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ff>
[[파일:Welsh_Rugby_Union_logo.svg.png|width=100%]]|| ||||<:><#c8102E> '''{{{+1 웨일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fff> ''' {{{#c8102e Wales national rugby union team}}}'''[br] {{{#c8102e '''Tîm rygbi'r undeb cenedlaethol Cymru'''}}} || || '''소속단체''' ||[[웨일스 럭비 유니언]] || || '''감독'''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워렌 개틀랜드]] (Warren Gatland) || || '''주장''' ||잭 모건 (Jac Morgan), 듀이 레이크 (Dewi Lake) || || '''최다 출전자''' ||[[알런 윈 존스]] (Alun Wyn Jones) 158회[* [[브리티시 앤드 아이리시 라이언스|라이언스]] 12회까지 총 170회로, [[테스트 매치]] 역대 1위다.][* 럭비 월드컵 21경기 출전으로 역대 2위다.] || || '''최다 득점자''' ||[[닐 젠킨스]] (Neil Jenkins) 1049점[* 라이언스에서 41점으로 개인 기록은 총 1,090점이다. 1999년 263점을 올려 한 해 득점 역대 1위, 그중 페널티킥만 62번으로 한 해 페널티킥 성공 역대 1위 기록도 갖고 있다.] || || '''최다 트라이''' ||[[셰인 윌리엄스]] (Shane Williams) 58회[* 라이언스에서 2회까지 개인 기록은 총 60회] || || '''홈 구장''' ||[[프린시팔리티 스타디움]] (Principality Stadium) || || '''첫 국제경기''' ||VS [[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잉글랜드]] (0:8 패), 1881년 2월 19일 || || '''최다 점수차 승''' ||VS [[일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일본]] (98:0 승), 2004년 11월 26일 || || '''최다 점수차 패''' ||VS [[남아프리카 공화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남아공]] (13:96 패), 1998년 6월 27일 || || '''[[럭비 월드컵]]''' ||10회 출전, 최고 기록 3위(1987) || || '''[[월드 럭비 랭킹]]''' ||최고 '''1위'''^^(2019)^^ / 최저 '''10위'''^^(2023)^^ || || '''역대 전적''' ||786전 406승 30무 350패 (51.7%)[* 2023년 10월 15일 기준, [[https://en.wikipedia.org/wiki/Wales_national_rugby_union_team#Overall|출처]]] || [목차] [clearfix] == 개요 == [[웨일스]]의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다. 2003년 세계 랭킹이 집계된 이후 지금까지 총 2주간 1위를 유지했다(2019년 8월 19일부터). 2022년 3승 9패를 기록하며 감독이 수많은 팬들과 은퇴한 선수들로부터 욕을 바가지로 먹고 있다. 그중에서도 [[식스 네이션스]] 만년 꼴찌 후보인 [[이탈리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탈리아]]에게 홈에서 패배하면서 1승 4패 5위로 마무리, Autumn Nations Series에선 2티어 국가인 [[조지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조지아]]에게 홈에서 패배하는 불과 얼마 전까지 식스 네이션스 우승하던 팀이 맞나 싶은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 결국 2022년 시즌 종료 후 감독이 전임 '''[[워렌 개틀랜드]]'''로 전격 교체되었다. 2008년부터 2019년까지 팀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던 인물이다. == 역대 전적 == 2023년 10월 15일 기준 === 감독별 전적 === || '''이름''' || '''기간''' || '''총전적''' || '''승''' || '''무 '''|| '''패''' || '''승률''' || ||아마추어 시대 || 1967~1995 || 163전 || 82승 || 7무 || 74패 || 50.3% || ||케빈 바우링 || 1995~1998 || 29전 || 15승 || || 14패 || 51.7% || ||데니스 존 (임시) || 1998 || 2전 || 1승 || || 1패 || 50%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그레이엄 헨리]] || 1998~2002 || 34전 || 20승 || 1무 || 13패 || '''58.8%''' || ||린 하웰스 (임시) || 2001 || 2전 || 2승 || || || 100%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스티브 핸슨]] || 2002~2004 || 29전 || 10승 || || 19패 || '''34.5%''' || ||마이크 러독 || 2004~2006 || 20전 || 13승 || || 7패 || '''65%'''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스콧 존슨 (임시) || 2006 || 3전 || || 1무 || 2패 || 0% || ||가레스 젠킨스 || 2006~2007 || 20전 || 6승 || 1무 || 13패 || '''30%''' || ||나이젤 데이비스 (임시) || 2007 || 1전 || || || 1패 || 0%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워렌 개틀랜드]] || 2007~2019 || 130전 || 72승 || 2무 || 56패 || '''55.4%''' || ||로빈 맥브라이드[* 개틀랜드가 항상 [[브리티시 앤드 아이리시 라이언스|라이언스]] 감독으로 불려가서 부재 기간에 직무대리를 했다] || 2009,2013,2017 || 6전 || 5승 || || 1패 || 83.3% || ||롭 하울리[* 2012년은 개틀랜드가 휴가 중 고향에서 사고를 당해서, 2016년은 라이언스의 뉴질랜드 투어 준비를 위해서 자리를 비웠다] || 2012~2013[br]2016~2017 || 20전 || 10승 || || 10패 || 50%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웨인 피박 || 2019~2022 || 34전 || 13승 || 1무 || 20패 || '''38.2%'''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워렌 개틀랜드]]''' || 2023~ || 10전 || 6승 || || 7패 || 60% || ||<-2> 프로 시대 평균 || 343전 || 173승 || 6무 || 164패 || '''50.4%''' || ||<-2> 역대 감독 평균 || 506전 || 255승 || 13무 || 238패 || '''50.7%''' || 워렌 개틀랜드 시절 [[럭비 월드컵]]은 2011,2019년엔 4강, 2015년 8강에 올라갔다. 2000년 이후 2007년까지 [[식스 네이션스]]에서 2005년 그랜드 슬램 이외 타이틀이 전무했던 것을 그가 취임한 뒤 2008,2012,2019 세 번의 그랜드 슬램과 2013 우승을 달성하는 위업을 달성한다. 그가 떠난 후 웨인 피박 시절엔 성적이 워낙 시궁창이어서 결국 전임자가 다시 돌아왔다. 이로써 워렌 개틀랜드는 무려 13년 이상 웨일스 감독직을 맡게 되었다. 아예 [[2027 럭비 월드컵]]까지 맡기를 원한다고 본인이 밝혔는데, 그렇게 되면 20년 가까이 다른 나라의 대표팀 감독으로 재직하게 된다. === 주요 대회 성적 === ||<-4> '''[[럭비 월드컵|{{{#fff 럭비 월드컵}}}]]''' || || '''연도''' || '''개최국''' || '''최종 순위''' || '''비고''' || || [[1987 럭비 월드컵|1987]]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호주[br][[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30]] 뉴질랜드 || 3위 ||조별리그 3전 전승[br]4강전 vs 뉴질랜드(6:49) || || [[1991 럭비 월드컵|199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br][[파일:IRFU 로고.png|width=30]] 아일랜드[br][[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30]] 스코틀랜드[br][[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30]] 웨일스 || 조별리그 ||조 3위 || || [[1995 럭비 월드컵|1995]]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남아공 || 조별리그 ||조 3위 || || [[1999 럭비 월드컵|1999]]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30]] 웨일스 || 8강 ||8강전 vs 호주(9:24) || || [[2003 럭비 월드컵|2003]]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호주 || 8강 ||8강전 vs 잉글랜드(17:28) || || [[2007 럭비 월드컵|2007]]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 조별리그 ||조 3위 || || [[2011 럭비 월드컵|201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30]] 뉴질랜드 || 4위 ||4강전 vs 프랑스(8:9)[br]3/4위전 vs 호주(18:21) || || [[2015 럭비 월드컵|201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 || 8강 ||8강전 vs 남아공(19:23) || || [[2019 럭비 월드컵|2019]]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 4위 ||조별리그 4전 전승[br]4강전 vs 남아공(16:19)[br]3/4위전 vs 뉴질랜드(17:40) || || [[2023 럭비 월드컵|2023]]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 8강 ||조별리그 4전 전승[br]8강전 vs 아르헨티나(17:29) || 1987년부터 개근하고 있으나 4강이 최대 기록이다. ||<-7>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fff 홈 네이션스}}}]]''' {{{#fff (1883 ~ 1909 / 1932 ~ 1939)}}} || || '''참가국''' || '''우승''' || '''그랜드 슬램''' || '''트리플 크라운''' || '''우든 스푼'''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30]] 스코틀랜드 || 11회 || || 7회 || 5회 ||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30]] 웨일스 || 10회 || 2회[* 1908,1909년 대회는 프랑스가 중간에 참가하여 추가 경기를 치뤘다. 그래서 홈 네이션스 중 두 해만 그랜드 슬램이 있었다.] || 6회 || 2회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 || 9회 || || 5회 || 7회 || ||[[파일:IRFU 로고.png|width=30]] 아일랜드 || 7회 || || 2회 || 10회 || ||<-7>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fff 파이브 네이션스}}}]]''' {{{#fff (1910 ~ 1931 / 1940 ~ 1999)}}} || || '''참가국''' || '''우승''' || '''그랜드 슬램''' || '''트리플 크라운''' || '''우든 스푼'''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 || 23회 || 11회 || 16회 || 10회 ||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30]] 웨일스 || 23회 || 6회 || 11회 || 6회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 20회 || 6회 || || 9회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30]] 스코틀랜드 || 11회 || 3회 || 3회 || 15회 || ||[[파일:IRFU 로고.png|width=30]] 아일랜드 || 11회 || 1회 || 4회 || 15회 || ||<-7>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fff 식스 네이션스}}}]]''' {{{#fff (2000 ~ )}}} || || '''참가국''' || '''우승''' || '''그랜드 슬램''' || '''트리플 크라운''' || '''우든 스푼'''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 || 7회 || 2회 || 5회 || ||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30]] 웨일스 || 6회 || 4회 || 5회 || 1회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 6회 || 4회 || || 1회 || ||[[파일:IRFU 로고.png|width=30]] 아일랜드 || 5회 || 3회 || 7회 ||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30]] 스코틀랜드 || || || || 4회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이탈리아 || || || || 18회 || 식스 네이션스로 확대 개편된 이후 2019년까지 가장 많은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팀이 됐다가 2022년 프랑스가 성공하며 동률이 되었다. 그런데 이듬해 2022년 이탈리아에게 지며 1승 4패 5위로 마무리했다. 2023년도 이탈리아에게만 이기며 1승 4패 5위. === 국가별 상대전적 === || '''상대국''' || '''총전적''' || '''승''' || '''무''' || '''패''' || '''승률'''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30]] [[뉴질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뉴질랜드]] || 37전 || 3승[* 마지막 승리가 70년 전인 1953년이다] || || 34패 || 8.1%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남아프리카 공화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남아공]] || 41전 || 7승 || 1무 || 33패 || 17.1% ||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호주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호주]] || 46전 || 14승 || 1무 || 31패 || 30.4%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잉글랜드]] || 141전 || 61승 || 12무 || 68패 || 43.3%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프랑스]] || 103전 || 51승 || 3무 || 49패 || 49.5% || ||[[파일:IRFU 로고.png|width=30]] [[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아일랜드]] || 134전 || 70승 || 7무 || 57패 || 52.2%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30]] [[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스코틀랜드]] || 129전 || 75승 || 3무 || 51패 || 58.1% ||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30]] [[사모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사모아]] || 10전 || 6승 || || 4패 || 60%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아르헨티나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 || 22전 || 14승 || 1무 || 7패 || 63.6%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30]] [[루마니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루마니아]] || 8전 || 6승 || || 2패 || 75% || ||[[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30]] [[조지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조지아]] || 5전 || 4승 || || 1패 || 80% || ||[[파일:피지 국기.svg|width=30]] [[피지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피지]] || 14전 || 12승 || 1무 || 1패 || 85.7%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이탈리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탈리아]] || 32전 || 28승 || 1무 || 3패 || 87.5%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일본]] || 10전 || 9승 || || 1패 || 90%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캐나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캐나다]] || 13전 || 12승 || || 1패 || 92.3% || || 그외[* [[나미비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나미비아]] [[포르투갈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포르투갈]] [[스페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스페인]] [[통가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통가]] [[미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미국]] [[우루과이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우루과이]] [[짐바브웨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짐바브웨]] ] || 26전 || 26승 || || || 100% || == 개인 기록 == || '''타이틀''' || '''이름''' || '''포지션''' || '''기록''' || '''기간/시점''' || '''비고''' || ||최다 출전 || [[알런 윈 존스]] || 록 || 158회 || 2006~ || || ||주장으로서 최다 출전 || [[샘 워버튼]] || 플랭커 || 49회 || 2011~2016 || || ||최다 트라이 || [[셰인 윌리엄스]] || 윙 || 58회 || 2000~2011 ||경기당 0.67개 || ||최다 트라이 (경기당) || 셰인 윌리엄스 || 윙 || 경기당 0.67개 || 2000~2011 ||총 58회 || ||최다 득점 || [[닐 젠킨스]] || 플라이하프 || 1,049점 || 1991~2002 ||경기당 12.06점 || ||한 경기 최다 득점 || 닐 젠킨스 || 플라이하프 || 30점 || 1999.3.20 ||vs [[이탈리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탈리아]] || ||한 경기 최다 트라이 || 콜린 차비스 || 플랭커 || 4개 || 2004.11.26 ||vs [[일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일본]] || == 유니폼 == 전통적으로 빨간 셔츠와 양말, 흰 바지를 입는다. 종종 바지까지 빨간색으로 할 때도 있고, 흰색이나 회색 무늬를 넣기도 한다. 교체 유니폼은 위아래 양말 모두 회색~암록색. || '''연도''' || '''장비 제작''' || '''유니폼 스폰서''' || ||1970년대~1991 ||[[엄브로]] ||<|3> - || ||1991~1996 ||코튼 트레이더스 || ||1997~2000 ||<|4>[[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리복]] || ||2000~2002 ||레드스톤 텔레콤 || ||2002~2004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락포트]] || ||2004~2008 ||<|2>브레인스 브루어리 || ||2008~2010 ||<|3>[[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언더아머]] || ||2010~2017 ||애드미럴 || ||2017~2020 ||<|2>[[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이스즈자동차|이스즈]](주), [[스바루(기업)|스바루]](교체) || ||2020~ ||<|2>[[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마크론]] || ||2021~ ||카주 || == 사건사고 == [[2023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3라운드 잉글랜드와의 경기를 앞두로 대표팀 선수들이 파업을 예고했다. 사유는 임금 인상을 비롯한 선수들의 복지 향상을 요구했으나 협회가 받아들이지 않으며 갈등이 커졌기 때문이다.[* 럭비가 생업인 선수들에게 임금과 수당이 타국 선수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고, [[테스트 매치]] 60경기 출전을 달성하기 전까지 해외 진출을 제한하는 60-Cap 규정의 폐지가 가장 큰 화두로 떠올랐다.] 살아 있는 전설 [[알런 윈 존스]], 전 주장 [[샘 워버튼]]을 비롯해 많은 유명 선수들이 동참했고 감독인 [[워렌 개틀랜드]]또한 잉글랜드전 선수 명단 발표를 데드라인 직전까지 늦추면서 "선수들을 전적으로 지지하지만, 파업은 안된다. 파업한다면 난 그들을 지지하지 않겠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끝모를 갈등으로 팬들은 경기 취소를 걱정하고 있었으나 데드라인 직전 선수 명단이 발표되며 잉글랜드와의 경기는 정상 추진된다. 협상의 성과로 60캡 규정이 25캡 규정으로 완화되었고, 기타 여러 제약사항이 일부 해소되었다고 한다. 문제는 25회 이상 출전한 중견급 선수들이 일제히 해외 구단을 알아보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잖아도 지금 웨일스 프로구단은 전력이 이탈리아 급으로 약해졌는데 더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다. == 선수단 == [include(틀:웨일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둘러보기 == [include(틀:홈 네이션스)] [include(틀:Six Nations/경기장)] [[분류:웨일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