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스폴레토 공작)] ||<-3><:>{{{+1 '''Winiges''' }}}|| ||<-2> '''생몰년도''' ||<(> 미상 ~ 822년 || ||<-2> '''출생지''' ||<(> 미상 || ||<-2> '''사망지''' ||<(> [[스폴레토]] || ||<-2> '''재위 기간''' ||789년 - 822년 || [목차] == 개요 == [[스폴레토 공국]] 17대 공작. == 행적 == [[프랑크 왕국]] 출신 장성이다. 788년 [[동로마 제국]] 황제 [[콘스탄티노스 6세]]가 파견한 시칠리아의 파트리키우스인 테오도로스가 이끄는 [[동로마군]]이 [[랑고바르드 왕국]] 최후의 국왕 [[데시데리우스]]의 아들 아델치스를 앞세워 칼라브리아에 상륙하자, [[카롤루스 대제]]는 그에게 군대를 맡겨 이들을 격퇴하게 했다. 그는 [[베네벤토 공국|베네벤토 대공]] [[그리말트 3세]], 스폴레토 공작 [[힐데프란트(스폴레토)|힐데프란트]]와 함께 동로마군을 협공해 테오도로스를 생포하고 4,000명의 적군을 사살하고 1,000여 명을 포로로 잡는 대승을 거두었다. 이듬해인 789년에 힐데프란트가 사망하자, 카롤루스 대제에 의해 스폴레토 공작에 선임되었으며, [[교황령]]의 국왕 순찰사(Missi Dominici)를 겸임했다. 799년 4월 25일 교황 [[레오 3세]]가 라테라노의 성 요한 대성전에서 성 로렌스 성전으로 가던 중 갑작스러운 습격으로 심각한 부상을 입고 성 에라스무스 수도원으로 이송되었다. 위니게스는 이 소식을 듣자마자 로마로 달려가서 교황을 카롤루스 대제가 있는 파데보른까지 호송하면서 신변을 보호했다. 802년 알 수 없는 이유로 루체리아에서 베네벤토 대공 그리말트 3세와 맞붙었다가 생포되었다가 이듬해에 풀려났다. 815년 로마에서 주민들이 반란을 일으키자, 이탈리아 국왕 베르나르도의 지시에 따라 로마로 진군해 진압했다. 822년 고령으로 집무를 더 이상 보기 힘들어지자 수도원으로 은퇴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사후 브레시아 시의 백작이었던 [[수포 1세]]가 스폴레토 공작에 취임했다. [[분류:스폴레토 공작]][[분류:822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