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인도유럽계 민족]] [[분류:중앙아시아사]][[분류:국가(기원전)]][[분류:1세기 멸망]][include(틀:다른 뜻1, other1=신라의 연못, rd1=동궁과 월지)] [include(틀:한서)] [include(틀:후한서)] [목차] == 개요 == 月氏, 月支 타림 분지에서 동•서 무역을 독점하던 종족. 고대 [[인도유럽어족]]인 [[토하라인]]의 일파로 추정된다. 흉노에게 멸망한 후 서쪽으로 간 세력을 '''대월지'''(大月氏)라 하고, 남아 있던 부족을 '''소월지'''(小月氏)라 불렀다. 실제 발음은 *arki~yarki로 추정된다. == 분화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50px-Yueh-ChihMigrations.jpg|width=700]] 월지의 이동과정. 지도의 연도는 오류가 극심하니 이동방향만 참고하자. [[닝샤 후이족 자치구]]를 중심으로 광활한 하서지역에서 유목하며 흉노와 내몽골의 패권을 두고 다투던 월지는 기원전 176년 흉노족에게 패배하여 간쑤성으로 밀려났다. 흉노 [[노상선우]] 대(기원전 174년~161년)에 왕이 사로잡혀 죽임을 당할 정도의 대패를 당하고 간쑤성 하서회랑인 금성->무위->장액->주천->돈황->하미까지 이동했다. 이 지역에 남은 월지를 '''소월지'''라 부르고, 천산북로를 통해 더욱 서진한 주력 세력은 일리강 유역의 [[스키타이]]계 [[사카족]]을 밀어내고 정착했으나 기원전 130년대에 [[오손]]에게 밀려났다. 기원전 126년 장건이 대월지인 소그디아나에 도착했을 때 대월지는 다시 한번 샤카족을 밀어내고, 이미 [[그리스-박트리아 왕국]]까지 정복한 상태였다. === 소월지 === 하서지역에 남은 소월지는 [[한무제]] 유철의 흉노 정복 후 무위, 장액, 주천, 돈황의 하서 4군이 설치되면서 전한 제국의 치하에 들어갔다. 하미 등 신강 지역에 남은 소월지는 도시국가를 이루며 살아갔다. [[중앙아시아]] 연구자인 르네 그루쎄는 타림 분지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국가였던 쿠차(龜玆國, 구자국)[* 삼국시대의 승려 [[백연]]이 이 나라의 왕자다.]가 소월지와 연관이 있다고 했다. 이들은 [[당나라]]에 정복될 때까지 실크로드 지역 최동부의 인도유럽어족 국가로 남아 있었다. [[간쑤성]]에 남은 소월지족은 한족과 동화되는 대신 주로 [[강족]]이나 [[흉노]]와 동화된 것으로 보인다. 《[[정사 삼국지|삼국지]]》 <위서> -유사마량'''[[장기(삼국지)|장]]'''온가전-에는 같은 지역에서 [[강족]]에 동화된 소월지계인 [[노수호]]라는 이질적인 집단이 등장한다. 이들은 한나라에 흡수되지 않고 [[한수]]와 [[마등]]이 반란을 일으킬 때 합류하는 등, 한족과의 동화를 거부했다. 4세기 [[오호십육국시대]]에도 노수호는 [[한족]]에 완벽하게 동화되지 않고 북량(北涼)의 저거씨 흉노 아래서 활동했다. 이들은 투루판에 고창국을 건설했다. 티베트로 이주한 소월지족도 있었는데 이들은 주로 쇠를 다루는 대장장이로 활약했다. 티베트의 가르 가문[* 토번의 명장 [[가르친링]]의 그 가르 가문이 맞다.]이 소월지족 조상을 두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 대월지 === [[기원전 130년]]경에 대월지는 소그디아나로 건너가 [[그리스-박트리아 왕국]]를 정복한 후 그 땅을 5명의 흡후[* [[조신]] 문서 참고]에게 맡기고 다스리게 했다. 이후 [[장건]]이 [[흉노]]에 대한 원한을 내세우며 동맹을 맺으러 왔지만 실패했다. 세월이 흘러 귀상흡후(貴霜翕侯) 구취각이 5명의 흡후를 통합하고, 북서 인도로 진출하여 [[쿠샨 왕조]]를 건설하는 등 매우 강력한 국가가 되었지만 3세기경 그 세력이 쇠약해져서 멸망했다. == 민족 == 대부분의 학자들은 월지족들이 쓰던 언어가 [[인도유럽어족]] 계통에 속한다고 보고 있고, 고문헌의 토하라인(Tocharians)과 같거나 긴밀히 연결된 종족으로 믿고 있다. 르네 그루쎄는 당시 중국 문헌과 서방 측의 자료를 종합해보면 월지는 [[토하라인]]과 함께 [[스키타이]]의 일종이었다고 주장했다. 한 예로 당시 그리스의 사가 프톨레미는 월지의 영역을 '토가라'(Thogara)로 기록해 두었다. 또한 그리스의 지리학자 [[스트라본]]은 그리스-박트리아를 침략한 민족을 '토하로이'(Tokharoi)라고 불렀다. 이때는 월지가 대하(박트리아)를 정복하고 대월지를 세운 때와 일치한다. 2021년 《네이처》의 발표에 의하면 [[토하라인]]과 관련이 있어보이는 타림 분지 미라들이 유전자 검사를 통해 봤을 때, 마지막 빙하기 말엽 널리 퍼졌던 [[고대 북유라시아인|플라이스토세 인구]][* 이들은 현재 시베리아의 침엽수림 지역인 타이가 지대에서 살았던 '''[[고대 북유라시아인]]'''(ANE)으로 매머드 초원이라 불린 이곳에서 대형동물을 사냥했던 사람들이다. 당시 타이가 지역은 오늘날엔 건조하고 추운 지역이지만, 그 당시에는 세렝게티같은 초원지대로, 매머드나 털코뿔소 등이 돌아다니던 곳이었다. 시베리아 원주민 및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약 40%에게서 해당 유전자가 발견된다고 한다. 유럽인에게도 이 성분이 있는데, 지중해권 등의 남유럽인에게는 매우 낮게 나오지만 스칸디나비아 등지의 북유럽인에게는 15%~25%까지 나온다고 한다.]의 직계 후손이라는 것이 확인됐으며, 다른 지역 주민들과는 피가 섞이지 않았다고 한다. 월지 역시 토하라인이라면 이란계인 [[스키타이]]와는 유전적으로 무관한 선주민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