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캔자스시티 로열스/로스터)] ||
'''{{{#FFFFFF 윌 스미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3>
[[파일:Atlanta_Braves_logo_champion_2021.png|height=70]][[파일:휴스턴2022우승로고.png|height=70]][[파일:2023_rangers_world_champions.jpg|height=70]][br]'''MLB 월드 시리즈[br]우승반지''' || || '''[[2021년 월드 시리즈|{{{#ffffff 2021}}}]]''' || '''[[2022년 월드 시리즈|{{{#eb6e1f 2022}}}]]''' || '''[[2023년 월드 시리즈|{{{#ffffff 2023}}}]]''' || ---- ||
[[파일:2019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9년|{{{#ffffff 2019}}}]]''' || ---- ||<-5> '''{{{#FFFFFF [[캔자스시티 로열스|{{{#FFFFFF 캔자스시티 로열스}}}]] 등번호 53번}}}''' || || [[멜키 카브레라]][br](2011) || {{{+1 →}}} || '''{{{#000000 윌 스미스[br](2012~2013)}}}''' || {{{+1 →}}} || 딜런 지[br](2016) || ||<-5> '''{{{#ffffff [[밀워키 브루어스|{{{#ffffff 밀워키 브루어스}}}]] 등번호 13번}}}''' || || [[잭 그레인키]][br](2011~2012) || {{{+1 →}}} || '''윌 스미스[br](2014~2016)''' || {{{+1 →}}} || [[앤드류 수삭]][br](2016~2017) || ||<-5>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13번}}}''' || || [[에이레 아드리안자]][br](2016) || {{{+1 →}}} || '''윌 스미스[br](2016~2019)''' || {{{+1 →}}} || [[오스틴 슬레이터]][br](2020~) || ||<-5> '''{{{#fff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fff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번호 51번}}}''' || || [[크리스 마틴(야구선수)|크리스 마틴]][br](2019) || {{{+1 →}}} || '''윌 스미스[br](2020~2022)''' || {{{+1 →}}} || [[마이클 톤킨]][br](2023) || ||<-5> '''{{{#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51번}}}''' || || [[오스틴 프루이트]][br](2021) || {{{+1 →}}} || '''{{{#000 윌 스미스[br](2022)}}}''' || {{{+1 →}}} || 결번 || ||<-5> '''{{{#ffffff [[텍사스 레인저스|{{{#ffffff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51번}}}''' || || [[예리 로드리게스]][br](2022) || {{{+1 →}}} || '''윌 스미스[br](2023)''' || {{{+1 →}}} || 결번 || ||<-5> '''{{{#FFFFFF [[캔자스시티 로열스|{{{#FFFFFF 캔자스시티 로열스}}}]] 등번호 번}}}''' || || || {{{+1 →}}} || '''윌 스미스[br](2024~)'''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레인저스윌스미스.webp|width=100%]]}}} || ||<-2> '''캔자스시티 로열스 No. ''' || ||<-2> '''{{{#000 {{{+2 윌 스미스}}}[br]Will Smith}}}''' || || '''본명''' ||윌리엄 마이클 스미스[br]William Michael Smith || ||<|2> '''출생''' ||[[1989년]] [[7월 10일]] ([age(1989-07-10)]세) || ||[[조지아주|조지아 주]] 뉴넌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노스게이트 고등학교 - 걸프 코스트 주립대학교 || || '''신체''' ||196cm / 115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우타]] || || '''프로입단''' ||--2007년 드래프트 40라운드 (전체 1192번, [[탬파베이 레이스|TBD]])--[br]2008년 드래프트 7라운드 (전체 229번,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LAA]]) || || '''소속팀''' ||[[캔자스시티 로열스]] (2012~2013) [br] [[밀워키 브루어스]] (2014~2016) [br]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16~2019)''' [br]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20~2022)'''[br][[휴스턴 애스트로스]] (2022) [br][[텍사스 레인저스]] (2023) [br][[캔자스시티 로열스]] (2024~) || || '''계약''' ||1yr / $5,000,000 || || '''연봉''' ||2024 / $5,000,000 || || '''에이전시''' ||[[Creative Artists Agency|[[파일:Creative Artists Agency 로고.svg|width=50]]]] || || '''SNS''' ||[[https://www.instagram.com/white_willy13/|[[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캔자스시티 로열스]] 소속 [[좌완 투수]]. == 선수 경력 == === [[캔자스시티 로열스]] === === [[밀워키 브루어스]] === 밀워키 시절에 [[부정투구]] 논란을 일으켰다. 2015년 5월 21일, 당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의 원정경기에서, 팔 부위에 무언갈 바른 듯 해당 부위가 눈에 띄게 번들거렸고, 당시 상대팀 감독이 항의하자 심판이 확인 후 윌 스미스를 퇴장시켰다.[[https://www.youtube.com/watch?v=LcnQkJi3OQw|#]] 그런데 방귀 뀐 놈이 성낸다고, 오히려 덕아웃에서 욕설과 분노를 토해내면서 뻔뻔스러운 모습을 보였고, 그 후에 변명이라고 내놓은게 "추운날이라서 썬크림을 발랐는데, 미처 닦지 못했다"라는 변명같지도 않는 궤변에 야구팬들은 할말을 잃었었다. 최종적으론 8경기 징계를 받았다.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2016년 7월 31일 [[앤드류 수삭]], [[필 빅포드]] ↔ 윌 스미스 2:1 트레이드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로 이적하였다. ==== 2019 시즌 ==== 작년의 페이스를 그대로 이어가며 아니 더 각성하여 전반기에 37경기에 나와서 36⅓이닝 동안 '''삼진을 53개 잡고 ERA 1.98에 23개의 세이브를 무블론 100% 성공률로 기록하며 리그 최고의 마무리 중에 한 명이 되었다'''. 생애 처음으로 올스타에도 뽑혔다 현재 불안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불펜 사정으로 인해 확실한 좌완 불펜이 시급한 상황이라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펠리페 바스케스]]와 함께 '''가장 유력한 트레이드 대상으로 거론되는 중이다.''' 그러나 자이언츠가 7월달에 어느 정도 반등에 성공하면서 같은 지구 라이벌이라는 상황도 맞물려 트레이드 될 가능성이 떨어지는 중이었으나 결국 자이언츠는 [[샘 다이슨]]을 [[미네소타 트윈스]]로 넘기고 [[마크 멜란슨]]을 애틀란타 브레이브스로 넘기는 트레이드만 하면서 잔류했다. 8월 12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경기에서 8회초 동점 상황에 등판해 무실점으로 막고, 8회말 팀이 역전한 뒤에는 커리어 첫 타석에 들어서 안타를 쳤다! 본인은 커리어 첫 안타와 시즌 4번째 승리를 기록했다. 시즌 후 FA로 풀렸고 2019년 11월 15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 [[https://twitter.com/Braves/status/1195094324444323842?s=19|3년 $39M]]에 계약을 맺었다. 애틀랜타의 부족한 좌완 불펜의 한 축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ill_Smith_Minnesota_Twins.jpg|width=100%]]}}} || ==== 2020 시즌 ==== 정규시즌 무난한 성적을 거두었지만 [[2020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5차전에서 다저스의 [[윌 스미스(1995)|윌 스미스]]와 동명이인 맞대결을 펼쳤는데 쓰리런을 맞고 완패를 당했다. 그리고 이 홈런 이후로 팀은 분위기가 제대로 가라앉았고 결국 분위기 반전을 못 해 3승 1패를 먼저 하고도 탈락하게 되었다. ==== 2021 시즌 ==== FA로 이적한 [[마크 멜란슨]] 대신에 마무리 역할을 하고 있는데 평가는 무난하다는 평. 꽤 괜찮게 활약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지만 8/28 기준으로 평균자책점이 3점대 후반에 FIP는 4.2에 달하면서 마무리를 더이상 맡기면 안된다는 여론이 많다. 대부분의 등판에서 슬라이더와 직구가 몰리거나 아예 날리면서 사사구를 헌납하고, 직구구속이 92, 93마일에서 형성되면서 몰리면 여지없이 홈런을 허용한다. 9월 18일 샌프란시스코와의 원정 경기에서는, 2점차로 끌려가던 애틀랜타의 마지막 공격이던 9회초에 [[트래비스 다노]]의 극적인 쓰리런으로 분위기가 떠있던 상태에서 9회말에 등판했는데, 2아웃 잘 잡아놓고 [[도노반 솔라노]]에게 솔로포를 허용하며 찬물을 끼얹었다. 일주일 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의 경기에서는 동점 상황에서 등판해 결승 홈런을 맞았다. 상대 마무리 투수이자 윌 스미스가 떠나기 전 애틀랜타의 마무리였던 [[마크 멜란슨]]은 이 경기에서 세이브를 기록한 점과 대비된다. 이틀 뒤에는 9회 한 점차에서 등판해 볼넷을 3개나 내줬으나 심판의 [[퇴근존]] 덕에 동점 허용은 하지 않았다. 10월 1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경기에서 마지막 아웃카운트를 잡아내며 팀의 지구 우승을 확정지었다. 10월 30일 [[2021년 월드 시리즈]] 4차전까지 포스트시즌 10경기 10이닝 4피안타 3볼넷 8K '''무실점 6세이브 0블론'''이라는 어마어마한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다. 공이 빠르지 않아도 좋은 제구력과 변화구를 통해 언터쳐블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월드 시리즈 6차전 7점차 상황에서 등판, 9회말을 무실점으로 틀어막으며 팀의 월드 시리즈 우승을 만들어내는 데 성공하였다! === [[휴스턴 애스트로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애스트로스윌스미스.jpg|width=100%]]}}} || 2022년 8월 1일, [[제이크 오도리지]]를 상대로 휴스턴으로 트레이드되었다. 이후 [[2022년 월드 시리즈]] 우승을 차지하며 2년 연속 월드시리즈 우승을 경험하게 되었다.[* [[세스 마르티네즈]]를 대신해 월드시리즈 로스터에 등록되긴 했으나, 월드시리즈엔 한 경기도 등판하지 않았다.] === [[텍사스 레인저스]] === 2023년 3월 4일, 텍사스와 1년 150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 ==== 2023 시즌 ==== 시즌 초까지만 해도 [[마무리 투수]]로 활약하며 빈약한 팀 불펜진의 희망이 되었지만 8월 들어 체력이 떨어졌는지 힘에 부친 모습이다. [[2023년 월드 시리즈]]에서 텍사스가 우승하면서 3년 연속 이적 및 [[3-peat|3년 연속 월드 시리즈 우승]]을 경험하는 진귀한 기록을 세웠다.[* 21년 ATL - 22년 HOU - 23년 TEX] === [[캔자스시티 로열스]] 2기 === 2023년 12월 10일, 캔자스시티와 1년 500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 ==== 2024 시즌 ====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mithSL1.gif|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mithSL2.gif|width=100%]]}}} || 슬라이더 위주의 좌완으로, 대다수의 불펜 투수들이 95마일 이상의 빠른 공을 던지는 시대에 슬라이더 외길만 판 그야말로 슬라이더 깎는 노인이다.[* [[패트릭 코빈]]과 플레이 스타일이 유사하다고 평가받는다.] 체인지업과 커브를 간간히 던지긴 하지만 두 구종의 구사율은 합쳐서 10%가 채 안 되고 사실상 패스트볼과 슬라이더를 거의 같은 비율로 구사하는 투피치 투수이다. 패스트볼 구사율이 46%이고 슬라이더 구사율이 41%일 정도. 평균 92마일의 패스트볼은 불펜 투수치고는 구속이 그닥 빠르지 않기에 헛스윙을 유도하기는 힘들어 주로 볼카운트를 잡을 때 사용하는 편이고 결정구로는 위의 슬라이더를 던진다. 이 슬라이더는 횡적인 움직임보다는 커브볼 같은 낙폭을 보일만큼 종적인 움직임이 상당히 뛰어나다. 평균 구속은 81마일로 하드 슬라이더가 대세가 된 현재 MLB에서는 빠르지 않은 슬라이더로 평가받지만, 통산 K/9이 10.83개인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낙차 큰 슬라이더로 타자들 스윙을 잘만 이끌어낸다.[* 2019 시즌 K/9은 13.22개로 커리어 하이를 기록했다.] 2016 시즌까지는 3~4개에 달하던 BB/9도 2018 시즌 2.55개, 2019 시즌에는 2.89개를 기록하며 제구력까지 안정되었다. 투구폼을 보면 공을 숨기는 디셉션도 상당히 좋은 편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윌 스미스(야구선수), version=14)] == 수상 내역 == * [[월드 시리즈]] 우승 3회 ([[2021년 월드 시리즈|2021]], [[2022년 월드 시리즈|2022]], [[2023년 월드 시리즈|2023]]) * 올스타 (2019)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윌 스미스의 역대 MLB 기록'''}}} || || 년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fWAR || bWAR || || 2012 ||<|2> [[캔자스시티 로열스|KC]] || 16 || 6 || 9 || 0 || 0 || 89⅔ || 5.32 || 111 || 12 || 33 || 1 || 59 || 1.606 || 79 || 0.7 || 0.1 || || 2013 || 19 || 2 || 1 || 0 || 6 || 33⅓ || 3.24 || 24 || 6 || 7 || 1 || 43 || 0.930 || 128 || 0.4 || 0.1 || || 년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fWAR || bWAR || || 2014 ||<|2> [[밀워키 브루어스|MIL]] || '''78''' || 1 || 3 || 1 || 30 || 65⅔ || 3.70 || 62 || 6 || 31 || 3 || 86 || 1.416 || 103 || 0.5 || 0.1 || || 2015 || 76 || 7 || 2 || 0 || 20 || 63⅓ || 2.70 || 52 || 5 || 24 || 1 || 91 || 1.200 || 147 || 1.3 || 1.1 || || 년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fWAR || bWAR || || 2016 || [[밀워키 브루어스|MIL]]/[[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53 || 2 || 4 || 0 || 23 || 40⅓ || 3.35 || 31 || 3 || 18 || 1 || 48 || 1.215 || 126 || 0.7 || 0.2 || || 2018 ||<|2>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54 || 2 || 3 || 14 || 6 || 53 || 2.55 || 37 || 3 || 15 || 0 || 71 || 0.981 || 150 || 2.0 || 1.1 || || 2019 || 63 || 6 || 0 || 34 || 0 || 65⅓ || 2.76 || 46 || 10 || 21 || 0 || 96 || 1.026 || 152 || 1.2 || 2.2 || || 년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fWAR || bWAR || || 2020 ||<|2> [[애틀랜타 브레이브스|ATL]] || 18 || 2 || 2 || 0 || 6 || 16 || 4.50 || 11 || 7 || 4 || 0 || 18 || 0.938 || 110 || -0.6 || 0.2 || || 2021 || 71 || 3 || 7 || 37 || 0 || 68 || 3.44 || 49 || 11 || 28 || 5 || 87 || 1.132 || 129 || 0.4 || 1.5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fWAR || bWAR || || 2022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ATL]]/[[휴스턴 애스트로스|HOU]] || 65 || 0 || 3 || 5 || 16 || 59 || 3.97 || 58 || 9 || 25 || 2 || 65 || 1.407 || 102 || -0.1 || -0.6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fWAR || bWAR || || 2023 || [[텍사스 레인저스|TEX]] || 60 || 2 || 7 || 22 || 8 || 57⅓ || 4.40 || 44 || 5 || 17 || 0 || 55 || 1.064 || 102 || 1.1 || 0.3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11시즌) || 573 || 33 || 41 || 113 || 115 || 611 || 3.67 || 525 || 77 || 223 || 14 || 719 || 1.224 || 113 || 7.8 || 6.2 || == 여담 == * 배우 [[윌 스미스]] 및 포수 [[윌 스미스(1995)|윌 스미스]]와 동명이인이다.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89년 출생]][[분류:2012년 데뷔]][[분류:카위터 카운티 출신 인물]][[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우타]][[분류:밀워키 브루어스/은퇴, 이적]][[분류: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애틀랜타 브레이브스/은퇴, 이적]][[분류:휴스턴 애스트로스/은퇴, 이적]][[분류:텍사스 레인저스/은퇴, 이적]][[분류:캔자스시티 로열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