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산둥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산둥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산둥성|{{{#000,#ddd 산둥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潍坊, ruby=Wéifāng)][ruby(市, ruby=Shì)]}}}'''[br]웨이팡시 | Weifang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潍坊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산둥성]] 웨이팡시 쿠이원구[br]가오신기술개발구 성리둥제99호[br]山东省潍坊市奎文区[br]高新技术开发区胜利东街99号 || ||<-2> '''{{{#ffff00 지역}}}''' || [[화둥]] || ||<-2> '''{{{#ffff00 면적}}}''' || 16,167.23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4구 6현급시 2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9,386,705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581명/km² || ||<-2> '''{{{#ffff00 서기}}}''' || 장둔타오(江敦涛) || ||<-2> '''{{{#ffff00 시장}}}''' || 류윈(刘运)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1,100억 8,787만 ^^(2020)^^ || || '''{{{#ffff00 1인당}}}''' || $11,728 ^^(2020)^^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월계화]], [[국화]] || || '''{{{#ffff00 시목}}}''' || [[회화나무]] || ||<-2> '''{{{#ffff00 차량번호}}}''' || '''鲁G, 鲁V'''[* 병행중]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潍'''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37'''07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536''' || ||<-2> '''{{{#ffff00 우편번호}}}''' || '''261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SD-07''' ||}}}}}}}}} || ||<-3> [[http://www.weifang.gov.cn/|홈페이지]] || [[파일:중국 칭저우.jpg|width=450]] 옛 청주의 중심이던 [[칭저우]] 고성의 성문.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동부 [[산둥성]]의 지급시. [[지난]]에서 동쪽으로 150km, [[칭다오]]에서 서북쪽으로 100km, [[옌타이]]에서 서쪽으로 400km 떨어진, 인구는 920만명의 대도시이다. 산동성은 지리적 특성상 한국과 옛날부터 교류가 많았고, 한중수교 이후에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전근대 중국사의 익숙했던 지명이[* 전근대 한국에서 중국사는 기본 소양이었다.] 오늘날까지 그대로 이어져오는 게 아닌 이상 근현대 지명들은 중국식 원음으로 읽는 것이 통례인데 반해, 예외적으로 산둥성은 옛 역사와 그다지 관련 없는 근현대의 지명들도 [[한국 한자음]]으로도 많이 읽는 곳인데, 문제는 '웨이팡'은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유방'이 돼서 곤란해진다.(...) == 역사 == [[3황 5제]] 중 한명인 [[순]] 임금의 탄생지로 유명하다. 당시 웨이팡의 시가지는 현재 웨이팡시 시가지가 아닌 서쪽으로 약간 들어가 있는 칭저우(青州)로, [[상나라]] 시기부터 중국의 영향 안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춘추전국시대]]에는 [[노나라|노]](鲁), [[제(춘추전국시대)|제]](齐), 래(莱), 기(杞),거 (莒) 등의 국가가 통치하고 있었다. [[조조]]의 [[청주병]]이 바로 일대에서 징집된 병사들이다. [[후한]] 시대에는 북해라고 불렷다. 즉 [[공융]]이 황건적을 막아내던 북해는 이곳이다. 근현대에 들어서는 당시 칭다오를 지배하던 독일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당시 지어진 철도역이 남아있다. 그리고 1차세계대전때 칭다오가 일본의 영역으로 넘어가면서 당시 중국의 여러 군벌전쟁으로 인해 사실상 일본 영향권에 들어갔었다. [[중일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시에는 당시 중국을 넘어 아시아 최대의 강제수용소였던 '''웨이현 집중영(潍县集中营)'''이 위치하였던 아픈 역사도 있다. 참고로 이 웨이현 집중영은 원래 [[미국]] [[장로교|북장로교]] 소속 선교사였던 로버트 맥케인 메이터(Robert McCheyne Mateer)가 세운 선교원이었으며, 당시 명칭은 낙도원(乐道院)이었다가 [[1942년]]에 [[일본군]]이 점령 후 수용소로 활용하였다. == 문화 == === 연 === [[파일:1611BP0F4D0-ZWI.jpg|width=450]] 웨이팡 연 축제(潍坊风筝节) 사진의 모습. 중국 전역에서 연으로 유명한 도시로, [[중국인]]들은 웨이팡을 '''세계 연의 수도(世界风筝之都)'''라고 부를 정도로 연이 유명하다. 웨이팡은 중국이 주도한 비정부 문화기구인 국제 연 연합회(国际风筝联合会)의 본부가 있는 곳이며[* 총 67개국에 지부를 두고 있다. 참고로, 이 국제 연 연합회는 중국 민간에서 만든 최초의 민간 국제체육조직이다. 다만 정보가 그리 많지 않은 것을 보면 그리 큰 조직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매년 [[4월 21일]]부터 [[5월 7일]]까지 위 사진의 연 축제를 개최하며, 관내에 시정부가 직접 국제 연 박물관(世界风筝博物馆)을 건립해서 웨이팡의 연을 기념 및 외부로 알리는 데에 노력하고 있다. === 음식 === [[파일:潍坊火烧.jpg|width=450]] 웨이팡 성황묘의 훠샤오 [[파일:Chao_tyen_gwo.jpg|width=450]] 차오톈궈 [[파일:和乐.jpg|width=450]] 허러 중국 전통 빵인 훠샤오([ruby(火烧, ruby=huǒshao)])[* 밀가루 반죽 안에 고기나 채소를 다져서 넣어 구운 중국 전통 빵이다. 웨이팡 뿐 아니라 중국 북부에서는 자주 먹는 요리이다.], 웨이팡식 춘권 형태의 고기빵인 차오톈궈([ruby(朝天锅, ruby=cháotiānguō)]), 전통 오리국수인 허러([ruby(和乐, ruby=hélè)])가 지역 명물로 유명하다. 웨이팡에서는 이 세 요리를 웨이팡의 3대 간식(三大小吃)이라고 부른다. 참고로 훠샤오의 경우에는 웨이팡 성황묘(潍坊城隍庙)의 훠샤오를 으뜸으로 친다. == 교통 == 관내에 민군복합공항인 [[웨이팡 공항]](潍坊机场)이 있었으나 중국 주요 대도시를 연결하는 국내선 뿐이며, 국제선은 존재하지 않았다. 그래서 철도수송 비중이 높으며, 한국인들이 웨이팡에 갈 때에도 주로 철도를 이용해서([[웨이팡베이역]]) 들어간다. 2022년웨이팡 신공항이 완공되어 군용공항으로 용도가 변경되었다. 그 외에도 항구도시인지라 선편 역시 발달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