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웨민쥔}}}[br]岳敏君 | Yue Minjun'''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YUE_MINJUN.jpg|width=100%]]}}} || || '''본명''' ||岳敏君(악민군)|| ||<|2> '''출생''' ||[[1962년]] ([age(1962-01-01)]세) || ||[[중국]] [[헤이룽장성]] [[다칭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학력''' ||허베이 사범대학 {{{-2 (회화과 유화전공 / 졸업)}}}|| || '''직업''' ||[[화가]], [[조각가]], 설치미술가|| [목차] [clearfix] == 개요 == > 내 작품 속 인물들은 모두 바보 같다. 그들은 웃고 있지만 그 웃음 속에는 강요된 부자유와 허무가 숨어있다. 나는 이들의 모습을 통해 누군가에게 조종 당하면서도 아무 생각 없이 행복해하는 사람들을 표현한다. 이들은 내 자신의 초상이자 친구의 모습이며 동시에 이 시대의 슬픈 [[자화상]]이기도 하다. > ----- > 웨민쥔 [[중국]]의 [[미술가]]. == 상세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yue_minjun_untitled.jpg|width=100%]]}}} || ||<#ddd> '''Untitled, 2005년 작''' || 중국 [[현대미술]] 4대 천왕[* 중국 현대미술 4대 천왕은 [[웨민쥔|유에민쥔]], [[장샤오강|장샤오강]], [[쩡판즈|쩡판즈]], [[팡리쥔|팡리쥔]]이다.] 중 한 명으로 통할 정도로 작품성을 갖춘 예술가로 세상을 향한 풍자와 비판을 담은 일명 웃음시리즈라는 작품들로 유명하다. 이 웃음시리즈는 한국에서는 [[SNS]] 등을 통해서 [[복]]을 불러오는 [[그림]], [[돈]]을 불러오는 그림 등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작품 성향은 대체로 [[냉소주의|냉소적]] [[리얼리즘|사실주의]],[* cynical realism. 1990년대 중국에서 시작된 화풍으로 [[문화대혁명]], [[천안문 사태]] 등을 겪으며 예술가들의 개성 표현에 대한 강한 열망이 [[블랙 코미디]]스럽게 표현한 화풍이다.] 차이나 [[아방가르드]]로 평가받는다. 상당히 체제 비판적인 작품들을 많이 그려내는 작가이지만 [[베이징]]에서 계속해서 일관된 작품활동을 하고 있으며, [[중국 공산당]]에서도 그다지 [[검열]]을 심하게 하지는 못하고 있다.[* 다만 중국도 직접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예술가들의 [[표현의 자유]]를 형식적으로라도 보장해주는 편이다. 물론 실상은 문학마저도 철저하게 검열.] 최근에는 중국에서 터부시되는 [[해골]]을 자주 작품에 접목시키는 경향을 보여준다. 2021년에 국내 최초로 [[예술의 전당]]에서 '한 시대를 웃다!'라는 제목으로 작품 전시회가 열렸다. == 주요 작품 == *《대단결》(1992) *《자유를 이끄는 여신》(1995) *《처형》(1995)[* 2007년 런던 경매에서 55억에 낙찰되었다.] *《기억 1》(2000) *《새》(2003) *《육해공》(2007) [[분류:중국의 화가]][[분류:1962년 출생]][[분류:중국의 현대미술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