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후난성의 지급시]][[분류:국가역사문화명성]][[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후난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후난성|{{{#000,#ddd 후난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岳阳, ruby=yuèyáng)][ruby(市, ruby=Shì)] | [ruby(岳阳, ruby=Io6ian2)][ruby(市, ruby=Shr5)]}}}'''[br]웨양시 | Yueyang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岳阳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후난성]] 웨양시 웨양러우구[br]진어중루235호[br]湖南省岳阳市岳阳楼区金鹗中路235号 || ||<-2> '''{{{#ffff00 지역}}}''' || [[중난]] || ||<-2> '''{{{#ffff00 면적}}}''' || 14,896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3구 2시 4현 || ||<-2> '''{{{#ffff00 시간대}}}''' || UTC+8(北京时间)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5,051,922명^^(2020)^^ || ||<-2> '''{{{#ffff00 인구밀도}}}''' || 339명/km² || ||<-2> '''{{{#ffff00 서기}}}''' || 차오푸화(曹普华) || ||<-2> '''{{{#ffff00 시장}}}''' || 리즈(李挚)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463억 4,100만 ^^(2015)^^ || || '''{{{#ffff00 1인당}}}''' || $8,257 ^^(2015)^^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치자나무|치자꽃]] || || '''{{{#ffff00 시목}}}''' || 담팔수 || ||<-2> '''{{{#ffff00 차량번호}}}''' || '''湘F'''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岳'''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43'''06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730''' || ||<-2> '''{{{#ffff00 우편번호}}}''' || '''414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HN-06''' ||}}}}}}}}} || ||<-3> [[http://www.yueyang.gov.cn/index.html|홈페이지]] || [[파일:60748803_f83c10f3a7_b.jpg|width=450]] 랜드마크인 악양루(岳阳楼)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중남부 [[후난성]]의 [[지급시]]. [[창사시]]로부터 북쪽으로 130km, [[우한시]]에서 120km 떨어진, 후난성의 동북쪽 끝부분에 해당하며 인구는 550만명이다. [[장강]]의 남쪽 지류인 위안장(沅江)과 샹장(湘江)이 [[둥팅 호]]에서 모인 후 장강으로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해 있는데, 남, 서, 북에 호수가 있는 반도에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 역사 == [[상나라]]시기 [[징저우시]]와 같은 지역으로 묶여있었으며, 삼묘(三苗)의 지역이었던 곳으로 전해진다. [[춘추시대]]시기 [[초(춘추전국시대)|초]](楚), 성(麋), 나(罗) 등의 나라가 통치하였으며 [[전국시대]] 쯤에 가서는 전부 초나라가 통치하게 된다. [[진(영성)|진나라]] 대에는 나현(罗县)으로 불리었고 한동안 이 이름으로 불리다가 [[서진]] 대에 파릉현(巴陵县)으로 개칭된다. [[양(남조)|양나라]] 대에 주변 현들을 묶어서 악양군(岳阳郡)이 설치된다. [[수나라]] 대에 악주(岳州)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원나라]] 대에 악주로(岳州路)가 설치되며, [[명나라]] 대에 악주부(岳州府) 등이 설치되었다가 [[중화민국]] 대에 웨양현(岳阳县)으로 개칭된다. [[중화인민공화국]] 시대에는 창사전구(长沙专区) 소속이었으나 [[1962년]]에 웨양현이 독립하고 웨양전구(岳阳专区)가 설치되며, [[1970년]]에는 웨양지구(岳阳地区)로 개칭되었다가 [[1975년]]에 현급시가 되고 [[1983년]]에 지급시가 된다. == 교통 == 관내에 웨양 싼허 공항(岳阳三荷机场)이 존재하고, 국내선 전용이다. 핑장현에는 소규모 공항인 핑장 안딩 공항(平江安定机场)이 있지만 소규모 공항이라 경비행기만 뜰 수 있어 단거리 노선으로만 운용된다. 철도역으로는 웨양역(岳阳站)과 웨양둥역(岳阳东站)이 있으며, 웨양역은 [[징광철도]](京广铁路)가, 웨양둥역은 징광선강고속철도(京广深港高速铁路)가 지나간다. 관내에 웨양난역(岳阳南站)이 있고 역사적으로는 원래 이 역이 웨양역이었으며, 노선으로 따지면 해당 역에 징광철도가 지나가지만 해당 역은 화물역이라 여객취급은 하지 않는다. == 관광 == 시내 서쪽에 있는 악양루가 매우 유명한데, 중국 3대 누각[* 나머지 둘은 [[우한]] 시에 있는 황학루, 포양 호 근처 난창(南昌) 시에 있는 등왕각이다.] 중 하나이며 [[이백]], [[두보]], [[범중엄]] 등이 시조를 남긴 곳이다. 특히 범중엄의 악양루기(岳陽樓記)가 유명하며, 한국인 관광객이 즐겨 찾는 곳이다. 그외에 [[노숙(삼국지)|노숙]], [[소교(삼국지)|소교]], 두보의 무덤이 남아있다. == 여담 == 여담으로 경상남도 [[하동군]]의 옛 지명이 악양인데 바로 이곳과 경치가 비슷하다고 해서 지어진 지명이었다. 다만 원조 악양을 다녀온 하동 사람들은 도대체 뭐가 비슷한지 모르겠다고 한다. 한국사 와의 인연은 고려의 [[충혜왕]] 이 광둥성 으로 귀양가다 이곳에서 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