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유령 로켓'''}}}[br]스칸디나비아 반도의 미상 발사체[br]Unidentified projectiles of Scandinavia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4628.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0" {{{-1 ▲ 1946년 6월, 스웨덴에서 에릭 로이터스워드(Erik Reuterswärd)가 촬영한 '유령 로켓'의 사진}}}}}} || || '''발생 일시''' ||[[1946년]] 2월 ~ [[1950년대]]말 || || '''발생 장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스칸디나비아 반도, 너비=100%, 높이=120)]}}}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29437f; color: #fff" '''스칸디나비아 반도 등 유럽 일대'''}}} {{{-2 (스웨덴과 핀란드 등 스칸디나비아 반도를 중심으로 넓게는 그리스 및 북부 이탈리아, 마케도니아, 포르투갈, 벨기에 상공)}}} || || '''유형''' || [[집단 히스테리]] 발현 및 [[소련]]의 탄도 미사일 시험 발사 {{{-2 (추정)}}} || || '''관할''' ||[[스웨덴군|스웨덴 공군]] 및 스웨덴 정부 [* 영국 정부, 그리스 정부, 미국 정부, 영국 왕립 공군도 진상조사에 관여 ] || || '''영향''' ||발사체 착탄 지점에서 크레이터 관측 소련에 대한 불안감 증폭 및 진상조사단 파견 등 행정소요 발생 || [목차] [clearfix] == 개요 ==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전 되고 얼마 지나지 않은 1946년부터 [[1950년대]]에 걸쳐 스웨덴 및 [[스칸디나비아]] 반도를 중심으로 목격된 괴비행체. == 상세 == [[1946년]] 2월 26일 [[스웨덴]]에서 최초로 목격 보고가 올라왔다. 46년 한해 동안 2천건이 넘는 목격 보고가 있었으며, 레이더에 직접적으로 포착된 사례만 해도 수백건이 넘어갔고, 비행 장면이 육안으로도 목격됐다. 지상에 직접 착탄해 [[크레이터]]를 만든 사례도 있었으나, 대다수는 호수나 연못에 착탄했고 수중수색에도 불구하고 의미있는 성과는 없었다. 서방은 파편 회수를 위해 노력했으나 회수된 파편들 중 일부는 [[운석]]의 잔해로 확인됐다. [* UFO라는 단어가 생기기 이전에 벌어진 일이라 당시에는 ufo라 불리지 않았다.]' 당시는 우주 탐사 용도의 로켓이 아닌 군사적 용도의 로켓을 개발하는데 한창이었으므로, 독일의 로켓 과학자들과 시설들을 인수한 미국, 영국, 소련이 제각각 로켓 개발에 한창이었기에 미국과 영국 등 서방은 소련이 자신들처럼 V1/V2 로켓의 개량형이나 후계 기체를 실험하고 있다고 여겼다. 이 때문에 파편을 회수하지 못한 것은 기술 유출을 우려한 소련이 로켓이 수면에 충돌하기 이전 자폭하는 식으로 스스로 폭파되도록 설계했다고 추측했다.[* 이런 류의 방식은 현재도 자주 쓰인다. 적국 등에 기술이 유출될 수도 있기 때문. 물론 가장 큰 이유는 폭파되지 않고 통짜로 지면에 충돌했다가는 큰 피해가 나올 수 있으므로 이를 피하기 위해서다.] 스웨덴 공군은 '[[집단 히스테리]]가 아닌 실제 로켓을 목격한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목격된 유령 로켓들의 특징을 꼽아보자면 공통적으로 시가형상이며 비행 날개가 없는 기체들도 관측됐다. 꼬리 부분에서는 [[불꽃]]을 분사하며 대략 고도 300m에서 1km 사이에서 항공기와 비슷한 속도로 기동한다. [* V1은 비행속도가 항공기와 비슷하기에 영국 공군 전투기들이 V-1 요격에 나서기도 했다.] 비행음이나 배기 흔적도 발견되는 경우가 있으며, V 시리즈 로켓과 기동 특성이 유사하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간이 만들어낸 로켓으로 볼 여지는 충분하기 때문에 심화되어가는 [[냉전]] 분위기 속에 공공의 적인 소련의 로켓 테스트로 추측됐었다. 이 미상의 발사체는 단연 [[스칸디나비아 반도]] 뿐만 아니라 그리스, 마케도니아, 포르투갈, 이탈리아 북부 등지에서도 관측됐다. 발사체의 정체를 두고 [[소련군]]의 로켓 시험이라는 등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었으며, 종전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서 [[집단 히스테리]]일 가능성도 제기됐다. 전후의 혼란한 상황에서 스웨덴 정부는 영국과 미국 정부에게 유령 로켓의 실체를 밝혀주기를 요청했다. 물론 소련은 부인했지만 스웨덴 정부는 1천건의 목격 보고 중 225건은 실제 발사체로 간주하였고, 발사체의 발사 장소로 나치 독일 시절 V시리즈 시험장이 위치한 [[동독]]의 페네뮌데(Peenemünde)등을 지목했다. 때문에 유령 로켓이 '실제 발사되는 군사용 로켓'과 집단 히스테리가 겹쳐 '[[유성우]]를 착각'한 사례가 뒤섞여 있다고 보고, 관측된 유령 로켓 중 일부는 실제 로켓으로 근원지가 소련이라는 걸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때문에 스웨덴 군 당국은 로켓을 발사한 국가(소련이나 제3국)들이 발사 성공 여부를 파악하거나 비행 데이터를 획득하지 못하도록 언론들에 로켓이 포착된 위치, 날아온 방향과 속도 등을 보도하지 말 것을 지시했다. 1946년 8월 12일 [[뉴욕 타임즈]]는 [[딘 애치슨]] 국무부 차관도 유령 로켓에 관한 보고서에 큰 관심을 가졌다는 사실을 보도했다. [[https://www.nytimes.com/1946/08/12/archives/swarm-of-mysterious-rockets-is-seen-over-capital-of-sweden-swarm-of.html|#]] 이렇듯 서방 지도층의 관심도 집중됐고, 스웨덴의 전문가 파견 요청을 받은 미국은 46년 8월 20일에 이르러 그 유명한 [[둘리틀 특공대]]의 지휘관이었던 제임스 둘리틀(James Harold Doolittle)과 [[CIA]]의 전신인 CIG의 국장인 '데이비드 사노프' 준장을 개인자격으로 스웨덴에 파견했다. 두 인물이 항공 방면에서 워낙에 유명한 인물인지라 스웨덴 국방부는 조언을 구하기 위해 이들에게 관련된 정보를 공개했다. 이 결과 CIG 등 서방 정부와 정보당국은 발사체들을 [[보트니아 만]]을 겨냥한 소련의 V 시리즈 개량형으로 결론냈다.유령 로켓이 자연 현상이나 [[집단 히스테리]]에 의한 가공의 산물이 아닌 실제 로켓이라는 것이다. 다만 [[영국]]이 스웨덴에 파견한 [[영국 공군]] 참모본부의 리차드 존스 교수는 이들 유령 로켓은 주간에도 관측되는 대기권에 막 진입한 매우 밝은 유성이며 전후의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스웨덴인들이 집단 히스테리를 일으킨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https://mysterium3.tistory.com/90|#]] 또 8월 9일과 11일에 목격 보고가 정점을 찍었었는데 이 시기 목격된 로켓들은 대부분 [[페르세우스 유성우]] 주기와 겹쳐 목격 보고 중 일부는 유성을 착각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발사체]]들의 정체가 유성우를 착각한 집단 히스테리라는 주장은 의문이 제기되는데 [[유성]]과는 완전히 상반된 유령 로켓의 특징들, 예를들어 유성과는 완전히 다르게 기동하며 대낮이나 유성우 활동 주기를 지났는데도 관측되었다는 점들 때문에 발표 결과에는 여전히 의문이 남는다. 상공에서 유령 로켓이 목격된 [[그리스]]도 조사에 착수했었다. 1946년 9월 5일의 당시 그리스 총리였던 [[콘스탄티노스 탈다리스]] (Konstantinos Tsaldaris)도 마케도니아와 테살로니키 [* [[데살로니카전서|데살로니가 전서]]의 데살로니가다] 상공에서도 유령 로켓이 목격됐다고 발표했다. 그리스의 [[물리학자]] 폴 산토리니 교수 [[https://www.protothema.gr/stories/article/817365/o-agnostos-paulos-sadorinis-mathitis-tou-ainstain-kai-efeuretis-tou-radar/|#]]도 조사팀을 이끌며 유령로켓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에 착수했다. 이후 그는 그리스 정부에 의해 조사가 중지됐다고 주장했다.이는 동시기 유령 로켓을 조사하던 다른 국가들도 유령 로켓의 배후에 소련이 있다고 결론 내린 뒤 취한 조치였다. 세월이 흐른 1967년, 산토리니 교수는 그리스 천문학 학회 [[https://helas.gr/|#]] 강연회에서 유령 로켓이 실제 로켓이 아니라는 점 [* 즉 인류가 만든 로켓이 아니라는 점]을 확인했으나 그러한 존재를 두려워 한 국가들에 의해 조사가 중지됐다고 발언했다. 이처럼 당시 조사를 담당한 군과 정부 기관 일각에서도 로켓이 현존 기술로는 방어할 수 없는 존재의 실존여부를 인정하는 것이라 여겨 두려워 했다는 주장도 있다. 즉 정리하자면 유령 로켓의 정체는 '''실제 로켓'''으로 독일의 V시리즈를 인수한 [[소련]]의 로켓 시험발사였고 [* 정황상 R-1/R-2 로켓 시험발사였을 가능성이 높다.] 유령로켓의 목격 사실이 알려진 이후에는 2차 세계대전 직후라는 상황이 겹쳐져 [[집단 히스테리]]가 발현. 공포에 질린 사람들이 통상적인 [[유성우]]들까지 발사체라 착각하는 촌극이 벌어졌다고 볼 수 있다. 또 목격보고만 2천건이 넘어가는데 최소 2천기가 넘는 로켓을 고작 시험발사하는데 소모할 필요성은 없다. 이러한 점에서 특히 V시리즈의 사거리가 닿지 않는 이탈리아, 그리스, 포르투칼에서 목격된 로켓들은 유성이라는 것이 더욱 확실시 된다. [* 다만 그리스의 경우 [[공산주의]] 정권이 집권했던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루마니아 인민 공화국 등 [[동구권]] 국가들에서도 시험 발사를 실시했다면 인접한 테살로니키에서도 관측이 불가능하지는 않다.] [* 일각에서는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이 붕괴된 이후 공개된 자료들에서는 당시 서독이나 북해 인근에서 소련이 로켓 시험을 했다는 것이 확인되지 않았다면서 소위 '유령로켓'을 단순한 히스테리로 치부하거나 실제 외계 비행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소련이 습득한 기술은 후일 [[스푸트니크]] 발사와 인류 역사상 가장 낭만적인 업적이자 냉전이 남긴 산물, [[우주경쟁]]을 치를 수 있는 기반을 [[소비에트 연방]]에게 제공한다. == 출처 == * [[https://www.usni.org/magazines/proceedings/1946/october/professional-notes|미 해군 연구소]] * [[https://www.project1947.com/gr/grchron1.htm|#]] * [[https://www.deccanchronicle.com/science/science/191116/1946-ghost-rockets-over-scandinavia.html|#]] == 관련 문서 == * [[미스터리 관련 정보]] * [[UFO]] * [[푸 파이터즈]] * [[집단 히스테리]] * [[V1 미사일]] * [[V2 로켓]] * [[스푸트니크]] * [[우주경쟁]] [[분류:미스터리]] [[분류:미스터리 사건]] [[분류:외계인]][[분류:음모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