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82828 0%, #333333 20%, #333333 80%, #282828);" {{{#e0c9a5 ''' 위르겐 콜러의 수상 이력 ''' }}} }}}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틀:UEFA 유로 1992 베스트 11|[[파일:UEFA 유로 1992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0.9em;" [[틀:UEFA 유로 1992 베스트 11|{{{#1b1c20 '''UEFA 유로 1992'''}}}]]}}} || || || || ---- ||<-5> '''{{{#e0c9a5 1997 [[독일 올해의 축구 선수|{{{#e0c9a5 독일 올해의 축구 선수}}}]]}}}''' || || [[마티아스 자머]][br]([[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1 →}}} || '''{{{#ffffff 위르겐 콜러[br]([[보루시아 도르트문트|{{{#ffffff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1 →}}} || [[올리버 비어호프]][br]([[우디네세 칼초]]) || ---- || '''FIFA 월드컵 우승 멤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82828 0%, #333333 20%, #333333 80%, #282828);" {{{#ffffff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ffffff 1990}}}]]'''}}}}}} || ---- || '''{{{#fff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fff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우승 멤버}}}''' || || '''[[UEFA 유로 1996|{{{#06c 1996}}}]]'''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82828 0%, #333333 20%, #333333 80%, #282828);" {{{#e0c9a5 '''위르겐 콜러의 기타 정보'''}}}}}} || || {{{#!folding ▼ [include(틀:독일의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include(틀:독일 축구 연맹/명예의 전당)]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독일의 축구 감독'''}}}}}}}}}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ürgen Kohler .jpg|width=100%]]}}} || ||<-2> {{{#000000,#e5e5e5 '''이름'''}}} || '''{{{+1 위르겐 콜러}}} [br] Jürgen Kohler''' || ||<-2> {{{#000000,#e5e5e5 '''출생'''}}} ||[[1965년]] [[10월 6일]]([age(1965-10-06)]세) [br] [[서독]] [[라인란트팔츠]] 주 람프스하임 || ||<-2> {{{#000000,#e5e5e5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 ||<-2> {{{#000000,#e5e5e5 '''신체'''}}} ||[[키(신체)|키]] 186cm | [[체중]] 87kg || ||<-2> {{{#000000,#e5e5e5 '''직업'''}}} ||[[축구 선수]] ([[센터백]] / ^^은퇴^^) [br] [[축구 감독]] || ||<|2>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선수'''}}} ||[[SV 발트호프 만하임]] (1983~1987) [br] [[1. FC 쾰른]] (1987~1989) [br] [[FC 바이에른 뮌헨]] (1989~1991) [br] [[유벤투스 FC]] (1991~1995) [br]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1995~2002)''' || || {{{#000000,#e5e5e5 '''스태프'''}}}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U21 대표팀]] (2002~2003) [br] [[MSV 뒤스부르크]] (2005~2006) [br] [[VfR 알렌]] (2008) [br] [[본 SC|본 SC U19]] (2012) [br] [[SpVgg EGC 비르게스]] (2013~2015) [br] [[SC 하우엔슈타인]] (2015~2016) [br] [[VfL 알프터]] (2016~2017) [br] {{{-1 [[FC 빅토리아 쾰른 1904|FC 빅토리아 쾰른 1904 U19]] (2018~2020)}}} [br] [[FC 빅토리아 쾰른]] (2019 / ^^감독대행^^) || ||<-2> {{{#000000,#e5e5e5 '''국가대표'''}}} ||105경기 2골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 1986~1998)^^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2d2d2b 20%, #ffe600 20%, #ffe600 80%, #2d2d2b 80%, #000);" [[파일:위르겐 콜러.jpg|width=100%]]}}}|| > '''위르겐 콜러나 [[피에트로 비에르코보드]]와 같은 수비수들이 한 경기에 10~15번씩 내 앞길을 가로막곤 했다.''' > ---- > [[마르코 반 바스텐]] [[독일]]의 [[축구 선수]] 출신 [[축구 감독|감독]]. 선수 시절 포지션은 [[센터백]]. 현역 시절 독일의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90 월드컵]], [[유로 1996]] 우승멤버이자, 90년대 중반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전성기를 이끌며 팀의 유일한 [[UEFA 챔피언스 리그/1996-97 시즌|UCL 우승]]과 2회의 분데스리가 우승[* 95/96, 01/02 시즌]에 기여하였다. 거기다가 본인은 1997년 [[독일 올해의 축구 선수]]를 수상했으며, [[유로 1992]] 토너먼트의 팀[* 독일은 해당 대회 준우승]과 [[Kicker|키커]] 올해의 수비수에 5회, [[Kicker 올해의 팀|키커 올해의 팀]]에 6회 선정되었다. == 선수 경력 == === 클럽 === 1983년, SV 발트호프 만하임에 프로 생활을 시작,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전에 데뷔했다. 만하임에서의 성적을 인정받아 [[1. FC 쾰른]]으로 이적하였고 2년간 [[분데스리가]] 57경기에 출전하여 맹활약하며 [[FC 바이에른 뮌헨]]에 이적하여 첫 시즌에 자신의 커리어 최초로 분데스리가 우승을 차지했다. ==== [[유벤투스 FC]] ==== 1991년 [[세리에 A]]의 명문 팀인 [[유벤투스 FC]]에 입단하여 1992-93 [[UEFA 유로파 리그|UEFA컵]] 결승전에서 [[판타지스타]] [[로베르토 바조]]와 함께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를 제압하여 우승을 차지한다. 1994-95 시즌에 유벤투스는 리그 우승과 [[코파 이탈리아]]에서 우승했지만 부상으로 19경기 밖에 출전하지 못했다.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콜러.jpg|width=100%]]}}}|| 이후 1995년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로 이적하여 [[마티아스 자머]]와 함께 환상적인 [[스위퍼(축구)|스위퍼]]-스토퍼를 구축하여 1995-96 시즌에 분데스리가 우승을 차지했고, 1996-97 시즌에는 [[UEFA 챔피언스 리그]] 준결승전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를 꺾고[* 이 시합에서 [[에릭 칸토나]]를 아예 지워버렸다.][[UEFA 챔피언스 리그/1996-97 시즌/결승전|결승전]]에 진출했고 친정팀인 유벤투스를 상대로 3:1로 승리하여 [[빅 이어]]를 차지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콜러_챔스.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2d2d2b 20%, #ffe600 20%, #ffe600 80%, #2d2d2b 80%, #000);" '''{{{#!html 빅 이어를 들어올리는 콜러}}}'''}}} || 그러한 활약으로 1997년 [[독일 올해의 축구 선수]]를 받았고 부상으로 고생하다 일찍 은퇴한 파트너 [[마티아스 자머]]와 달리 꾸준히 경기에 출전해 도르트문트의 전설이 되어간다. 그러던 중 2001-02 시즌 분데스리가에서 우승하였으나 UEFA컵 결승전 [[페예노르트 로테르담]]과의 시합에서 [[욘 달 토마손]]에게 반칙을 범해 [[페널티킥]]은 물론 다이렉트 레드 카드를 받아 퇴장당하고 말았다. 도르트문트는 이 페널티킥으로 실점하여 3:2로 패하고 준우승에 그쳐 명성에 걸맞지 않은 은퇴 경기를 치른 후 은퇴했다.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 콜러는 자신의 첫 메이저 대회인 [[UEFA 유로 1988|유로 1988]]에서 주전으로 참가해 서독을 4강으로 이끌었으나 4강에서 [[오렌지 삼총사]]가 이끄는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에게 패해 대회를 마감했다.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에서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서독]]의 주전 수비수로서 참가해 맹활약을 펼치며 16강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전에서 [[마르코 반 바스텐]]을 지워버리며 승리에 공헌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콜러_반바스텐.png.gif|width=100%]]}}} || || '''{{{#e0c9a5 [[마르코 반 바스텐|{{{#e0c9a5 반 바스텐}}}]]을 마크하는 콜러}}}''' || 이후 8강에서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체코슬로바키아]]를 1:0으로 제압[* 이 경기에서 콜러는 최고의 폼을 보여주던 토마스 스쿠라비를 완벽히 묶어냈다.], 4강에서는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를 [[승부차기]]로 제압하고 결승전에서 [[디에고 마라도나]]가 이끄는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를 1:0으로 꺾으며[* [[안드레아스 브레메]]가 [[페널티 킥]]으로 결승골을 넣었다.]월드컵 우승에 기여했다. 이후 [[UEFA 유로 1992|유로 1992]] 준우승 당시에도 대회 베스트 XI에 뽑혔고, [[UEFA 유로 1996|유로 1996]] 우승 당시에는 부상으로 참여하지 못했으며[* 사실, 조별 리그 1차전 때 1차전에 출전하지 않았던 클린스만을 대신해 대표팀 경력이 가장 오래된 콜러가 주장 완장까지 달고 참여했으나 경기 14분에 부상을 입고 물러나게 되면서 경기에 참여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콜러 역시 명단에서 탈락한 것이 아니라 조별 리그에 주장 완장까지 달고 나올 정도로 핵심 전력들 중 한 명이였으나 부상을 입고 [[마르쿠스 바벨]]과 교체가 된 케이스라서 명단에는 그대로 포함이 돼있어서 우승 기록은 똑같이 보유하고 있다.],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1998년 프랑스 월드컵]]까지 국가대표 붙박이 중앙 수비수로 활약하였다. 대표팀 생활 만년에는 종종 주장 완장을 차고 나오기도 했다. == 플레이 스타일 == [youtube(3AVD7YeJncY)] '''독일 역대 최고의 스토퍼형 수비수'''로서 당대 수비수들 가운데에서도 손꼽히는 월드클래스였다. 위치선정, 맨마킹, 태클, 제공권, 속력, 인터셉트, 몸싸움, 투지, 허슬플레이, 전술이해도까지 전형적인 파이터형 수비수가 필요한 덕목들을 모두 갖추고 있었던 선수. 특히 세트피스 상황마다 상대팀에 큰 위협이었던 높은 타점, 점프력과 몸싸움이 겸비된 고공 플레이가 단연 압권이었다. 단지 무식하게 육체 능력만 믿고 돌격하는 수비수 또한 아니었는데, 기본적으로 스포츠인으로서 훌륭한 멘탈과 프로의식을 지닌 선수기도 했고 특히 유벤투스 시절 집중적으로 배운 볼 컨트롤 능력까지 탑재하게 되어 후방 빌드업까지 능숙하게 수행할 수 있었던 완전체 수비수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인다. 수비수로서 필요한 덕목들을 모두 가졌었지만 특히 '''대인마크 능력'''이 매우 뛰어났는데, 콜러는 특히 피지컬을 바탕으로 한 맨마킹 능력으로 [[마르코 반 바스텐]]을 괴롭히던 대표적인 선수였다. 그 외에도 찰거머리 같은 대인 수비를 바탕으로 당대 최정상급 선수라고 할 수 있는 [[에릭 칸토나]], [[지네딘 지단]],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로베르토 바조]] 등을 완벽하게 봉쇄하면서 자신의 대인 방어 능력이 역대 최고 레벨의 수준이라는 것을 증명했다. 이렇게 재능 면에서는 완전체였던 콜러의 문제점은 바로 유리몸이었다는 것. 커리어 내내 크고작은 부상으로 인해 출장시간이 불규칙적이다 보니 폼이 들쭉날쭉한것은 다반사였다. 또한 오른발 사용만을 고집했던 선수로 왼발 플레이는 여러모로 많이 부족한 면모를 보였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FC 바이에른 뮌헨]] * [[분데스리가]]: 1989-90 * [[DFL-슈퍼컵]]: 1990 * [[유벤투스 FC]] * [[세리에 A]]: 1994-95 * [[코파 이탈리아]]: 1994-95 * [[UEFA컵]]: 1992-93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분데스리가]]: 1995-96, 2001-02 * [[DFL-슈퍼컵]]: 1995, 1996 * [[UEFA 챔피언스 리그]]: 1996-97 * [[인터컨티넨탈컵]]: 1997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 [[FIFA 월드컵]]: 1990 *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1996 === 개인 수상 === * [[독일 올해의 축구 선수]]: 1997 * [[UEFA 유로]] 토너먼트의 팀: 1992 * [[Kicker|키커]] 올해의 수비수: 1986-87, 1987-88, 1989-90, 1995-96, 1996-97 * [[Kicker 올해의 팀|키커 올해의 팀]]: 1986-87, 1987-88, 1988-89, 1990-91, 1998-99, 2000-01 * [[옹즈 드 옹즈]]: 1997 * 독일 축구 명예의 전당: 2021 [각주] [[분류:1965년 출생]][[분류:독일의 축구선수]][[분류:독일의 축구감독]][[분류:수비수]][[분류:SV 발트호프 만하임/은퇴, 이적]][[분류:1. FC 쾰른/은퇴, 이적]][[분류:FC 바이에른 뮌헨/은퇴, 이적]][[분류:유벤투스 FC/은퇴, 이적]][[분류: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은퇴, 이적]][[분류:MSV 뒤스부르크/역대 감독]][[분류:VfR 알렌/역대 감독]][[분류:SpVgg EGC 비르게스/역대 감독]][[분류:FC 빅토리아 쾰른/역대 감독]][[분류:감독 대행/축구]][[분류:독일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참가 선수]][[분류:1994 FIFA 월드컵 미국 참가 선수]][[분류: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참가 선수]][[분류:독일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1988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1992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1996 참가 선수]][[분류:FIFA 월드컵 우승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