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유고슬라브족, rd1=남슬라브)] ||
<-7><:> '''{{{#000,#ddd 유고족 관련 틀}}}''' || ||<-7><:><#fff,#2d2f3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튀르크)] [include(틀:중국의 민족)] [include(틀:동아시아와 북아시아의 민족)] ---- }}} || * [[중국어]]: 裕固族(Yùgùzú) * [[서유구르어]]: Yoɣïr * [[동유구르어]]: Yogor * [[영어]]: Yugur [목차] == 개요 == || [[파일:裕固族家族_1944年攝於中國甘肅省蘭州市.jpg|width=90%]] || || [[1944년]] [[간쑤성]] [[란저우시]]에서 촬영된 유고족 가족. || 유고족/유구르족은 [[중국]] [[간쑤성]]의 [[소수민족]] 중 하나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사는 [[위구르인]]들과 근친 관계에 있는 민족이다. [[타림 분지]]의 토하라인이나 중앙아시아 등지에 살던 이란계 민족 소그드인, 샤카족과 혼혈되지 않아 이들과 피를 섞어 유라시안의 외모를 띄는 [[위구르인]]과 다르게 여타 [[시베리아 원주민|북아시아인]]과 매우 가깝다. 유고족은 스스로를 Yoɣïr/Yogor라고 부르는데 학계에서는 이 명칭이 역사상 [[송나라]] 때에 나타나는 황두회흘(黃頭回紇) 및 [[원나라]] 때의 살리외올(撒里畏兀)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인정한다. '황두회흘'은 송대 초기에 [[타림 분지]] 동남부에 나타난 회흘의 한 갈래이다. 원 왕조 초기에 황두회흘이 정주하던 지역에 또다시 살리외올(撒里畏兀)이라는 종족 명칭이 나타난다. 현재까지의 연구 성과는 송대의 황두회흘이 바로 원대의 실리외올과 같다고 공인한다. 이 황두회흘의 연원에 대하여 학계에서는 두 가지 관점이 존재한다. 하나의 관점은 황두회흘이 감주회흘(甘州回紇) 또는 감주회골(甘州回鶻)에서 유래하였다는 것이고 또 다른 관점은 서주회흘(西州回紇)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관점 모두 오늘날의 유고족과 [[위구르 제국|고대 위구르족]]과의 관련성이 깊다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 인구와 분포 == 인구는 2010년 기준 14,378명이며, 주로 [[간쑤성]]의 숙남유고족자치현/쑤난위구족자치현(肃南裕固族自治县)에 거주한다. == 역사 == [[파일:Selengerivermap.png]] 그들의 조상은 몽골 오르혼 강 유역에서 유래되었으며, [[위구르 제국]]이 멸망한 이후 [[간쑤성]] 일대로 이주해 세운 [[하서회골]](河西回鶻)의 후예이다. [[위구르]]와 마찬가지로 [[튀르크]]계 종족으로, [[돌궐]]의 적대 부족인 [[철륵]]의 후예이다. 위구르 부족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할 때 이들은 [[티베트]]의 영향으로 [[불교]]도가 되었다. 오늘 날의 하서회랑 중부의 [[장예(도시)|장예]]를 수도로 삼아 감숙 왕국(870~1036년)을 재건하여, 빛을 발했는데, [[송나라]] 때의 사서에 의하면, 감숙 왕국의 인구는 30만 명에 이르며, 주민은 [[마니교]]나 [[불교]]를 믿고, 나라 안에 사원이 가득했다고 전한다. 그러나 1028년부터 1036년까지 계속 된 격렬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탕구트]]에 강제 편입되었다.[* 당시 [[카라한 칸국]] 출신의 바그다드의 대학자 [[마흐무드 알 카슈가리]]는 이 싸움으로 유고족의 피가 강처럼 흘렀다고 전했다.] [[원나라]]는 '살리외올'을 정복한 이후, 그 지역에 관부(官府)를 설치하여 통치하였다.[* 이후 [[원나라|원]]을 멸망시킨 [[명나라]] 또한 원 왕조의 통치정책을 기본적으로 승계하였다.] 서기 15세기 말에서 16세기 초에 살리외올은 [[만리장성]]의 서쪽 끝 관문인 [[가욕관]] 이서 지역에서 동으로 이동하여 가욕관 이동 지역인 숙주(肅州), 감주(甘州)의 기련산(祈連山) 지역에 정착하였고, 유고족 사회 내부의 구조에도 중대한 변화가 일어났다. 이후 [[1696년]] [[청나라]]의 [[강희제]]가 살리외올(동부 유고족)이 살던 서북지역을 정복하면서 청조에 편입되었다. 청 왕조는 이들이 원래 갖고 있던 부락조직을 기초로 7족(七族)으로 나누었다. [[중화민국]] 시기에는 기련산 북록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티베트인]]으로 인식하여 장민(藏民)으로 통칭하였으며, 속칭은 번(番)이었다. 토번(티베트)의 번이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1953년]]부터 진행된 제 1단계 민족조사 및 식별사업을 거쳐 새롭게 인정된 38개 소수민족에 포함되었으며, 같은 년도에 개최된 '기련산 북록 각 족 각계인사 좌담회'에서 유고족의 민족명칭 관련, 전통적으로 스스로 불렀던 명칭이었던 Yoɣïr/Yogor와 발음이 비슷하면서 동시에 [[중국어]]상 뜻이 '부유하고 공고하다'라는 의미의 '裕固族'(유고족 혹은 위구족)으로 민족 명칭을 정하였다. == 언어 == 시베리아 [[튀르크어족]]의 [[서유구르어]]와 [[몽골어족]]에 속하는 [[동유구르어]]를 사용한다. 특히 [[서유구르어|서부 유구르어]]의 경우 고대 [[위구르어]]의 특징이 많이 남아 있으며, [[한자]]를 차용해 표기한다.[* 19세기 말까지 일부 공동체에서 [[https://en.wikipedia.org/wiki/Old_Uyghur_alphabet|고대 위구르 문자]]가 쓰였으나, 현재는 표기되지 않는다고 한다.] == 종교 == 현재는 주로 [[티베트 불교]]를 믿지만, [[텡그리 신앙|과거에는 하늘의 신인 “한텡그르”(汗点格爾, '큰 하늘'이라는 뜻)를 경배하였다.]] “한텡그르”를 경배하는 의식은 '야혁철'(也赫哲) 또는 [[중국어|한어]]로는 '사공자'(師公子)라고 부르는 전문적이고 종교적인 [[신관]]이 담당하였으며 21세기에도 이러한 과거 신앙의 흔적이 부분적으로 남아 있다. 오늘날 유고족의 가정에는 고대 위구르 [[샤머니즘]]의 영향으로 각 가정에 제단을 두고 고유의 [[제사]]를 지낸다. 적지 않은 이들이 여전히 조상 숭배를 하고 있는데 조상신은 매우 강력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후손들의 삶을 돕기도 하고 위험하게도 하는 능력을 사용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조상신은 경외, 두려움 그리고 존경의 대상으로 그려지고 있다. [[기복신앙|조상숭배자들은 축복을 받고자 하는 목적으로 조상신에게 음식과 술, 향 등을 바친다.]] == 문화 == 복식이나 전통 음악 등은 [[몽골]]과 흡사하다. === 복식 === [[파일:54366165b2f81fd_w1198_h799.jpg]] 전통복장은 색상이 화려한 편인데, 이들의 옷은 [[몽골인]]들의 [[델(의복)|전통의상]]과 유사하다. 일반적으로 옷섶이 높고 좌측으로 접는 큰 소매의 옷을 입는데 홍색과 남색의 허리띠를 차고 털로 짜서 만든 백색의 [[중절모]] 또는 의례용 [[모자]]를 쓰며 목이 높은 가죽신이나 신발 코가 두 개 있고 신발 등이 둥근 모양의 신을 신는다. 흔히 “니우츠수이마오”(牛吃水帽)라고 하는 모자를 쓰는데 테두리를 검게 한 흰색 중절모로 앞은 낮게 뒤는 높게 만들었으며 유고족 남성의 상징물이 되었다. [[부녀자]]들은 옷 컬러가 높은 긴 겉옷을 입으며 목이 긴 천으로 된 신발을 신고 홍색, 녹색 및 자주색의 허리띠를 하고 붉은 끈이 달린 나팔 형태의 모자를 쓴다. 결혼한 표지로 앞가슴에는 “카런”, 등에는 “더스꺼”(德斯格)를 부착하는데 모두 각종 꽃무늬나 도안과 [[은]], [[산호]], [[마노]] 등 패물을 장식한다. [[미혼]] 여성의 옷도 [[기혼자]]와 거의 같으나 장식하는 패물만 다르다. 모자 역시 동서부가 달라서 서부 유고족들의 여자 모자는 꼭대기가 뽀족하고 뒤를 접어 올리며 가죽 털로 만든다. 동부 유고족들의 여자 모자는 꼭대기가 큰 원형이며 예식 모자와 형태가 유사한데 [[기혼]] 부녀자만 쓴다. === 음식 === 유고족의 전통적인 식사 습관은 하루에 [[차]]를 세 번 마시고 식사는 한 번 먹는다. 주식은 [[국수|면]], [[좁쌀]], [[쌀]] 등이고 부식은 [[우유]]와 [[고기]]이다. 즉, 주로 아침에는 우유차(奶茶)에 야크 젖으로 만든 버터의 일종인 수유(酥油)를 넣은 “차오미엔나이차”(炒面奶茶)를 마시고 점심 또는 저녁에는 [[빵]]을 먹거나 [[수제비]]와 같은 밀가루 음식을 먹는다. 고기는 [[양고기]]를 먹되 죽은 것은 먹지 않는다. 양고기는 주로 말려서 나중에 삶아 먹거나 수제비와 같은 음식을 먹을 때 넣어서 먹기도 한다. 또한 [[양(동물)|양]]의 [[내장]]을 이용해 “즈궈깐”(支果干) 같은 [[순대]]를 만들어 먹는다. 그 외에도 야크 젖으로 만든 [[요구르트]], [[치즈]]와 [[버터]]를 먹는다. 성인 남성들은 [[담배]]를 자주 피고 고기를 먹으면 필히 술을 마신다. 손님이 오면 청과주(靑稞酒)라는 술을 대접한다. === 주거 === [[야크]] 털이나 [[양(동물)|양]] 털로 만들어진 사각기둥 혹은 사각뿔 모양의 장봉(帳篷)이라는 천막형 집에서 주로 거주하며 일부는 [[흙]], [[벽돌]]로 만들어진 집에서 산다. 집의 내부구조는 방의 구분이 없이 한 개의 공간으로 되어 있다. 대개 정방형이고 벽의 높이는 1m 가량이며 중앙에 약 2m 가량의 기둥이 지지하고 있다. 주로 중앙에 화로가 있고 한쪽에 침대와 다른 한쪽에는 부엌이 있다. [[야크]] 털은 방수효과가 있어서 비가 새지 않는다. 특별한 전기 조명기구가 없는 집에서는 천장의 개폐가 가능해서 낮에는 열어 놓고 조명기구와 통풍시설을 대신한다. === 생활 === [[사계절]]을 돌아가며 [[유목]]을 하고 부업으로는 [[사냥|수렵]]을 한다. 따라서 주 소득원은 [[양(동물)|면양]]이고 그 외에 [[야크]], [[말(동물)|말]], [[산양]], [[당나귀]] 등도 기른다. 추운 [[겨울]]이나 아직 풀이 풍족하지 않은 [[봄]]에는 집 주위의 목장에 가두어 키우며 풀이 많은 [[여름]]과 [[가을]]에는 [[초원]]을 찾아 이동하면서 목축을 한다. 목축을 할 때는 주위에 굴을 파놓아 [[양(동물)|양]]이 비를 피할 수 있게 한다. 겨울에는 [[석탄]]을 이용하고 여름에는 [[야크]]의 [[똥|대변]]을 말려서 사용한다. 일부 소수의 유고족은 넓은 지역에 흩어져 살고 있어서 한 장막에서 다른 장막으로 이동하는 거리가 멀다. [[간쑤성]]에 정착한 일부는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수렵과 목축업을 포기하였다. 하지만 숙남 지역에서는 여전히 기존의 생산형태를 유지하고 있고, 고지대에 사는 유고족들은 [[야크]], [[양(동물)|양]], [[염소]], [[말(동물)|말]] 등을 목축하는 반면 저지대에 사는 이들은 주로 [[소]], [[낙타]]와 약간의 양과 염소를 키운다. == 기타 == 서유구르 부족 중에서 '얄라게(Yalage)'라는 명칭을 지닌 부족이 있는데, 이는 옛 위구르 제국을 다스렸던 야글라카르 씨족과 관계가 있다고 한다. == 관련 문서 == * [[간쑤성]] * [[위구르]] * [[위구르 제국]] [[분류:중국의 민족]][[분류:위구르족]][[분류:튀르크]][[분류:몽골계 민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