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or operator [[분류:운전수]] [목차] == 개요 == 원자로운전원(Reactor Operator) : [[원자력발전소]]의 주제어실(MCR)에서 [[원자로]]의 출력 상태와 비상시의 안전 조치 등 관리·감독을 수행하는 전담 직원을 말한다. 한국에서는 크게 발전용원자로([[한국수력원자력]]내에 존재하는 모든 원자력발전소), 연구용원자로([[한국원자력연구원]]의 [[하나로]]), 교육용원자로([[경희대학교]] 원자로센터 내에 위치)로 구분한다. == 취업 및 소득 == * 원자로운전원의 대부분은 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하는 공기업인 한국수력원자력의 원자력본부에서 종사한다. 그 외에 TO에 따라 한국원자력연구원 내에서도 연구용원자로인 하나로를 운영하기 위해서 채용을 실시하고 있고, 교육용원자로를 운영하는 경희대학교내에서도 아주 간혹가다 선발을 하고 있긴하다. * 원자로운전원은 대부분 원자로조종사면허(RO)와 원자로조종감독자면허(SRO)를 취득하는데, 외국에서 근무하지 않는 이상 원자력공학과를 졸업한 학생들이 실무경력때문에 이 면허시험에 응시할수없어 거의 한국수력원자력 채용시험에 합격을 해서 발전팀에 보직을 받고 일을 하면서 실무경력을 취득하고 원자로조종사(RO)를 취득한다. * 원자로운전원의 대부분은 [[한국수력원자력]]의 발전직군으로 근무하고 있다. 발전팀은 크게 주제어실(MCR)과 현장에 배치되어 현장운전원으로근무하게 된다. 원자력법상 주제어실 근무자 중 일정 인원은 면허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발전팀 경력과 직급이 있으면 주제어실을 책임지는 최고책임자인 발전팀장(발전부장)의 보직을 받는다. [[한국수력원자력]]에서 발전업무(원자력) 종사자가 RO(원자로조종사)면허를 취득하고, 발전팀에 계속 남아있게 되면 직능급 대우를 과장급으로 대우해준다. 원자로운전원의 경우 RO/SRO등의 자격면허 취득이나 교대근무 등의 여러가지 요인으로로 승진이 대체로 빠르고, 한수원 내에서도 고위직에 진출하는 경우가 많다. * [[한국수력원자력]]에서 근무하는 원자로운전원의 경우, 교대근무, 야간근무 및 각종수당 등으로 인해 일근직원에 비해 대략 1.2배~1.3배의 연봉을 받는다.[* 물론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차이가 난다.] == 면허 제도 == 원자로조종사(RO/Reactor operator)와 원자로조종감독자(SRO/Senior Reactor Operator)면허가 있다. 필기 실기로 뽑는다. === RO === 응시자격 * 외국에서 동일 기종의 원자력조종사 면허에 준하는 자격을 받은 사람 : 학력무관 경력무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주식회사에서 실시하는 10주 이상의 원자로조종에 관한 교육훈련 또는 외국에서 그에 상응하는 교육 또는 훈련을 받은 사람 ([[직무교육]]) 또는 외국에서 원자로조종사면허에 준하는 자격을 받은 사람 : 이공계 대졸, 기사 자격 소지자, 이공계 전문대 2년 수료 +1년, 산업기사 +1년, 이공계 전문대 원자력공학/원자핵공학 전공자 + 6개월, 고졸 + 2년, 기능사 + 2년. * 직무교육이나 외국 면허가 없이 실무 경험만으로 따려는 사람 : 이공계 전문대 2년 수료 + 2년, 산업기사 +2년, 이공계 대졸 + 1년, 기사 + 1년, 이공계 4년제 원자력공학/원자핵공학 + 6개월, 이공계2년제 원자력공학/원자핵공학 + 1년 6개월, 고졸 + 3년, 기능사 + 3년 응시분야 1-1) PWR 600MWe급(W) - 웨스팅하우스(고리 1~2호기) 1-2) PWR 1000MWe급(W) - 웨스팅하우스(고리 3~4호기, 한빛 1~2호기) 1-3) PWR 1000MWe급(F) - Framatome형(한울 1~2호기) 1-4) PWR 1000MWe급(HANJUNG) - [[OPR1000]] 1-5) PWR 1400MWe급(DOOJUNG) - [[APR1400]] 1-6) PHWR 600MWe급(AECL) - CANDU(월성 1~4호기) 2-1) 교육용 1kWt급(AGN-201)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2-2) 연구용 10MWt급(하나로) - [[한국원자력연구원]] 시험일정 : 발전용 - 필기 4월 실기 7월, 교육/연구용 - 필기 8월 실기 9월 [[http://m.blog.naver.com/kins20/220264633313|2014년]] 7종에 436명이 응시했지만 49명밖에 합격하지 못했다. 모든 기종이 합격률 10% 근방이다. === SRO === * 이공계 대졸 + 실무 3년 * RO + 실무 2년 SRO의 평균수입은 2012년 기준 799만원이다. [[분류:자격면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