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병음]][[분류:중국어]] [include(틀:로마자 표기법)] [include(틀:홍콩 관련 문서)] 香港語言學學會粵語拼音方案(粵拼)/ The Linguistic Society of Hong Kong Cantonese Romanisation Scheme (Jyutping) * 간화자([[간체자]]): 香港语言学学会粤语拼音方案(粵拼) * [[광동어]] 발음 표기 * '''월병''': Jyut6ping3 *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광동어|광동어의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 Yuhtping * [[홍콩 정부 월어병음]]: Yut Ping * [[광동병음방안]](광동어): Yud⁶ ping³ 또는 Yud_' ping- * [[시드니 라우 로마자 표기법]]: Uet⁶ ping³ * [[표준중국어]] 발음 표기 * [[주음부호]]: ㄩㄝˋ ㄆㄧㄣ * [[한어병음]]: Yuèpīn * [[통용병음]]: Yuè-pin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Yuè-pīn * [[국어라마자]]: Yuehpin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Yüeh⁴-pʻin¹ *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관화|관화의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 Ywè-pīn [목차] ## * 복사용 ## * ¹ ² ³ ⁴ ⁵ ⁶ [* 사실 월병에서는 성조 숫자를 일반적인 글씨 크기로 1~6을 써서 나타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위 첨자가 쓰이지 않는다. 다만 월병의 변종 표기 중에 간혹 성조 숫자를 위 첨자로 쓰는 일이 있어서 복사용 문자로 정리해 놓았다.] ⁷ ⁸ ⁹ [* 입성을 7~9성으로 취급하는 변종 표기가 있을 수 있어서 여기에 7~9에 대응되는 위 첨자를 추가한다.] ## 복사용 문자들을 주석 처리하지 말 것. 복사용 문자는 이 문서를 편집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이 문서를 보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기도 함. == 개요 == [[광동어]](월어)의 발음을 정확히 전사하기 위해 고안된 [[로마자 표기법]]([[병음]]). 정식 명칭은 '''[[홍콩]]어언학학회'''(홍콩[[언어학]]회) '''월어병음방안'''이고 줄여서 '''월병'''(Jyutping, '윗핑' 내지 '윗펭'[* 광동어에서는 운미(韻尾)가 ng이나 k일 경우 모음 부분의 발음이 원래의 기저 음운보다 저설(低舌)이거나 전설(前舌)인 모음으로 바뀌는 경향이 있다. 월병은 변화된 발음이 아닌 기저 음운을 기준으로 표기한다.]에 가깝게 발음됨)이라고 한다. 근래에 광동어 발음을 정확히 전사하고자 할 때 월병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그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표기법은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광동어|광동어의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이다. 물론 홍콩과 [[마카오]] 사람들이 본인의 인명을 적을 때 쓰는 관행적 표기나 [[홍콩]] 정부가 지명 표기 등에 사용하는 로마자 표기법([[홍콩 정부 월어병음]])은 월병이나 예일식과 다소 거리가 있다.[* 예를 들어 ci나 zi로 쓰는 것을 인명이나 지명에서는 tsz로 쓴다.] [[광둥성]] 정부에서 쓰는 [[광동병음방안]](광동어판)도 이질감이 심하다. 월병에서 제일 헷갈리게 하는 문자가 j이다. [[영어]]식 발음에 이끌려 \[dʒ\](ㅈ)으로 읽기 쉬우나 [[국제음성기호]]나 [[이탈리아어]], [[독일어]] 등과 같이 [j](반모음 '이')를 나타낸다. z, c 표기도 헷갈리는 편인데, [[표준중국어]] 발음을 적는 [[한어병음]]의 설치음(舌齒音) 표기와 동일하다. 단 월병에서는 한어병음의 j, q, x 같은 설면음(舌面音) 표기는 없다. 어차피 광동어에서는 설면음이 설치음이 [[구개음화]]된 [[변이음]]이기 때문이다. === 기원 === 월병이 나오기 전에는 황석릉(黃錫凌)이 만든 간이 [[국제음성기호]]가 있으며, 지금도 광동어 음이 수록된 홍콩의 자전에 널리 쓰이고 있다. 1990년에 이를 컴퓨터 환경에 맞게 개량한 것이 [[https://zh.wikipedia.org/wiki/%E6%95%99%E8%82%B2%E5%AD%B8%E9%99%A2%E6%8B%BC%E9%9F%B3%E6%96%B9%E6%A1%88|교육학원 병음방안(教育學院拼音方案)]]이다. 약칭으로는 교원식(教院式)이라고 하며, 입성운까지 모두 고려해 성조를 9개로 계산했다. 예를 들어 粵語는 Jyt⁹jy⁵[* 월병으로는 Jyut6jyu5.]라고 표기하는 식이다. 하지만 dz, ts[* 월병의 z, c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zoeng1(張)을 교원식에서 dzoeng¹으로, can4(陳)을 tsan⁴으로 적는 식이다. ts는 광동어의 관행 표기법(다만 ch가 더 널리 쓰인다),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심지어 [[헵번식 로마자 표기법]]에도 널리 쓰이는 자모이다.] 같은 성모가 병음을 적는데 자리를 많이 차지하며, 성조를 9개로 표기해서 배우기 어렵고 비효율적이었다. 그리고 성조 숫자를 위 첨자로 입력하기가 쉽지 않았다. 결국 1993년에 홍콩어언학학회가 교원식을 수정하여 만든 로마자 표기법인 월병이 대표적인 광동어 발음 표기법으로 자리잡게 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광동어, version=644, paragraph=3.2)] == 표기법 == 맨 위에 적은 로마자가 월병 표기이고, [ ] 안은 [[국제음성기호]], 한자는 해당 음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한자를 가리킨다. === 성모(聲母, initials)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되도록이면 표를 텍스트 에디터로 복붙하면 wysiwyg 되게 유지시켜주세요. 나중 편집자가 표 편집할 때 편하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 ||<-2> '''양순''' || '''순치''' ||<-2> '''치경''' || '''경구개''' ||<-4> '''연구개''' || '''성문''' || ||<|3> '''파열''' || b || p ||<|3> || d || t ||<|3> || g || k || gw || kw ||<|3> || || [p] || [pʰ] || [t] || [tʰ] || [k] || [kʰ] || [kʷ] || [kʷʰ] || || 巴 || 怕 || 打 || 他 || 家 || 卡 || 瓜 || 誇 || ||<|3> '''마찰''' ||<-2><|3> || f ||<-2> s ||<|3> ||<-4><|3> || h || || [f] ||<-2> [s] || [h] || || 花 ||<-2> 沙 || 蝦 || ||<|3> '''파찰''' ||<-2><|3> ||<|3> || z || c ||<|3> ||<-4><|3> ||<|3> || || [ʦ] || [ʦʰ] || || 渣 || 叉 || ||<|3> '''비음''' ||<-2> m ||<|3> ||<-2> n ||<|3> ||<-4> ng ||<|3> || ||<-2> [m] ||<-2> [n] ||<-4> [ŋ] || ||<-2> 媽 ||<-2> 那 ||<-4> 牙 || ||<|3> '''접근''' ||<-2> w ||<|3> ||<-2> l || j ||<-4><|3> ||<|3> || ||<-2> [w] ||<-2> [l] || [j] || ||<-2> 蛙 ||<-2> 啦 || 也 || }}} * 중국어의 많은 방언과 달리 광동어에서는 w \[w\], j \[j\]가 운모(韻母)의 일부인 운두(韻頭) 즉 개음(介音)이 아니라 어두 자음인 성모로 취급된다. 따라서 이 발음을 [[모음]]으로 취급하는 다른 중국어 방언과 달리 [[영어]]처럼 [[자음]] 취급하는 게 합리적일 수 있다. * 더불어 광동어에는 gw \[kʷ\], kw \[kʰʷ\] 같은 원순성(圓脣性)이 수반된 [[연구개음]]이 존재한다. * 광동어의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 광동병음(광동어판), 시드니 라우 표기법 등과 마찬가지로 [[무성음|무성]] [[무기음|무기]] [[파열음]]과 [[파찰음]]에 [[영어]]의 [[유성음]] 기호를 할당하고, 무성 [[유기음|유기]] 파열음과 파찰음에 영어의 무성음 기호를 할당하고 있다.[* 단 월병, 예일식, 시드니 라우 표기법의 경우 성모만 이런 원칙이 적용되고, 입성(入聲) 운미(韻尾)로 쓰일 때는 g, d, b가 아닌 k, t, p로 적는다. [[한국어]]를 표기하는 현행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과 비슷하다. 반면 광동병음에서는 입성 운미도 g, d, b로 적는다.] 표준중국어의 한어병음, [[통용병음]] 등과 같고,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나 광동어의 관행적 표기 및 홍콩 정부 월어병음 등과 차이가 난다. * 광동어의 예일식 표기법, 시드니 라우 표기법 등과 마찬가지로 [[구개음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표준중국어의 통용병음과 같고, 광동병음(광동어판)이나 표준중국어의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한어병음과 다른 부분이다. === 운모(韻母, finals)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표 안에 있는 원어 표기가 중간에 끊어져 줄이 바뀌지 않고 단어 단위로 줄바꿈되도록 조치한 것 || aa[br]\[aː\][br]沙 || aai[br]\[aːi̯\][br]徙 || aau[br]\[aːu̯\][br]梢 || aam[br]\[aːm\][br]三 || aan[br]\[aːn\][br]山 || aang[br]\[aːŋ\][br]坑 || aap[br]\[aːp̚\][br]圾 ||aat[br]\[aːt̚\][br]剎 || aak[br]\[aːk̚\][br]客 || || || ai[br]\[ɐi̯\][br]西 || au[br]\[ɐu̯\][br]收 || am[br]\[ɐm\][br]心 || an[br]\[ɐn\][br]新 || ang[br]\[ɐŋ\][br]笙 || ap[br]\[ɐp̚\][br]濕 || at[br]\[ɐt̚\][br]失 || ak[br]\[ɐk̚\][br]塞 || || e[br]\[ɛː\][br]些 || ei[br]\[ei̯\][br]四 || eu[br]\[ɛːu̯\][br]掉* || em[br]\[ɛːm\][br]舐* || || eng[br]\[ɛːŋ\][br]鄭 || ep[br]\[ɛːp̚\][br]夾* || || ek[br]\[ɛːk̚\][br]石 || || i[br]\[iː\][br]詩 || || iu[br]\[iːu̯\][br]消 || im[br]\[iːm\][br]閃 || in[br]\[iːn\][br]先 || ing[br]\[eŋ\][br]星 || ip[br]\[iːp̚\][br]攝 || it[br]\[iːt̚\][br]洩 || ik[br]\[ek̚\][br]識 || || o[br]\[ɔː\][br]疏 || oi[br]\[ɔːy̯\][br]開 || ou[br]\[ou̯\][br]蘇 || || on[br]\[ɔːn\][br]看 || ong[br]\[ɔːŋ\][br]康 || || ot[br]\[ɔːt̚\][br]喝 || ok[br]\[ɔːk̚\][br]索 || || u[br]\[uː\][br]夫 || ui[br]\[uːy̯\][br]灰 || || || un[br]\[uːn\][br]寬 || ung[br]\[oŋ\][br]鬆 || || ut[br]\[uːt̚\][br]闊 || uk[br]\[ok̚\][br]叔 || || oe[br]\[œː\][br]鋸 || eoi[br]\[ɵy̯\][br]需 || || || eon[br]\[ɵn\][br]詢 || oeng[br]\[œːŋ\][br]商 || || eot[br]\[ɵt̚\][br]摔 || oek[br]\[œːk̚\][br]削 || || yu[br]\[yː\][br]書 || || || || yun[br]\[yːn\][br]孫 || || || yut[br]\[yːt̚\][br]雪 || || || || || || m[br]\[m̩\][br]唔 || || ng[br]\[ŋ̍\][br]吳 || || || || }}} * 광동어에서 단운모 \[ɐ\]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월병에서 운모 부분이 a 단독으로 표기될 일은 없다.[* 예일식의 경우, 철자의 편의를 위해 단운모 \[aː\]만 예외적으로 aa가 아니라 a로 적게 하고 있다.] * m과 ng은 성절(成節) 자음으로서 단독으로 쓰일 수 있다. * 위 표에서 한자 옆에 *가 쳐져 있는 운모는 비표준 구어에서만 나타나는 발음을 의미한다.[* 예일식에서는 해당 운모들을 적을 방법을 제공하지 않는다. \[ɛːm\], \[ɛːp̚\] 운모를 굳이 예일식에서 적으려면 응용하여 em, ep으로 적을 수 있겠지만(월병과 동일), \[ɛːu̯\] 운모는 예일식에서 적을 방법이 딱히 없다. 왜냐면 예일식에서 eu는 \[œː\]~\[ɵ\] 발음을 나타내는 철자로 이미 할당돼 있기 때문에 이것과 충돌하기 때문이다.] * 개요에서 설명했듯이 ng, k가 운미(韻尾)로 오면 운복(韻腹)인 모음 부분의 실제 음가가 변하지만 i의 경우 바뀐 발음을 표기에 반영하지 않고 기저 음운 그대로 표기한다. 같은 맥락에서 z, c, s의 [[구개음화]]도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 하지만 하나의 기저 음운인 oe/eo에 대해서는 구분이 있다. \[œː\]로 발음되면 oe로 적고 \[ɵ\]로 발음되면 eo로 적는다. 단운모거나 ng 또는 k가 운미로 올 경우 모음 부분이 이렇게 발음돼 철자가 oe로 적힌다.[* 원래 월병의 전신인 교원식에서는 oe로 통일해서 적었는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월병에서 구분이 생겼다.] * 성모가 없을 경우(영성모·零聲母), i나 yu로 시작하는 운모 앞에 j를 붙이고, u로 시작하는 운모 앞에 w를 붙인다. 참고로 \[yː\] 발음은 기저 음운과의 관계가 /j/ + /uː/ → /y/ (또는 /ɥ/) + /uː/ → \[yː\]라고 분석한 탓에 yu로 적되 성모가 없을 경우 j까지 추가하는 방식으로 표기하는데 사실 경제성은 떨어지는 결정이다. 다만 위 표에는 없는 /j/ + /uː/ → \[juː\]~\[jo\]가 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건 성모 j \[j\] + u가 성절 모음인 운모가 결합한 것으로 약간 구조가 다르며 발음도 다르기에 철자로도 ju로 적어 구분한다. 예를 들면 育은 성조를 제외하고는 juk으로 적히며 \[jok̚\]으로 읽힌다.[* 사실 광동어에서는 월병에서 jyu와 ju로 적히는 발음은 운미(韻尾)와의 조합에서 상보적 분포를 하여 서로 겹치지 않는다. 그래서 예일식에서는 양자를 구분하지 않고 yu로 동일하게 표기한다. 하지만 광동어 입문자가 예일식으로 학습할 경우 yu를 봤을 때 실제 발음을 헷갈릴 우려가 있다.] === 성조(聲調, tones)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표 안에 있는 원어 표기가 중간에 끊어져 줄이 바뀌지 않고 단어 단위로 줄바꿈되도록 조치한 것 || 성조[br]이름 || 음평[br](陰平) || 음상[br](陰上) || 음거[br](陰去) || 양평[br](陽平) || 양상[br](陽上) || 양거[br](陽去) || 고음입[br](高陰入)[* 또는 음입(陰入).] || 저음입[br](低陰入)[* 또는 중입(中入).] || 양입[br](陽入) || || 성조[br]번호 || 1 || 2 || 3 || 4 || 5 || 6 || 1(7) || 3(8) || 6(9) || || 성조[br]소릿값 || ˥ 55 / ˥˧ 53 || ˧˥ 35 || ˧ 33 || ˨˩ 21 / ˩ 11 || ˩˧ 13 || ˨ 22 || ˥ 5 || ˧ 3 || ˨ 2 || || 한자[br]예 || 分/詩 || 粉/史 || 訓/試 || 焚/時 || 奮/市 || 份/是 || 忽/識 || 發/錫 || 佛/食 || || 월병[br]표기 || fan1/si1 || fan2/si2 || fan3/si3 || fan4/si4 || fan5/si5 || fan6/si6 || fat1/sik1 || faat3/sek3 || fat6/sik6 ||}}} * 예일식과 달리 성조 부호를 음절 뒤에 숫자를 써서 나타낸다.[* 예일식의 성조 부호는 ˉ(macron), `(grave accent), ´(acute accent), h로 성조를 나타낸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단 성조 분류는 월병의 전신인 교원식에서 썼던 1~9성 체계가 아니라 예일식처럼 1~6성 체계를 따라 입성(入聲)인 7~9성을 각각 1, 3, 6성으로 간주해 표기한다. * 교원식, 광동병음방안(숫자로 성조 부호를 표기할 경우), 시드니 라우 로마자 표기법이나 [[표준중국어]] 발음을 기재하는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등과 달리 성조 숫자를 위 첨자(¹, ² 등)로 쓰지 않고 일반적인 크기의 숫자(1, 2 등)으로 표기한다. 컴퓨터 입력의 편의를 위한 조치이다. 다만 일부 문헌에서는 일반적인 숫자가 아닌 성조를 나타낸 보조 부호임을 강조하기 위해 위 첨자로 바꿔 표기한 경우가 있긴 하다. * 그런데 1성의 경우 차이가 현격한 [[변이음]]이 있어서 ˥ 55와 ˥˧ 53(또는 학자에 따라 ˥˨ 52로 표현)의 두 종류로 발음될 수 있는데[* [[홍콩]]에서는 대개 양자의 구분을 의식하지 않는다고 하고, [[광저우]]에서는 점점 후자가 소멸해 전자로 통합되는 추세이지만 극히 일부 [[한자]]들은 여전히 전자로 발음할 때와 후자로 발음할 때를 구분한다고 한다. 예를 들어 衫([[셔츠]])과 三(셋) 모두 월병으로 saam1이라고 적지만 광저우에서는 衫를 전자처럼 읽고, 三을 후자처럼 읽는 식이다.] 월병에서는 이 둘의 차이를 반영하지 않아 그냥 1로만 적는다.[* 예일식에서는 둘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 구분해서 적을 방법이 있다. 예일식 표기에서 전자는 성절 모음 위에 ˉ(macron)을 긋고 후자는 `(grave accent)를 긋는다. 예일식에서는 1성의 두 발음을 구분할 필요가 없을 경우 대개 전자로 통일한다. 직전 주석에서 설명했듯이 [[광저우]] 방언에서 후자가 소멸하여 전자로 통합되는 추세이지만 극히 일부 한자들은 여전히 양자를 구분하는데, 예일식에서는 衫([[셔츠]])를 sāam, 三(셋)을 sàam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성조 체계는 홍콩의 광동어를 기준으로 하는데, 운미(韻尾)가 k, t, p로 끝나는 입성(入聲)은 월병에서 별도의 성조로 취급하지 않지만 위 표에서는 예시를 위해 구분해 놓았다. * 위 표에서 '성조 소릿값'은 국제음성기호의 성조 기호와 여기에 대응되는 수치(數値)를 숫자로 기재한 것이다. === 붙여 쓰기와 [[띄어쓰기]] === 예일식이나, 표준중국어 발음을 표기할 때 적용하는 [[한어병음 정사법 기본 규칙]]과 마찬가지로 [[음절]]이 아닌 단어별로 띄어쓰기를 하며 한 단어 안에서는 음절 경계의 구분 없이 그냥 이어 쓴다. 월병은 음절 뒤에 일반적인 크기의 숫자로 성조를 일일이 표기하기 때문에 이음줄(-)이나 어깻점(' 또는 ’) 등이 필요 없다. 성조를 생략한 간략 표기 시에는 어차피 성조 숫자 뿐만 아니라 기본 로마자 이외의 보조 부호는 하나도 안 쓰도록 하고 있어서 역시 쓰일 일이 없다. 음절 경계에 관해 혼동의 여지가 있어도 성조 기호 생략 시 그냥 구분하지 않는다. 아니면 일부 변종 월병 표기에서는 그냥 음절별로 띄어쓰기도 하며, 이 경우 단어 경계를 나타내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음절 경계에 절대 혼동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긴 하다. == 공식 사이트 == [[https://hongkongvision.com/tool/cc_py_conv_zh|이곳]]에서 [[표준중국어]]를 [[광동어]] 월병으로 변환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