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남도의 대로)] ------ ||<-4> {{{#fff {{{+1 '''원이대로'''}}}[br] 原이大路 | Woni-daero }}} || ||<-4>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정동로(창원)|{{{#fff ↙ 정동로}}}]] || ||}}} || ||<-4> '''{{{#fff 기점}}}''' || ||<-4>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소답동]] 도계광장교차로 || ||<-4> '''{{{#fff 종점}}}''' || ||<-4>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가음정동]] 가음정사거리 || ||<-4> '''{{{#fff 연장}}}''' || ||<-4> 9.2km || ||<-4> '''{{{#fff 관리}}}''' || ||<-4> [[창원시설공단|[[파일:창원시설공단 로고.svg|height=40]]]] || ||<-4> '''{{{#fff 왕복 차로 수}}}''' || ||<-4> 6차로 || ||<-4> '''{{{#fff 주요 경유지}}}''' || ||<-4> 도계광장교차로 ↔ 명곡광장교차로 ↔ [[창원광장]] ↔ 가음정사거리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소답동]] 도계광장교차로에서 출발하여 [[성산구]] [[가음정동]] 가음정사거리에서 끝나는 도로. == 상세 == [[파일:external/img.seoul.co.kr/SSI_20100404194159_V.jpg]] [[창원대로]], [[창이대로]], [[공단로(창원)|공단로]]와 함께 구 창원시내를 가로로 잇는 주요 간선도로다. 가음정사거리에서 [[정동로(창원)|정동로]]와 직결된다. 1980년경 창원시 계획과 동시에 건설된 도로. 건설 당시에는 명칭이 구간 별로 분리되어 있었는데 도계광장~명곡광장 구간은 명곡로, 명곡광장~창원광장 구간은 반송로, 창원광장~가음정사거리 구간은 토월로로 불렸다. 원이대로란 이름은 2009년 새주소 사업에 의해 당시 창원시의 캐릭터 이름인 창이와 원이 중 원이의 이름을 갖다붙인 것. ~~그런데 다음해에 통합으로 캐릭터가 흑역사가 되었다.~~ 창원시의 우회도로인 [[해원로]]의 건설 전까지는 [[25번 국도]]의 일부이기도 하였다. == 교차점 == |||| 서쪽 기점 || || 교차로명 || 도로명 || || 도계광장 || [[의창대로]]([[14번 국도]]) || || 도계사거리 || [[도계로(창원)|도계로]] || || 도계중사거리 || || || 서부경찰서사거리 || [[우곡로(창원)|우곡로]], [[태복산로]] || || 목련삼거리 || [[도계로(창원)|도계로]] || || || [[명지로(창원)|명지로]] || || 명서사거리 || [[명서로(창원)|명서로]] || || || [[명서로(창원)|명서로]] || || 상북사거리 || [[지귀로]] || || 명곡광장 || [[창이대로]] || || || [[창원천로]] || || 중앙중사거리 || [[반지로]] || || [[창원종합운동장|운동장]]사거리 || [[충혼로(창원)|충혼로]] || || 운동장삼거리 || || || 용지사거리 || [[외동반림로]] || || || [[용호로(성산구)|용호로]] || || [[창원시청|시청]]사거리 || [[용지로(창원)|용지로]] || || [[창원광장]] || [[중앙대로(창원)|중앙대로]] || || 한국은행사거리 || [[상남로(창원)|상남로]] || || 은아아파트사거리 || [[마디미로]] || || 생활체육관삼거리 || [[토월로]] || || 상남사거리 || [[동산로(창원)|동산로]] || || 성원아파트사거리 || || || 남양동우성아파트앞삼거리 || [[대암로(창원)|대암로]] || || 남양삼거리 || [[가음로]] || || || [[가음정로]] || || 가음정사거리 || [[창원대로]] || |||| 동쪽 종점([[정동로(창원)|정동로]]와 직결) || == 특징 == 전 구간에서 화단 중앙분리대를 갖추고 있으며, 도계광장~서부경찰서사거리, 명곡광장~중앙중사거리, 운동장사거리~용지사거리(가음정사거리 방향 한정)을 제외한 전구간에 자전거전용도로를 갖추고 있다. 자전거 전용도로를 갖춘 구간은 편도 3차로, 자전거전용도로가 없는 구간은 편도 4차로이다. 창원의 주요 주거지역과 상업지구를 지나는 도로라 사실상 창원의 중심 도로다. 이점으로 인해 통행량이 매우 많으며 구 창원 지역에서 정체로 고생하는 도로이기도 하다. 그래서 장거리 이동시 [[창원대로]], [[창이대로]]로 우회하는 시민들이 많으며 BRT 공사 이후 더 심해졌다. 또한 지나는 버스 노선도 매우 많아 상남동, 중앙동 쪽은 [[버스철]]을 자주 볼 수 있다.[* 아주 버스가 막히는 건 아니지만, 평상시에도 신호가 풀릴 때마다 3~4대씩 들어오는 건 기본이다.] [[3.15대로]]에 비하면 양반이긴 하지만. 최근엔 출퇴근시간대에 정체구간이 늘어나는 추세다. 특히 명곡광장 주변과 도계광장 주변은 정체가 잦으니 주의. 도계광장 시점~[[창원서부경찰서]]사거리까지는 가로변 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되어 있다. 오전 6시 30분부터 8시까지, 저녁 5시 30분부터 7시 30분까지 버스전용차로제를 실시한다. 이 도로변에 [[창원컨벤션센터]], [[더시티세븐자이]]가 있다. 규정속도(제한속도)가 기존의 70km/h에서 60km/h로 하향조정되었다. [[2023년]] 현재 이 대로에 [[간선급행버스체계|BRT]]를 구축하는 공사를 진행 중이다. [[분류:원이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