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_of_the_Eurasian_Economic_Union.svg.png]] |||| 유라시아 경제 연합의 정보 || ||인구 || 약 1억 8457만 명([[2020년]]) || ||면적 || 20,229,248 km² (세계 1위) || ||명목 [[GDP]] || 1조 7,060억 달러([[2020년]]) [* [[IMF]] 공식 통계 (2020)] || ||[[GDP(PPP)]] || 4조 7780억 달러([[2020년]]) [* [[IMF]] 공식 통계 (2020)] (세계 4위) || ||1인당 명목 GDP || 6,000 달러([[2020년]]) || ||1인당 [[GDP(PPP)]] || 18,500 달러([[2020년]]) || |||| 언어별 명칭 || ||[[러시아어]] ||Евразийский экономический союз, ЕАС (Yevraziyskiy ekonomicheskiy soyuz) || ||[[벨라루스어]] ||Eўразійскі эканамічны саюз, ЕАС (Yeŭraziyski ekanamichny sayuz) || ||[[카자흐어]] ||Еуразиялық экономикалық одақ, ЕАО (Ewrazïyalıq ekonomïkalıq odaq) || ||[[키르기즈어]] ||Евразиялык экономикалык биримдик, ЕАБ (Evraziyalık ekonomikalık birimdik) || ||[[아르메니아어]] ||Եվրասիական տնտեսական միություն (Yevrasiakan tntesakan miutʻyun) || ||[[영어]] ||Eurasian Economic Union, EAEU || ||[[프랑스어]] ||Union économique eurasiatique || == 개요 == [[유라시아]] 경제 연합은 [[독립국가연합]]에 있던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키르기스스탄]] 5국의 정치, 경제, 군사, 문화를 통합하는 [[국가연합]]이다. [[2012년]] 1월 1일부터 [[유럽연합]]과 비슷한 단일시장을 만드는 작업에 착수하였다. 그리고 2014년에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를 해체하기로 합의되고 [[2015년]] 1월 1일 유라시아 경제 연합(EAEU·Eurasian Economic Union)이 공식 출범하였다.[[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50104010000973|##]] == 특징 == 현재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주도로 통합을 이끌고 있지만 원래부터 [[러시아]]의 숙원 사업이였다고 한다. [[독립국가연합]]은 구소련 국가들의 친목단체 정도일 뿐이기 때문. 원래 [[카자흐스탄 대통령]]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가 주장했던 이론이었다.[* [[카자흐스탄]]은 같은 튀르크계 국가인 [[터키]]처럼 영토가 [[아시아]]와 [[유럽]] 양쪽에 걸쳐져 있기 때문에 동서양의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는 지리적 이점이 있다. 터키가 [[지중해]] 및 [[흑해]]를 통한 해상 교두보 역할을 한다면 카자흐스탄은 아시아와 유럽의 경계인 [[우랄 산맥]]을 넘는 육상 교두보 역할을 하는 셈이다.] 하지만 [[독립국가연합]]의 산업통합 계획에 밀려 뒷전이였다가 [[2011년]] 즈음부터 다시 부상하기 시작해 현재 진행중이다. 구조는 [[유럽연합]]과 유사하지만, '''부동의 1위 땅덩어리를 자랑하는 러시아'''와 함께 '''[[카자흐스탄]]''' 등을 통합해 [[넘사벽]]인 '''20,260,431 제곱킬로미터'''[* 구소련 면적 90.3%]나 되는 국토와[* 심지어 [[명왕성]]보다도 크다!] 1억 8천만이라는 [[국가별 인구 순위|세계 7위의 인구]]를 가진 상당한 규모의 연합이다. 게다가 상대적으로 작아보이는 [[벨라루스]], [[키르기스스탄]]도 한덩치 한다. ([[국가별 국토 면적 순위]] 참고) 무지막지한 영토와 인구에서 나오는 시장의 잠재성과 엄청난 원자재량, 러시아가 강력한 군사력과 첨단기술을 보유하고 [[러시아어]]가 통용되는 연합이기 때문에 앞으로의 귀추가 주목된다. 그리고 [[한국]], [[이란]]을 포함한 일부 국가 및 [[아세안]]과 FTA를 체결하려는 준비를 하고 있다.[[https://web.archive.org/web/20160520152000/http://kr.sputniknews.com/business/20160519/1386430.html|#]][[https://web.archive.org/web/20160415095409/http://kr.sputniknews.com/business/20160404/1234413.html|#]] [[2018년]] [[5월 17일]]에 [[이란]]과 임시로 [[FTA]]를 체결하고 3년뒤에는 정식체결하면서 [[중국]]과 경제협력협정을 체결 하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0092858|#]] [[파일:TASS_7253847-pic4_zoom-1000x1000-51169.jpg]] 왼쪽부터 순서대로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블라디미르 푸틴]]이다. 유라시아 경제동맹 결성의 서명식이 [[2014년]] [[5월 29일]] 카자흐스탄 수도 [[아스타나]]에서 있었다.[[http://www.47news.jp/korean/economy/2014/05/090516.html|#]] 당초 멤버는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3국이다가, [[2014년]] [[10월 9일]] 아르메니아가 추가 가맹했으며, [[12월 23일]] 키르기스스탄이 가입조약에 서명하고 [[2015년]] [[5월 1일]]에 가맹했다. [[2015년]] [[1월 1일]]에 경제동맹이 출범되었고, 현재 가입 국가는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키르기스스탄 5개국이다. [[2017년]] 4월 [[몰도바]]가 옵저버가 되었다.[[https://www.euractiv.com/section/europe-s-east/news/moldova-granted-observer-status-in-eurasian-union/|#]] 이 기구의 가입가능성은 구[[소련]] 국가에게는 모두 열려 있다.[* 물론 [[발트 3국]]이나 [[조지아]], [[우크라이나]]등의 국가가 이 기구에 가입할 가능성은 거의 제로이다. 또한, 2011년 당시 원래 유라시아 경제 연합 가입 희망 국가는 [[1991년]] [[소련 해체]]를 공식 선언했던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등 4개국이었지만, [[우크라이나]]는 2013년 말 유로마이단 사태로 친러 정권이 무너지고 [[크림 위기]], [[돈바스 전쟁]] 등으로 러시아와의 관계가 급속도로 악화되면서 결국 유라시아 경제 연합에 합류하지 않았다.] 유라시아경제위원회 소재지는 [[모스크바]](러시아), 법원 소재지는 [[민스크]](벨라루스), 유라시아개발은행 소재지는 [[알마티]](카자흐스탄)이다. 러시아를 비롯한 [[유라시아 연합]] 5개국은 2019년 8월 8일에 한국산 열연제품에 대해 12월부터 쿼터를 부과하기로 최종 합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11011924|#]] 코로나19 여파로 식량 수출 금지하였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544456?sid=104|#]] [[2020년]] [[6월 2일]] [[카자흐스탄]]의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대통령은 러시아와 벨라루스와의 연합국 구성에는 참여하지 않는다고 밝혔고, 러시아, 벨라루스와는 유라시아 경제 연합 회원국으로 글로벌 경제에 공동으로 대처해 나갈 뿐이라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653971|#]] [[2020년]] [[12월 11일]] 구 [[소련]] 국가인 [[우즈베키스탄]]과 [[중앙아메리카]] 국가인 [[쿠바]]가 옵저버 자격을 획득했다. [[https://eng.belta.by/politics/view/uzbekistan-cuba-granted-observer-status-at-eurasian-economic-union-135793-2020|#]] 우즈베키스탄의 경우 [[2022년]] 이후 유라시아 경제 연합에 정회원 가입이 예측된다. [[https://eadaily.com/ru/news/2020/09/03/uzbekistan-vstupit-v-eaes-alternativy-net|#]] [[이란]]이 유라시아 연합 가입에 관심이 있다고 한다. [[https://en.irna.ir/news/84225508/Iran-to-permanently-join-EAEU-in-two-weeks-Parliament-speaker|#]] [[2021년]] [[7월 9일]] 텡그리뉴스는 유라시아 경제 연합 회원국 시민들이 러시아를 방문할 때 [[코로나19]] 검사 음성 결과를 확인하는 [[QR코드]]를 제시해야 한다고 보도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515785|#]] [[2022년]] [[1월 20일]] 방러한 세예드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은 [[이란]]의 유라시아 경제 연합의 협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515785|#]] 5월 26일 베네수엘라 정부가 유라시아 경제포럼에 참가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212463?sid=104|#]] == 회원국 == [[집단 안보 조약기구]] 회원국과 거의 같다. 가입국이 5개밖에 없는데 매우 넓다. 회원국의 면적을 합하면 [[남아메리카]] 대륙보다 넓고, [[유럽]]의 2배쯤 된다. 모든 회원국들은 이미 독립국가연합 시절부터 상호 무비자 협정을 체결하고 있고, 특히 러시아의 경우 유라시아 경제 연합 회원국들로 여행을 갈 때에는 한국의 주민등록증에 해당하는 국내용 여권으로도 입국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Visa_requirements_for_Russian_citizens#/media/File:Visa_requirements_for_Russian_citizens.png|러시아 여권 지도]] === 정회원국 === || 나라 || 가입일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회원국 면적 84.5% ] || 2015-01-01 || ||[include(틀:국기, 국명=벨라루스)] || 2015-01-01 || ||[include(틀:국기, 국명=카자흐스탄)][* 회원국 면적 13.4% ] || 2015-01-01 || ||[include(틀:국기, 국명=아르메니아)] || 2015-01-02 || ||[include(틀:국기, 국명=키르기스스탄)] || 2015-08-12 || === 옵저버 === || 나라 || 가입일 || ||[include(틀:국기, 국명=몰도바)] || 2017-04-14 || ||[include(틀:국기, 국명=우즈베키스탄)] || 2020-12-11 || ||[include(틀:국기, 국명=쿠바)] || 2020-12-11 || === 유력 가입 후보국 === 이름이 유라시아 연합인만큼 가입 자격은 유럽이나 아시아의 어떤 나라에게도 열려있다. 이름 때문에 쿠바가 여기에 정식 회원국으로서 가입할 수 있을 지는 의문이 든다. *\ [include(틀:국기, 국명=몽골)] *\ [include(틀:국기, 국명=시리아)] *\ [include(틀:국기, 국명=타지키스탄)] === 자유무역지대 === *\ [include(틀:국기, 국명=베트남)] *\ [include(틀:국기, 국명=이란)]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include(틀:국기, 국명=세르비아)] *\ [include(틀:국기, 국명=싱가포르)] == 정치체계 == * 유라시아 경제위원회가 설립되었고, 연합의 가입국들의 경제문제를 논의하게 된다. 위원회는 위원장과 각국의 수상과 대통령 각각 대표자들로 구성된다. 유라시아 경제위원회는 또한 유라시아 연합의 정부의 부서 수립에도 권한을 가진다. 1대 의장은 러시아 연방의 전 부총리인 빅토르 흐리스텐코이다.[[http://ko.wikipedia.org/wiki/%EB%B9%85%ED%86%A0%EB%A5%B4_%ED%9D%90%EB%A6%AC%EC%8A%A4%ED%85%90%EC%BD%94|위키백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5492063|뉴스]] *연합국가수반이사회(Council of Heads of Republics)와 유라시아 연합 국가원수는 정치적으로 가장 높은 지위를 가진다. *유라시아 연합 의회는 국가 최고 심의기관이다. *유라시아 연합 외무부 이사회는 외무정책을 통일시키는 일을 담당한다. *주제 집행위원회는 각 행정부의 권한 감독을 담당한다. *주제 행정위원회 정보관리소 - 하위기관 *그 외 행정부들이 유라시아 연합의 정치체계이다. == 경제체계 == *연합경제회의(Комиссия по экономике)는 위의 유라시아 경제위원회와는 다른 조직이다. 이들은 경제정책에 대해 의논하는 조직이다. *원자재관리위원회는 원자재와 에너지 수출한도를 동결시키고 정책 설립으로 생산량 조절과 금 같은 희토류의 수출도 이들이 관리한다. *경제 및 과학기술 협력기금(기금을 모으는 방법은 유라시아 연합국 내의 기부 등으로 모은다)은 첨단 과학기술과 경제적인 연구의 자금을 지원하고, 법적, 세금, 금융적, 환경적 문제 등을 해결하는 데에도 지원을 하는 기관이다. *주제 금융산업집단[* 한국으로 치자면 러시아의 대기업그룹] 및 합작투자·사업 위원회는 각 금융산업집단의 함께 할 사업/투자를 논의하는 곳이다. *유라시아 국제투자은행이 설립되면서 투자자들은 유라시아 연합국 내의 사업을 쉽게 투자할 수 있게 된다. *유라시아 국제중재재판소는 다국적 기업과 유라시아 연합내 기업의 갈등의 중재를 담당한다. 그외 다른 문제도 이곳에서 재판을 거칠수 있다. *통화 결제·처리위원회는 유라시아 연합내의 화폐를 통합 방안을 논의한다. *유라시아 생태학 위원회는 유라시아 연합내의 생태계를 보전하고 무조건적인 개발을 방지하는 정책을 논의한다. === 유라시아 연합의 [[통화]] === 이 통화에 대한 정책은 [[2015년]]에 설립되는 유라시아 연합의 통화 결제/처리위원회가 정책을 의논할 것이며 통화는 현재 구상중에 있다. 후보로는 4가지가 있는데 *알틴 *연합 [[루블]] *유라시아 [[루블]] *예바라스([[유라시아]]를 뜻한다) 등이 있다. == 국방 == *구조적으로는 유라시아 연합군이 창설되어 연합국간의 합동훈련과 작전을 수행하며 유라시아 연합의 외부[[국경]][* 통합국가연합의 가입국 외의 국경을 뜻한다. 내부국경은 각 가입국간의 국경을 뜻하는 단어이다.]의 방어를 수행한다. *본부는 [[모스크바]]에 설치되며, 유라시아의 안보와 유라시아 연합 내의 분쟁등을 중지시키거나 위협을 제거한다. *연합국간의 안보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안전보장이사회를 만든다. == 관련 문서 == * [[러시아/외교]] * [[벨라루스/외교]] * [[카자흐스탄/외교]] * [[키르기스스탄/외교]] * [[아르메니아/외교]] * [[유라시아주의]] * [[러시아-벨라루스 연맹국]] * [[독립국가연합]] * [[주권국가연맹]] * [[집단 안보 조약기구]] * EAEC -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 * [[상하이 협력 기구]] [[분류:유라시아]][[분류:국제기구]][[분류:독립국가연합]][[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