 타이틀곡인 ''''별의 전설''''로 데뷔했다.[* 데뷔 전 이충인의 동생인 이충준이 [[뇌종양]]으로 세상을 떠나면서 그를 추억하는 내용의 가사이나 데뷔를 준비하던 중 유비스의 멤버 1명이 죽은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팬들이 많다.] 하지만 이 당시에는 운이 --안--[* 장민호 본인이 이 부분 수정해달라고 요청했다(...)] 좋게도 [[H.O.T.]],[* 유비스가 데뷔한 지 1개월 후, 2집으로 바로 컴백했다(..)] [[젝스키스]] 등 1군 아이돌들은 물론 [[임창정]]과 [[지누션]] 같은 쟁쟁한 가수들도 나왔던 그야말로 춘추전국 시대였던지라 제대로 묻혀버렸다. 사실 데뷔 시기도 안 좋았지만 컨셉을 제대로 못 보여준 것도 컸던 게 후에 데뷔한 [[NRG]]가 "미소년 컨셉+아크로바틱", [[태사자(아이돌)|태사자]]는 "댄디한 정장을 갖춘 남자다움"을, [[우노#s-5.2]]는 3인조 미소년+발라드 그룹[* 참고로 1997년 10월 25일 MBC 인기가요 베스트50 오프닝 현장에 [[OGN|온게임넷(현 OGN)]] 켠김에왕까지 허강조류(허준, 강성민, 조현민, 류경진) 강성민의 데뷔그룹인 [[우노#s-5.2]](강성민, 김형철, 장신민)와 함께 등장한 적이 있다.]을 무기로 삼아 대중들에게 자신들의 인지도를 크게 각인시킨 반면 유비스는 딱히 눈에 띄는 컨셉도 없었고, 노래도 나쁘지는 않지만 확 들어오는 노래도 아니었기 때문이다. 같은 해인 1997년 후반에 '야누스 시대'라는 후속곡으로 활동했지만 역시 큰 인기를 얻지 못하고 활동을 중단한다.[* 지금이야 웃으면서 지나간 과거로 말하지만 내 생애 마지막 오디션 출연 당시 장민호는 소속사 대표에게 많이 맞기도 하고 [[정강이]]까지 차이는 등 힘든 시기를 보냈다고 어렵게 털어 놓았으며 [[뽕숭아학당]]에서 [[토니 안]]을 만났을 때 '늘 정상 위에 있던 H.O.T.를 보며 언제쯤이면 올라갈까'라고 당시 속내를 말하기도 했다.] 판매량은 4만 장 조금 넘게 팔렸다. 그래도 엄청 망한 정도는 아니었던지 팬들도 나름 있었고 대중들에게 칼군무와 백다운으로 인상을 크게 남기고,[* [[유튜브]]에 '별의 전설' 무대 영상들이 올라와 있는데, 댓글들을 보면 학생들이 학교 장기자랑에서 이 곡으로 춤을 추거나, 춤추면서 다치거나, 노래에 도전했다가 의외로 고음에 고전했다는 내용을 볼 수 있다.] 당시의 추억에 젖은 사람들이 노래방에서 지금도 부르기도 하는 일명 몰래 듣는 명곡으로 남았다. 이후 1998년 정규 2집 앨범 '특급작전'([[주영훈]] 작곡)으로 돌아왔지만 대중들의 반응은 1집과 그리 다르지 않았으며 결국 2집을 끝으로 팀은 해체되었다. 2집도 3~4만 장 가량 판매되었다. 더 활동하거나 H.O.T.나 젝스키스처럼 컨셉이 확보했다면 충분히 태사자나 NRG 정도의 인기는 있지 않았을까 싶다. 데뷔가 1997년 3월에 데뷔했고 별의전설에서 선보인 백다운을 젝스키스보다 먼저 선보였다면 충분히 뜰 수 있을 만큼 실력을 가진 그룹이다. [Youtube(fBEf2Ijr2hg)] == 음반 목록 == === 1집 === || '''{{{#FFFFFF U-Bes}}}'''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J4eCW896hrU)]}}} || ||<-2> '''{{{#FFFFFF 별의 전설}}}'''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0HjZUms5DWU,width=400,height=200)]}}}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q-6qY8EzfOU,width=400,height=200)]}}} || ==== 가사 ==== || '''{{{#FFFFFF 별의 전설}}}''' || || (rap) 태초의 햇살을 뒤로한 채 죽음보다 더한 고요가 신음처럼 들려오는 저 어둠의 숨소리처럼 세상을 덮었다 맑은 물이 샘솟던 따스한 그날로 돌아갈 순 없나 우리의 꿈도 저물어 저물어 가야만 하는가 세상이란 이름이 내겐 너무 힘들어 스쳐갈 만큼 짧았던 꿈이라 생각했지만 다시 만날 수 없고 다시 볼 수도 없는 어느새 잊혀진 기억으로만 남게 됐으니 니가 원한다면 다시 찾을 수 있겠지 저무는 저 태양이 다시 떠오를 때에 (떠오를때에~) 서로의 '''{{{#green 아픔을}}}''' '''{{{#FFD700 딛}}}''''''{{{#green 고}}}''' 살아가야만 한다면 죽음'''{{{#800080 보다 힘}}}''''''{{{#A0B036 든}}}''' {{{#red 하}}}{{{#800080 ~}}}'''{{{#green 루}}}'''가 된다는 걸 알았어 그대로 '''{{{#green 영원히}}}''' '''{{{#FFD700 내}}}''' '''{{{#green 가}}}'''슴속에 묻어야 한'''{{{#A0B036 다면}}}''''''{{{#800080 ~}}}''''''{{{#green ~}}}''' '''{{{#green 우리}}}''' '''{{{#800080 다시}}}''''''{{{#green ~}}}''''''{{{#A0B036 는}}}''' '''{{{#800080 만날}}}''' '''{{{#800080 수}}}''''''{{{#green ~}}}''' 없'''{{{#green 어}}}''' (rap) 오늘의 헤어짐은 잠시일 뿐 우린 다시 만날 수 있어 이 다음 세상에선 서로에게 사랑으로 태어났길 기도해 우리들의 사랑이 저하늘에 닿아 먼훗날에 만나 영원한 사랑을 이룰 수 있는 그날을 위해서 그토록 오랜 시간 너를 찾아 헤맸지 수많은 세상을 지나 너와의 약속을 위해 하지만 난 이곳에 너를 기다리다가 지쳐서 다른 저 세상으로 먼저 떠난거야 니가 원한다면 다시 찾을 수 있겠지 저무는 저 태양이 다시 떠오를 때에 (떠오를 때에~) 서로의 '''{{{#green 아픔을}}}''' '''{{{#FFD700 딛}}}''''''{{{#green 고}}}''' 살아가야만 한다면 죽음'''{{{#800080 보다 힘}}}''''''{{{#A0B036 든}}}''' {{{#red 하}}}{{{#800080 ~}}}'''{{{#green 루}}}'''가 된다는 걸 알았어 그대로 '''{{{#green 영원히}}}''' '''{{{#FFD700 내}}}''' '''{{{#green 가}}}'''슴속에 묻어야 한'''{{{#A0B036 다면}}}''''''{{{#800080 ~}}}''''''{{{#green ~}}}''' '''{{{#green 우리}}}''' '''{{{#800080 다시}}}''''''{{{#green ~}}}''''''{{{#A0B036 는}}}''' '''{{{#800080 만날}}}''' '''{{{#800080 수}}}''''''{{{#green ~}}}''' 없'''{{{#green 어}}}''' || '''2옥타브 솔♯(G♯4)''' 구간은 '''{{{#green 초록색}}}'''. '''2옥타브 라(A4)''' 구간은 '''{{{#FFD700 금색}}}'''. '''2옥타브 라(A♯4)''' 구간은 '''{{{#800080 보라색}}}'''. '''2옥타브 시(B4)''' 구간은 '''{{{#A0B036 풀색}}}'''. '''3옥타브 도♯(C♯5)''' 구간은 '''{{{#red 빨간색}}}'''. [[가성]] 부분은 '''볼드체''' 미표시. === 2집 === || '''{{{#FFFFFF You Will Be With Us}}}'''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FaxeSkwRNso)]}}} || ||<-2> '''{{{#FFFFFF 특급작전}}}'''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UVAH-byY-E0,width=400,height=200)]}}}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b4Z84whGEJk,width=400,height=200)]}}} || == 활동 중단 이후 == 장민호의 활발한 활동과 함께 그의 유비스 시절이 다시 조명되면서 [[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에 나와줬으면 하는 팀들 중 하나로 꼽히지만, 유비스의 곡들이 대중들에게 잘 알려진 곡이 아닐 뿐더러 그나마 대표곡은 데뷔곡 1곡이라 출연은 쉽지 않을 듯 하다.[[https://www.sports-g.com/2018/01/15/%EA%B9%80%ED%98%84%ED%9A%8C%EC%9D%98-%EA%B3%B5%EA%B0%9C%EC%97%B0%EC%98%88-%EC%8A%88%EA%B0%80%EB%A7%A8%EC%97%90-%EB%82%98%EC%98%A4%EA%B8%B0-%EC%95%A0%EB%A7%A4%ED%95%9C-%EC%B6%94%EC%96%B5%EC%9D%98|관련기사]] 다만, 저 기사에 있었던 그룹 중 [[A.R.T]]는 [[슈가맨 3]]에서 슈가맨으로 출연했고 [[슈가맨 2]]의 4화처럼 장민호의 과거를 소환하는 식으로 출연한다면 가능성이 아예 없진 않다.[* 시즌 2 4화는 인기 가수들의 과거에 속했던 그룹을 소환하는 방식인데, 이 때 [[왁스(가수)|왁스]](도그), 이브([[GIRL(밴드)|걸]])가 슈가맨에 출연했다. 다만 도그나 걸 모두 매니아층이 탄탄한 그룹이었기에 상황이 조금 다른 부분은 있다.] 장호근(장민호)은 트로트 가수로 유명세를 얻었고, 김무경은 외제차 딜러로 활동 중이며, 이충인은 2009년부터 2016년 까지 연극배우 서제광의 친동생인 대니원 대니(서제욱)과 함께 대니원(유명 그룹 아님) 멤버로 활동한 이후 [[양평군]]에서 라테라스펜션을 경영하고 있다.[* 그의 페이스북. [[https://ko-kr.facebook.com/people/%EC%9D%B4%EC%B6%A9%EC%9D%B8/100001532891166/]] ] 김준우는 현재 근황이 알려진 게 없다. 안타깝게도 유비스의 노래들은 스트리밍사이트에서 음원재생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이유는 불명. [[분류:1997년 결성된 음악 그룹]][[분류:1998년 해체된 음악 그룹]][[분류:대한민국의 보이그룹]][[분류:4인조 음악 그룹]][[분류:해체된 아이돌 그룹]][[분류:장민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