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zardry II: The Knight of Diamonds |||||| [[위저드리 시리즈|위저드리 정식 시리즈]] || || 1기 릴가민 사가 첫번째 작품 || 1기 릴가민 사가 두번째 작품 || 1기 릴가민 사가 세번째 작품 || || [[위저드리]] || '''위저드리 2''' || [[위저드리 3]] || || [[파일:external/timetree.zumst.com/8a18437b9579463eb0205092a5260477.jpg|width=200]] || [[파일:external/s.uvlist.net/80097.png|width=400]] || 1편이 발매된지 딱 1년 지난 1982년에 [[애플 II]]로 발매되었고 1985년에 [[IBM PC 호환기종]]으로 발매되었다. 일본에는 1986년에 일제 PC용으로 발매되었고 1990년에 [[패미컴]]으로 발매되었다. 일본판 제목은 다이아몬드의 기사(ダイヤモンドの騎士). 프랑스어 제목은 Sorcellerie: Le Chevalier de Diamant 이며 뜻은 그대로 이다. 중국어 간체도 동일한 의미로 巫术II:钻石骑士 로 표기한다. [[패미컴]]판에서는 롬 카셋트의 제약상 파티 전송에 필요한 백업 주변기기인 터보 파일문제 때문에 그나마 처음부터 캐릭터를 새로 만들 수 있고 플레이 할 수 있는 3편이 먼저 발매되고 시나리오 3편이 패미컴에서는 2편이 되었다. 이 때문에 일본에서는 2편과 3편을 헷갈려 하는 유저들이 상당히 많은 편.[* 일본에서는 1980년도~1990년도 초반에 PC 보급률이 적은 편이였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릴가민 왕국에 다시 신의 가호를 불러오기 위해, 전설의 다이아몬드의 기사라 불리었던 기사의 장비를 모으고[* 게임 상에서 고정 출현 몬스터로 등장하여 직접 때려잡아야 된다. 총 다섯 부위인데 이중 헬멧과 건틀렛은 [[틸토웨이트]]를 날려대는 무서운 놈이다.] 신의 가호를 얻는데 필요한 니르다의 지팡이를 얻는것이 목적. 기본적으로 게임의 특성은 전혀 변하지 않았다.[* 1편의 후속편이었지만, [[애플 II]]판은 맵 구조나 진행 방식만 빼면 마을 메뉴와 던전 화면, 그리고 적 그래픽이 1편과 동일했다. 사실상 [[확장판]]이라고 봐도 좋을 정도.] 오리지널에서는 캐릭터를 만들 수 없고[* PS1 리메이크인 릴가민 사가에서는 캐릭터를 만들 수는 있지만 전작에선 중반부에 나오는 적들이 1층부터 나오므로 그냥 캐릭터를 가져오거나 기본 제공된 레벨 10 캐릭터들을 활용해야 한다.] 전작의 캐릭터들을 전송해서 플레이해야 했는데, 강력한 전작의 파티들을 전송한 후 플레이하면 금방 끝나버려서 당시 평가는 상당히 안 좋은 편이였다. 이후 3편에서는 밸런스 조정을 하게 된다. [[분류:위저드리 시리즈]][[분류:1982년 Apple II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