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image/011/2012/02/21/bbuheng201202211804540.jpg]] Walter Schloss[* Schloss는 성(城), 궁전이라는 뜻의 독일어 단어.] 1916. 8. 28 ~ 2012. 2. 19 뉴욕 시 출생 [목차] == 이력 == [[진주만 공습]]이 벌어진 바로 다음날 입영해서 통신대대의 장교로 [[제2차 세계대전]]에 4년간 참전했다. [[대학교]]에 간 적은 없지만 [[NYSE]]의 부설 교육기관에서 [[벤저민 그레이엄]]에게 주식투자를 배웠다. 그레이엄의 투자회사를 사직하고 1955년부터 자신만의 회사를 차렸다. 1955년부터 45년동안 721배[* 연평균 수익률 15.3%이며 시장은 연평균 10%의 성과를 내던 시기였다]의 수익을 거뒀다. 1984년 컬럼비아 경영대학원에서 [[워런 버핏]]의 연설할 때 버핏이 슐로스를 슈퍼 투자자(Super Investor)[* 당시 18명을 슈퍼 투자자라고 예를 들었으며 [[찰스 멍거]]와 버핏 자신도 그중의 한사람이라고 평가했다]중의 한사람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2006년 [[버크셔 해서웨이]]의 연례 서한에서도 버핏은 슐로스를 '''"one of the good guys of Wall Street"'''라고 평가했다. [[2002년]]에 [[펀드]] 운영을 그만뒀으며 [[2012년]]에 [[백혈병]]으로 사망했다. 아들 에드윈은 아버지가 [[장수]]한 것에 대해 아버지의 투자 철학이 연관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많은 [[펀드매니저]]들이 분기마다 실적 걱정을 하지만, 아버지 슐로스는 그런 적이 없었고 매일 잠을 잘 잤다고 한다. == 투자관 == 그는 [[재무제표]]를 보고 [[자산]] 가치에 비해 싸게 거래되고 있는 [[주식]]을 매입해 5년간 보유하는 전략을 취했으며 개별 종목의 목표 수익률은 2배였다. '''5년이 되기 전에 2배가 될 경우에는 더 오를 것 같아도 원칙대로 매도'''했다. 평균적으로 종목당 4년간 보유했다고 한다. * [[밸류트랩]]을 피하기 위해 100개 이상의 기업으로 분산된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 * 부채비율이 100%를 넘지 않는 기업이 좋다고 생각했다. * 순이익 같은 것에는 크게 관심을 갖지 않았다. 흑자였지만 적자로 바뀌는 경우도 많았기 때문이다. 그는 자산에 더 신경을 썼는데 '''자산은 이익에 비해 천천히 변하기 때문이다.''' * [[애널리스트]] 그리고 기업 경영자들과의 만남은 불필요하다고 생각했다. * 주로 오래된 기업에 투자했다. 오래된 기업이 이후에도 잘 유지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 신저가일 때 투자했다. 52주 신저가가 아니라 다년간의 신저가일 때만 투자했다. * [[공매도]]를 한 적이 없다고 알려져 있기도 한데 사실은 2000년 폭락 전에 [[아마존닷컴]]과 [[야후]]를 [[공매도]]했었다. 어떤 사람이 그에게 "같은 [[벤저민 그레이엄]]의 제자인데 왜 [[워런 버핏]]과 다른 방식으로 투자합니까?"라고 묻자 '''"버핏의 투자 방식이 내 방식보다 기대 수익률이 확실히 높지만 난 내 방식이 편하다.''' 워런의 투자 방식은 그에게 적합하지 나와는 맞지 않는다."라고 답했다. 이는 투자자 자신에 대해 잘 알아야 투자에서 성공할 수 있다는 말로 풀이될 수 있다. 버핏은 슐로스의 투자 방식을 '''담배 꽁초식 투자'''라고 평가했다. 그레이엄의 투자방식을 제일 오래 따라한 투자자로 평가되고 있다. 버핏은 그레이엄의 투자법을 따라하다가 운용자금이 커지자 회사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투자방식을 바꿨기 때문이다. [[분류:1916년 출생]][[분류:2012년 사망]][[분류:투자자]][[분류:맨해튼 출신 인물]][[분류:백혈병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