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1 '''윈드슬레이어'''}}} [br] '''Windslayer'''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윈드슬레이어-로고.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다른 로고 ] {{{#!wiki style="margin: -5px -2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출시초기 윈드슬레이어 로고.png|width=100%]]}}} || || '''출시 초기'''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윈드슬레이어S-로고.jpg|width=100%]]}}} || || '''윈드슬레이어S'''[* 윈슬S개명과 나우콤의 이전 날짜는 같다.]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윈드슬레이어즈-로고.png|width=100%]]}}} || || '''윈드슬레이어즈'''[* 2011년 12월 초 나우콤 ~ 하멜린으로 넘어가 서비스 종료 직전까지의 로고][[https://bbs.ruliweb.com/news/read/38611|#]][* "내생애 첫 모험"이란 슬로건이 생긴 이유는 스토리가 추가됐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파일:윈슬즈-스토리.png|#]] ||}}}}}}}}} || || '''개발''' ||<-2>'''㈜하멜린''' [br]{{{#!folding [ 로고 ] [[파일:(주) 하멜린 - 로고.jpg]]}}} || || '''유통''' ||<-2>[[야후! 코리아]], [[아프리카TV#s-9.1.1|나우콤]][* 이 시기에 윈드슬레이어S와 윈드슬레이어즈라는 명칭이 탄생했다.], 하멜린[* 나우콤에서 서비스 종료 후 ~ 게임 서비스 종료까지], Outspark[* 북미판] || || '''플랫폼''' ||<-2>[[PC]] || || '''장르''' ||<-2>[[MMORPG]] || || '''이용등급''' ||<-2>전체이용가[[https://www.newswire.co.kr/newsRead.php?no=121550| ]] || || '''서비스 형태''' ||<-2>부분유료화|| || '''출시''' ||<-2>[[2006년]] [[2월 3일]] {{{-2 (오픈베타)[[https://game.donga.com/2746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크기=23)] [[2005년]] [[7월 14일]]{{{-2 (클로즈베타테스트)[[https://www.gamemeca.com/view.php?gid=55261| ]]}}}[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크기=23)] [[2006년]] [[12월 20일]]{{{-2 (정식서비스[* 부분유료화])[[https://www.bodnara.co.kr/bbs/article.html?num=59448| ]]}}}[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크기=23)] [[2009년]] [[2월 4일]] {{{-2 (Windslayer)[[https://www.mmorpg.com/wind-slayer| ]][[:파일:윈드슬레이어 북미판 로고.jpg|#]]}}}[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크기=23)] [[2011년]] [[11월 9일]]{{{-2 (Windslayer2[* 북미판도 S로 패치됐는데, 이렇게 불렸다][* 기존 Windslayer가 서비스 종료된 후에 출시되었다])[[https://www.dsogaming.com/news/windslayer-2-officially-launched/| ]][[:파일:윈드슬레이어2 북미판 로고.jpg|#]]}}}}}} || || '''서비스 종료''' ||<-2>[[2013년]] [[12월 31일]] {{{-2 ([dday(2013-12-31)]일)}}}{{{#!folding [ 펼치기 · 접기 ] [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크기=23)] [[2013년]] [[12월 5일]]{{{-2 (캐시 충전 차단)[[https://www.gamemeca.com/view.php?gid=55261| ]]}}}[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크기=23)] [[2013년]] [[12월 20일]]{{{-2 (게임 실행 차단)[[https://www.gamemeca.com/view.php?gid=55261| ]]}}}[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크기=23)] [[2011년]] [[8월 10일]]{{{-2 (Windslayer)[[https://www.mmorpg.com/wind-slayer| ]]}}}[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크기=23)] [[2013년]] [[12월 31일]]{{{-2 (Windslayer2)[* 국내 윈드슬레이어 서비스가 완전히 종료되면서 동시에 종료된 것으로 추정][[https://www.mmorpg.com/wind-slayer| ]]}}}}}} || || '''홈페이지''' ||<-2>[[https://web.archive.org/web/20230000000000*/windslayer.kr.games.yahoo.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2005~2007년까지의 일부 사이트 모습을 열람할 수 있다.] [[https://web.archive.org/web/20070801000000*/http://www.windslayer.c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2007~2013년까지의 일부 사이트 모습을 열람할 수 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하멜린에서 제작, 야후!코리아, 나우콤, ㈜하멜린이 유통[* 유통사가 3개나 되는 게임이다 동시 유통은 아니고 운영사가 2번 바뀐것이다.야후➡️나우콤➡️하멜린 순으로 운영사가 변화해왔다.][* 야후!코리아는 2012년 국내철수를 했으나 나우콤으로 옮겨진 것은 2010년 12월 21일이다.] 하던 온라인 2D 횡스크롤 게임으로, 장르는 MMOPRG 이다. == 특징 == >'''고감도 액션 판타지!'''[* [[윈드슬레이어]]의 [[슬로건]]이자 캐치 프라이즈.] > >아름다운 대륙 "뷰리나티아" 최고의 모험가가 되기 위해 떠나는 여행기를 그린 1:1 [[대전격투게임]][* 말만 그렇지 실제 게임 장르는 [[MMORPG]]이다.]으로 긴장감 넘치는 플레이, 빠른 움직임, 무기와 스킬 간의 절묘한 [[타이밍]]이 묘미인 2D [[횡스크롤]] 액션 [[RPG]] 게임이다. 다양한 [[퀘스트]]를 통해 [[무투|무투장]]에서 다른 플레이어와 대전을 벌이거나 [[몬스터]]와 [[보스]] 몬스터를 쓰러뜨리며 [[렙업|성장한다.]] 각 클래스별로 다양한 스킬들의 리듬감을 이용한 콤보 공격과 잡아 밀치기, 이중점프 등 다양한 액션이 타격감을 높여준다. 초창기[* 정확히는 '구윈슬'이라 불리는 2006년 오픈베타 이후 ~ 2010년 12월 21일까지]에는 인기가 매우 많았다. [[사양]]과 게임의 [[진입 장벽]]이 매우 낮았고, 야후 계정만 있으면 누구나 플레이할 수 있었으며, 아기자기한 그래픽이 마치 [[RPG]]게임의 대명사인 [[메이플스토리]]를 닮았기 때문에[* [[귀혼]]도 닮은것같다. 맵이라든지...] [[초딩]]들한테 매우 인기가 많았다.[* 그 당시엔 야후 계정을 가지고 있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이 게임을 설치하여 플레이해본 사람이 있었다. ~~처음에 잡는 몬스터가 [[응가]]라서 거부감이 든 사람도 꽤 있었지만..~~ 초창기 때에는 심지어 [[네이버 지식인]]에서도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3&dirId=13030103&docId=35688322&qb=7JyI65Oc7Iqs66CI7J207Ja0&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1|이런 류의 질문이나]]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3&dirId=1303010501&docId=37849913&qb=7JyI65Oc7Iqs66CI7J207Ja0&enc=utf8§ion=kin&rank=18&search_sort=0&spq=1|메이플과 비교하는 질문]],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2&dirId=204&docId=37159646&qb=7JyI65Oc7Iqs66CI7J207Ja0&enc=utf8§ion=kin&rank=3&search_sort=0&spq=1|이런 류의 질문들이]] [[네이버 지식인]]에서 심심찮게 보였었다.] 또한 유저들끼리 1:1로 대전~~다굴~~할 수 있는 무투장 시스템이 존재하였다. 무투장 시스템이 다른 RPG 게임들과는 매우 차별화된 요소였기에 상당한 호응을 얻었다. '''게임 명칭 개명''' || 윈드슬레이어 || 출시 ~ 2010.12.20 || || 윈드슬레이어S || 2010.12.21 ~ 2011.12.2[* 유통사가 나우콤일 때 변경] || || 윈드슬레이어즈 || 2011.12.2 ~ 서비스종료[[https://cafe.naver.com/windslayerschin/6876 | ]] || '''그래픽의 변화''' ||<-3> '''인물 그래픽 변화''' || || [[파일:윈슬 인물 그래픽 1세대.png|width=100%]] || [[파일:윈슬 인물 그래픽 2세대.png|width=100%]] || [[파일:윈슬 인물 그래픽 3세대.png|width=100%]] || || ''' 출시초기'''[* 출시 ~ 오픈베타 전(2006년 2월 2일)] || '''구윈슬'''[* 오픈베타(2006년 2월 3일) ~ 윈드슬레이어(2010년 12월 20일)] || '''윈슬S 이후'''[* 2010년 12월 21일 ~ 서비스 종료] || 출시초기에 나온 그래픽이 오픈베타를 거치면서, 구윈슬 때의 모습이 되었다. 이후 윈드슬레이어S로 패치되면서 기존과는 아예 다른 2.5D그래픽[* 출시초기와 구윈슬은 2D이다.][* 3D도 아닌 기이한 그래픽과 컨트롤 체계, 스킬모션 등 완전히 달라졌다.]으로 넘어간 셈이다. {{{#green {{{+3 개명과 그래픽의 관계}}}}}} 이 게임은 각각 2번의 개명과 그래픽 변화[* 이 때문에 그림체에 따라 게임 명칭도 바뀐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었다.]를 거쳤으나, 두 요소가 동시에 바뀐 것은 '''{{{#red 윈드슬레이어s}}}'''로 개명되었을 때 뿐이다. == [[윈드슬레이어/역사]]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게임의 역사, rd1=윈드슬레이어/역사)] == [[윈드슬레이어/직업 | 직업(클래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윈드슬레이어/직업)] == [[윈드슬레이어/지역(맵)|지역(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윈드슬레이어/지역(맵))] == [[윈드슬레이어/NPC | NPC]]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윈드슬레이어/NPC)] == [[윈드슬레이어/몬스터 | 몬스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윈드슬레이어/몬스터)] == [[윈드슬레이어/시스템|시스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윈드슬레이어/시스템)] == [[윈드슬레이어/문제점| 문제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윈드슬레이어/문제점)] == [[서비스 종료]] == 윈드슬레이어는 갑자기 '''{{{#red 윈드슬레이어s}}}'''로 패치되었고, 게임 운영주체가 [[나우콤]]으로 이관되고 난 후 이들의 '''{{{#red 막장운영}}}'''[* [[나우콤]]으로 이관 이후 상황이 전혀 나아지지 않고 악화되자 2012년에 다시 하멜린으로 운영주체가 이관된 이후 서비스 종료 기간까지 이렇데 할 [[패치]]나 [[업데이트]]가 무려 1년 가까이 단 한번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아주 가끔씩 서버점검만 해서 겨우 게임을 유지해가는 수준이었다. 게임을 운영해야 할 [[운영자]]라는 사람이 업데이트도 하지않고 [[핵]]과 [[버그]]를 사용하는 유저들을 제재도 하지 않고 놀자판으로 그대로 방관한 나머지 대다수의 유저들이 [[핵]]과 각종 버그를 남발하여 게임 서비스 지속이 불가능한 수준에 이르러 서비스가 종료되었다.]으로 유저 수가 감소하면서 결국 서비스 종료에 이르렀다. ~~[[개새끼 해봐|나우콤 개x끼]]~~[* 하멜린은 윈드슬레이어의 제작사로, 사원이 10명도 채 되지 않는 소규모 회사다. 그런 곳에 제대로 된 배급사 없이, 윈드슬레이어 규모의 게임을 운영하게끔 던져 버린 것 자체가, 게임 운영 포기하라고 부추긴 셈이다.] [[나우콤]]은 윈슬이 위기에 처하자 다시 [[하멜린]]에게 돌려주었다. 하멜린은 게임을 되살리려고 노력해봤지만, 유저수가 이미 절반 이상 줄어들고 [[운영자]] 또한 게임 운영을 사실상 방치하였기 때문에 기존 남아있던 유저들도 이미 다 떠나버리고 그나마 남아있는 유저들은 [[핵]]과 각종 [[버그]]들을 사용하면서 게임의 밸런스가 완전히 무너지게 되었다. 따라서 신규 유저들의 유입 또한 완전히 사라졌다.[* 신규 유저가 게임을 처음 시작하여 있는 장소가 "모험의 시작"이란 곳인데 이 곳에 보스몹들을 유저들이 엄청나게 풀어놓았기 때문에 신규 유저들이 게임을 플레이 할 수가 없게 되었다. [[운영자]]도 제재할 생각조차 안 하고 그냥 게임을 그대로 방치하였다. 거기다 마침 이때 [[리그 오브 레전드|가장 흥행을 불러일으킨 게임]]이 사람들의 관심까지 모두 가져갔기에, 더욱 신규 유저가 없었다.] 업데이트가 2013년 초반부터 단 한번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결국 2013년 12월 31일을 마지막으로 윈슬은 서비스를 종료할 수밖에 없었다. [[북미]] [[시장(경제)|시장]]에도 진출해서 운영[* 북미판도 윈슬s가 되지 전에는 구윈슬이 약 1년 넘게 살아남았기 때문에 구윈슬 유저들이 많이 넘어갔지만, 무투장 렉이 있어 결국 오래가지 않았다.]했었지만 인기가 없었는지 한국 서비스 종료와 함께 서비스를 종료했다. 이후 2014년에 [[모바일]] 윈드슬레이어즈가 출시되었지만, 관리가 엉망이고 업데이트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불과 1년도 채 가지 못한 채 서비스를 종료했다. 이후로 과거 유저들 사이에서는 '''구윈슬''' 이 제일 많이 언급되며, 항상 그리움의 대상으로 남고있다. 윈드슬레이어의 유저였던 사람들이 나중에 윈슬 제작자들에게 문의해본 결과, 게임 서버와 유저들의 정보는 2020년 기준으로 아직까지 삭제하지 않아서 남아있다고 한다. 그러나 하멜린이 망하고, 게임을 처음 열고 운영했던 [[게임 개발자]]인 운영자들이 각자의 길로 갈라섰기 때문에[* 몇몇은 개발자의 직업을 접고 다른 직업을 선택했다고 한다.] 정보가 그대로 방치되었고, 이를 이용해 프리윈슬을 만들고자 한 사람들도 있지만 저작권 문제 때문에 실패했다.[* 이미 서버가 종료된 게임인데다가 저작권을 가진 회사까지 망해버리고, 개발자들까지 손을 떼는 바람에 저작권 문제가 복잡하게 꼬여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 어딘가에서 다른 큰 기업이나 개인이 서버와 유저 정보를 인수하여 게임을 다시금 재개시키지 않는 한 윈드슬레이어의 부활은 불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허나 인수가 된다고 하더라도 예전처럼의 인기를 끌어모으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무엇보다 게임을 운영하려면 막대한 비용이 드는데 이미 [[서비스 종료]]되어 망해버린 게임을 어느 누가 인수해서 운영하려고 할 지는 미지수다.] [[https://github.com/mirusu400/PySlayer|윈드슬레이어를 싱글로나마 부활시킬려고 하는 프로젝트가 있다.]] 클라이언트는 제공하지 않고, 서버는 100% 본인이 작성한 소스코드라서 저작권엔 문제가 없다고 한다. == 관련 [[커뮤니티]] == [[https://cafe.naver.com/windslayercafe/102?viewType=pc |윈드슬레이어]] 2006년 10월에 개설된 카페로, 현존하는 제일 오래된 카페로 추정된다. 현재 활동은 뜸하고, 가입시 매니저의 허가가 필요하다. [[http://cafe.naver.com/windslayerschin|윈친카]] 현재까지 남아있는 윈드슬레이어 관련 카페들 중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네이버 카페]]이며 윈슬 섭종 이후 윈슬을 그리워하는 카페유저들의 글이 간간히 올라오고 있으나 글 리젠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거의 [[정전갤]]이나 다름 없다. [datetime] 기준으로 회원 수는 3,950명을 겨우 넘어섰다. 게임이 섭종된지 10년이상[* 대부분 구윈슬 유저 기준이기 때문에 구윈슬의 마지막인 2010년 12월을 기준으로 보는 사람도 많다.] 지난 현재까지도 카페 신규 가입 인사글이 계속해서 꾸준히 올라오고 있다. 이 게임이 얼마나 향수가 강한지 입증해 주는 모습. [[https://m.dcinside.com/board/sindslayer|윈드슬레이어 갤러리]] 디시인사이드의 윈드슬레이어 관련 커뮤니티이다. 활동은 뜸하지만, 어떤 한 유저가 1일 1글 OO일 째[* 1000일을 넘어섰다] 라는 글을 올리는 근성을 보여주고 있다. [[분류:윈드슬레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