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도유럽계 민족)] {{{+1 原始印歐人}}} {{{+1 Proto-Indo-European peoples}}} [목차] == 개요 == [[인도유럽어족]] 계열 민족들의 공통조상이 되는 민족이다. 인류 역사상 최초로 등장한 [[유목|유목민]]으로 추정되며, 이들이 [[유라시아]] 대륙 곳곳으로 퍼지면서, [[말(동물)|말]]과 [[마차]]를 유라시아의 여러 민족들에게 소개한 것으로 보인다. [[체질인류학|형질인류학적]]으로는 서부 스텝 목축민(Western Steppe Herder, WSH)라 하는데, [[시베리아 원주민]]과 [[백인|코카소이드]], [[동아시아인]] 및 [[아메리카 원주민]]의 공통조상인 [[고대 북유라시아인]](Ancient North Eurasian, ANE)과 [[유럽]] 동부의 코카소이드계 토착 [[수렵채집민]]인 동부 수렵채집민(Eastern Hunter-Gatherer, EHG)의 혼혈이다. == [[인도유럽어족|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인도유럽어족)] === 기원 === 원시 인도유럽인의 역사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설이 존재한다. 본래 원시 인도유럽인의 존재에 대한 추정은 [[인도유럽어족]]의 [[조어#s-2]]인 [[인도유럽조어]]를 재구해내는 과정에서 비롯되었므로, 인도유럽어족의 원향이 어디냐에 따라 이들의 발원지가 어디인지도 자연스레 밝혀지는 것이다. 주류 [[언어학|언어학계]]에서는 쿠르간 가설과 [[아르메니아 가설]], [[히타이트]] 가설을 제시하며, 이 중에서 쿠르간 가설이 [[인도유럽어족]]의 기원과 관련하여 가장 유력한 가설로 지목된다. ==== 쿠르간 가설 ==== [[파일:Indo-European_Migrations._Source_David_Anthony_(2007),_The_Horse,_The_Wheel_and_Language.jpg]] 쿠르간 가설이란 [[러시아]] 남서부 지역과 [[중앙아시아]] 일대에 널리 퍼져있던 [[쿠르간 문화]]의 주민들이 원시 인도유럽인이라는 가설로, 1956년에 [[리투아니아]] 태생의 [[미국]] [[고고학자]]인 마리야 김부타스가 [[유럽 러시아]][* 당시에는 [[소련]]이었다.]에 위치한 [[스텝]] 지대에 무수히 존재하는 분묘들[* 이 분묘를 [[러시아어]]로 [[쿠르간]]이라고 하며, 쿠르간 문화와 쿠르간 가설의 이름은 여기서 유래했다.]을 발굴하여 연구한 결과를 토대로 세워졌다. 김부타스의 연구에 의하면, 쿠르간 문화와 연관된 유적들은 가장 오래된 것이 기원전 4000년경까지 그 역사가 소급되는데, 이를 토대로 쿠르간 문화도 이때 처음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리고 쿠르간 문화 유적에서 발굴된 유골에 대해 이후에 형질인류학자들이 Y-염색체 하플로그룹을 조사했는데, 하플로그룹 R1a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밝혀졌다. 이 하플로그룹은 [[중앙아시아]] 제민족[* 이들은 [[튀르크]]계 국가인 [[카라한 칸국]]의 지배를 받으면서 튀르크화되기 전까지는, 본래 [[인도이란어파|이란계 언어]]를 사용하고 있었다.]과 동쪽의 [[슬라브]]족들, [[페르시아]]계 민족들 및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노르드]]족들에게서 높게 나타났기에[* 노르드족들의 경우 모두 I1 그룹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걸로 나타났으며 특히 [[독일]]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걸로 나타났기에 [[게르만족]]에 해당하는 표지인 걸로 보인다. [[오스트리아]]의 경우 I1 그룹이 다른 동유럽 국가들보다 비교적 많긴 했지만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와 마찬가지로 슬라브족에 해당하는 표지인 R1a 그룹이 높게 나타나 슬라브족과 긴밀하게 얽혔던 역사가 유전자상으로도 드러났다. I2a1 그룹의 경우 슬라브족 중에서도 남슬라브족의 표지인 것으로 보이며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알바니아]], [[불가리아]], [[루마니아]], [[헝가리]]와 같은 남유럽 혹은 그와 가까이 위치한 동유럽 국가들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났고 동유럽에 해당하는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I 계통이면서도 언어는 주로 [[슬라브어파]]인 것을 보면 이들은 슬라브화된 게르만족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I2a2 그룹의 경우 게르만족 중에서도 투링기족을 나타내는 표지로 보이며 어디든 비중이 그리 크진 않았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독일의 [[튀링겐]], 작센-안할트 지방, 스웨덴의 베스트베르보텐 지방, 스코틀랜드의 저지대 지역, 북아일랜드에 주로 분포하고 [[덴마크]], [[네덜란드]], [[벨기에]], [[프랑스]]에서 어느 정도 나타난다. 잉글랜드에서는 동부를 중심으로 남서부로 갈 수록 점점 비율이 줄어들어 [[앵글로색슨족]]의 역사적 이동을 증명하고 있다. 근데 스웨덴이나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에 분포하는 I2a2는 게르만족의 영향이 아니라 중석기 시대에 독일 중부에서 유럽 전역으로 퍼진 민족들의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핀란드]]의 경우 절반을 넘게 차지하는 N 그룹과 큰 비중을 차지하는 I1 그룹의 혼혈로 나타났다. N 그룹은 [[발트 3국]]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걸로 나타났고 심지어 북서부 [[러시아]]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헝가리의 경우 [[헝가리어]]가 [[핀란드어]]와 같은 [[우랄어족]]에 속하긴 하지만 정작 헝가리에서 N 그룹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R1b 그룹의 경우 영국, 아일랜드, 네덜란드, 벨기에,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에서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지어 독일과 [[스위스]]에서도 거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높게 나타났으며 거기다 정통 게르만계 국가라 여겨지는 노르드족 국가들에서도 높은 빈도로 나타났기에 이쪽은 유럽의 선주민이었던 [[켈트]]족에 해당하는 표지인 걸로 보인다.] 쿠르간 문화의 주민들은 [[인도유럽어족]] 계통의 민족으로 추정되며, 이곳이 원시 인도유럽인의 발원지였다는 게 가설의 핵심이다. 재구된 [[인도유럽조어]]에서 [[유목]] 생활과 관련된 어휘가 많이 있다는 점도 쿠르간 가설을 지지하는 유력한 근거가 되는데, 쿠르간 문화의 유적에서 [[말(동물)|말]]의 뼈와 [[마차]]의 부품들이 대거 출토되었다는 점에서 이 문화를 세운 이들이 유목민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 아르메니아 가설 ==== [[아르메니아 가설]]이란 [[아르메니아어]]가 현대 시기는 물론, 고대 시기에도 [[문법적 성]]의 개념이 없었다는 데서 기원한 가설이다. 이름대로 이 가설에서는 [[인도유럽어족]]의 원향을 [[아르메니아]]로 비정하고 있으며, 아르메니아를 포함한 [[캅카스]] 지역에서 주변의 [[이란]] 고원 및 [[유럽]], [[아나톨리아 반도]] 일대로 원시 인도유럽인에서 분화된 민족들이 퍼져나갔다고 보고있다. 이 가설에 따른 구체적인 [[인도유럽어족]]의 분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기원전 4000년 무렵 [[캅카스]] 지역을 출발지로 [[인도유럽조어]]에서 맨 처음 [[아나톨리아어파]][* [[히타이트]] 문명에서 쓰이던 [[히타이트어]]가 여기에 속한다.]가 갈라져 나왔고, 서쪽으로 이동해 대략 기원전 3000년 무렵에 [[아나톨리아]] 반도에 정착했다. 이후 헬라-아르메니아-인도이란 조어가 분리되었다가 기원전 3000년쯤에 각각 [[헬라어파]], [[아르메니아어파]], [[인도이란어파]]로 분리된 뒤 헬라어파 사용자들은 서쪽으로 이동해 아나톨리아와 [[남유럽]] 방면으로 진출하였고 인도이란어파, 켈트-이탈리아-토하라 조어, 발트-슬라브-게르만 조어 사용자들은 [[카스피해]] 동안을 따라 캅카스 산맥을 넘어 북상한다. 기원전 2000년 무렵에는 켈트-이탈리아-토하라 조어에서 [[토하라어파]]가 분리된 뒤 [[흑해]] 북안을 거쳐 [[중앙아시아]] 방면으로 이동한다. 기원전 2000년에서 기원전 1000년 사이 켈트-이탈리아 조어 및 발트-슬라브-게르만 조어 사용자들은 카스피해 북쪽의 [[동유럽]] 초원지대를 거쳐 서쪽으로 이동하여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간다. 인도이란어파의 경우 원시 인도이란어파 사용자들의 유전자에서 유럽 토착 농경민의 혈통이 일부 섞인 걸로 나타났는데 일단 상기 집단들과 함께 초원지대를 거쳐 서쪽으로 이주했다가 다시 동쪽으로 이동해 흑해 북안을 거쳐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남아시아]] 방면으로 이동했던 걸로 보인다.[* Nash, Alexander (2015), The Proto-Indo-European Urheimat: The Armenian Hypothesis.] 아르메니아 가설은 쿠르간 가설과 마찬가지로 [[고고학]]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주류 학계의 많은 지지를 받고 있으며, 2022년 현재 이 두 가설은 서로의 보완 가설로 인정받고 있다. 이에 따르면, 원시 인도유럽인은 [[캅카스]] 일대에서 처음 발원한 [[수렵채집민]] 부족이 [[우크라이나]] 방면으로 이주한 후에, [[중앙아시아]]의 정주 목축민 문화인 [[보타이 문화]][* 기원전 5000년경에 오늘날의 [[카자흐스탄]] 서부에서 발원한 문화로, 인류 역사상 최초로 [[말(동물)|말]]을 가축화한 이들로 추정된다.]로부터 [[말(동물)|말]]을 도입하면서 [[유목|유목민]]으로 변모하여 생겨난 민족이라고 할 수 있다. ==== 히타이트 가설 ==== [[히타이트]] 가설은 아나톨리아 가설이라고도 불리며, [[아나톨리아 반도]]에서 발원한 문명인 [[히타이트]]의 언어인 히타이트어가 재구된 [[인도유럽조어]]와 유사한 부분이 많다는 점에서 기원한 가설이다. 위의 두 가설과의 차이가 있다면, 쿠르간 가설과 [[아르메니아 가설]]에서는 원시 인도유럽인을 [[유목|유목민]]으로 비정하고 있지만, 이 가설에서는 원시 인도유럽인을 아나톨리아 반도에서 농경 생활을 하던 정주민으로 본다는 것과, 원시 인도유럽인이 발생한 시기를 기원전 9500년경에서 기원전 8000년경으로 잡는다는 것이 있다. 히타이트 가설에서는 농경생활을 하던 원시 인도유럽인이 모종의 이유로 오늘날의 [[캅카스]]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척박한 환경에서 살아남고자 농경 생활을 포기하고 유목민이 되었다고 보고있다. 하지만, 이 가설은 2021년 기준 주류 [[언어학|언어학계]]에서 빠른 속도로 지지를 잃어가고 있는데, 쿠르간 문화의 후신으로 추정되는 얌나야 문화의 유적에서 출토된 유골을 분석한 결과, [[히타이트]]의 유적지에서 발굴된 유골과 형질인류학적으로 친연 관계가 그리 크지 않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PDB Damgaard et al., 2018, Science]. 그래서 히타이트인을 포함한 [[아나톨리아 반도]]의 농경민들은 비(非) [[인도유럽어족]] 계열의 선주민들이 원시 인도유럽인들에게 정복당한 뒤에, 이들에게 동화되면서 형성된 민족이라고 추정되고 있다. === 분화 과정 === [[아르메니아 가설]]에 의하면, 원시 인도유럽인과 [[인도유럽어족]]의 분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기원전 3300년경에 쿠르간 문화의 주민들이 오늘날의 [[우크라이나]]까지 남하 하였고, 이 과정에서 [[아나톨리아어파]] 계열 언어를 쓰는 집단들이 기원전 3000년경에 [[아나톨리아 반도]]로 진출하고 현지의 선주민들을 정복하여 [[히타이트]]를 포함한 아나톨리아어파 계열 민족의 기원이 되었다. 이들은 고대 이후 그리스인이나 아르메니아인에 동화되었다가 11세기 [[만치케르트 전투]] 이후 튀르크인들의 지배를 받기 시작하면서 그들과 문화적으로 동화되어 오늘날의 [[튀르키예인]]이 되었다. 그리고 우크라이나에 남아있던 이들이 [[그리스어]], [[아르메니아어]], [[인도이란어파]]의 [[조어#s-2]]를 쓰는 집단과 [[발트어파]], [[슬라브어파]], [[게르만어파]]의 조어를 쓰는 집단, [[켈트어파]], [[이탈리아어파]][* [[로망스어군]]이 속한 언어군이다.], [[토하라어]]의 조어를 쓰는 집단으로 분화되었다. 이 중에서 [[고대 그리스어|원시 그리스어]]를 쓰는 집단이 기원전 3000년경에서 기원전 2500년경에 그리스-아르메니아-인도이란어의 공통조상에서 분리된 뒤에 서진하여 오늘날의 [[그리스]]에 정착하여 현대 [[그리스인]]이 기원이 되었고, 나머지는 [[카스피 해]]의 동쪽 연안 지역을 따라서 북상하다가 기원전 2000년경에 동일 집단에서 [[인도이란어파]] 계열 민족들의 공통조상인 [[아리아인]]이 분화되어 [[아시아]] 방면으로 진출했고, [[캅카스]] 방면으로 진출한 이들이 [[아르메니아인]]의 기원이 되었다. 그리고 기원전 2000년경에 켈트-이탈리아-토하라어의 공통조상에서 분리된 집단이 오늘날의 [[러시아]]의 [[시베리아]] 지역으로 진출하였는데[* 이때, [[우랄어족|원시 우랄인]], [[예니세이어족|원시 예니세이인]] 등의 [[시베리아 원주민]]들과 혼혈을 이루었는데, 그래서 [[백인|코카소이드]]였던 원시 인도유럽인의 영향으로 인해 시베리아 원주민들의 적지 않은 수가 [[유라시안]]이다.][* 기원전 2000년경에서 기원전 1500년경까지 오늘날의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번성했던 [[선사 시대]] 문화권인 아파나시에보 문화가 이렇게 해서 분화된 [[토하라인]]들이 세운 문화권이다.], 이들이 뒷날 [[중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 지역까지 진출하여 현지의 [[고대 북유라시아인]]계 선주민들을 동화시키면서 [[토하라인]]의 기원이 되었고, 나머지가 [[유럽]] 방면으로 서진하여 [[중부유럽]]과 [[이탈리아 반도]]로 이주하여 오늘날의 [[켈트족|켈트계 민족]]들과 [[라틴족|라틴계 민족]]의 기원이 되었다.[* 기원전 12세기부터 [[이집트]] 등의 [[지중해]] 연안 국가들의 기록에서 언급되는 [[우크라이나]] 지역의 [[유목|유목민]]들인 [[킴메르족]]들이 [[켈트족]]과 [[라틴족]]의 공통조상 내지는 켈트족의 조상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기원전 2000년경에서 기원전 1500년경에 발트-슬라브-게르만어의 공통조상이 오늘날의 [[스칸디나비아 반도]]와 [[독일]], [[폴란드]] 일대 및 [[러시아]]의 [[유럽]] 지역으로 진출하면서 [[리투아니아인]], [[라트비아인]] 등의 [[발트족|발트계 민족]]들과 [[게르만족|게르만계 민족]]들, [[슬라브족|슬라브계 민족]]들의 기원이 되었다. == 문화 == 쿠르간 문화의 유적지와 재구된 [[인도유럽조어]]에 대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원시 인도유럽인은 인류 역사상 최초의 [[유목|유목민]]으로 추정된다. 인도유럽조어의 어휘에는 [[말(동물)|말]]이나 [[마차]] 등, 유목 생활과 관련된 어휘가 대거 확인되는데, 쿠르간 문화와 그 후신 문화인 얌나야 문화, 아파나시에보 문화의 유적지에서도 말의 뼈와 마차의 부품 등이 대거 출토되어, 이들이 유목민이었다는 사실이 확실하게 입증되었다. 말 사육 기술은 기원전 3500년경에 [[선사 시대]]의 [[중앙아시아]] 선주민들이 세운 [[보타이 문화]][* 인류 역사상 최초로 [[말(동물)|말]]을 가축화한 이들이다.]의 주민들로부터 습득한 것으로 보이며, [[말고기|식용]]에 그쳤던 말을 수송용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스스로 터득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흔히 알려진 유목민들의 모습마냥 말 위에 직접 탑승하는 형식은 아니었는데, 이 시기의 말은 사람의 체중을 버텨내기가 어려웠던 터라, 사람이 직접 타는 대신에 말이 끄는 수레, 즉 [[마차]]를 만들어서 타고다니면서 유목 생활을 했다.[* [[원시 인도유럽 신화]]에서 신들인 신성한 쌍둥이 신이나 세훌, 헤우소스 등이 [[고대 전차|마차]]를 탄다는 묘사가 자주 나오는데, 이는 [[유목]] 생활의 흔적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원시 인도유럽 신화]]를 믿었던 것으로 보이며, 원시 인도유럽인들이 [[유라시아]]의 각지로 진출하면서 [[그리스 로마 신화]]나 [[리그베다|베다 신화]], [[발트 신화]] 등의 [[인도유럽어족]] 계통 민족들의 신화가 파생되어 나왔다. 이 신화에서 주신은 하늘신인 [[https://en.wikipedia.org/wiki/Dy%C4%93us|디에우스]]였다.[* 정확히 말하면 '디에우스 피테'인데, '하늘의 아버지'라는 뜻이다.] 발음을 보면 알겠지만, 이 신은 [[제우스]], 유피테르의 기원이 되는 신이기도 하다. 남아 있는 주거지 유적 연구에 따르면 주거지는 [[돔(건축)|돔]] 형태이다. 그래서 [[인도유럽조어]]로 집을 가리키는 단어가 영어로 돔을 뜻하는 dome의 어원이 된 *domo다. 이 시기에는 돔=집이었던 것이다. == 특징 == [[고대 북유라시아인]]의 후손이다. 얌나야 문화와 아파나시에보 문화권 지역에서 발견된 유골들에서 약 25%의 [[고대 북유라시아인|ANE]] 유전 요소가 검출됐으며, 현대 유럽인들에게선 다소 희석됐지만 10~20% 정도 검출되고, 현대 유럽인들에게 ANE의 영향은 대체로 지중해 일대의 남유럽인들에게는 10% 이하로 낮게 나오지만,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북유럽인들에게는 최대 25%까지 나온다. [[머리카락/갈색|갈색 머리카락]]과 [[눈(신체)/갈색|갈색 눈]]을 지녔다. 2022년도 연구 결과에 따르면 봐도 얌나야 문화권 인종들의 전형적인 표현형은 [[금발벽안]]이 아니라 [[머리카락/갈색|갈색 머리]]/[[눈(신체)/갈색|갈색 눈]]이다. 서유럽에서 [[머리카락/금색|금발]]보다 갈색 머리가 훨씬 많은 이유이기도 하다. 사실 당연한 게 [[머리카락/금색|금발머리]] 자체가 열성이기에 혼혈 민족인 [[아리아인]]들은 당연히 갈색머리가 대부분일 수 밖에 없다. [[대한민국]]에서 갈색머리가 금발로 혼동되는 이유는 [[유럽]]에서 갈색 머리라 칭할 것을 [[미국]]에서는 종종 blond라고 일컫는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 미국발 정보를 번역하는 한국의 특성 상 시각적 매체없이 글로만 blond라고 적힌 걸 그냥 금발로 번역하다보니 생기는 일이다. 또한 밝은 머리카락과 눈동자색도 가졌으며 다른 비인도유럽인보다 비교적 금발벽안이 많았다. 금발벽안은 [[구석기 시대]]엔 어느 개체마다 종종 발현되었지만 환경상 원인으로 대중화되지 못했다. 그러나 고위도에 거주했고 [[우크라이나]] 평원에 살았던 이들에게서 금발벽안이 다른 민족들과 달리 대중적으로 발현되었는데 그 원인은 그들보다 훨씬 고위도에 거주했던 [[우랄어족]]의 조상[* [[신석기 시대]] 당시 [[우랄어족]]계 민족들의 조상은 [[냉대기후]] 일대에 거주하고 있던 탓에 그 당시에도 [[순록]]을 이용하여 [[유목]] 생활을 하거나 수렵채집생활을 하고 있었는데, 이들은 날고기를 먹어서 비타민D를 보충했다.]보다 더 비타민D 부족에 시달렸기 때문에 피부를 통한 햇빛 합성으로 비타민D를 합성하는 개체가 자연선택되었기 때문이다. 고위도 지방인 [[시베리아]] 서부에 거주하던, 말타-뷰렛 지역의 [[고대 북유라시아인]], 더 엄밀하게는 말타뷰렛 문화와 관련이 있는 [[러시아]]의 [[크라스노야르스크]] 시 근교의 [[플라이스토세]]와 [[홀로세]] 사이의 [[구석기 시대]] 유적인 아폰토바 고라(Afontova Gora) 발굴지에서 출토된 3번 소녀 유골(일명 AG3)에서 돌연변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탄소연대측정 결과 16,000년 전의 고대인으로 인류 사상 가장 오래된 [[머리카락/금색|금발]] 유전자를 보유한 호모 사피엔스이며 그녀의 어머니가 현존하는 [[유럽인]] 금발 보유자의 가장 최근의 공통 조상으로 추정된다. [[동유럽]] 스텝의 목축민의 확산을 따라 전파되었다.[* [[https://en.wikipedia.org/wiki/Ancient_North_Eurasian#Evolution_of_blond_hai|^ Reich, David (2018). Who We are and How We Got Here: Ancient DNA and the New Science of the Human Past.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821250]]] [[게르만족]]이 남하하기 이전인 [[고대 로마]]와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기의 [[그리스]]에도 금발이 존재했다. 심지어 시리아에도 존재했다. 사실 이는 당연한 게 5,000년 전 고대 북유라시아인의 자손인 이 원시 인도유럽인이 확산하면서 금발 유전자도 덩달아 [[유럽]] 전역뿐만 아니라 서아시아까지 확산했기 때문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의 [[머리카락/금색|금발]]은 아폰토바 고라 유적의 유골과는 상관없는 별개의 돌연변이로 인해 생긴 것이라서, [[고대 북유라시아인]]이나 원시 인도유럽인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 이들은 [[청동기 시대]]에 [[유럽]]으로 확산되어 당시 원시적인 농경생활하고 있던 유럽 원주민[* [[바스크|바스크족]], [[에트루리아|에트루리아인]], [[미노아 문명|미노아인]]의 조상을 포함한 [[유럽]] 선주민들을 말한다.]들과 혼혈하여 다인자유전으로 갈발, 녹안, 회안 등 다양한 색을 지닌 자손들을 발현시켰고, 농경민이 거의 없었던 [[스칸디나비아반도]]와 [[우크라이나]], [[러시아]] 평원에서만 [[금발벽안]]이 대중적으로 발현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들의 유전자는 [[서아시아]], [[남아시아]]에는 대중화되지 못했는데 그 이유는 [[신석기 시대]]에도 당시 [[유럽]]보다 인구가 훨씬 많았기 때문에[* 현대의 [[서아시아]]는 건조기후이지만 [[신석기 시대]]엔 지중해성 기후나 사바나 기후의 범위가 넓었다. 반면 [[유럽]]은 빙하기에서 막 벗어난 시기였기 때문에 여전히 한랭했고 토질도 좋지 않아 토지생산성이 서아시아보다 낮았다.] 다인자유전에서 이들이 밀렸기 때문이다. 다만 이들이 [[청동기 시대]]부터 지배층 노릇을 했기 때문에 [[인도유럽 이전 언어|원주민 언어]]들을 박탈할 수 있었을 뿐이다[* [[유목|유목민]]의 특성 상, 지배층조차도 현지인들과 혼혈이 잦아서, 지배층들이 현지 피지배층을 동화시키거나 역으로 동화되는 일이 많았다. 특히 고대에는 [[문명]]이 발달한 곳이 많지가 않아서 정주 농경민조차도 유목민보다 [[소프트파워]]가 후달리는 경우가 꽤 되었던지라, 유목민 출신 지배층들에게 농경민들이 동화되는 경우가 왕왕 있었다.]. [[헬레니즘 시대]]부터 [[마그레브]], [[이집트]], [[레반트]], [[이라크]]에서도 [[라틴어]], [[그리스어]], [[페르시아어]] 등의 [[인도유럽어족]] 언어들이 대중화되어 셈어파 언어들이 멸종될 뻔했지만, 7세기에 [[아랍인]]의 진출로 오히려 이들이 아랍화되어 [[아랍어]]를 모어로 쓰게 되었다. 남인도의 [[드라비다인]]은 열대 기후에 거주했기 때문에 이들이 적응하기 어려웠다. 그리고 [[캅카스]] 산맥은 험하고 농경 역사도 신석기 시대부터였기 때문에[* [[북동캅카스어족]] 계통의 민족들은 [[비교언어학]] 및 [[체질인류학|형질인류학]] 연구 결과에 의하면, 오늘날의 [[이라크]] 북부에서 기원한 농경민의 후손들이다.], [[인도유럽어족]]이 [[북캅카스어족]] 등의 토착 언어를 대체할 수가 없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고대 북유라시아인, version=128, title2=머리카락/금색, version2=927, title3=금발벽안, version3=1556, title4=금발멸종설, version4=21)] [[분류:유럽의 민족]][[분류:인도유럽계 민족]][[분류:우크라이나의 역사]][[분류:러시아의 역사]][[분류:아르메니아의 역사]][[분류:아나톨리아의 역사]][[분류:유목민족]][[분류:사라진 민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