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유럽사슴벌레}}}[br]European stag beetl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유럽사슴벌레.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Lucanus cervus'' '''[br]Linnaeus, 1758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곤충강(Insect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딱정벌레목(Coleopter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사슴벌레과(Lucan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사슴벌레속(''Lucan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유럽사슴벌레(''L. cervus'')''' || ||<-2> [[생물 분류 단계#종|{{{#000 '''아종'''}}}]] || ||<-2> ''Lucanus cervus cervus'' ''Lucanus cervus akbesianus'' ''Lucanus cervus judaicus'' ''Lucanus cervus turcicus'' || [[파일:유럽사슴벌레1.jpg|width=400]] [[파일:유럽사슴벌레2.jpg|width=400]] [목차] == 개요 == [[유럽]] 대륙의 대표 [[사슴벌레]]이며 수많은 아종이 존재하고 원아종은 유럽을 중심으로 [[아시아]] 전역에도 서식한다. 프랑스를 중심으로 유럽 대륙 곳곳으로 흩어져 다양한 모습으로 서로 변화한 아종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종명인 'cervus' 는 수사슴(stag)을 뜻하며 수사슴의 거대한 뿔 모양과 유사한 본종 수컷의 큰턱의 모습을 따라 지어진 것이며 'stag beetle'의 어원이 되는 종이다. == 상세 == ||[[파일:유럽사슴벌레 한살이.jpg|width=300]]|| ||'''유럽사슴벌레(''Lucanus cervus'')의 한살이'''[* 각각마다 밑에 있는 알파벳 순으로 보면 된다.]|| 사슴벌레속 최대의 사슴벌레인 동시에 유럽 최대의 사슴벌레인 유럽사슴벌레는 최대 100mm를 넘는 크기로 자라며[* [[https://nirasaki.fun/2019/07/09/miyamakuwagata/|https://nirasaki.fun/2019/07/09/miyamakuwagata/]]] 사슴벌레속 사슴벌레들 중에서도 크기가 가장 크며 전체 폭, 특히 머리가 크다. 다른 사슴벌레들처럼 유충 때 섭취 영양량에 따라 성충의 크기가 좌우되고 개체, 아종들에 따라 큰턱의 생김새나 외형이 천차만별로 차이가 존재한다. 몸 색깔은 대체로 붉은 흑색을 띠거나 잿빛을 띠는 경우가 많은데, 그 중에서 검은 빛이 강해지는 개체도 있다. 사슴벌레속에서 가장 크고 매력적인 외형으로 인기종이지만, 사슴벌레속 종들의 단점인 성충의 수명이 짧은 것과 운송 등으로 인한 급격한 환경 변화에 약한 점 때문에 [[왕사슴벌레]], [[넓적사슴벌레]]같은 종들은 커녕 [[톱사슴벌레]]나 [[멋쟁이사슴벌레]]같은 종들보다도 유통은 적은 편이다. 유럽사슴벌레는 [[사슴벌레]]보단 고온에 어느정도 견딜 수 있는 종이긴 하지만 성충, 유충 모두 25 ℃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온으로 인해 용화, 우화 시에 사망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사슴벌레]]도 마찬가지지만, 사슴벌레속 사슴벌레들이 수명이 굉장히 짧은 단명종이기도 하고 사육 난이도도 굉장히 높아서 인기종임에도 불구하고 관련 정보나 데이터가 다른 인기종의 사슴벌레들의 비해 부족한 편이다. == 아종 == * ''Lucanus cervus cervus'' Linnaeus, 1758 (원명아종) [[영국]] 남부에서 [[프랑스]]를 거쳐 동유럽까지 [[유럽]] 전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큰 턱의 적색이 진하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 사슴벌레와는 달리 몸통에 황금빛 털이 자라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프랑스, 독일 등 서유럽의 원산지에서는 보호종이기 때문에 유통되는 개체들은 대부분 동유럽산이다. * ''Lucanus cervus akbesianus'' Planet 1896 [[시리아]]에 서식하며 학명대로 아크베시아누스유럽사슴벌레[* アクベシアヌスミセマクワガタ ]라고 부르기도 한다. 유럽사슴벌레 아종 중에서 가장 크기가 큰 종으로 기네스 기록도 akbesianus가 기록했다. 원명아종과 비슷한 외형을 하고 있지만 투톤형태의 색상을 거의 나타내지 않는 편이다. 하지만 개체 차이가 존재하므로 색상으로 구별하기는 어려우며 먹이를 먹을 때 사용하는 돌기 부분을 보면 구분이 가능하다. 후술할 아종 judaicus 보다 머리도 몸도 약간 날씬한 편이다. 큰 턱 기지의 곡선이 강해지고, L 자형에 가까운 형태를 하고 있다. 턱의 끝 부분 차이도 크다. * ''Lucanus cervus judaicus'' Planet 1902 [[소아시아]]에 서식하며 학명대로 쥬다이쿠스유럽사슴벌레[* ジュダイクスミヤマクワガタ ]라고 부르기도 한다. akbesianus랑 거의 차이가 없을 정도로 크게자라는 대형 종이며 akbesianus 보다 턱 끝은 약간 좁은 편이지만, 몸과 머리는 더 크다. 특히 턱을 포함한 머리는 몸길이의 절반을 차지할만큼 매우 거대하다. 온몸이 하얀 털로 얇게 덮는다. akbesianus와 같은 지역에 서식하며 분포도 겹치지만, 턱의 형태와 머리 방패 등으로 어렵지 않게 구분할 수 있으며 생태적인 습성이나 본능적 행동들은 별 다를바 없지만 judaicus 아종이 훨씬 더 높은 [[고산]] [[지대]]에 서식하고 있다. 원명아종과는 외형적 특징이나 몸의 색 등이 매우 유사한데 가슴 좌우측으로 나 있는 더듬이로 구분이 가능하다. *'' Lucanus cervus turcicus'' Sturm 1843 튀르키예, 불가리아, 그리스, 루마니아 등에 서식하며 큰 턱의 치아가 약간 전방으로 약한 곡선으로 뻗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Lucanus cervus laticornis'' Deyrolle 1864 [[튀르키예]], [[시리아]] 동부에 서식한다. * ''Lucanus cervus poujadei'' Planet 1897 [[이란]]에 서식한다. [[분류:사슴벌레속]][[분류:애완동물/딱정벌레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