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5> '''역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 || [[로테르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2021년|2021]][br] || ← || '''[[토리노]] 2022''' || → || [[리버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2023년|2023]] || ||<-2> '''Eurovision SONG CONTEST [br]{{{+3 TURIN 2022}}}'''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SC2022.jpg |width=100%]]}}} || ||<-2> '''개최 정보''' || || '''개최일자''' || 세미파이널 1: 2022년 5월 10일[br]세미파이널 2: 2022년 5월 12일[br]파이널: 2022년 5월 14일 [* 현지 기준.] || || '''개최지'''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토리노]] Pala Alpitour || || '''표어''' || '''The Sound of Beauty''' || || '''참가국''' || 40개국 || || '''미참가국'''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 || || '''컴백국가''' ||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width=25]] [[아르메니아]]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width=25]] [[몬테네그로]] || || '''데뷔국가''' || X || || '''우승'''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5]] [[우크라이나]] || [목차] [clearfix] == 개요 == 66회째를 맞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21년 대회 우승을 차지한 [[이탈리아]]에서 개최한다. 대회의 전반적인 진행과 방송 제작을 담당하는 주관방송사는 이탈리아의 공영방송사인 [[RAI]]가 담당한다. === 개최지 선정 === 이탈리아의 우승 소식이 전해지자마자 많은 지자체에서 개최 의사를 표명하였으며, 이에 따라 도시 간 치열한 유치 경쟁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RAI]]의 7월 14일 발표에 의하면 총 17개 도시가 최종적으로 개최 의사를 표명하였다고 한다. [[https://www.rai.it/ufficiostampa/assets/template/us-articolo.html?ssiPath=/articoli/2021/07/Eurovision-Song-Contest-2022-dal-Friuli-alla-Sicilia-17-citta-candidate-a-ospitare-la-manifestazione-ba721c93-5eb6-417d-a4c0-935fdab3f95f-ssi.html|기사]] 이후 11개 도시[* 아치레알레, 알레산드리아, 볼로냐, [[제노바]], [[밀라노]], 팔라졸로 아크레이데, 페사로, [[리미니]], [[로마]], 산레모, [[토리노]]]로 좁혀졌고, 또 [[볼로냐]], [[밀라노]], 페사로, [[리미니]], [[토리노]] 5개 도시로 좁혀졌다.[*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인 [[로마]]의 경우, 수용 인원과 천장 내구도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공연장이 없다고 한다.] 그리고 2021년 10월 8일 대회 개최지가 [[토리노]]로 최종선정 되었다. 장소는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때 아이스하키 경기장으로 쓰였던 Pala Alpitour. [[https://eurovision.tv/mediacentre/release/turin-to-host-eurovision-2022|기사]] == 대회 진행 == === 일정 === 중부유럽 섬머타임 (UTC +02:00) 기준. * 세미파이널 1 - 2022년 5월 10일 오후 9시 (한국 시각 2022년 5월 11일 새벽 4시) * 세미파이널 2 - 2022년 5월 12일 오후 9시 (한국 시각 2022년 5월 13일 새벽 4시) * 파이널 - 2022년 5월 14일 오후 9시 (한국 시각 2022년 5월 15일 새벽 4시) === 복귀국 및 불참국 === [[몬테네그로]]가 2년간의 불참을 끝내고 복귀한다. [[http://esctoday.com/184052/montenegro-rtcg-confirms-participation-at-eurovision-2022/|기사]] 또한, 지난해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으로 불참을 선언한 [[아르메니아]] 역시 복귀를 확정지었다. 2012년 대회를 끝으로 불참을 선언한 [[튀르키예]]가 복귀를 위해 협상 중이라는 [[https://eurovision.tv/eurovision-news-summer-2021/snippet/talking-turkey-2022|보도]]가 있었지만, 결국 올해도 불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벨라루스]]의 국영 방송사인 Belteleradiocompany (BTRC)가 언론 탄압 및 표현의 자유 억압으로 [[유럽방송연맹|EBU]]로부터 회원자격을 정지당하게 됨에 따라 출전 자격을 박탈당해 2021년 대회에 이어 본 대회에도 출전하지 못하게 되었다. [[https://eurovoix.com/2021/07/01/belarus-ebu-suspends-btrcs-membership/|기사]]. 결국 2024년까지의 출전 자격을 박탈당했다. [[러시아]]는 참가국 명단에 이름을 올렸지만 [[2022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이후 참가 자격을 박탈당했다. [[https://eurovisionworld.com/esc/ebu-kicks-russia-out-of-eurovision-2022|기사]] === 참가자 발표 === [include(틀: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자/2022)] == 경연 결과 == === 세미파이널 1 === 세미파이널 1 참가국들과 프랑스, 이탈리아가 투표권을 행사한다. 진출자는 음영으로 표시. ## 진출자는 으로 표시해주세요. || '''순서''' ||<-2> '''참가국''' || '''가수''' || '''노래''' || '''언어''' || '''순위''' || '''점수''' || '''MV''' || '''공연 영상''' || || 01 || [[파일:알바니아 국기.svg|width=30]] || [[알바니아]] || Ronela Hajati || Sekret || [[알바니아어]], [[영어]][* 스페인어 구절 포함] || 12 || 58 || [[https://youtu.be/iMu47raqbcc|#]] || [[https://youtu.be/_jWXmo0-ZjI|#]] || || 02 || [[파일:라트비아 국기.svg|width=30]] || [[라트비아]] || Citi Zēni || Eat Your Salad || 영어 || 14 || 55 || [[https://youtu.be/DbDj9mBI4g0|#]] || [[https://youtu.be/TM0_0WfuxSk|#]] || || 03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30]] || [[리투아니아]] || [[모니카 리우|Monika Liu]] || [[Sentimentai]] || [[리투아니아어]] || 7 || 159 || [[https://youtu.be/acya6UcJP1k|#]] || [[https://youtu.be/B6uEWHrr6fM|#]] || || 04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30]] || [[스위스]] || Marius Bear || Boys Do Cry || 영어 || 9 || 118 || [[https://youtu.be/EnsqrM40uaY|#]] || [[https://youtu.be/e6DMf-hVi7s|#]] || || 05 ||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width=30]] || [[슬로베니아]] || [[Last Pizza Slice|LPS]] || [[Disko]] || [[슬로베니아어]] || 17 || 15 || [[https://youtu.be/g8Ezl7xucCU|#]] || [[https://youtu.be/S1tFqoflsT8|#]] || || 06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 [[우크라이나]] || [[Kalush|Kalush Orchestra]][* 멤버인 Ihor Didenchuk는 [[Go_A]]의 멤버로도 활동 중이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2021년|2021년 로테르담 대회]]에 우크라이나 대표로 참가하여 5위를 차지하였다.] || [[Stefania]] || [[우크라이나어]] || 1 || 337 || [[https://youtu.be/UiEGVYOruLk|#]] || [[https://youtu.be/jfm8hVNZt8g|#]] || || 07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30]] || [[불가리아]] || [[인텔리전트 뮤직 프로젝트|Intelligent Music Project]][* 멤버인 Stoyan Yankoulov는 2007년 헬싱키 대회와 2013년 말뫼 대회에 불가리아 대표로 참가한 적 있다.] || [[Intention]] || 영어 || 16 || 29 || [[https://youtu.be/HySI2igCcx4|#]] || [[https://youtu.be/EwZTI5AoTg4|#]] || || 08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네덜란드]] || [[S10(가수)|S10]] || [[De Diepte]] || [[네덜란드어]] || 2 || 221 || [[https://youtu.be/v2m-MGSys0k|#]] || [[https://youtu.be/0sL6t82HGkE|#]] || || 09 || [[파일:몰도바 국기.svg|width=30]] || [[몰도바]] || Zdob și Zdub[* 2005년 키이우 대회와 2011년 뒤셀도르프 대회에 몰도바 대표로 참가한 적 있다.] & Advahov Brothers || Trenulețul || [[루마니아어]][* 영어 구절 포함] || 8 || 154 || [[https://youtu.be/C9RJQPZsj8E|#]] || [[https://youtu.be/93mpIFeQ4f4|#]] || || 10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포르투갈]] || MARO || Saudade, saudade || 영어, [[포르투갈어]] || 4 || 208 || [[https://youtu.be/eQul-rkcGPQ|#]] || [[https://youtu.be/CTbH4swRtis|#]] || || 11 || [[파일: 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30]] || [[크로아티아]] || [[미아 딤쉬치|Mia Dimšić]] || [[Guilty Pleasure(미아 딤쉬치)|Guilty Pleasure]] || 영어 || 11 || 75 || [[https://youtu.be/DFBwe2w0zO4|#]] || [[https://youtu.be/9vBQdtW3mJE|#]] || || 12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30]] || [[덴마크]] || [[REDDI]][* 멤버인 Ihan Haydar는 2012년 바쿠 대회에 덴마크 대표 Soluna Samay의 코러스로 참여한 적 있다.] || [[The Show]] || 영어 || 13 || 55 || [[https://youtu.be/xqakAZP4D24|#]] || [[https://youtu.be/cVg6MpVR2Pw|#]] || || 13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30]] || [[오스트리아]] || [[LUM!X]] (feat. [[피아 마리아|Pia Maria]]) || [[Halo(음악)|Halo]] || 영어 || 15 || 42 || [[https://youtu.be/tF6LY7lnVFU|#]] || [[https://youtu.be/dMgjHYwXSuo|#]] || || 14 ||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width=30]] || [[아이슬란드]] || Systur || Með hækkandi sól || [[아이슬란드어]] || 10 || 103 || [[https://youtu.be/vk9D10EyxHA|#]] || [[https://youtu.be/tx__3r5uKRo|#]] || || 15 || [[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30]] || [[그리스]] || Amanda Georgiadi Tenfjord || Die Together || 영어 || 3 || 211 || [[https://youtu.be/Uv7PcRKXZDg|#]] || [[https://youtu.be/1F4xozknC_4|#]] || || 16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30]] || [[노르웨이]] || [[Subwoolfer]] || [[Give That Wolf a Banana]] || 영어 || 6 || 177 || [[https://youtu.be/O_AvUlCQ_Cc|#]] || [[https://youtu.be/6FW_WgHLgvM|#]] || || 17 ||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width=30]] || [[아르메니아]] || [[로사 린|Rosa Linn]] || [[Snap]] || 영어 || 5 || 187 || [[https://youtu.be/gVqGKkm7xBE|#]] || [[https://youtu.be/ug5Tein5Ams|#]] || || E1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 [[프랑스]] || [[알반|Alvan]] & Ahez || [[Fulenn]] || [[브르타뉴어]][* 브르타뉴어 노래가 나온 것은 1996년 이후 두 번째이다.] || || || [[https://youtu.be/CO07xLUlK2g|#]] || [[https://youtu.be/AD7Xx6Vc1GM|#]] || || E2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이탈리아]] || Mahmood[* 2019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2019년|텔아비브 대회]]에 이탈리아 대표로 참가하여 2위를 차지하였다.] & BLANCO || Brividi || [[이탈리아어]] || || || [[https://youtu.be/Beqe14HYY5o|#]] || [[https://youtu.be/9B4S5faMsl0|#]] || === 세미파이널 2 === 세미파이널 2 참가국들과 스페인, 영국, 독일이 투표권을 행사한다. 진출자는 음영으로 표시. ## 진출자는 으로 표시해주세요. || '''순서''' ||<-2> '''참가국''' || '''가수''' || '''노래''' || '''언어''' || '''순위''' || '''점수''' || '''MV''' || '''공연 영상''' || || 01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30]] || [[핀란드]] || [[더 라스무스|The Rasmus]] || [[Jezebel]] || 영어 || 7 || 162 || [[https://youtu.be/IwHijzdNN2A|#]] || [[https://youtu.be/HT786cosYoQ|#]] || || 02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30]] || [[이스라엘]] || [[마이클 벤 다비드|Michael Ben David]] || [[I.M(노래)|I.M]] || 영어 || 13 || 61 || [[https://youtu.be/WNFeohWlA20|#]] || [[https://youtu.be/XgXjPUsjx4Y|#]] || || 03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 || [[세르비아]] || [[Konstrakta]] || [[In corpore sano]] || [[세르비아어]], [[라틴어]] || 3 || 237 || [[https://youtu.be/3S1jrYq87Zw|#]] || [[https://youtu.be/XXrDgWDo24g|#]] || || 04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width=30]] || [[아제르바이잔]] || [[나디르 뤼스탬리|Nadir Rustamli]] || [[Fade to Black(나디르 뤼스탬리)|Fade to Black]] || 영어 || 10 || 96 || [[https://youtu.be/TGd1AFKR_-E|#]] || [[https://youtu.be/ILbQwIau1Ms|#]] || || 05 || [[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30]] || [[조지아]] || [[시르쿠스 미르쿠스|Circus Mircus]] || [[Lock Me In]] || 영어 || 18 || 22 || [[https://youtu.be/qgukml7zDAA|#]] || [[https://youtu.be/zXiZAbqETvk|#]] || || 06 || [[파일:몰타 국기.svg|width=30]] || [[몰타]] || [[엠마 무스카트|Emma Muscat]] || [[I Am What I Am]] || 영어 || 16 || 47 || [[https://youtu.be/df-fks-Pj-8|#]] || [[https://youtu.be/DFCFM5qtvms|#]] || || 07 || [[파일:산마리노 국기.svg|width=30]] || [[산마리노]] || Achille Lauro || Stripper || 이탈리아어, 영어 || 14 || 50 || [[https://youtu.be/P-RloZ-Fv38|#]] || [[https://youtu.be/vCmX64N_sXM|#]] || || 08 ||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 [[호주]] || Sheldon Riley || Not the Same || 영어 || 2 || 243 || [[https://youtu.be/ByUD4d89_is|#]] || [[https://youtu.be/jxe0t8sbI-M|#]] || || 09 || [[파일:키프로스 국기.svg|width=30]] || [[키프로스]] || [[안드로마케(가수)|Andromache]] || [[Ela]] || 영어, [[그리스어]] || 12 || 63 || [[https://youtu.be/GM8CY08UT6I|#]] || [[https://youtu.be/W2IUdTl-gAI|#]] || || 10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30]] || [[아일랜드]] || [[브룩 스컬리온|Brooke]] || [[That's Rich(브룩 스컬리온)|That's Rich]] || 영어 || 15 || 47 || [[https://youtu.be/pkHzvy-Pscw|#]] || [[https://youtu.be/Kq2AJrWm04s|#]] || || 11 || [[파일: 북마케도니아 국기.svg|width=30]] || [[북마케도니아]] || Andrea || Circles || 영어 || 11 || 76 || [[https://youtu.be/EzOpAduUlmo|#]] || [[https://youtu.be/zvOihqB4eKk|#]] || || 12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width=30]] || [[에스토니아]] || [[스테판(가수)|Stefan]] || [[Hope(스테판)|Hope]] || 영어 || 5 || 209 || [[https://youtu.be/bKhSlSx00-I|#]] || [[https://youtu.be/L93yMhrJy64|#]] || || 13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30]] || [[루마니아]] || WRS || Llámame || 영어[* 스페인어 구절 포함] || 9 || 118 || [[https://youtu.be/Ru3y4ivY3lQ|#]] || [[https://youtu.be/4b1Rt5jY6tA|#]] || || 14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30]] || [[폴란드]] || [[오흐만|Ochman]] || [[River(오흐만)|River]] || 영어 || 6 || 198 || [[https://youtu.be/wh47vgUwInU|#]] || [[https://youtu.be/naLid1DSXnI|#]] || || 15 ||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width=30]] || [[몬테네그로]] || [[블라다나 부치니치|Vladana]] || [[Breathe(블라다나 부치니치)|Breathe]] || 영어 || 17 || 33 || [[https://youtu.be/7e3GiXy7SLc|#]] || [[https://youtu.be/L-ViRVRiGl0|#]] || || 16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 [[벨기에]] || Jérémie Makiese || Miss You || 영어 || 8 || 154 || [[https://youtu.be/GZ3mLO4uFjY|#]] || [[https://youtu.be/ALG5vfm3ktY|#]] || || 17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 [[스웨덴]] || Cornelia Jakobs || Hold Me Closer || 영어 || 1 || 396 || [[https://youtu.be/wWDThAfryW4|#]] || [[https://youtu.be/4tD-ycN2uJQ|#]] || || 18 || [[파일:체코 국기.svg|width=30]] || [[체코]] || We Are Domi || Lights Off || 영어 || 4 || 227 || [[https://youtu.be/QRgj3enaAhI|#]] || [[https://youtu.be/QMoX6oPSnws|#]] || || E1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 [[스페인]] || Chanel || SloMo || [[스페인어]], 영어 || || || [[https://youtu.be/N3eiW6E0ldc|#]] || [[https://youtu.be/a6uq6oSP5MI|#]] || || E2 || [[파일:영국 국기.svg|width=30]] || [[영국]] || [[샘 라이더|Sam Ryder]] || Space Man || 영어 || || || [[https://youtu.be/udsMTb2NIak|#]] || [[https://youtu.be/rbtPxZby4js|#]] || || E3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독일]] || Malik Harris || Rockstars || 영어 || || || [[https://youtu.be/Oy-s-IZIHkI|#]] || [[https://youtu.be/ohzfN-ueDZE|#]] || === 파이널 === 우승자 및 2, 3위는 음영으로 표시. ## 우승자는 , 준우승자는 , 3위는 으로 표시해주세요. || '''순서''' ||<-2> '''참가국''' || '''가수''' || '''노래''' || '''언어''' || '''순위''' || '''점수''' || '''MV''' || '''공연 영상''' || || 01 || [[파일:체코 국기.svg|width=30]] || [[체코]] || We Are Domi || Lights Off || [[영어]] || 22 || 38 || [[https://youtu.be/QRgj3enaAhI|#]] || [[https://youtu.be/EGRzSefqOm0|#]] || || 02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30]] || [[루마니아]] || WRS || Llámame || 영어 || 18 || 65 || [[https://youtu.be/Ru3y4ivY3lQ|#]] || [[https://youtu.be/nPpuwy79sHs|#]] || || 03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포르투갈]] || MARO || Saudade, saudade || 영어, [[포르투갈어]] || 9 || 207 || [[https://youtu.be/eQul-rkcGPQ|#]] || [[https://youtu.be/mZtbD47u6yI|#]] || || 04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30]] || [[핀란드]] || [[더 라스무스|The Rasmus]] || [[Jezebel]] || 영어 || 21 || 38 || [[https://youtu.be/IwHijzdNN2A|#]] || [[https://youtu.be/LSi9nfr65FE|#]] || || 05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30]] || [[스위스]] || Marius Bear || Boys Do Cry || 영어 || 17 || 78 || [[https://youtu.be/EnsqrM40uaY|#]] || [[https://youtu.be/hq2HCmHv5p4|#]] || || 06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 [[프랑스]] || [[알반|Alvan]] & Ahez || [[Fulenn]] || [[브르타뉴어]] || 24 || 17 || [[https://youtu.be/CO07xLUlK2g|#]] || [[https://youtu.be/H1lcGXwOqJI|#]] || || 07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30]] || [[노르웨이]] || [[Subwoolfer]] || [[Give That Wolf a Banana]] || 영어 || 10 || 182 || [[https://youtu.be/O_AvUlCQ_Cc|#]] || [[https://youtu.be/adCU2rQyDeY|#]] || || 08 ||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width=30]] || [[아르메니아]] || [[로사 린|Rosa Linn]] || [[Snap]] || 영어 || 20 || 61 || [[https://youtu.be/gVqGKkm7xBE|#]] || [[https://youtu.be/DAJ6vfmD_ic|#]] || || 09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이탈리아]] || Mahmood & BLANCO || Brividi || [[이탈리아어]] || 6 || 268 || [[https://youtu.be/Beqe14HYY5o|#]] || [[https://youtu.be/blEy4xHuMbY|#]] || || 10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 [[스페인]] || Chanel || SloMo || [[스페인어]], 영어 || 3 || 459 || [[https://youtu.be/N3eiW6E0ldc|#]] || [[https://youtu.be/jSQYTt4xg3I|#]] || || 11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네덜란드]] || [[S10(가수)|S10]] || [[De Diepte]] || [[네덜란드어]] || 11 || 171 || [[https://youtu.be/v2m-MGSys0k|#]] || [[https://youtu.be/sgOnu7ux2-k|#]] || || 12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 '''[[우크라이나]]''' || '''[[Kalush|Kalush Orchestra]]''' || '''[[Stefania]]''' || [[우크라이나어]] || '''1''' || '''631''' || [[https://youtu.be/UiEGVYOruLk|#]] || [[https://youtu.be/F1fl60ypdLs|#]] || || 13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독일]] || Malik Harris || Rockstars || 영어 || 25 || 6 || [[https://youtu.be/Oy-s-IZIHkI|#]] || [[https://youtu.be/2BYIou-oWXA|#]] || || 14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30]] || [[리투아니아]] || Monika Liu || Sentimentai || [[리투아니아어]] || 14 || 128 || [[https://youtu.be/acya6UcJP1k|#]] || [[https://youtu.be/BVqSTVJhD44|#]] || || 15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width=30]] || [[아제르바이잔]] || [[나디르 뤼스탬리|Nadir Rustamli]] || [[Fade to Black(나디르 뤼스탬리)|Fade to Black]] || 영어 || 16 || 106 || [[https://youtu.be/TGd1AFKR_-E|#]] || [[https://youtu.be/tegPzHEL4ms|#]] || || 16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 [[벨기에]] || Jérémie Makiese || Miss You || 영어 || 19 || 64 || [[https://youtu.be/GZ3mLO4uFjY|#]] || [[https://youtu.be/sB09advfF6E|#]] || || 17 || [[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30]] || [[그리스]] || Amanda Georgiadi Tenfjord || Die Together || 영어 || 8 || 215 || [[https://youtu.be/Uv7PcRKXZDg|#]] || [[https://youtu.be/BWeT0nJpB3Y|#]] || || 18 ||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width=30]] || [[아이슬란드]] || Systur || Með hækkandi sól || [[아이슬란드어]] || 23 || 20 || [[https://youtu.be/vk9D10EyxHA|#]] || [[https://youtu.be/G71c48O3j-s|#]] || || 19 || [[파일:몰도바 국기.svg|width=30]] || [[몰도바]] || Zdob și Zdub & Advahov Brothers || Trenulețul || [[루마니아어]] || 7 || 253 || [[https://youtu.be/C9RJQPZsj8E|#]] || [[https://youtu.be/DUqf_zO2QaI|#]] || || 20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 [[스웨덴]] || Cornelia Jakobs || Hold Me Closer || 영어 || 4 || 438 || [[https://youtu.be/wWDThAfryW4|#]] || [[https://youtu.be/i777psA2gP4|#]] || || 21 ||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 [[호주]] || Sheldon Riley || Not the Same || 영어 || 15 || 125 || [[https://youtu.be/ByUD4d89_is|#]] || [[https://youtu.be/wosfFz2FJPU|#]] || || 22 || [[파일:영국 국기.svg|width=30]] || [[영국]] || [[샘 라이더|Sam Ryder]] || Space Man || 영어 || 2 || 466 || [[https://youtu.be/udsMTb2NIak|#]] || [[https://youtu.be/RZ0hqX_92zI|#]] || || 23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30]] || [[폴란드]] || [[오흐만|Ochman]] || [[River(오흐만)|River]] || 영어 || 12 || 151 || [[https://youtu.be/wh47vgUwInU|#]] || [[https://youtu.be/jRVDZ6446eM|#]] || || 24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 || [[세르비아]] || [[콘스트락타|Konstrakta]] || [[In corpore sano]] || [[세르비아어]], [[라틴어]] || 5 || 312 || [[https://youtu.be/3S1jrYq87Zw|#]] || [[https://youtu.be/nBtQj1MfNYA|#]] || || 25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width=30]] || [[에스토니아]] || [[스테판(가수)|Stefan]] || [[Hope(스테판)|Hope]] || 영어 || 13 || 141 || [[https://youtu.be/bKhSlSx00-I|#]] || [[https://youtu.be/GdTpQmMem8U|#]] || == 결과 분석 == === 세미파이널 === ==== 세미파이널 1 ==== 대체로 예상대로 흘러갔지만 [[알바니아]]의 탈락과 [[아이슬란드]]의 파이널 진출이 이변으로 평가받는 편. 또한 후술할 [[NFT]] 관련 논란으로 팬덤에서의 이미지가 나빠진 [[스위스]]도 어떻게든 파이널 진출에 성공해냈다. 스위스 대표인 마리우스 베어는 세미파이널 통과에 크게 기대를 하지 않았던 모양인지 첫번째 순서로 세미파이널 통과가 호명되었음에도 과격할 정도로 환호를 했다. [[우크라이나]]의 무대는 관중들에게 큰 환호를 받았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유럽인들의 우크라이나 지지를 엿볼 수 있는 부분. ==== 세미파이널 2 ==== 여기는 대체적으로 팬들의 예상대로 진출할만한 국가가 진출하였는데, [[아제르바이잔]]이 텔레보팅에서 '''0점'''을 받고도 오직 심사위원 보팅에서 얻은 점수만으로 파이널 진출에 성공하였다.[* 그나마 파이널에서는 텔레보팅에서 점수를 얻긴하였다. 고작 '''3점'''이었지만.] 대체로 팬들은 [[That's Rich(브룩 스컬리온)|아일랜드]], [[북마케도니아]]의 탈락을 안타깝게 보고 있다. [[That's Rich(브룩 스컬리온)|아일랜드]]의 경우 안정적인 보컬과 안무로 스테이징을 잘 했다는 평을 받으며 실제로 현장관객들에게 호응을 얻었지만, 선정곡 자체가 20년전에나 통했을 법한 유행이 지난 노래라 임팩트가 약했다는 평이다. [[북마케도니아]]의 경우는 작년대회처럼 보컬 자체능력은 좋았다는 평이 있으나 역시 임팩트가 없는 노래에다가 무대에 가수 혼자 서서 노래를 불러서 그런지 다른 참가국가들에 비해서 스테이징이 지루했다는 평이다. 그래도 보컬 자체의 능력은 팬들과 심사위원에게 어느정도 인정받았는지 종합 11위로 아깝게 탈락하였다. === 파이널 === 우크라이나가 3번째 우승을 거머쥐었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 우승하여 자국에 영광을 가져다준 우크라이나를 축하하는 분위기이지만, 음악 경연대회인 유로비전이 정치색으로 물들었다며 우려하는 목소리도 그에 못지 않게 많은 편이다.[* 정치 논란은 매년 있어왔지만 올해는 다른 해보다도 텔레보팅 투표가 너무 정치적이었다는 반응이 많다. 이유는 심사위원 투표에서 우크라이나는 1위와 91점 차이 나는 4위였는데, 텔레보팅 투표에서 역대 최고 점수인 '''439점'''을 받고 압도적으로 우승했고, 거기다 39개 국가중 '''28개 국가'''에게 12점을 몰빵받았기 때문이다. 이어 텔레보팅 2위 몰도바가 239점, 3위 스페인이 228점이었으니 얼마나 몰표를 받았는지를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크라이나가 우승했으나 역시 정치적 이슈로 잡음이 좀 있었던 2016년이 생각난다는 말도 많다.][* 공연이 끝나고 한 '마리우폴을 도와주세요, 아조프를 도와주세요' 발언은 정치적이라고 비판을 받기도 했는데 EBU에서 인도주의적 발언이라고 허용해줬다.] 다만 슬라빅 팝 자체가 유로비전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내왔던 장르고[* 당장 작년 우크라이나 엔트리인 [[Shum]]도 강렬한 슬라빅 팝이었는데, 당시엔 별다른 정치적 이슈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종합 5위, 텔레보팅 2위'''라는 훌륭한 성적을 냈다.] 딱히 곡 자체의 퀄리티가 떨어지는 것도 아닌데다, 원래부터 유로비전의 전통적 강호 중 한 국가로 손꼽혀온 국가기 때문에, 이러한 사건 없이도 괜찮은 결과를 냈을 것이라는 데엔 큰 이견이 없다. 그 외에 단연 돋보인 것은 근 몇 년 간 줄곧 최하위권에 머물렀던 '''영국과 스페인의 극적인 선전.''' [[영국]]은 올해로 [[콩라인|16번째 준우승]]을 하게 되었는데[* 공교롭게도 공연순번도 22번이었다.] 이는 1997년 우승, 1998년 준우승 이후 가장 높은 성적이었다! 단순 점수로만 따지면 당연히 최고 기록. 한국에서까지 인지도가 있는 스타 [[샘 라이더]]를 대표로 선정하여 화제성도 확보했고, 곡까지 매우 준수한 퀄리티라 결과에 대해서도 충분히 그럴 만 했다는 반응이 지배적이며, 우승했어야 한다는 말도 나온다. 근 2대회 연속 종합 최하위는 물론 작년의 텔레보팅 개별집계 시행 이후 최초 종합 0점이라는 불명예를 완벽하게 씻은 셈으로, 최근 영국의 부진이 유로비전 커뮤니티 내에서는 이미 밈으로까지 쓰이는 정도라 대부분 매우 축하하는 분위기. 마찬가지로 왕년에는 7회 우승, 그 중 3회는 연속 우승이었을 정도로 최강자로 군림했으나 지금은 파이널에서 보는 것조차 힘든 국가인 아일랜드 신문에 '아일랜드가 유로비전에서 다시 성공할 수 있는 방법을 영국으로부터 배우자'는 칼럼이 실리기도 했다고. [[스페인]] 또한 종합 3위를 기록하며 1995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기록한 이후 27년동안 '''단 한 번도''' Top 5도 들지 못했던 서러움을 씻어냈다. 이전에는 아무리 준수한 대표와 곡을 뽑아와도 근 10년간에는 기껏해야 2014년의 10위가 최고 성적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기록적인 발전. 대표인 샤넬 테헤로는 쿠바 출신으로 수준급의 댄스를 보여주면서 관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우승국인 우크라이나와 더불어 가장 빠르게 무대 영상 천만 뷰를 기록하는 등 대중의 인기가 상당하다. 매 대회마다 유로비전 상위권에 오르는 스웨덴은 대중적이고 파워풀한 발라드로 4위를 기록하며 유로비전 최강국으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세르비아는 독특한 컨셉과 무대 구성으로 인해 팬들의 우려를 샀지만, 콘스트락타의 뛰어난 곡 소화력으로 이런 걱정을 깔끔하게 종식시키며 5위에 올랐다. 이탈리아도 2019년 이미 한 차례 참가하여 찬사를 받았던 마흐무드와 신예 블랑코의 감성적인 듀엣곡으로 6위에 안착했다. 이들의 곡인 Brividi는 발매된지 1년도 되지 않아 역대 유로비전 곡 스포티파이 스밍량 탑 텐에 드는 등, 어마어마한 음원 파워를 보여주기도 했다. 몰도바는 2005년, 2011년 두 번이나 대표로 나선 적 있던 Zdob şi Zdub[* 이번 대회에서도 파이널에 진출하며, 유로비전에 세미파이널 제도가 도입된 이래 최초로 '''그랜드 파이널에 3번 진출한 그룹'''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과 포크 오케스트라 듀오인 Advahov Brothers를 대표로 선정했는데, 전설의 '''[[Epic Sax Guy]]'''로 대표되는 ''''몰도바는 유로비전에 밈을 내보낸다'''' 드립에 걸맞는 흥겹고 고퀄리티인 무대를 보여줬다. 심사위원단 투표에서는 뒤에서 6위라는 저평가를 받았지만 텔레보팅에서는 우크라이나 버금가는 2위를 기록하며 7위라는 높은 성적을 낼 수 있었다. 그리스도 파워풀한 발라드와 강렬한 조명 연출으로 호평을 받으며 8위를 기록했다. 또한 늘 좋지 못한 성적을 냈으나 17년 최다 득점 우승을 기록한 뒤 종종 좋은 모습을 보이는 포르투갈도 전통 정서를 강조한 곡으로 9위에 올랐다. 곡명까지 그 정서를 칭하는 고유명사인 Saudade, Saudade. 매년 빠짐없이 등장하는 '''병맛 밴드''' 롤을 맡게 된 노르웨이도 10위에 들었다. 강렬하면서도 과하지 않도록 적절히 녹여낸 병맛 컨셉도 컨셉이었고, 노래 자체도 무난하게 즐길 수 있는 좋은 EDM이었다는 호평을 받았다. 폴란드는 [[River(오흐만)|곡]]을 출품한 직후부터 서정적이고 깊은 감성의 솔로 발라드로 극찬을 받아 Top 5 예상권까지 들며 잠시 우승 후보로까지 점쳐질 정도였지만 정작 본 무대의 무대 연출이 좋지 않아서 아쉽게 12위에 걸쳤고, 마찬가지로 높은 평가를 받던 스위스 또한 NFT 관련 이슈로 '''텔레보트 0점'''을 기록하며 17위라는 초기 예상에 한참 못 미치는 점수를 받았다. 또한 팬덤에서 큰 지지를 받던 루마니아가 고작 18위에 그친 것에 대한 불만도 많다. 작년 준우승이라는 높은 순위를 받았던 프랑스도 24위를 기록했고, 전통 약체 독일도 무난하게(?) 최하점을 받으며 25위가 되었다. 그래도 이전처럼 곡 퀄리티 자체가 떨어지는 것은 아니었고, 퍼포먼스가 아쉬웠다는 평가.[* 프랑스는 본선 무대에서의 라이브가 불안정하여 아쉽다는 평을 받았으며, 독일은 노래 자체가 워낙 잔잔했던지라 관중들에게 임팩트를 남기기가 힘들었다.] == 여담 == * 이번 대회부터 공식적으로 미리 녹음한 배킹 보컬을 허용한다. 2021년에는 시범케이스로 단 한군데[* 크로아티아의 [[알비나|Albina]]의 Tick-Tock]에서만 적용했었는데 2022년부터는 아예 공식적으로 허용하기로 했다. [[https://www.escdaily.com/pre-recorded-backing-vocals-to-be-allowed-at-eurovision-2022/#:~:text=The%20official%20Eurovision%20rules%20state,for%20their%20next%20Eurovision%20entry.|#]] * 스위스 대표가 자신의 곡을 [[NFT]]로 발매했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이후 팬덤에서의 여론이 급격하게 나빠졌는데, 도박사 배당률에서 준수한 순위를 기록하다가 세미파이널 탈락권까지 떨어졌을 정도. 물론 파이널 진출에는 성공했지만 무분별한 [[NFT]] 발매에 대한 사람들의 반감을 엿볼 수 있는 부분. 결국 텔레보트에서 화끈하게 0점을 받으며 17위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정작 대회 이전부터 NFT 장사를 여러분야에서 하던 이탈리아의 마흐무드는 아무 논란이 없었다-- * 5월 8일, 사전 행사 중 북마케도니아 대표 안드레아가 사진 포즈를 취하려 들고 있던 국기를 땅에 던지는 해프닝이 일어났다. 마케도니아 국영 방송사는 이 행동을 국기에 대한 모독으로 간주하며 비판하는 성명을 내놓았으며, 안드레아는 이에 대해 사과했다. * 우크라이나의 대표 선발 과정에서 약간의 잡음이 있었는데, 자국 예선에서 칼루시 오케스트라를 누르고 승리한 '알리나 파시'라는 가수가 원래 참가 예정이었으나, 우크라이나 측에서 알리나 파시의 '''7년 전''' [[크림 공화국]] 방문을 빌미로 실격시키고 2위였던 칼루시 오케스트라를 내보내게 된다. 이로 인해 [[Stefania]]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우승한 뒤에 이 곡은 반쯤 농담삼아서 그 Stefania를 누른 2022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의 진정한 우승곡 취급을 받고 있다. [[https://youtu.be/rz6aQLKyBHc|알리나 파시의 곡 'Shadows of Forgotten Ancestors']] 물론 7년 전이라고는 해도 법을 어긴 것이기에 어쩔 수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 칼루시 오케스트라가 트로피를 약 11억원에 팔아서 군에 무인기를 사주었다.[[https://m.yna.co.kr/view/AKR20220530156500085?section=international/all|#]] * 몰도바는 루마니아-몰도바 간의 국제 철도를 소재로 한 노래를 출품했는데, 이것이 [[루마니아와 몰도바의 통일]]을 노골적으로 지지하는 노래 아니냐는 논란이 일기도 했다. Zdob și Zdub의 리드 싱어인 로만 라구포프는 자국 라디오에서 아티스트의 삶과 관련된 노래라며 이런 논란을 일축했다.[[https://wiwibloggs.com/2022/04/23/zdob-si-zdub-advahov-brothers-trenuletul-lyrics-english-moldova-eurovision-2022/271702/|#]] 이후 몰도바 대표 Zdob și Zdub과 Advahov Brothers는 이후 [[루마니아]]의 [[이아시]] 주로부터 양국의 관계 증진에 이바지한 공로로 명예 시민증을 수여받았다. [[https://trm.md/ro/social/formatia-zdob-si-zdub-si-fratii-advahov-au-devenit-cetateni-de-onoare-ai-judetului-iasi|#]] * 2022년 대회에도 어김없이 [[LGBT|LGBTIQ+]] 인원들이 참가했는데, 다음과 같다. * 게이 : 셸던 라일리, 미카엘 벤 다비드 * 레즈비언 : 엘린 이보르도티어 * 그랜드 파이널 보팅 중 여섯 국가의 심사위원들의 배점 패턴이 너무 비정상적이여서 [[https://escxtra.com/2022/05/15/ebu-six-national-juries-removed-eurovision-2022/|심사위원 투표에서 제외되었다.]] 해당 국가들은 다음과 같다. 반응은 별로 좋지 않다. 정치적인 성격을 띤 결정 아니냐는 의견들이 있다. *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몬테네그로, 폴란드, 루마니아, 산마리노 * 일부 카메라 전환 문제 및 카메라 이동 문제가 있었다. 그랜드 파이널에서는 아예 와이드카메라가 움직이지 않았을 정도. [[https://youtu.be/KtnG1kcgQdA|카메라 문제를 모아둔 영상]] === 번외상 수상자 === * 투표를 통해 선정하는 Marcel Bezençon 상은 세르비아의 [[콘스트락타|콘스트락타(Konstrakta)]][* 각국 중계진의 투표로 선정하는 Artistic Award], 영국의 [[샘 라이더|샘 라이더(Sam Ryder)]][* 취재진의 투표로 선정하는 Press Award], 스웨덴의 코넬리아 제이콥스(Cornelia Jakobs)[* 작곡가와 작사가에게 수여하는 Composer Award]가 각각 선정되었다. * 각국의 유로비전 팬들이 실제 대회와 유사한 방식으로 우승자를 뽑는 OGAE는 스웨덴의 코넬리아 제이콥스(Cornelia Jakobs)가 가져갔다. * 가장 무대의상이 웃기고 이상한 참가자에게 주어지는 바바라 덱스상은 상의 취지가 부정적이라는 이유로 작년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 대신 독창성과 다양성을 통해 유로비전 정신을 가장 잘 구현한 참가자에게 주는 You're A Vision 상이 신설되었고, 첫 수상은 호주 대표로 참가한 셸던 라일리(Sheldon Riley)에게 돌아갔다. [각주] [[분류:유로비전 송 콘테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