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원주시/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강원특별자치도)] ----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원주시 을}}}}}}'''[br]{{{-1 {{{#fff 명륜1동, 명륜2동, 개운동, 단구동 등[br]原州市 乙[br]Wonju B}}}}}}}}}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원주시 을.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169,395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강원특별자치도]]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원주시|{{{#373a3c,#ddd 원주시}}}]] 일부''' 명륜1동, 명륜2동, 개운동, 단구동, 봉산동, 행구동, 반곡·관설동, 소초면, 흥업면, 판부면, 신림면}}} || ||<-2> '''신설년도''' ||<-2> [[제19대 국회의원 선거|2012년]] || ||<-2> '''이전 선거구''' ||<-2> [[원주시(선거구)|원주시]] || ||<-2>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송기헌]] || [목차] [clearfix] == 개요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갑/을로 선거구가 분구되었다가 16대부터 18대까지는 다시 단독 선거구로 되돌아갔고, 이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원주시]]의 선거구가 다시 갑/을로 나누어진 이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강원혁신도시]]를 끼고 있는 [[지역구]]라 강원도에서 민주당세가 제일 강한 곳이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강원도에서 유일하게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당선]]되었고,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문재인 전 대통령이 38%를 득표했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더불어민주당이 압승했다. 현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송기헌]] 의원이다. 타지에서 원주로 들어오는 관문은 모조리 [[원주시 갑]] 소속이라 원주시 을에는 [[중앙고속도로]] [[신림IC]]와 [[치악휴게소]] 둘 뿐이다. 이 선거구 내에 여객영업을 하는 [[철도역]]은 '''[[신림역(중앙선)|신림역]]의 폐역으로 모두 사라졌다'''. 원래는 [[중앙선]] [[반곡역]], [[치악역]], 신림역이 있었지만 [[중앙선]] 철도의 이설로 전부 다 사라진 것이다. 그나마 [[원주공항]]의 [[활주로]]가 원주시 [[소초면]]에 있는데 소초면이 '''을 선거구'''다. 공항 청사는 [[횡성군]]에 있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2> 제13대 || [[함종한]] || [include(틀:민주정의당)] ||<|2>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원주시 일원 || || [[박경수(정치인)|박경수]] || [include(틀:통일민주당)] || 횡성군·원성군 일원 || ||<|2> 제14대 || [[원광호]] || [include(틀:통일국민당)] ||<|2>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원주시 일원 || || [[박경수(정치인)|박경수]] || [include(틀:민주자유당)] || 횡성군·원주군 일원 || ||<|2> 제15대 || [[함종한]] ||<|2> [include(틀:신한국당)] ||<|2>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원주시 갑[* 문막읍, 호저면, 지정면, 부론면, 중평동, 일산동, 학성1동, 학성2동, 단계동, 우산동, 태장1동, 태장2동.] || || [[김영진(1939)|김영진]] || 원주시 을[* 소초면, 귀래면, 흥업면, 판부면, 신림면, 원인동, 개운동, 명륜1동, 명륜2동, 단구동, 봉산1동, 봉산2동, 행구동, 무실동, 관설동, 반곡동.] || || 제16대 || [[이창복]]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4> 원주시 || || 제17대 ||<|2> [[이계진]] ||<|2> [include(틀:한나라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2> 제18대 || 2008년 5월 30일 ~ 2010년 4월 30일 || || [[박우순]]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010년 7월 29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 [[이강후]]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3> 원주시 을 || || 제20대 ||<|2> [[송기헌]]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2020년 5월 30일 ~ 현재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원주시 을'''}}}}}}[br]{{{#ffffff ,,소초면, 귀래면, 흥업면, 판부면, 신림면, 원인동, 개운동, 명륜1동, [br]명륜2동, 단구동, 봉산1동, 봉산2동, 행구동, 무실동, 관설동, 반곡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영진(1939)|{{{#373a3c,#dddddd 김영진}}}]](金營珍)''' || '''23,183''' || '''1위''' || || [include(틀:신한국당)] || '''44.59%''' || '''당선''' || ||<|2> {{{#ffffff {{{+5 '''2'''}}}}}} || {{{#373a3c,#dddddd 박전하}}}(朴栓河) || 4,532 || 4위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8.71% || 낙선 || ||<|2> {{{#ffffff {{{+5 '''3'''}}}}}} || {{{#373a3c,#dddddd 안재윤}}}(安在潤) || 3,415 || 5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6.56% || 낙선 || ||<|2> {{{#ffffff {{{+5 '''4'''}}}}}} || [[박우순|{{{#373a3c,#dddddd 박우순}}}]](朴宇淳) || 14,408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27.71% || 낙선 || ||<|2> {{{#ffffff {{{+5 '''5'''}}}}}} || {{{#373a3c,#dddddd 김광림}}}(金光林) || 857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1.64% || 낙선 || ||<|2> {{{#ffffff {{{+5 '''6'''}}}}}} || {{{#373a3c,#dddddd 김천희}}}(金天熙) || 650 || 7위 || || [include(틀:무소속)] || 1.25% || 낙선 || ||<|2> {{{#ffffff {{{+5 '''7'''}}}}}} || {{{#373a3c,#dddddd 정상철}}}(鄭上澈) || 4,940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9.5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80,601 ||<|3> '''투표율'''[br]66.41% || || '''투표 수''' || 53,530 || || '''무효표 수''' || 1,545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원주시 을|{{{#ffffff {{{+1 '''원주시 을'''}}}}}}]][br]{{{#ffffff 개운동, 명륜1동, 명륜2동, 단구동, 봉산동, 행구동,[br]반곡·관설동, 소초면, 흥업면, 판부면, 신림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강후|{{{#373a3c,#dddddd 이강후}}}]](李康厚)''' || '''30,761'''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8.73%''' || '''당선''' || ||<|2> {{{#3ab34a {{{+5 '''2'''}}}}}} || [[송기헌|{{{#373a3c,#dddddd 송기헌}}}]](宋基憲) || 29,179 || 2위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46.22% || 낙선 || ||<|2> {{{#ffffff {{{+5 '''6'''}}}}}} || {{{#373a3c,#dddddd 이재헌}}}(李載鉉) || 3,184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5.0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23,842 ||<|3> '''투표율'''[br]51.35% || || '''투표 수''' || 63,598 || || '''무효표 수''' || 474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원주시 을|{{{#ffffff {{{+1 '''원주시 을'''}}}}}}]][br]{{{#ffffff 개운동, 명륜1동, 명륜2동, 단구동, 봉산동, 행구동,[br]반곡·관설동, 소초면, 흥업면, 판부면, 신림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강후|{{{#373a3c,#dddddd 이강후}}}]](李康厚) || 33,702 || 2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3.82% || 낙선 || ||<|2> {{{#ffffff {{{+5 '''2'''}}}}}} || '''[[송기헌|{{{#373a3c,#dddddd 송기헌}}}]](宋基憲)''' || '''34,052'''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4.27%''' || '''당선''' || ||<|2> {{{#ffffff {{{+5 '''3'''}}}}}} || {{{#373a3c,#dddddd 이석규}}}(李晳奎) || 8,196 || 3위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10.65% || 낙선 || ||<|2> {{{#ffffff {{{+5 '''5'''}}}}}} || {{{#373a3c,#dddddd 이승재}}}(李承宰) || 954 || 4위 || || [include(틀:민중연합당)] || 1.2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4,305 ||<|3> '''투표율'''[br]57.82% || || '''투표 수''' || 77,663 || || '''무효표 수''' || 759 || ---- ||<-6> {{{#FFFFFF '''20대 총선 원주시 을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이강후|{{{#FFFFFF '''이강후'''}}}]] || [[송기헌|{{{#FFFFFF '''송기헌'''}}}]] || {{{#FFFFFF '''이석규'''}}} || || '''득표수[br](득표율)''' || '''33,702 [br] (43.82%)''' || {{{#FFFFFF '''34,502 [br] (44.27%)'''}}} || '''8,196 [br] (10.65%)''' || '''- 350 [br] (▼0.45)''' || '''77,663 [br] (57.8%)''' || || '''개운동''' || {{{#ca252b 50.47%}}} || 38.96% || 9.57% || △11.51 || 56.43 || || '''명륜1동''' || {{{#ca252b 46.80%}}} || 42.61% || 9.46% || △4.19 || '''60.07''' || || '''명륜2동''' || {{{#ca252b 45.13%}}} || 43.52% || 10.31% || △1.61 || 55.45 || || '''단구동''' || 41.17% || {{{#004ea2 46.70%}}} || 10.92% || ▼5.53 || 53.40 || || '''봉산동''' || {{{#ca252b 52.17%}}} || 36.75% || 9.43% || △15.42 || 56.74 || || '''행구동''' || {{{#ca252b 46.32%}}} || 42.65% || 9.95% || △3.67 || 59.56 || || '''반곡·관설동'''[* 반곡동 + 관설동을 관할하며, [[강원혁신도시]]가 있는 동네.] || {{{#696969 35.75%}}} || {{{#004ea2 '''51.03%'''}}} || '''11.32%''' || ▼'''15.28''' || 56.16 || || '''소초면''' || {{{#ca252b 54.51%}}} || 33.44% || 10.58% || △21.07 || 51.45 || || '''흥업면''' || {{{#ca252b 48.37%}}} || 40.08% || 10.32% || △8.29 || 53.52 || || '''판부면''' || {{{#ca252b 46.58%}}} || 42.85% || 9.36% || △3.73 || {{{#696969 50.72}}} || || '''신림면''' || {{{#ca252b '''63.72%'''}}} || {{{#696969 28.15%}}} || 7.11% || △{{{#696969 35.57}}} || 58.99 || || '''후보''' || [[이강후|{{{#ca252b '''이강후'''}}}]] || [[송기헌|{{{#004ea2 '''송기헌'''}}}]] || {{{#046240 '''이석규'''}}}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ca252b 52.22%}}} || 23.70% || 16.67% ||<-2> △28.52 || || '''관외사전투표''' || 33.26% || {{{#004ea2 51.48%}}} || 13.53% ||<-2> ▼18.22 || || '''재외투표''' || 24.03% || {{{#004ea2 67.44%}}} || 6.98% ||<-2> ▼43.41 || ---- 새누리당의 현역 [[이강후]]는 재선에 도전하였고,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지난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했던 [[송기헌]],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에서는 [[이석규]], [[민중연합당]]에서는 [[이승재]]가 도전한다. 1여 3야의 구조라 야권 분열로 인해 여당이 유리할 것으로 보였으나 출구조사는 2%p 초접전 차이였다.[* 이강후 45.8%, 송기헌 43.8%.] 결과는 출구조사를 뒤집고 송기헌 후보가 '''350표''' 차이로 당선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4년 전에는 송기헌 후보가 출구조사에서 당선되는 것으로 나왔는데, 반대로 이강후 후보가 당선되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유일하게 강원도에서 야당 후보가 당선된 것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이강후]] 후보는 단구동, 반곡관설동, 사전투표, 부재자투표를 제외하고 전부 승리했다. 개운동에서 713표 차, 명륜1동에서 212표 차, 명륜2동에서 122표 차, 봉산동에서 675표 차, 행구동에서 133표 차, 소초면에서 832표 차, 흥업면에서 290표 차, 판부면에서 98표 차, 신림면에서 705표 차로 승리했다. 또한 거소선상투표에서도 67표 차로 승리했다. 반면 당선인 [[송기헌]] 후보는 단구동에서 975표 차, 반곡관설동에서 1,831표 차, 사전투표에서 1,335표 차, 부재자투표에서 56표 차로 승리했다. 이강후 후보가 승리한 지역은 더 많았지만, 송기헌 후보가 반곡관설동의 몰표로 인해 승리하게 되었다. 한편 [[원주시 갑]]에서는 134표 차 초접전으로 새누리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원주시 을|{{{#ffffff {{{+1 '''원주시 을'''}}}}}}]][br]{{{#ffffff 개운동, 명륜1동, 명륜2동, 단구동, 봉산동, 행구동,[br]반곡·관설동, 소초면, 흥업면, 판부면, 신림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송기헌|{{{#373a3c,#dddddd 송기헌}}}]](宋基憲)''' || '''48,772'''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3.88%''' || '''당선''' || ||<|2> {{{#ffffff {{{+5 '''2'''}}}}}} || [[이강후|{{{#373a3c,#dddddd 이강후}}}]](李康厚) || 39,089 || 2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43.18% || 낙선 || ||<|2> {{{#ffffff {{{+5 '''3'''}}}}}} || {{{#373a3c,#dddddd 안재윤}}}(安在潤) || 772 || 4위 || || [include(틀:민생당)] || 0.85% || 낙선 || ||<|2> {{{#ffffff {{{+5 '''7'''}}}}}} || {{{#373a3c,#dddddd 현진섭}}}(玄鎭涉) || 458 || 6위 || || [include(틀:우리공화당)] || 0.50% || 낙선 || ||<|2> {{{#ffffff {{{+5 '''8'''}}}}}} || {{{#373a3c,#dddddd 이승재}}}(李承宰) || 777 || 3위 || || [include(틀:민중당)] || 0.85% || 낙선 || ||<|2> {{{#ffffff {{{+5 '''9'''}}}}}} || {{{#373a3c,#dddddd 정성호}}}(鄭成皓) || 641 || 5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7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41,827 ||<|3> '''투표율'''[br]64.60% || || '''투표 수''' || 91,625 || || '''무효표 수''' || 1,116 || ||<-6> {{{#FFFFFF '''21대 총선 원주시 을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송기헌|{{{#FFFFFF '''송기헌'''}}}]] || [[이강후|{{{#FFFFFF '''이강후'''}}}]]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48,772 [br] (53.88%)'''}}} || '''39,089 [br] (43.18%)''' || '''+ 9,683 [br] (△10.70)''' || '''91,625 [br] (64.60%)''' || || '''개운동''' || 46.31% || {{{#EF426F 50.77%}}} || ▼4.46 || 62.88 || || '''명륜1동''' || {{{#004EA2 51.98%}}} || 45.25% || △6.73 || 68.28 || || '''명륜2동''' || {{{#004EA2 50.49%}}} || 46.55% || △3.93 || 62.09 || || '''단구동''' || {{{#004EA2 55.15%}}} || 41.75% || △13.40 || {{{#696969 58.53}}} || || '''봉산동''' || 45.99% || {{{#EF426F 50.49%}}} || ▼4.50 || 62.24 || || '''행구동''' || {{{#004EA2 52.07%}}} || 45.24% || △6.82 || '''69.56''' || || '''반곡·관설동'''[* 반곡동 + 관설동을 관할하며, [[강원혁신도시]]가 있는 동네.] || {{{#004EA2 '''60.58%'''}}} || {{{#696969 36.85%}}} || '''△23.73''' || 61.94 || || '''소초면''' || 42.45% || {{{#EF426F 54.34%}}} || ▼11.89 || 58.68 || || '''흥업면''' || {{{#004EA2 48.51%}}} || 48.48% || △0.03[* 1표차(2248표 vs 2247표).] || 62.50 || || '''판부면''' || {{{#004EA2 51.82%}}} || 45.44% || △6.38 || 59.56 || || '''신림면''' || {{{#696969 40.70%}}} || {{{#EF426F '''57.12%'''}}} || {{{#696969 ▼16.42}}} || 68.25 || || '''후보''' || [[송기헌|{{{#004EA2 '''송기헌'''}}}]] || [[이강후|{{{#EF426F '''이강후'''}}}]]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50.90%}}} || 42.59% ||<-2> △8.30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3.64%}}} || 33.14% ||<-2> △30.50 || || '''재외투표''' || {{{#004EA2 69.66%}}} || 29.21% ||<-2> △40.45 || 현역 [[더불어민주당]] [[송기헌]] 의원은, 단수 공천을 받으면서 재선에 도전한다. [[미래통합당]]에서는 김대현 전 당협위원장, 윤용호 전 부대변인, [[이강후]] 전 의원이 예비 후보로 등록했고, 경선 끝에 이강후가 공천을 받았다. 개표 초반, 더불어민주당 송기헌 후보가 미래통합당 이강후 후보를 근소하게 앞서나가며 지난 국회의원 선거와 마찬가지로 격전이 펼쳐지는 게 아닌가 싶었지만 이후 송기헌 후보가 격차를 벌리며 10%p 차이로 이강후 후보의 복수를 저지하고 재선에 성공했다.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81559|#]] 세부적으로 보면 당선인 [[송기헌]] 후보는 개운동, 봉산동, 소초면, 신림면을 제외하고 모두 승리했다. 명륜1동에서 380표 차, 명륜2동에서 309표 차, 단구동에서 '''2,545표''' 차, 행구동에서 298표 차, 반곡관설동에서 무려 '''4,206표''' 차, 흥업면에서 단 '''1표''' 차, 판부면에서 218표 차로 승리했다. 또한 거소선상투표에서 23표 차, 사전투표에서 '''3,034표''' 차, 부재자투표에서 36표 차로 승리했다. 반면 [[이강후]] 후보는 개운동에서 300표 차, 봉산동에서 197표 차, 소초면에서 494표 차, 신림면에서 378표 차로 승리했다. [[윤석열]] 전 총장 및 [[조국(인물)|조국]] 전 장관 청문회, [[검찰개혁]] 등 2019년 말부터 이어진 이슈에서 더불어민주당의 법사위 간사로 자주 브라운관에 얼굴을 들이밀며 인지도를 높였던 결과로 보인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원주시 을|{{{#ffffff {{{+1 '''원주시 을'''}}}}}}]][br]{{{#ffffff 개운동, 명륜1동, 명륜2동, 단구동, 봉산동, 행구동,[br]반곡·관설동, 소초면, 흥업면, 판부면, 신림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 관련 문서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강원도]]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강원특별자치도의 정치]][[분류:원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