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 [목차] == 개요 ==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에 등장하는 영국 프리미엄함 일람. == 구축함 == === [[윅스급 구축함|캠벨타운]] - 2티어 (사무국 보상) === > 미국에서 건조한 “평갑판함”이며 1940년 영국으로 이전되었다. 매우 강력한 어뢰 무장과 빠른 속력을 자랑하였다. 어뢰 발사관이 독특한 방식으로 배치되어 양현 어느 쪽으로든 빠르게 어뢰를 일제 사격할 수 있었다. || {{{#white 선체}}} || 내구도 || 8,900 || 장갑 || 6-21mm || ||<|2>
{{{#white 무장}}} ||<|2> 주포 ||<|2> 102mm 3X1 ||<|2> 사거리 ||<|2> 8.7km || AP탄 ||<-3> 1,700 ||<|2> 재장전 ||<|2> 7초 ||<|2> 180도 회전 ||<|2> 15.7초 || || HE탄 || 1,500 || 화재 발생율 || 6% || ||
{{{#white 어뢰}}} || 533mm 2X3 || 사거리 || 7.5km || 최대피해량 || 11,967 || 재장전 || 63초 || 속도 || 57노트 || ||
{{{#white 기동성}}} || 속도 || 35kt || 선회반경 || 520m || 조타시간 || 2.7초 || ||
{{{#white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5.4km || 공중 피탐지 거리 || 2.8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2km || 원래 미국의 윅스급 구축함 뷰캐넌으로 2차 대전중 영국에 양도되어 이름을 캠벨타운으로 변경했다. 2차대전중 프랑스의 생나제르항의 도크 파괴를 위한 자폭으로 최후를 맞이했다. 이벤트로 무료 배포했었으며 2019년 10월부터 홈페이지를 통해서 플랫폼 스토어에서 4.99달러에 번들로 판매되고 있다. 사무국(Buraue)가 생기면서 테스트 프로젝트의 보상으로 지급되고 있으므로 언제나 무료로 구할수있게 되었다. 윅스에서 후방 주포탑을 철거하고 대공포를 증설했다. 미국 구축함의 연막과 엔진 가속기를 가지고 있지만 어뢰는 영국식으로 단발 투사가 가능한 독특한 구성이다. === [[메데아급 구축함|메데아]] - 2티어 === 2021년 12월 DLC의 내용으로 함께 배포되었다. 엑스박스 게임 패스 및 얼티밋 이용자는 무료로 받을수 있으니 반드시 확인하고 받자. 원래 PC의 2티어 정규 구축함으로 레전드에서는 1티어에 해당하는 함선이기때문에 큰 의미는 없다. === [[G, H급 구축함|갈란트]] - 5티어 === >영국의 G급 구축함 중 하나이다. 덩케르크 해변과 항구에서 연합군 부대를 구출한 덩케르크 철수 작전에 참여하여 병사 1,500여 명을 구출하였다. 5월 29일, 독일 폭격기의 공격으로 군함이 손상되었지만, 자력으로 영국까지 복귀하였다. [[파일:100AD151-0377-4D4A-A200-723288BF6749.jpg]] ||
{{{#white 선체}}} || 내구도 || 12,000 || 장갑 || 6-16mm || ||<|2>
{{{#white 무장}}} ||<|2> 주포 ||<|2> 120mm 4x1 ||<|2> 사거리 ||<|2> 10.2km || AP탄 ||<-3> 2,100 ||<|2> 재장전 ||<|2> 5초 ||<|2> 180도 회전 ||<|2> 18초 || || HE탄 || 1,700 || 화재 발생율 || 8% || ||
{{{#white 어뢰}}} || 533mm 2x4 || 사거리 || 8km || 최대피해량 || 15,433 || 재장전 || 96초 || 속도 || 61노트 || ||
{{{#white 기동성}}} || 속도 || 36노트 || 선회반경 || 540m || 조타시간 || 3초 || ||
{{{#white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6.2km || 공중 피탐지 거리 || 3.2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2.3km || 위에 적힌대로 덩케르크 철수 작전에서 엄청난 수훈을 올린 구축함이다. 동일 티어인 I급 구축함 이카로스보다는 직전 모델이나 스펙은 대동소이하다. 어뢰는 이카로스의 5연장보다 적은 4연장 발사관으로 어뢰 사거리가 약간 더 길고 갯수가 줄어들어서 재장전 시간도 줄었기때문에 뇌격시에는 좀더 편하다. 단발 어뢰는 여전히 사용가능하다. 연막이 영국 구축함이 아닌 미국 구축함 사양이며 엔진 가속기 소모품도 있다. 대신 영국 구축함의 장점인 음향탐지 소모품은 없다. === [[트라이벌급 구축함|코사크]] - 6티어 === > 가장 유명한 Tribal급 구축함으로 영국의 같은 함종과 다르게 선체가 크고 어뢰전에 최적화되어 있다. 시험 운항 당시에는 120mm 2연장 포탑 4개에 주함포를 장착하였다. [[파일:33C5CDF9-60AF-4D91-9AF4-2F77A8FA1A7E.jpg]] ||
{{{#white 선체}}} || 내구도 || 14,800 || 장갑 || 6-20mm || ||<|3>
{{{#white 무장}}} ||<|2> 주포 ||<|2> 120mm 3X2 ||<|2> 사거리 ||<|2> 10.6km || AP탄 ||<-3> 2,100 ||<|2> 재장전 ||<|2> 4.5초 ||<|2> 180도 회전 ||<|2> 18초 || || HE탄 || 1,700 || 화재 발생율 || 8% || || 부포 || 102mm 1X2 || 사거리 || 4.5km || HE탄 || 1,500 || 화재 발생율 || 6% || 재장전 || 3초 || - || - || ||
{{{#white 어뢰}}} || 533mm 1X4 || 사거리 || 10km || 최대피해량 || 16,767 || 재장전 || 72초 || 속도 || 62노트 || ||
{{{#white 기동성}}} || 속도 || 36kt || 선회반경 || 610m || 조타시간 || 3.6초 || ||
{{{#white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6.5km || 공중 피탐지 거리 || 3.4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2.4km || 트라이벌급 구축함 4번함으로 비스마르크 추격전에도 참가하였으며 [[알트마르크 나포|알트마르크 사건]]으로 유명하다. 1941년 유보트의 뇌격으로 격침되었다. 정규트리인 저비스보다 화력에서는 약간 앞서지만 어뢰 발사관이 1개뿐이며 대신 엔진 가속기가 2개 있다. 연막은 표준 연막을 2개 장착한다. 음향탐지 소모품은 일반과 영국의 중간타입이다. 갯수는 2개. 2021년 2월 업데이트로 주포와 어뢰 재장전 속도가 향상되었다. 주포는 5초에서 4.5초로 약간 좋아졌으며 어뢰는 96초에서 72초로 크게 향상되었다. === [[트라이벌급 구축함|코사크 1938년 형]] - 7티어 === 위의 코사크와 동일한 함선이나 설계 원안대로 나온 함선으로 티어도 한티어 높게 발매되었다. 차이는 부포탑이 제거되고 주포탑이 총 4개로 8문의 주포를 사용할수 있는 대신 어뢰 재장전 시간은 조금 너프되어서 어뢰는 부무장으로 사용해야 한다. == 순양함 == === [[요크급, 엑서터급 중순양함|엑서터/엑서터B]] - 5티어 === > 영국 해군 중순양함 중 마지막으로 취역한 York급 군함이다. 중순양함 중 선체가 비교적 작은 편이지만, 속력, 장갑, 무장의 균형이 훌륭하다. [[파일:8D378658-1CAA-4FCB-9B2C-F1255049D54D.jpg]] ||
{{{#white 선체}}} || 내구도 || 29,400 || 장갑 || 6-140mm || 어뢰 피해 감소 || 4% || ||<|3>
{{{#white 무장}}} ||<|2> 주포 ||<|2> 203mm 3X2 ||<|2> 사거리 ||<|2> 14.3km || AP탄 ||<-3> 4,550 ||<|2> 재장전 ||<|2> 12초 ||<|2> 180도 회전 ||<|2> 22.5초 || || HE탄 || 2,850 || 화재발생율 || 15% || || 부포 || 102mm 4X2 || 사거리 || 4km || HE탄 || 1,500 || 화재 발생율 || 6% || 재장전 || 3초 || - || - || ||
{{{#white 어뢰}}} || 533mm 2X3 || 사거리 || 8km || 최대피해량 || 15,867 || 재장전 || 72초 || 속도 || 61노트 || ||
{{{#white 기동성}}} || 속도 || 32노트 || 선회반경 || 650m || 조타시간 || 6.1초 || ||
{{{#white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10.5km || 공중 피탐지 거리 || 6.6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6.1km || 영국 해군의 마지막 중순양함으로 영국의 대외 항로 유지를 위한 중순양함으로 설계되었다. 2차대전이 발발하자 그라프 쉬페함과의 전투에서 손상을 입고 1년간 수리를 받았으며 수리 후 자바섬 해전에서 일본군에게 격침당했다. PC버전보다 티어가 올라간 5티어로 발매되었으며 연막 소모품을 수상전투기 대신 선택해서 사용가능하다. 연막으로 인해서 활용도가 매우 높은 중순양함이다. === [[카운티급 중순양함|런던]] - 5티어 === >강력한 203mm 함포 8문을 장착하도록 설계된 영국의 "워싱턴 조약형" 순양함인 County급의 두 번째 하위 함급의 1번함이다. 1930년대 후반 대규모 근대화 작업이 진행될 때 재건조되면서 외관이 변경되고 장갑과 대공 무장이 강화되었다. [[파일:London_1920x1080.jpg]] ||
{{{#white 선체}}} || 내구도 || 34,600 || 장갑 || 13-114mm || 어뢰 피해 감소 || 4% || ||<|3>
{{{#white 무장}}} ||<|2> 주포 ||<|2> 203mm 4X2 ||<|2> 사거리 ||<|2> 14.5km || AP탄 ||<-3> 4,550 ||<|2> 재장전 ||<|2> 15초 ||<|2> 180도 회전 ||<|2> 22.5초 || || HE탄 || 2,850 || 화재발생율 || 15% || || 부포 || 102mm 4X2 || 사거리 || 4km || HE탄 || 1,500 || 화재 발생율 || 6% || 재장전 || 3초 || - || - || ||
{{{#white 어뢰}}} || 533mm 2X4 || 사거리 || 7km || 최대피해량 || 15,733 || 재장전 || 106초 || 속도 || 59노트 || ||
{{{#white 기동성}}} || 속도 || 32노트 || 선회반경 || 710m || 조타시간 || 7.8초 || ||
{{{#white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10.6km || 공중 피탐지 거리 || 6.7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6.1km || 엑세터의 전급인 카운티급 중순양함의 세부버전 중 런던급의 런던이다. 조약형 중순양함으로 장갑보다는 무장과 항속거리에 초점을 맞춘 영국형 중순양함이다. 무장은 엑세터보다 중무장에 고성능 수리반을 가지지만 기동성과 연사력은 떨어진다. 정규트리인 데본셔나 서리와 비슷한 설계를 가지고 있지만 연막과 고성능 수리반을 가지고 있어서 초당 1.5%의 내구도를 복구할수있다. 수리반을 한번 사용할때 최대 복구량은 11,060으로 넬슨 처럼 배로 새로 만든다고 할수 있을정도이다. 대신 상당히 둔하고 순양함의 특성상 시타델 관통 복구는 쉽지 않으므로 운영이 쉬운편은 아니다. === [[타운급 경순양함|벨파스트]] - 6티어 (캠페인 보상, 비정기 판매) === >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 해군에서 운용한 Edinburgh급 경순양함은 동급 군함 중 가장 강력한 성능을 자랑했다. 대공포 및 어뢰 무장을 강화하는 대신 수차례 개조 작업을 통해 어뢰 방호 능력을 강화하였으며 성능이 더욱 뛰어난 수색 레이더 장치가 장착되었다. [[파일:2608B771-CB51-48F4-87E4-F2698BCE7910.jpg]] ||
{{{#white 선체}}} || 내구도 || 35,700 || 장갑 || 6-114mm || 어뢰 피해 감소 || 4% || ||<|3>
{{{#white 무장}}} ||<|2> 주포 ||<|2> 152mm 4X3 ||<|2> 사거리 ||<|2> 14.7km || AP탄 ||<-3> 3,100 ||<|2> 재장전 ||<|2> 7.5초 ||<|2> 180도 회전 ||<|2> 25.7초 || || HE탄 || 2,100 || 화재발생율 || 9% || || 부포 || 102mm 4X2 || 사거리 || 5km || HE탄 || 1,500 || 화재 발생율 || 6% || 재장전 || 3초 || - || - || ||
{{{#white 기동성}}} || 속도 || 32.5노트 || 선회반경 || 680m || 조타시간 || 9.6초 || ||
{{{#white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11km || 공중 피탐지 거리 || 6.9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5.4km || 타운급 경순양함중 최후기형인 에딘버러급의 2번함이다. 취역직후에 기뢰로 인한 파손으로 거의 새로 건조하다시피 했으며 이때 레이더를 강화해서 장착했다. 2차대전의 각종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특히 노스케이프 해전에서 샤른호르스트의 격침에 큰 역할을 했다. 한국전쟁에도 참전했던 경력이 있으며 71년 퇴역하여 런던 템즈강 상에서 박물관으로 운영중이다. 2020년 1월 30일 2월 업데이트 발표와 함께 발표되었다. ‘국왕 폐하의 레이더’ 라는 5주간의 캠페인의 최종보상이었다. 그 이후로 1년에 한번씩은 판매를 하고있다. 연막+고폭탄+소나+레이다의 조합으로 팀플레이에서 최강의 캡 방어력을 가진 함선이다. 다만 어느정도는 조건이 필요한데 같은 편 함선, 특히 구축함이 앞이나 옆에서 시야를 확보해줘야 연막내 포격으로 상대 함선을 농락할수있다. 다만 위 조합의 반대급부로 어뢰와 영국 순양함의 장점인 복구반이 없기 때문에 상대가 피해를 각오하고 힘으로 밀고 들어오면 대책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고폭탄을 가지며 위력은 평범하나 연사가 나쁘지 않아서 나름 쓸만하다. 철갑탄은 일반 영국 경순과는 달리 일반 도탄각을 가진다. 피탐지거리는 10km 내로도 줄일수있다. 구축함 함장인 레지널드 라이어휫를 사용하는 경우 최대로 업그레이드하면 거의 무제한적으로 연막을 연달아서 사용할수 있다. 특히 벨파스트, 벨파스트 43, 마이너토어에 추천된다. === [[어드미럴급 중순양함|체셔]] - 6티어 === >영국 중순양함 건조 기획에 따라 제2차 세계대전 초반에 개발되었으며 234mm 주함포로 무장하였다. [[파일:Cheshire_1920x1080.jpg]] ||<|3>
{{{#white 무장}}} ||<|2> 주포 ||<|2> 234mm 3X2 ||<|2> 사거리 ||<|2> 14.9km || AP탄 ||<-3> 5,750 ||<|2> 재장전 ||<|2> 16초 ||<|2> 180도 회전 ||<|2> 25.7초 || || HE탄 || 3,850 || 화재발생율 || 24% || || 부포 || 114mm 8X2 || 사거리 || 4.5km || HE탄 || 1,600 || 화재 발생율 || 7% || 재장전 || 3초 || - || - || ||
{{{#white 어뢰}}} || 533mm 2X4 || 사거리 || 8km || 최대피해량 || 15,433 || 재장전 || 96초 || 속도 || 61노트 || ||
{{{#white 기동성}}} || 속도 || 34노트 || 선회반경 || 720m || 조타시간 || 9초 || ||
{{{#white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11.1km || 공중 피탐지 거리 || 7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km || 대형순양함에 가까운 함선으로 대구경 주포가 특징이다. 특히나 고폭탄 관통력이 1/4 판정을 받는데다가 시그마값도 2.05로 집탄이 좀더 우수하다. 때문에 대 전함전에 매우 유리하다. 또한 화재 발생에서도 연사력 대비 화재 발생율은 매우 높아서 유용하다. 다만 주포 갯수는 적으므로 그렇게까지 화재 발생만 기대할 정도는 아니다. 2021년 업데이트로 조타는 10.5초에서 9초로 향상되었으며 주포 재장전은 17초에서 16초로 향상되었으며 피해복구반의 복구시간이 27초에서 9.3초로 1/3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전반적으로 순양함으로서 카이팅에 불리했던 점을 보완해주었고 체력 회복을 빠르게 해줘서 위기에서 벗어나기 좋게 되었다. === [[타이거급 순양함|타이거 1959년형]] - 6티어 === [[파일:FNk8zeIXEAIeS__.jpg]] ||
{{{#white 선체}}} || 내구도 || 33,100 || 장갑 || 13-101mm || 어뢰 피해 감소 || 4% || ||
{{{#white 무장}}} || 주포 || 152mm 2X2 || 사거리 || 14.7km || AP탄 || 3,200 || 재장전 || 3.2초 || 180도 회전 || 4.7초 || ||
{{{#white AA}}} || 152mm 2X2/6km || 76.2mm 3X2/5km || ||
{{{#white 기동성}}} || 속도 || 30.3노트 || 선회반경 || 590m || 조타시간 || 8.9초 || ||
{{{#white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11km || 공중 피탐지 거리 || 6.9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5.4km || 약칭으로 보통은 타이거'59라고 표기한다. 실제로 건조된 함선으로 영국이 마이너토어 계획안이 너무 예산에 무리가 되면서 축소 재설계한것이 타이거급 경순양함이다. 총 3척이 건조되었다. 마이너토어의 주포를 사용하는 소형 경순양함으로 레이더와 연막을 모두 갖춘 유이한 함선이기도 하다. 수리반은 타 영국 경순양함처럼 존재하며 고폭탄은 없다. 2022년 3월 업데이트로 발표되었으며 PC의 8티어보다 한티어 낮게 발매되었다. 벨파스트와 마찬가지로 레이더와 연막을 모두 가진 댓가로 어뢰가 없는것이 큰 특징이다. === [[타운급 경순양함|벨파스트 1943년형]] - 7티어 (캠페인 보상) === ||
{{{#white 선체}}} || 내구도 || 38,400 || 장갑 || 6-114mm || 어뢰 피해 감소 || 16% || ||<|3>
{{{#white 무장}}} ||<|2> 주포 ||<|2> 152mm 4X3 ||<|2> 사거리 ||<|2> 15.3km || AP탄 ||<-3> 3,100 ||<|2> 재장전 ||<|2> 9.5초 ||<|2> 180도 회전 ||<|2> 25.7초 || || HE탄 || 2,450 || 화재발생율 || 9% || || 부포 || 102mm 6X2 || 사거리 || 5km || HE탄 || 1,500 || 화재 발생율 || 6% || 재장전 || 3초 || - || - || ||
{{{#white 어뢰}}} || 533mm 2X3 || 사거리 || 8km || 최대피해량 || 15,867 || 재장전 || 72초 || 속도 || 61노트 || ||
{{{#white 기동성}}} || 속도 || 32.5노트 || 선회반경 || 680m || 조타시간 || 9.9초 || ||
{{{#white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11.4km || 공중 피탐지 거리 || 7.2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5.7km || 2022년 5월 업데이트에서 캠페인 보상으로 발표되었다. 기존 59년 개장 이후의 경무장의 벨파스트가 아닌 건조 직후의 벨파스트를 기반으로 해서 어뢰가 장착되어 있는것이 특징이다. 어뢰는 정규트리인 피지의 것과 동일하다. 연막도 있지만 영국 구축함과 같은 짧은 연막이 다수 탑재되며 연막 대신 수리반 소모품을 선택하는것도 가능하다. 성능적으로 좀 문제가 있어서 업데이트를 받았다. 특이하게 고폭탄 관통력이 1/6에서 1/5로 올라가서 기본 30mm까지 관통이 가능해진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연막+고폭탄+어뢰+레이더+소나가 한번에 가능한 유일한 함선이지만 연막이 너무 짧다보니 사실상 일반적인 셋팅으로는 연막 활용이 힘들며 구축함 함장을 이용해서 연막을 무제한적으로 사용하도록 구성해야만 그나마 쓸만한 성능을 기대할수 있다. === [[타운급 경순양함|플리머스]] - 7티어 === 타운급 경순양함 설계안이라고하는데 실질적으로는 에딘버러에서 포탑을 4연장 포탑으로 교체한 워게이밍의 창작함. PC에서는 10티어로 매우 난이도 높은 함선이었으나 레전드에서는 티어가 2단계나 내려가면서 오히려 OP에 가까워졌다. 얇은 장갑, 뛰어난 DPM의 철갑탄, 적당한 사거리에 갯수가 넉넉한 어뢰로 마치 레전더리 티어의 마이너토어를 연상시키는 순양함이다. 다만 복구반은 일반 복구반으로 좀더 조심스러운 운영이 필요하다. == 전함 == === [[벨레로폰급 전함|벨레로폰]] - 3티어 === ||
{{{#white 선체}}} || 내구도 || 38,100 || 장갑 || 16-305mm || 어뢰 피해 감소 || 13% || ||<|4>
{{{#white 무장}}} ||<|2> 주포 ||<|2> 305mm 5X2 ||<|2> 사거리 ||<|2> 13.6km || AP탄 ||<-3> 8,100 ||<|2> 재장전 ||<|2> 30초 ||<|2> 180도 회전 ||<|2> 60초 || || HE탄 || 5,200 || 화재 발생율 || 32% || || 부포 || 102mm 14X1 || 사거리 || 4.5km || HE탄 || 1,500 || 화재 발생율 || 6% || 재장전 || 3초 || - || - || ||
{{{#white AA}}} || 40mm 4X1(2.5km) || 76.2mm 2X1 (3km) || ||
{{{#white 기동성}}} || 속도 || 24노트 || 선회반경 || 560m || 조타시간 || 10.1초 || ||
{{{#white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12.4km || 공중 피탐지 거리 || 10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9.5km || 드레드노트급의 후속인 벨레론폰급의 1번함으로 사실상 드레드노트와 큰 차이가 없다. 2021년 10월 할로윈 이벤트의 펜실베니아 구하기의 최종 보상으로 제공되었다. 원래 PC에서는 3티어 정규전함으로 한티어 낮은 전함이나 티어를 올리고 사양을 조정해서 3티어 프리미엄쉽으로 판매했다. 조정된 사양은 먼저 부포의 사거리와 재장전으로 사거리는 5티어급인 4.5km로 올리고 재장전도 7.5초에서 3초로 대폭 향상시켰다. 또한 조타시간도 10%정도 향상시키고 최고속도도 22.5노트에서 24노트로 향상시켜서 한티어 낮은 원본의 약점을 많이 감소시켰다. 비슷하게 티어업한 3티어 프리미엄 전함들 처럼 4개의 강화슬롯이 모두 열려있다. === [[애진코트|애진코트]] - 3티어 === 이 배의 운명이 좀 기구한 편인데 원래는 브라질이 영국에 주문한 퀸엘리자베스급의 다운그레이드 버전이었으나 오스만 제국이 인수했고 1차 대전시기 전함이 아까웠던 영국의 처칠[* 우리가 아는 그 처칠맞다. 1차 대전시 처칠이 해군 장관으로 한 삽질 중 하나로 애진코트 몰수로 중립이던 오스만 제국이 독일편을 들게 되었고 오스만 제국을 제압하려고 벌인 트리폴리 전투에서 대패해서 큰 손해를 입고 해군 장관을 사임했다.] 해군장관이 배를 몰수해서 영국해군에 편입시켜버렸다. 1차대전이 끝나고 군축조약에 의해서 바로 퇴역했다. 게임내에서의 애진코트는 다량의 주포와 부포를 가진 예능 함선에 가깝다. 주포는 12인치 14문으로 일제사의 위력은 괜찮은데 갯수가 갯수다보니 연사가 떨어지고 부포는 업데이트되어서 30문이라는 총 갯수에 4.5km라는 사거리 및 뛰어난 집탄 보정까지 받아 그야말로 최고의 부포전함이라고 볼수있다. 왠만한 구축함은 사거리에 접근해 들어오면 부포만으로 손쉽게 잡을수 있을 정도. 단점으로는 느린 연사와 대공 무장이 전혀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항공모함이 있으면 죽도록 괴롭힘을 받다 게임이 끝날수도 있다. === [[퀸 엘리자베스급 전함|워스파이트/워스파이트B]] - 5티어 === > 취역 당시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전함이었으며 이전 드레드노트급 군함보다 화력과 속력 면에서 월등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현대화 작업을 거쳐 어뢰 방호 능력, 측면 방어, 대공 방어를 강화하였다. [[파일:4739F1B8-EB79-4494-8A33-6E36BB73E050.png]] ||
{{{#white 선체}}} || 내구도 || 53,800 || 장갑 || 16-330mm || 어뢰 피해 감소 || 22% || ||<|4>
{{{#white 무장}}} ||<|2> 주포 ||<|2> 381mm 4X2 ||<|2> 사거리 ||<|2> 15.5km || AP탄 ||<-3> 11,400 ||<|2> 재장전 ||<|2> 30초 ||<|2> 180도 회전 ||<|2> 54.5초 || || HE탄 || 5,300 || 화재 발생율 || 34% || ||<|2> 부포 || 102mm 4X2 ||<|2> 사거리 ||<|2> 5km ||<|2> HE탄 || 1,500 ||<|2> 화재 발생율 || 6% ||<|2> 재장전 || 3초 ||<|2> - ||<|2> - || || 152mm 8X1 || 2,200 || 12% || 8.6초 || ||
{{{#white 기동성}}} || 속도 || 23.5노트 || 선회반경 || 550m || 조타시간 || 14.2초 || ||
{{{#white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14.2km || 공중 피탐지 거리 || 11.4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13km || 퀸 엘리자베스 급의 2번함으로 Grand Old Lady 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2차 대전의 수훈함이다. 2차 대전전에 기본적인 대개장을 동일 함급에서 가장 먼저 받았지만 퀸 엘리자베스 정도의 대규모 개장은 아니었다. 전쟁 발발후 노르웨이 해역에서 독일 구축함대를 전멸시켜 재해권을 장악하고 지중해에서 이탈리아의 줄리오체자레를 상대로 최장거리 명중탄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그 후 대파되었으나 수리를 못한채로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지원했다. 결국 전후 49년 해체되었다. 개장 사양으로 발표되었으며 부포곽을 그대로 살린 형태로 대개장을 했기 때문에 포곽형 부포를 장착하고 있다. 주포의 철갑탄은 영국 사양의 짧은 신관이 아닌 일반 신관을 사용하며 탄퍼짐이 적고 집탄이 좋아서 철갑탄의 위력이 출중하다. 대신 고폭탄은 1/4 관통이 아닌 평범한 1/6 관통인데다가 위력도 정규트리의 영국 전함들에 비해서 떨어진다. 긴급복구반이 순양함 사양인 5초 유지, 60초 대기로 순간적인 이상 대처에 매우 좋은데다가 대기시간이 80초에서 60초로 많이 단축되어서 좀더 편하게 복구반을 사용할수 있다. 수리반도 초당 0.6%로 일반 사양인 0.5%보다 높다. 구축함급의 선회반경에 조타시간도 좋아서 기동성이 매우 좋다. 이러한 점을 활용해서 후부 주포탑을 활용하기에도 좋으며 회피 기동도 좋다. 상대 모든 전함 맟 순양함의 선수를 오버매치해서 타격할수있는데다가 10km 내에서는 가장 탄퍼짐이 작고 그 이상에서도 일본 전함보다는 떨어지지만 그래도 타국 전함보다는 탄퍼짐이 꽤 적다. 집탄역시 시그마 2.0으로 최고의 집탄을 가지고 있어서 이 두가지가 시너지를 이루면 일발 명중시 엄청난 타격력을 보여준다. 관통력도 매우 좋아서 헤드온하는 상대 전함에게 한방을 묵직하게 꽂아넣을수있다. 단점이라면 주포의 갯수가 8개로 티어내에서는 적고 주포 회전이 느리다는 점과 퀸 엘리자베스와 동일하게 측면의 장갑이 부실하다는 점이다. === [[리펄스]] - 5티어 === 리나운급 순양전함의 2번함으로 1차대전 말기에 완성되어서 유틀란트 해전에는 참전하지 못했으나 신형 전함인덕에 군축 조약에서는 살아남았다. 이후 2차대전까지 두번의 대개장을 통해서 계속적으로 약점인 방어력과 대공 능력을 개선하였다. 리펄스는 태평양 전쟁이 개전과 함께 프린스 오브 웨일즈와 함께 극동으로 배치되었으나 일본 항공대의 뇌격으로 격침되었다. 영국 15인치 연장포를 3기 탑재한 구조로 화력에서 아무래도 아쉬운 전함이다. 대신 특이점으로는 엔진 가속기 소모품을 가지고 있으며 안그래도 빠른 속도를 더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 [[넬슨급 전함|넬슨]] - 6티어 === > 1922년에 체결된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따라 혁신적으로 설계된 전함이다. 선수에 있는 포탑 3개에 406mm 주함포를 장착하였다. "전부 아니면 전무"라는 개념에 따라 무장한 최초의 영국 해군 전함이다. [[파일:3E318E08-DCC7-41CD-B9DE-13F912D9E347.jpg]] ||
{{{#white 선체}}} || 내구도 || 59,400 || 장갑 || 9-406mm || 어뢰 피해 감소 || 19% || ||<|4>
{{{#white 무장}}} ||<|2> 주포 ||<|2> 406mm 3X3 ||<|2> 사거리 ||<|2> 16km || AP탄 ||<-3> 12,000 ||<|2> 재장전 ||<|2> 30초 ||<|2> 180도 회전 ||<|2> 45초 || || HE탄 || 6,900 || 화재 발생율 || 46% || ||<|2> 부포 || 120mm 6X1 ||<|2> 사거리 ||<|2> 5km || HE탄 || 1,700 || 화재 발생율 || 8% ||<|2> 재장전 || 5초 ||<|2> - ||<|2> - || || 152mm 6X2 || AP탄 ||<-3> 3,100 || 12초 || ||
{{{#white 기동성}}} || 속도 || 24노트 || 선회반경 || 750m || 조타시간 || 14.9초 || ||
{{{#white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14.6km || 공중 피탐지 거리 || 11.7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14km || 조약형 전함인 넬슨급의 1번함으로 영국 전함 최초로 16인치포를 장착한 시험적인 성격이 강한 전함이다. 다만 느린 속력으로 2차 대전에서는 큰 활약을 하지 못했고 2차대전후 넬슨급은 모두 해체되었다. 2020년 1월 6일부터 판매. 초당 전체 내구도의 2%까지 복구가능한 일명 ''슈퍼힐'' 수리반을 탑재해서 한번의 복구로 최대한 복구가 가능할경우 전체 내구도의 절반 이상을 복구할수 있는것이 넬슨의 가장 큰 장점이다. 대신 시타델 복구는 10%만 가능하며 기본 갯수는 2개로 일반 전함보다는 1개 적게 탑재되어 있다. 워스파이트나 후드와는 달리 전형적인 영국전함으로 정규트리와 같이 고폭탄 스팸 및 순양함 사냥에 최적회되어 있다. 주포는 전면에 3기의 3연장 포탑이 모두 있으며 어느정도 각도를 주면 3개의 포탑을 모두 사용가능하며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돌아가서 쾌적한 조작이 가능하다. 집탄도 시그마 1.9로 뛰어난 편. 고폭탄은 위력도 높고 관통력도 1/4 관통 판정으로 강력하며 화재 발생율도 거의 사기급으로 높다. 대신 철갑탄은 고증대로 관통력이 떨어지는데다가 짧은 신관의 영국제 철갑탄이라는 이중고를 감당해야한다. 전함 상대로는 일반 관통 피해나 순양함 상대시 사용하기 좋다. 방어력은 싱딩히 나쁜편으로 측면을 노출하는것은 매우 위험하며 정면 선수 장갑도 두텁지 않아서 생긴것과는 달리 헤드온했다가는 상대 전함의 주포가 시타델로 파고 들어오므로 조심해야 한다. 속도는 최대 24노트로 느리며 엔진 출력이 안좋아서 체감 속도는 더 떨어지는 편이다. === [[어드미럴급 순양전함|후드]] - 6티어 === > 영국 해군에서 오랫동안 가장 크고 강력한 고속 순양전함이었다. 제1차 세계대전에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건조되었다. 이후 등장한 전함과 다르게 측면 장갑이 단단하지 않았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구식이 된 부무장을 해체하고 대공포를 장착하였다. [[파일:7D4C1D30-05B3-4ADC-83FE-BA8081069A5D.jpg]] ||
{{{#white 선체}}} || 내구도 || 67,700 || 장갑 || 13-381mm || 어뢰 피해 감소 || 16% || ||<|3>
{{{#white 무장}}} ||<|2> 주포 ||<|2> 381mm 4X2 ||<|2> 사거리 ||<|2> 15.9km || AP탄 ||<-3> 11,400 ||<|2> 재장전 ||<|2> 27초 ||<|2> 180도 회전 ||<|2> 36초 || || HE탄 || 5,300 || 화재 발생율 || 34% || || 부포 || 102mm 7X2 || 사거리 || 5km || HE탄 || 1,500 || 화재 발생율 || 6% || 재장전 || 3초 || - || - || ||
{{{#white 기동성}}} || 속도 || 32노트 || 선회반경 || 910m || 조타시간 || 13.4초 || ||
{{{#white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14.7km || 공중 피탐지 거리 || 11.8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13.5km || 1차대전 말에 완성된 전간기 최고의 전함이자 마지막 순양 전함이다. 어드미럴급 순양전함의 1번함이지만 실제 건조된것이 후드 뿐이다. 무적의 후드(Mighty Hood)라는 별명으로 유명하며 비스마르크 건조전까지 세계 최대의 전함이었다. 2차대전중 비스마르크 추격전에서 비스마르크의 단 한발의 명중탄에 탄약고가 유폭되어 두동강이나 격침되었다. 2020년 2월 업데이트와 함께 발표되었다. 철갑탄의 도탄각이 보정되어있어서 미국 중순양함과 동일한 60~67.5도의 도탄각을 가진다. 이게 짧은 신관과 시너지를 일으켜 순양함 및 구축함 상대로 매우 상당히 위력적이다. 대신 전함 상대로는 왠만해서 상대 시타델을 뚫기 힘들며 일반 관통딜을 다수 노리는것이 필수가 된다. 고폭탄은 철갑 도탄각의 댓가로 1/6관통력의 일반 고폭탄을 사용한다. 순양함 사양의 음파탐지 소모품을 가지고있다. 6티어 최고의 내구도와 속도를 가지고 있지만 측면과 갑판 장갑이 얇아서 방어력은 떨어진다. 크기도 매우 커서 피탄율도 높고 전신 32mm 장갑으로 중순양함의 고폭탄에 매우 약하다. 즉, 강력한 순양함 킬러지만 순양함에 약하기도 하다. 5,6티어전에서는 별명대로 무적의 후드인데 6,7티어전에서는 상당히 약한 편. === [[킹 조지 5세급 전함|듀크 오브 요크]] - 6티어 === >King George V급 전함으로 356mm 주함포를 장착했으며 동급 군함 중 빠른 속력을 자랑했다. 다수 장착된 양용포는 주로 대공 방어용으로 사용하였다. 매우 뛰어난 사격 통제 시스템을 갖춰 주함포의 명중률이 매우 높았다. [[파일:343B76E9-63D9-4A42-844B-565975F0B73B.jpg]] ||
{{{#white 선체}}} || 내구도 || 60,500 || 장갑 || 13-381mm || 어뢰 피해 감소 || 22% || ||<|3>
{{{#white 무장}}} ||<|2> 주포 ||<|2> 356mm 2X4, 1X2 ||<|2> 사거리 ||<|2> 15.9km || AP탄 ||<-3> 10,500 ||<|2> 재장전 ||<|2> 29.5초 ||<|2> 180도 회전 ||<|2> 45초 || || HE탄 || 6,100 || 화재 발생율 || 41% || || 부포 || 134mm 8X2 || 사거리 || 4.5km || HE탄 || 1,900 || 화재 발생율 || 8% || 재장전 || 6.7초 || - || - || ||
{{{#white 기동성}}} || 속도 || 28노트 || 선회반경 || 790m || 조타시간 || 17.5초 || ||
{{{#white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13.8km || 공중 피탐지 거리 || 11.6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13.9km || KGV급 3번함으로 노스케이프 해전에서 샤른호르스트를 격침시킨것으로 유명한 전함이다. 2021년 1월에 발매. 정규트리의 KGV와 세가지가 다른데 연사력이 줄어들어서 기존 최고 수준이었던 kGV에 비해서 6티어 내에서도 평범한 29.5초라는 재장전 시간을 가진다. 두번째로는 후드와 같이 철갑탄의 도탄각이 미국 중순양함과 동일한 60~67.5도로 조정되어 있다. 신관은 영국 고유의 신관에 도탄각만 조정되었으므로 순양함 상대로는 매우 위력적이며 전함 상대로도 상부구조물을 노리면 꽤나 괜찮은 결과를 볼수 있게 되었다. 세번째로는 음향 탐지를 갖추고 있다. 2021년 2월 업데이트로 음향 탐지 소모품이 기존 1개에서 2개로 늘어났다. === 콜링우드 - 6티어 === 전간기 영국 순양전함 설계안의 하나를 기반으로 한다고 하는데... 실질적으로는 넬슨의 업건 버전. 넬슨의 주포를 테메레르와 컨커러가 사용하는 419mm 연장포로 바뀐거라고 생각하면 간단하다. 수리반은 2% 초고성능 수리반은 아니나 1%로 타국의 2배의 성능을 가지며 부포 소모품 대신 음향 탐지 소모품을 사용할수 있으며 주포 재장전 가속기 소모품도 지원한다. 일단 419mm 주포의 고폭탄 피해량이나 화재 발생율이 만만치 않은 만큼 공격력은 뛰어나고 넬슨보다 빠르다. 그 반대급부로 넬슨보다 방어력은 떨어졌는데 넬슨도 처첨한 방어력을 가지고 있어서 실상 큰 차이가 난다고 보기는 힘들다. === [[킹 조지 5세급 전함|모나크]] - 7티어 (글로벌 XP 구매) === > 381mm 주포를 장착한 King George V급의 예비 버전 중 하나이다. 차세대 전함으로 고속에 측면 장갑이 두껍고 양용포로 무장하였다. [[파일:9AEEA0CB-5DF2-4D44-8F55-D55FA9F3AAD0.jpg]] ||
{{{#white 선체}}} || 내구도 || 53,900 || 장갑 || 13-457mm || 어뢰 피해 감소 || 22% || ||<|3>
{{{#white 무장}}} ||<|2> 주포 ||<|2> 381mm 3X3 ||<|2> 사거리 ||<|2> 16.7km || AP탄 ||<-3> 11,900 ||<|2> 재장전 ||<|2> 25초 ||<|2> 180도 회전 ||<|2> 45초 || || HE탄 || 6,300 || 화재 발생율 || 35% || || 부포 || 134mm 8X2 || 사거리 || 5km || HE탄 || 1,900 || 화재 발생율 || 8% || 재장전 || 6.7초 || - || - || ||
{{{#white 기동성}}} || 속도 || 28노트 || 선회반경 || 790m || 조타시간 || 21초 || ||
{{{#white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15.2km || 공중 피탐지 거리 || 12.1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13.9km || 킹 조지 5세급에 15인치 주포를 장착한 설계안이 모나크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다. 자세히 보면 킹 조지 5세와 함의 모습은 동일하며 주포만 다른 모습. 2020년 3월 업데이트로 전체경험치 7티어 프리미엄 전함으로 발표되었다. PC버전의 8티어 정규트리 전함이 모나크고 8티어 프리미엄 전함이 뱅가드였는데 레전드에서는 반대로 실존함인 뱅가드가 정규트리로 나오고 계획안 중 하나였던 페이퍼 함선이 모나크로 프리미엄쉽으로 나오게 되었다. KGV의 기본 선체에 뱅가드와 유사한 주포를 3연장포탑 3개로 장착해서 극악의 내구도와 둔한 기동성을 가진다. 7티어에서 가장 짧은 주포 사거리는 덤. 대신 7티어에서는 가장 좋은 피탐지거리와 넬슨과 같은 초당 2% 복구 가능한 복구반으로 히트 앤드 런에 적합한 함선이 되었다. 짧은 사거리도 그렇게까지 크게 차이나지는 않아서 단점이라 할정도까지는 아니기도 하고 피탐지를 높여주는 부분도 있으니 무조건 나쁜점은 아니다. === [[라이온급 전함|라이온]] - 7티어 (이벤트 보상) === ||
{{{#white 선체}}} || 내구도 || 67,900 || 장갑 || 19-381mm || 어뢰 피해 감소 || 25% || ||<|3>
{{{#white 무장}}} ||<|2> 주포 ||<|2> 406mm 3X3 ||<|2> 사거리 ||<|2> 17km || AP탄 ||<-3> 12,600 ||<|2> 재장전 ||<|2> 30초 ||<|2> 180도 회전 ||<|2> 45초 || || HE탄 || 6,900 || 화재 발생율 || 46% || || 부포 || 134mm 8X2 || 사거리 || 5km || HE탄 || 1,900 || 화재 발생율 || 8% || 재장전 || 6.7초 || - || - || ||
{{{#white AA}}} || 40mm 4X1/6X2/10X6(3.5km) || 134mm 8X2 (4.5km) || ||
{{{#white 기동성}}} || 속도 || 29.5노트 || 선회반경 || 830m || 조타시간 || 15.8초 || ||
{{{#white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14.6km || 공중 피탐지 거리 || 12.2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14.7km || 라이온급 순양전함의 1번함으로 예정된 전함이었지만 2차대전 발발로 건조를 포기했다. 2번함인 테메레르는 정규트리 8티어로 나와있다. 2021년 12월 업데이트로 발표되었으며 한정 결재 수단인 윈터 코인 25000으로 구매가능했다. 정규트리인 테메레르와 다른 점은 406mm 주포로 고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주포는 넬슨과 동일해 보이지만 고폭탄은 동일하고 철갑탄은 살짝 더 위력이 높다. 고폭탄을 위주로 깡데미지와 높은 화재 발생으로 상대의 전진을 저지하는데는 탁월하지만 측면에 어떠한 전함이라도 일제사가 들어오면 순식간에 격침당한다는 점에서 조심해야 한다. 선수, 선미는 32mm이므로 넬슨과는 달리 헤드온에 적합한데다 KGV처럼 2번 주포탑과 3번 주포탑의 포각이 안좋아서 회피 기동을 펼치기에도 별로라서 수동적인 헤드온을 위주로 한 라인 방어 플레이를 펼치는것이 강제된다. 2% 복구되는 슈퍼 수리반을 가지고 있어서 초기에는 화재 발생이나 고폭 찜질을 견디기 괜찮지만 내구도가 떨어지면 순식간에 타죽거나 32mm 전신장갑덕에 체력이 쭉쭉 떨어지므로 긴급 복구반과 수리반 사용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 항공모함 == === [[아크로열급 항공모함|아크로열]] - 5티어 === 현대 항공모함의 원형이 되는 아크로열급의 1번함이다. 역사적으로도 창모의 비행갑판을 선체의 일부로 만든 첫 항공모함이며 현대 항공모함의 이착함 방식인 캐터펄트와 어레스팅 후그를 모두 갖춘 첫 항공모함이며 첫 장갑 항공모함이다. 함재기는 뇌격기와 폭격기 모두 소드피쉬이며 9대편대로 3대씩 공격하는것이 특징이다. 너무 강력해서 판금상태였다가 탑재기 사양을 조정했으며 기존 사용자들이 원하는 경우 환불을 진행했다. [[분류: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