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Webley Revolver}}}'''[br]''Webley Self-Extracting Revolver''[br]''웨블리 리볼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웨블리 리볼버/a0065107_4ed9f2801d11c.jpg|width=100%]]}}} || ||<-2><:> {{{#000,#ddd {{{-1 웨블리 Mk I .}}}}}} || || '''종류''' ||[[리볼버]] || || '''원산지''' ||[[파일:영국 국기.svg|width=23]] [[영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887년]]~[[1963년]] || || '''개발''' ||웨블리 & 스콧 || || '''개발년도''' ||[[1887년]] || || '''생산''' ||웨블리 & 스콧[br]RSAF 엔필드 || || '''생산년도''' ||[[1887년]]~[[1923년]] || || '''생산수''' ||약 125,000정 || || '''사용국''' ||[[파일:영국 국기.svg|width=23]] [[영국]][br][[파일:영국령 홍콩 기.svg|width=23]] [[영국령 홍콩]][br][[파일:인도 제국 국기.svg|width=23]] [[인도 제국]][br][[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width=23]] [[룩셈부르크]][br][[파일:호주 국기.svg|width=23]] [[호주]][br][[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width=23]] [[캐나다 자치령]][br][[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3]] [[뉴질랜드]][br][[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3]] [[아일랜드]][br][[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3]] [[필리핀]][br][[파일:대한제국 국기.svg|width=23]] [[대한제국]] || || '''사용된 전쟁''' ||[[보어 전쟁|2차 보어전쟁]][br][[의화단의 난]][br][[제1차 세계 대전]][br][[제2차 세계 대전]][br][[6.25 전쟁]] 등 || ||<-2> {{{#White '''기종'''}}} || || '''파생형''' ||Mk I[br]Mk II[br]Mk III[br]Mk IV[br]Mk V[br]Mk VI[br]웨블리 RIC[br]브리티쉬 불독[br][[웨블리-포스베리]] || ||<-2> {{{#White '''제원'''}}} || || '''탄약''' ||.455 웨블리[br].38/200(.38 S&W) || || '''급탄''' ||중절식 6발짜리 리볼버 실린더 || || '''작동방식''' ||[[더블 액션]] || || '''총열길이''' ||106mm || || '''전장''' ||286mm || || '''중량''' ||1.1kg || || '''발사속도''' ||20~30RPM || || '''탄속''' ||190m/s || || '''유효사거리''' ||45.7m ||}}}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eGreIiDMOQc)] Webley & Scott Revolver 웨블리사가 만든 리볼버로 따진다면 1850년대부터 퍼커션 캡 리볼버를 생산했고, 이 외에도 불독 리볼버나 RIC 리볼버 등을 만들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웨블리 리볼버로 불리는 총은 188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사용된 455구경 웨블리탄을 쓰는[* 다른 구경의 탄환을 쓴 모델도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455탄 모델의 파생형이다.] 중절식 [[리볼버]]를 말한다. == 모델 == * Mk I : 시초의 더블액션 웨블리 리볼버. 4인치 배럴. 1887년 Pistol, Webley, Mk I의 이름을 받고 제식권총이 되었다. * Mk II : Mk I와 같으나, 해머와 그립 형태가 수정되었다. * Mk III : Mk II와 같으나, 실린더와 그 주변 부품이 수정되었다. * Mk IV : 보어전쟁 버전으로 수정된 형태. 부품 수가 적어졌다. * Mk V : Mk IV의 개량형, 실린더 구멍이 좀 더 커지고, 5인치, 6인치 모델도 나왔다. * Mk VI : Mk V의 개량형, 그립을 사각 형태로 수정하고 6인치 배럴형만 나왔다. * Mk IV.38/200 : 2차대전 제식권총탄으로 탄 구경이 조정된 사양. ---- * 웨블리 Mk I. [[파일:attachment/웨블리 리볼버/a0065107_4ed9f28506e97.jpg|width=400]] 1887년 이전까지 쓰이던 구식의 퍼커션 캡 방식의 [[애덤스 리볼버]]나 불안정한 초기형 탄피식 리볼버를 대체하여 군납된 최초 455구경 권총. 새부리를 연상시키는 그립(실제로 "Bird's beak"스타일이라고 불렀다.)이 특징이다. 이러한 그립 스타일은 [[보어전쟁]]때 사용된 Mk IV 모델까지 이어진다. * [[제1차 세계 대전]]때 사용되었던 455구경의 웨블리 Mk VI. [[파일:attachment/웨블리 리볼버/a0065107_4ed9f350d80c8.jpg|width=400]] 그러나 웨블리사의 생산력으로는 1차대전의 권총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해 영국 정부에서는 [[콜트 리볼버#콜트 뉴 서비스|콜트 뉴 서비스]]와 [[S&W 트리플 락]]의 455구경 버전을 주문, 조달하기도 했다. 중절식의 내구도를 못믿어서 영국 장교들이 사비로 샀다는 낭설이 퍼져 있는데 일부 장교들의 경우 그런 예가 있을지 몰라도, 어디까지나 저 두가지 미국 권총은 영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조달한 보조제식이었다. [[파일:external/www.deactivated-guns.co.uk/web_with_bayo-024185_2.jpg|width=400]] 1차 대전 당시 진흙이나 먼지 등 열악한 환경에도 잘 견뎌내어서 참호전에서 적합했으며, 총검[* 프랑스의 [[그라 소총]] 전용 총검을 개조한 것을 사용한다.]을 [[피스톨 소드|부착할 수도 있다.]] * [[제2차 세계 대전]]때 사용되었던 .38/200 구경의 웨블리 Mk IV .38/200 [[파일:attachment/웨블리 리볼버/a0065107_4ed9f34d346a9.jpg|width=400]] 기존의 455구경탄이 지나치게 강하고 그 때문에 사용 권총도 크고 무거우며 반동도 심하다는 불평 때문에 좀더 소구경인 .38/200탄[* .38 S&W탄의 영국 버전. 영국내에서 민간용과 경찰용으로 널리 쓰였다. 웨블리 리볼버도 민수용으로 이 탄환용 버전을 꾸준히 만들어 팔아왔다.] 으로 교체한 모델. 그립 형태도 Mk.VI와 유사해졌다. 당시 제식으로 채택된 같은 38구경 엔필드 No. 2 리볼버와 표절 문제로 법정소송을 벌인 일화가 있다. * 엔필드 No.2 리볼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Revolver_Enfield_No2_Mk_I.jpg|width=400]] 사진을 보면 알수 있듯, 여러면에서 웨블리 리볼버를 표절한 것으로 의심된다. 결국 영국 정부가 웨블리사에 £1,250의 돈을 지불하고 웨블리 Mk IV .38/200 를 준제식으로 채용한다. 사진에서 볼 수 있듯, 웨블리 리볼버의 최고 특징은 '중절식(Top Break) 방식'을 채용한 것. 이 때문에 웨블리의 내구도를 의심하는 사람이 좀 있지만, 웨블리는 중절식 리볼버치고는 꽤 무겁고 튼튼한 편이라 별로 문제는 안 된다. 게다가 장전속도도 굉장히 빨랐다. 요즘 기준으로도 웨블리의 재장전은 꽤나 빠른 편. === 브리티쉬 불독 === [[파일:WebleyBBD.jpg|width=400]] 웨블리 Mk I를 만들기 이전에 1872년 필립 웨블리는 호신용 리볼버를 개발하고 브리티쉬 불독이라는 이름으로 생산을 하게 된다. 이 총은 제 20대 [[미국 대통령]] [[제임스 A. 가필드]]를 암살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youtube(QMYFe7FgYZ4)] 이 리볼버는 중절식으로 설계된 것이 아니라서 [[콜트 싱글 액션 아미|콜트 SAA]]나 [[나강 M1895]]처럼 일일이 수동으로 배출해야 한다. === 자동 리볼버 [[웨블리-포스베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웨블리-포스베리)] === 앤더슨 휠러 Mk VII === [[파일:Anderson-Wheeler-Mark-VII-.357-Magnum-Revolver-1-anderson_wheeler.jpg|width=600]] 영국의 총기 기술자인 앤더슨 휠러가 설계한 바리에이션. [[.357 매그넘]]을 호환하고 장탄수는 7발이다. [[https://revivaler.com/anderson-wheeler-mark-vii-357-magnum-revolver/|#]] == .455 웨블리 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55_Webley_Revolver.jpg|width=500]]}}} || Mk I~Mk.VI의 탄약. Mk. III는 [[할로 포인트]]처럼 생겼고, Mk. IV와 V는 헤이그 조약 이후 Mk. III의 사용이 힘들어지자 저지력을 갖추기 위해 제작되었으나 훈련용 탄으로 쓰이고 탄피는 Mk.II 제작에 쓰이게 되었다. .455탄은 전통적인 리볼버 탄인만큼 림드 방식이고,[* 이 탄을 림리스화한 물건도 있다. 웨블리 총알을 호환하는 [[M1911]]에 맞게 개조된 것. 이 탄이 워낙 많다 보니 콜트에게 .455탄을 쓰는 모델을 요청해 만들어진 것이다.]19세기 말에 개발된 탄환인만큼 탄두 형상도 지금기준으로 보면 특이한 것이 많다. 미국 등지에서는 45구경보다 강력하다는 루머도 꽤 퍼져 있지만,[* 45구경 vs 455구경이라 더 강할 것이라는 단순 계산으로 보이며 탄두의 무게는 대체로 조금 더 무겁다.] 실제 총구 에너지로 비교하면 군용탄의 경우 별 차이가 나지 않고, 화약을 증량한 매그넘 탄등 특수탄과 비교하면 오히려 위력이 더 떨어진다. 그래도 총 구경이 거의 같기 때문에 Mk VI 모델은 .45 ACP 등 다른 45구경 탄을 쓸 수 있으며, S&W M10계열과 마찬가지로 [[문 클립]]을 사용하여 장전이 가능하다.[* 다만 .45 ACP가 .455 웨블리에 비교해서 장약량, 폭발압이 많아 내구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실제로 두 탄을 나란히 놓고 보면 .455 웨블리는 .45 ACP보다 탄피가 짧은데 탄두는 더 큰 것을 볼 수 있다.] 반대로 영국 내에서 흔하게 쓰인 탄이라 그런지 이 탄을 사용하는 [[M1911]]을 영국 공군에서 운용한 적이 있다. == 미디어 ==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의 영국의 [[권총]]을 상징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인 권총으로, 당시를 배경으로 하는 매체에서는 거의 필수적으로 나온다. 더 나아가 비슷한 시대를 다루는 스팀펑크물 등에도 흔히 등장. 이에는 간지넘치는 외형도 한 몫 한다. === 영화, 드라마 === * [[셜록 홈즈 시리즈]]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웨블리 리볼버/a0065107_4ed9f23be9b36.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imfdb.org/Holmes_watson_Webleys.jpg|width=100%]]}}} || [[존 왓슨]] 박사와 [[셜록 홈즈]]가 이 권총을 사용한다. 사실 원작에서 그들의 총이 무엇인지 명확히 나온 적은 없다. 애초에 홈즈는 총을 쏘는 용도보다 손잡이로 때리는 용도로 더 많이 썼다. 단 왓슨의 경우 군시절에 사용하던 총이므로 쉽게 추정이 가능하다. * [[인디아나 존스]] [[파일:attachment/웨블리 리볼버/a0065107_4ed9f23af1958.jpg|width=400]] 3편과 4편에서 "WG"모델을 사용했다. * [[아라비아의 로렌스]] [[파일:attachment/웨블리 리볼버/a0065107_4ed9f23ba1c27.jpg|width=500]] *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웨블리 리볼버/a0065107_4ed9facc0dc15.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imfdb.org/GBW_webley_1.jpg|width=100%]]}}} || '나쁜 놈' 박창이(이병헌)가 사용하는 것도 웨블리. (.38 S&W이다.) * [[타이타닉(영화)]] [[파일:attachment/웨블리 리볼버/a0065107_51320186dd2bd.jpg]] * [[닥터후]] [[파일:attachment/웨블리 리볼버/a0065107_4ed9f7865f26f.jpg]] 줄기차게 등장한다. 웃긴 것은 1880년대나 1940년대만이 아니라, '''3124년대'''에도 웨블리가 등장한다는 것. 심지어는 6시즌에서는 히틀러까지 웨블리를 들고 다닌다. '''헐?''' 사실 닥터 후에서는 먼 미래시대에 [[H&K G36]]도 갖다 쓰는 판이라서. 하지만 팬들은 '[[10대 닥터]]가 [[시간의 종말]] 2부에서 썼던 권총'이나 '[[캡틴 잭 하크니스]]가 들고 다니는 총'이라고 하면 알아들을 것이다. * 영화 [[바이러스(영화)|바이러스]]에서 로버트 애버튼 선장이 사용하는 무기이다. * [[아나키스트]]에서는 주인공 상구([[김인권]])가 사용한다. * [[워킹 데드]] 시즌 3에서 다리 위의 멕시코 가족이 좀비를 죽이기 위해 WG 모델을 쓴다. * 1차 대전이 무대인 실사판 영화 [[원더우먼(영화)|원더우먼]](2017)에도 나온다. 적인 독일군은 [[루거 P08]] 등을 들고 나온다. * 영국 드라마 [[피키 블라인더스]]에서 주인공 토마스 쉘비를 비롯한 여러 인물들이 사용한다. === 게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WieIRd4pp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dcqgV3xxC4)]}}} || || '''웨블리 리볼버''' || '''엔필드 No.2''' || * [[던전앤파이터]]에서도 등장했는데... 자세한 것은 [[던전 앤 파이터/아이템/리볼버|리볼버]] 항목 참조. * [[레이드: 월드 워 2]]에서 Mk VI가 나온다. * [[메탈슬러그 시리즈]]의 모든 여성 캐릭터의 [[핸드건]]이 웨블리 리볼버를 모티브로 한다. * [[바이오쇼크]]에서도 기본 권총으로 등장, 개조해서 탄창을 확장시키고 데미지를 증가시킬 수 있다. * [[배틀필드 시리즈]] * [[배틀필드 1]]에서 Mk VI가 모든 병과가 사용가능한 무기로 나오며, 자동형 파생형인 [[웨블리-포스베리]]도 의무병의 전용 보조 무장으로 등장한다. * [[배틀필드 V]]에서 전작과 마찬가지로 Mk VI모델이 등장한다. * [[베르됭]]에서 영국군 제식 권총으로 나온다. * [[스나이퍼 엘리트 V2]]부터 DLC로 등장하며 3편,4편까지 등장했다. 단발 피해는 강력하나 장탄수가 적고 장전이 오래 걸리기에 신중히 쏠 필요가 있다. * [[소녀전선]]: [[편극광]] 이벤트 제 4지역 클리어 보상으로 등장한다. 5성 권총. 자세한 사항은 [[웨블리 리볼버(소녀전선)|해당 문서]]참고.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시리즈]]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영국군 진영의 대위가 들고 있다. 리볼버 하나만 가지고 있으면서 적이 보이면 대담하게 일단 총알부터 쏘고 보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3]]: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콜 오브 듀티: 유나이티드 오펜시브]] 폭격기 미션 이후 잉그램이 주워주는 독일군 무기를 제외하곤 가장 먼저 들려져있다. 총알도 많은 편이 아닌데다가 의외로 리볼버인데 안쎄서 잘 안쓴다. 그래도 소리는 중독성있는 편. * [[콜 오브 듀티 2]] 영국군의 권총으로 등장한다. 게임 내의 유일한 리볼버이다. * [[콜 오브 듀티: WWII]]에서 웨블리의 유사품인 엔필드 No.2가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4]] 좀비 모드의 기본 권총으로 등장한다. 장탄수는 실총과 달리 8발이며, 실린더도 8발들이다. * [[콜 오브 듀티: 뱅가드]]에서 탑 브레이크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 [[파 크라이 시리즈]] * [[파 크라이 4]]초기에 사용할수있는 무기로 나온다. 성능은 영... * [[파 크라이 6]] *[[죠죠의 기묘한 모험 올 스타 배틀 R]] *[[디에고 브란도(평행세계)|디에고 브란도]]의 GHA으로 총알 한 발을 재장전후 쏜다. === 만화, 웹툰, 애니메이션 === * 웹툰 [[트리거(웹툰)]]에서 등장한다. * 웹툰 [[한성 1905]]에서 등장한다. * 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B: 더 비기닝]]에서 주인공 키스 플릭이 사용한다. * [[강철의 연금술사]]에서 [[로이 머스탱]]의 부관 [[리자 호크아이]]가 부무장으로 사용한다. * [[죠죠의 기묘한 모험]] 1부 [[팬텀 블러드]]에서도 영국 경찰의 권총으로 등장하며 [[죠나단 죠스타]], [[로버트 E.O. 스피드왜건]]도 잠깐 썼다. 문제는 상대가 [[돌가면의 흡혈귀]]가 되어버린 [[디오 브란도]]라 [[무다무다]]. * [[천공의 성 라퓨타]]의 악역 [[무스카]]도 사용한다. * [[Fate/Zero/애니메이션]]에서도 [[케이네스 엘멜로이 아치볼트]]가 [[코토미네 리세이]]를 사살할 때 사용한다. 작중에서 쓴 총은 Mk.IV 형태에서 그립이 좀 다르고, 총열이 좀 짧은 모델. * [[헬싱]] 초반 OVA 2화에서 헬싱 본부에 침입한 발렌타인 형제 중 동생인 얀에게 원탁회의 멤버 중 한 명인 [[휴 아일란즈]]가 웨블리로 사격한다. 이 때 구울화된 부하들을 책임지고 직접 안락사 시키도록 인테그라에게 건내준다. 그리고 종반에서 [[인테그랄 페어브룩 윈게이츠 헬싱]]이 마지막으로 꺼냈던 권총으로, 이 권총으로 [[소령(헬싱)]]와 마지막 격투를 벌이고 사살했다. 참고로 당시 소좌의 권총은 [[발터 P38]]. *[[루팡 3세 PART 6]] 의 조연 셜록 홈즈가 사용한다 == 에어소프트건 == === 가스건 === 에어소프트건의 경우 제작된 회사가 거의 없다시피 해서 선택지가 없다. 대만 윈건에서 제작된 풀메탈 모델이 유일한데 구입가만 따지면, 가격대는 한화 20만원 정도이다. 종종 해외샵에도 품절인 경우가 있으니 유의. 한국에서도 구할 수...는 있다. 국내 건샵들에서 정식으로 수입을 시작했기 때문. 직구로 구매할시 20만+총포협(5만 5천원),관세,배송비, 페이팔 수수료 등등 다 합쳐도 30만원 중후반대. 국건샵에서는 34만~45만원이라는 가격에 판매중이니, 이글을 열람하는 사람중 웨블리를 구매하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그리고 자신이 호구가 아니라면 국건샵에서 구입하는것은 해외와 비교해 따져본 후 사도록 하자. 결코 저렴하지 않다. === 크리스탈건 === [youtube(UFrfX1RsFgo)] 중국에서 크리스탈건이 2가지가 나왔는데 하나는 2020년도 위의 윈건사를 그대로 카피해서 CO2 카트리지를 사용하되 탄피는 수정탄을 사용하는 카피버전이 존재했으며 올플라스틱이긴 하나 윈건사 웨블리 탄피와 총열을 이식하면 그대로 서바이벌 게임에 사용할 정도였다.[* 이제품은 현재 단종이다.] 2022년에는 마루이 콜트 싱글액션아미 에어콕킹을 카피한 탄피식 에어콕킹을 출시했다. === 너프탄 === [youtube(od6NTAOIo6A)] 너프탄을 쓰는 중국제 제품이 있는데 바디 전체가 플라스틱으로 된 싱글액션버전은 1만원대에(배송비 포함 2만원대), 일부 부품이 금속으로 된 더블액션 버전은 3만원대(배송비 포함 4만원대)에 해외직구 대행 국내 온라인 샵을 통해 구입할 수 있다. 중절식 탄피배출 기믹은 물론이고 외장 퀄리티도 꽤 좋아서 탄종 상관없이 가장 저렴한 가격에 영국군 코스튬플레이를 하고 싶으면 추천하는 상품. == 둘러보기 == [include(틀:2차 보어전쟁/영국 보병장비)] [include(틀:1차 세계대전/연합군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영국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영국 보병장비)] [include(틀:말레이시아 비상사태/영연방 보병장비)] [include(틀:6.25 전쟁/영연방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호주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뉴질랜드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캐나다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인도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남아프리카 연방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알바니아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룩셈부르크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네팔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이집트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에티오피아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이라크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버마국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필리핀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한국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독일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IRA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캐나다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호주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뉴질랜드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로디지아 보병장비)] [include(틀:말레이시아 비상사태/말라야 공산당 보병장비)] [include(틀:아프간전/무자헤딘 보병장비)] [include(틀:대한제국군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리볼버]][[분류:보병 무기/세계 대전]][[분류:영국군/장비]][[분류:1887년 출시]][[분류:1923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