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arkR_LDN_2023.png|width=100%]]}}} || ||<-2> '''런던 스핏파이어 No.25[br]{{{+1 SparkR}}}''' || ||<-2> '''{{{#ff8201 윌리엄 안데르손 (William Andersson)}}}''' || || '''출생''' ||[[2003년]] [[6월 10일]] ([age(2003-06-10)]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스웨덴)] || || '''ID''' ||'''SparkR''' || || '''포지션'''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width=25]] DAMAGE || || '''주 영웅''' ||[[소전(오버워치)|[[파일:오버워치2 소전 초상화.png|width=30]]]] [[시메트라|[[파일:오버워치2 시메트라 초상화.png|width=30]]]] [[바스티온|[[파일:오버워치2 바스티온 초상화.png|width=30]]]] [[한조(오버워치)|[[파일:오버워치2 한조 초상화.png|width=30]]]] [[캐서디|[[파일:오버워치2 캐서디 초상화.png|width=30]]]] [[애쉬(오버워치)|[[파일:오버워치2 애쉬 초상화.png|width=30]]]] [[솔저: 76|[[파일:오버워치2 솔저: 76 초상화.png|width=30]]]] || || '''소속''' ||Orgless and Hungry (2018.11.01 ~ 2019.01.08) [[브리티시 허리케인|[[파일:British_Hurricane_teamcardimage.png|width=22]] 브리티시 허리케인]] (2019.02.23 ~ 2021.01.06) [[런던 스핏파이어|[[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height=25]] 런던 스핏파이어]] {{{-3 비활성화}}} (2021.01.06 ~ 2021.06.09) [[브리티시 허리케인|[[파일:British_Hurricane_teamcardimage.png|width=22]] 브리티시 허리케인]] {{{-3 투웨이}}} (2021.02.15 ~ 2021.12.17) [[런던 스핏파이어|[[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height=25]] 런던 스핏파이어]][br](2021.06.10 ~ 2022.11.11) [[런던 스핏파이어|[[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height=25]] 런던 스핏파이어]][br](2023.02.24 ~ 2023.10.30) || || '''국가대표'''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2023 오버워치 월드컵|2023]]) || ||<-2>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parkR_OW, 크기=20)] [[https://instagram.com/sparkr_|[[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twitch.tv/sparkr_|[[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your2023ldnspitfire스파커.jpg |width=100%]]}}} || || {{{#1c2b39 '''[[https://youtu.be/4VJyiU1ntqs| Your 2023 London Spitfire]]''' }}} || 현 [[런던 스핏파이어]] 소속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스웨덴]] 국적의 오버워치 리그 선수이다. [[런던 스핏파이어|런던]]의 메인딜러 포지션에 있는 선수로, 페어딜러 [[제이미 오닐|백본]]과 함께 '백파커' 딜듀오로 불린다. 런던식 라인러쉬에서는 경우에 따라서 영웅을 바꿔가며 두 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 [[소전(오버워치)|소전]], [[캐서디]], [[한조(오버워치)|한조]]와 같은 중원거리 딜러를 통해 변수킬을 낸다. * [[시메트라]]를 이용해 팀의 기동력과 공간 장악력을 올려준다. == 주요 경력 == * 우승 경력 * 2021.04.02 오버워치 컨텐더스 2021 유럽 시즌1 (03월) * 2020.12.19 오버워치 컨텐더스 2020 건틀릿: 유럽 * 2020.11.24 EBC EMEA 메이저 * 2020.11.01 오버워치 컨텐더스 2020 유럽 시즌2 (10월) * 2020.09.27 오버워치 컨텐더스 2020 유럽 시즌2 (09월) * 2020.08.28 오버워치 컨텐더스 2020 유럽 시즌2 (08월) * 2020.07.31 오버워치 컨텐더스 2020 유럽 시즌2 (07월) * 2020.06.14 오버워치 컨텐더스 2020 유럽 시즌1 플레이오프 * 준우승 경력 * 2020.11.22 오버워치 컨텐더스 2020 유럽 시즌2 (11월) * 2019.05.03 오버워치 컨텐더스 2019 유럽 시즌1 == 상세 == 2021 시즌, 누끼를 필두로 런던 스핏파이어가 전원 서양인팀으로 탈바꿈하자 그녀가 이끌던 브리티시 허리케인의 멤버들을 대거 콜업했다. 스파커도 이때 런던으로 콜업된 멤버 중 하나로, 런던의 딜러라인을 담당하게 되었다. 하지만 오버워치 리그의 최소연령 제한에 걸려서 생일이 지나기 전까지는 비활성화 상태로 등록되어 있었다. 구단은 비활성화 기간 동안 스파커의 기량을 유지시키고자 스파커에게 [[브리티시 허리케인]]과 투웨이 계약을 맺게 했다. 시즌 중반 즈음 생일이 지나서 비활성화가 풀렸다. 이후 출전한 첫 경기에서 패배했는데, "데뷔 경기는 이기고 싶었는데 그러지 못해서 안타깝다"라는 트윗을 올렸다. 시즌 후반부로 갈수록 [[하디 다니엘 블레이나젤|하디]]의 기량도 약간이지만 차츰 올라오고 스파커도 나름 준수하게 했지만, 나머지 팀원들의 끔찍한 기량은 여전했기 때문에 스파커도 빛나지 못했다. 2022시즌을 준비하며 누끼는 [[요하네스 니엘센|샥스]]를 위주로 리빌딩할 것이라는 방향성을 발표했는데, 이 과정에서 많은 선수들이 방출되었다. 하지만 스파커는 나이제한으로 인한 비활성화 기간이라는 리스크를 안고서도 콜업된 일종의 롱텀 플랜이었기 때문에 방출되지는 않았다.[* 2019시즌에 아가페가 롱텀 플랜으로 데려왔다고 직접 언급한 [[정영훈(프로게이머)|크리링]]도 2019시즌 종료 후 방출되지 않았고 2020시즌까지 완주했다. ] 2022시즌 런던은 시작부터 작년과 다른 모습을 보이며 기대감을 증폭시켰고 그 중심에는 [[하디 다니엘 블레이나젤|하디]]가 있었다. 팀원들이 하디를 중심으로 움직이며 그의 캐리를 보조했다. 그것은 스파커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시즌 후반부로 갈수록 점차 [[하디 다니엘 블레이나젤|하디]]의 캐리력보다는 스파커의 캐리력이 부각되기 시작했고, 스파커의 킬이 한타 승리의 신호탄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시즌의 전반부는 [[하디 다니엘 블레이나젤|하디]]가, 후반부는 스파커가 이끌어가는 2022 런던이었다. 2022시즌 이후 스파커는 런던과의 계약기간이 종료되어 FA 상태로 계약 협상에 들어갔다. 하디, 백본, 랜든, 애드미럴은 진작에 팀옵션 발동으로 인한 잔류가 확정된 상태에서 스파커의 재계약 소식만 늦어졌다. 사실 런던 공식 트위터가 2023시즌 로스터라고 올린 유머짤에 '''정체불명의 스웨덴 남자'''로 올라와 있던 것으로 보아, 재계약 자체는 생각보다 일찍 됐는데 공식 발표만 늦어진 듯 하다. [[https://twitter.com/Spitfire/status/1615387288078536706?t=jo_Z-ZoYHquMLeR5_kt_Pg&s=19|트윗]] 결국 뒤늦게 스파커의 재계약 소식이 뜨면서 2022시즌 런던의 주전 멤버 5명은 전원 잔류에 성공했다. [[https://twitter.com/Spitfire/status/1628854711955902464?t=Fr7AMNmDPc6RcMtWFB6gDg&s=19|트윗]] 2023시즌의 런던은 2022시즌 런던의 분위기와 상반되었다. 윈솜트 메타에 적응하지 못했고, 솜브라에 대한 대처능력이 0에 수렴하는 문제는 그대로였으며, 그렇다고 가끔 꺼내는 라인러쉬가 작년만큼 신통하게 먹혀들지도 않았다. [[하디 다니엘 블레이나젤|하디]]의 무모한 점프, 무기력하게 터지는 [[랜던 맥기|랜드]][[올리버 바하|미럴]], 못하는 [[데니스 타르|레탈]] 등 돋보이는 문제들도 많았지만 스파커 역시 기대에 미칠만큼 해주지는 못했다. 그렇게 스프링 스테이지를 암울하게 마무리하고서 깨달음을 얻었는지 서머 스테이지에서는 라인러쉬를 다시금 갈고 나왔다. 특히 스파커의 [[시메트라]]를 중심으로 팀 전체가 일사분란하게 움직이며 공간을 확보하고 색다른 전략을 선보이는 것이 화제가 되었다. [[라인하르트(오버워치)|라인하르트]]를 못 쓸 만한 수직 맵이라면 스파커가 [[시메트라]]로 순간이동기를 깔아서 2층에 [[하디 다니엘 블레이나젤|하디]]를 올려두면 그만인 것이다. 상대 팀이 라인러쉬를 카운터 친다고 [[정크랫]]을 들고나올 경우, 순간이동기를 이용해 팀 전체가 한 몸처럼 움직이며 타이어 턴을 넘기는 기상천외한 전략을 선보였다. == 경기 영상 아카이브 == * [[런던 스핏파이어/2021 시즌|오버워치 리그 2021시즌]] * [[런던 스핏파이어/2022 시즌|오버워치 리그 2022시즌]] * [[런던 스핏파이어/2023 시즌|오버워치 리그 2023시즌]] * [[런던 스핏파이어/오버워치 월드컵/2023년|2023 오버워치 월드컵]] == 여담 == * [[홍현성]]이 '스파커'라고 정정하기 전까지 한국에서는 SparkR를 '''스파클'''이라고 읽었다. 때문에 먼저 데뷔한 한국인 선수 [[김영한(프로게이머)|스파클]]과의 구분을 위해 '''짭파클''', '''른파클''' 등으로 불렀다. 2022시즌 런던vs댈러스 경기로 두 스파클을 동시에 불러야 하는 순간이 오자 한국 중계진은 '찐짭대전'이라고 드립을 쳤다. * 그러다 [[홍현성]]이 "런던 경기(2022.08.28)가 끝나고 선수에게 직접 물어봤는데 '스파커'라고 읽는 것이 맞다더라"라고 정정하면서부터 읽는 방법이 '스파커'로 바뀌었다. [[https://m.dcinside.com/board/londonow/273545|게시글]] * [[솜브라]]는 못하는 편이다. 2022시즌이 진행되는 동안 런던은 팀 내에서 누가 [[솜브라]]를 맡아야 하는지 결정하지 못해서 [[제이미 오닐|백본]]과 스파커가 번갈아가며 사용하고 있었다. 시즌 후반부, 스파커보다는 [[제이미 오닐|백본]]이 [[솜브라]]를 맡는 것이 낫다는 판단이 서자 이후로는 [[제이미 오닐|백본]]이 고정적으로 [[솜브라]]를 하게 되었다. * 오버워치 월드컵 2023 예선전에서도 [[솜브라]]를 꽤 플레이했는데, 결과가 너무 안 좋았다. 솜브라만 들면 던지는 수준으로 플레이하고, [[한조(오버워치)|한조]]로 픽을 바꾸는 순간 캐리머신이 되는 장면이 많이 나왔다. * 원래는 비쩍 마른 체형이었지만[* [[파일:브리티시 허리케인 스파커.jpg]] ] 2022시즌부터 [[하디 다니엘 블레이나젤|하디]]와 함께 헬스장을 다니며 벌크업했다. 자신의 벌크업 셀카를 인스타에 올리기도 하고, 재계약 이미지를 보디빌딩 포즈로 찍기도 했다. [[https://www.instagram.com/p/ClRd7qPjoAg/?igshid=MzRlODBiNWFlZA==|#1]], [[https://twitter.com/Spitfire/status/1628854711955902464?t=Fr7AMNmDPc6RcMtWFB6gDg&s=19|#2]] * 오버워치 외에 [[Roblox]]를 즐겨 하는 듯 하다. 스파커가 로블록스판 오버워치를 하는 사진이 런던 공식 트위터에 올라오기도 했었다. [[https://twitter.com/Spitfire/status/1577121481179340801|트윗]] == 둘러보기 == [include(틀:2023 오버워치 월드컵 스웨덴 대표팀)] [[분류:프로게이머/오버워치]][[분류:2003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