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include(틀:대한민국의 국가철도 및 전용철도 노선)] {{{+1 原州連結線 / Wonju Connecting Line }}} [목차] == 개요 == [[파일:원주연결선.jpg]] [[중앙선]] [[원주역]]과 [[경강선]]([[강릉선]]) [[만종역]]을 잇는 동측 [[삼각선]] 역할의 개통예정 노선이다. 개통 시 [[중앙선]] [[원주역|원주]]~[[경주역|경주]] 구간, [[대구선]], [[충북선]], [[경북선]] 등에서 온 열차가 [[경강선]] [[만종역|만종]]~[[강릉역|강릉]] 구간에 운행할 수 있게 된다. 2021년 6월 29일 발표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최종안'''에 포함되었다. == 역사 == [[파일:강호축.jpg]] 원래 [[충청북도]] [[청주시]] 측에서 주장하는 [[오송역]] 활성화 방안인 강호축([[강원도]]~[[충청도]]~[[전라도]]) 교통망 확충의 일환으로 제기된 계획이다. 원주연결선과 함께 [[봉양연결선]], [[충북선]] 고속화, [[평택-오송 고속철도]]-[[충북선]] 간 연결선 건설 등을 추진하면 [[목포역]]발 [[호남고속선]] [[KTX]]가 [[오송역]]을 통해 [[충주역]], [[봉양역]], [[원주역]], [[강릉역]]까지 운행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수요 부족과 좋지 못한 선형 때문에 추진이 지지부진한 상황이었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13676&code=11131416&sid1=i|국민일보 기사]] 충북선 고속화는 이미 [[2019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받은 상황으로, 해당 사업 계획에 원주연결선도 포함되어 있다. 충청북도가 강원도 사업을 요구하는 모양새. 2021년 4월 22일 발표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안에 포함되어 사업 추진에 청신호가 켜졌다. 2021년 6월 29일 발표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최종안에 포함되었다.[[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221182&ref=A|KBS춘천]] 만약 원주연결선만 먼저 개통되더라도 [[중앙선]], [[동해선]], [[대구선]] 연계를 통한 [[경상도]]~[[강원도]] 간[* 강릉 ← 원주, 제천 → 영주, 동대구, 포항[br]중앙선의 수요 높은 역을 경유하는 열차도 만들 수 있다.] 수요는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상상하고 있다.. [[https://www.koti.re.kr/user/bbs/BD_selectBbs.do?q_searchKeyTy=sj___1002&q_searchVal=&q_bbsCode=1003&q_bbscttSn=20210422112525038&q_clCode=-1|공청회 발표 자료]] 해당 노선을 [[원주춘천선]]의 일부로 편입할 계획이다. == 역 목록 == [include(틀:철도 관련 정보/일러두기)] || ㎞ ||<-2>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0.0|| [[원주역|원 주]] || 原 州 || KMA || ─ || ⊙ || [[중앙선]] ||<|2>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 || [[만종역|만 종]] || 萬 鍾 || km || H || ○ || [[경강선]] || == 기타 == 같은 시 내의 두 역을 잇는 짧은 노선이지만 의외로 두 역이 서로 다른 [[한국철도공사]] 지역본부에 속해 있다. [[원주역]]은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산하의 [[관리역]]이며, [[만종역]]은 [[평창역]]에게 관리 받는 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 산하의 [[보통역]]이다. [[분류: 중앙선]][[분류: 경강선]][[분류: 대한민국의 착공 예정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