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울트라맨 X]] [include(틀:울트라 시리즈)]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Ultraman_X_posterI.png|width=100%]]}}} || ||<-2><:> '''ウルトラマンX[br]ULTRAMAN X[br]울트라맨 X''' || ||<:>'''장르''' ||<:>[[드라마|TV 드라마]] ([[특촬물]]) || ||<:>'''원작''' ||<:>[[츠부라야 프로덕션]] || ||<:>'''감독''' ||<:> [[타구치 키요타카]][* 주로 고지라 시리즈에서 촬영 스탭을 담당했고 울트라 시리즈에선 울트라 존 같은 괴수메인의 작품을 담당했다. 울트라맨 긴가 S의 6, 7, 8, 11, 12화 감독도 담당.], [[사카모토 코이치]] || ||<:>'''각본''' ||<:>나카노 타카오, 코바야시 유지, 쿠로사와 히사코|| ||<:>'''제작''' ||<:>[[TV 도쿄]], [[츠부라야 프로덕션]], [[덴츠]] || ||<:>'''방영 시간''' ||<:>토요일 9:00 - 9:30 (30분) || ||<:>'''방영 기간''' ||<:>[[2015년]] [[7월 14일]] ~ [[2015년]] [[12월 22일]] || ||<:>'''방영 횟수''' ||<:> 22화 || ||||<:> [[https://imagination.m-78.jp/planet/44Km44Or44OI44Op44Oe44Oz77y4|울트라맨 X 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X, 그것은 거대한 수수께끼''' >'''X, 그것은 미지의 가능성''' >'''X, 그리고 그것은 이어지는 마음, 이어지는 힘!''' >---- >캐치 프라이즈. 2015년 7월부터 12월까지 신 [[울트라맨 열전]]에서 방영한 [[울트라 시리즈]] 작품. 긴가 S 극장판 이후 차기 전개에 [[울트라 파이트 빅토리]]가 들어가자 당연히 긴가의 3기로 생각했지만 예상 외로 완전 신작이 나오게 되었다. [[가면라이더 류우키]]의 [[미러 몬스터]]처럼 로봇화된 괴수들과 그걸로 합체하는 설정이 과거 [[전광초인 그리드맨|그리드맨]]의 초기 설정을 다시 되살린 느낌이라 색다르고, 변신기의 플레이 밸류도 뛰어난데다 다른 완구 전개도 굉장한 지라 호평을 받았다. == 주제가 & 삽입가 == ||<-4> {{{#ffffff '''OP'''}}} || ||<|2> {{{#ffffff '''제목'''}}}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울트라맨 X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ウルトラマンX || || {{{#ffffff '''영상'''}}} ||<-2> [youtube(6vbBduLwTs8)] || || {{{#ffffff '''가수'''}}} ||<-4> voyager[* 본래 표기는 'voyager'지만, 어째서인지 오프닝 영상에선 일본어 표기인 ボイジャー로 표기되었다.] feat [[오오조라 다이치]] || || {{{#ffffff '''작사'''}}} ||<-2> 오치 마사토(おちまさと) || || {{{#ffffff '''작곡'''}}} ||<|2><-2> 코니시 타카오(小西貴雄) || || {{{#ffffff '''편곡'''}}} || ||<-4> {{{#ffffff '''ED'''}}} || ||<|2> {{{#ffffff '''제목'''}}}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Unite ~너와 이어지기 위해~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Unite ~君とつながるために~ || || {{{#ffffff '''영상'''}}} ||<-2> [youtube(sEyTphGAQRw)] || || {{{#ffffff '''가수'''}}} ||<-4> voyager || || {{{#ffffff '''작사'''}}} ||<-2> TAKERU, 세시모 치아키(瀬下千晶) || || {{{#ffffff '''작곡'''}}} ||<|2><-2> 코니시 타카오(小西貴雄) || || {{{#ffffff '''편곡'''}}} || == 국내 방영 == [[파일:/20160212_143/dytlshtldy_1455274319291JMJE7_JPEG/2950636030_5cafaa40_160212_main_visual03.jpg]] [* 정작 본편에 안 나온 베타 스파크 아머를 착용하고 있다.(...)] [youtube(HcJ6Do0QPBU)] [[대교어린이TV]]에서 2016년 3월 3일부터 방영되었다. [[울트라맨 뫼비우스]] 이후 4년여 만에 국내에 방영되는 TV판 울트라 시리즈이며,[* 극장판의 경우 [[울트라맨 사가]]가 2015년에 개봉했으며, 2016년부터 대원계 채널에서 방영되기 시작했다.] [[울트라맨 다이나|다이나]] 이후 11년만에 대교방송에서 방영되는 울트라 시리즈다.[* 가이아는 2010년에 대원방송에서, 뫼비우스는 2012년에 재능방송에서 각각 방영되었다.] 성우진은 주인공 [[오오조라 다이치]] 역에 [[정재헌]][* 정재헌은 주인공인 다이치를 맡으면서 일본 3대 특촬물 주인공을 모두 연기한 성우 중 한 명이 됐다.]이 캐스팅되었고, [[울트라맨 다이나|다이나]]에서 [[아스카 신|강세찬]]으로 출연했던 [[전광주]]가 이번에는 [[X(울트라맨 X)|울트라맨 X]]로 출연했다.[* [[슈퍼전대 시리즈]], [[천하무적 아머히어로]] 주연 멤버, [[토미카 히어로 시리즈]], [[마탄전기 류켄도]], [[환성신 저스티라이저]]의 주인공을 맡았지만 유일하게 가면라이더 시리즈의 주인공을 맡은 적이 없다. 다만 [[가면라이더 디케이드]]의 [[쿠우가의 세계]]에서 [[오노데라 유스케]]로 출연한 적이 있다.] 그밖에 [[Xio]] 멤버는 [[최한]]이 카미키 대장으로, [[안현서]]가 사유리 부대장으로, [[홍범기]]와 [[이상헌(성우)|이상헌]]이 카자마, 키시마 대원으로, 대교 6기 [[민승우]], [[김하루]]는 마모루, 루이 연구원으로 출연했다. 그리고 [[야마세 아스나|히로인]] 역에 [[김현지(성우)|김현지]], 구루만 박사 역에 [[오인성]]이 캐스팅되었고, 대교 5기 [[권인지]]는 치아키 요원 및 지오 디바이저 음성을 맡았다. 방영 당시(2016년 3월) 막 전속에서 풀린 대교 6기 민승우와 신입 전속인 대교 7기 김주호를 제외한 출연 남성 성우들 모두 다른 특촬물에서 주역 멤버로 출연한 적이 있다.[* 정재헌 - [[카도야 츠카사]]([[가면라이더 디케이드]]), [[오즈 카이]]([[마법전대 마지레인저|파워레인저 매직포스]]), [[코사카 렌|렌]]([[염신전대 고온저|파워레인저 엔진포스]]), [[단 쿠로토|현도현]]([[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가면라이더 이그제이드]]). 전광주 - [[후카미 레츠]]([[수권전대 게키레인저|파워레인저 와일드스피릿]]), [[우츠세미마루|검우치]]([[수전전대 쿄류저|파워레인저 다이노포스]]), [[나루카미 켄지|유노]]([[마탄전기 류켄도|마법전사 유캔도]]), [[토도로키 히카루|라이트]]([[토미카 히어로 레스큐 포스|출동 레스큐포스]]), [[아스카 신|강세찬]]([[울트라맨 다이나]]), [[다테 쇼우타|강혜성]]([[환성신 저스티라이저]]). 이상헌 - [[노가미 료타로]]([[가면라이더 덴오]]). 홍범기 - [[칸도 쟝]]([[수권전대 게키레인저|파워레인저 와일드스피릿]]), [[체이스(가면라이더 드라이브)|체이스]]([[가면라이더 드라이브]]). 최한 - [[하이드(천장전대 고세이저)|하이드]]([[천장전대 고세이저|파워레인저 미라클포스]]), 오인성 - [[키도 신지|신지]]([[가면라이더 류우키|가면라이더 드래건]]), [[켄자키 카즈마]]([[가면라이더 블레이드]]).][* 한편 민승우는 3년 후에 방영되는 [[기사룡전대 류소우저|파워레인저 다이노소울]]에서 [[카나로|소울 골드]]를, 이상헌은 7년 후에 방영 되는 [[가면라이더 리바이스]]에서 [[이가라시 겐타|오원태]]를 맡게 된다.] === 전편 무료 공개 === [[https://www.youtube.com/@ultraman_korean_official|울트라맨 한국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전편을 무료로 공개했다. 한때 비공개로 전환됐다가 현재는 순차적으로 재공개된 상태이다.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T3OuRSfNXhfgMkNVkMPqpIvqh7mzO_fE|유튜브 플레이리스트]]''' == 등장인물 == * [[오오조라 다이치]](大空大地)=[[울트라맨 X(울트라맨)|울트라맨 X]] * [[야마세 아스나]](山瀬アスナ) * 카자마 와타루(風間ワタル) ||<-3> [[파일:風間 ワタル.png]] || ||<-2> 배우 || 호소다 요시히코[br](細田善彦) || ||<|2> 국[br]내[br]판 || 이름 || 진우진 || || 성우 || [[홍범기]][* [[울트라맨 뫼비우스]]에서 [[아이하라 류]](이정열)를 맡았다.] || 태도가 거칠고 대인관계에 서투른 편이지만 정의감이 강한 대원. 사격의 명수로 특수차량 운전도 일류급. 고교시절에는 럭비선수로서 활약하다가 Xio에 스카웃될 정도로 운동신경이 발군이다. 우주 적응훈련은 방위대 중 가장 우수해서, 스페이스 머스켓티의 파일럿으로 뽑힌다. * 키지마 하야토(貴島ハヤト) 배우는 [[마츠모토 우쿄]](松本享恭).[*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의 [[하나야 타이가]]로 캐스팅되었다.] 국내판 성우는 [[이상헌(성우)|이상헌]]. 국내판 이름은 하준. 전투기 타입의 특수 메카 스카이 머스케티를 기막힌 테크닉으로 조종하는 파일럿. 입대동기인 와타루와는 서로를 인정하면서도 라이벌로서 충돌할 때도 있다. * 타카다 루이(高田ルイ) 배우는 [[모모카와 하루카]](百川晴香).[* 여성 아이돌 그룹 '[[Bety]]'의 리더이다.] 국내판 성우는 [[김하루]]. 국내판 이름은 루이. 18세. 언제나 개성적인 패션을 선보이는 천재 소녀 과학자. 해외유학 중에 다양한 발명에 손댄 귀국자녀 출신이며, 천진난만한 언동으로 주변 분위기를 부드럽게 하는 Xio의 무드 메이커이다. 에레킹을 무척 좋아하는 듯하다. 울트라이저나 Xio의 무기들은 본인의 작품이지만 정작 울트라이저를 정지하는 방법은 모른다(.....). 극장판에서 제로를 보고 좋아했다. * 미카즈키 마모루 (三日月マモル) 배우는 하라다 하야토(原田隼人). 국내판 성우는 [[민승우]]. 국내판 이름은 장마루. 라보 팀의 젊은 천재 과학자. 태평스럽고 다정한 이과계 남성으로, 웬만한 일로는 감정을 흐트러뜨리는 일이 없다. 자신의 특기 분야와 겹치는 연구를 하고 있는 다이치와 의기투합한다. * [[먹보우주인 팡톤 성인]] 구루만 박사 (グルマン) * 카미키 쇼타로(神木正太郎) 배우는 카미오 유(神尾佑).[* [[가면라이더 오즈]]의 [[마키 키요토]] 역과 [[가면라이더 아마존즈]]의 [[타치바나 유고]] 역으로 나왔다.] 국내판 성우는 [[최한]]. 국내판 이름은 신기준. Xio 일본 지부를 통솔하는 대장. 적을 쓰러뜨리는 것이 아니라 적을 이해해야 한다는 강한 신념이 있다. 인류를 위협하는 괴수와 싸우지 않으면 안 된다는 현실을 목전에 두고서도, 이해와 공존을 포기하지 않는다. 다만 그에 대해서 한 번 말하기 시작하면 지나치게 오래 이야기하는 듯(...). 어째서인지 본편 내내 기지에만 짱박혀서 현장에서 활약하는 모습을 안 보였는데 15화에서 드디어 주역이 되었다. 과거에 자위대에 있을 때 [[시조괴조 테로치르스]]를 격파한 적이 있으며 이 전투에서 아내를 잃었고 딸과 관계가 멀어졌다. * 타치바나 사유리(橘 さゆり) 배우는 츠키후네 사라라[月船さらら], 국내판 성우는 [[안현서]]. 국내판 이름은 오태연. Xio 일본 지부 부대장. 정보 분석 및 작전 입안을 담당한다.전 하이퍼 인명 구조이라는 경력의 소유자 3화에서 힐을 신고 나가서 신발이 망가진 아스나에게 작전 중에 굽있는 구두를 신다니 무슨 생각이냐 라고 질책하지만 마지막에 새로 사주기도 하는 등 엄격하면서도 자상한 모습을 보인다. 인명 구조를 위해서라면 괴수 격멸도 불가피하다는 생각을 가지는 등 카미키 대장과는 정반대의 성향이다. 참고로 이미 결혼한 몸으로 남편 사이에서 두 딸을 슬하에 두고 있다. 20화에선 그녀와 가족의 이야기가 메인이 되는데, 여기에 더해 울트라맨 넥서스의 듀나미스트로 선택받으면서 넥서스로 변신한다![* 여담으로 남편 역을 맡은 키와쿠보 타쿠지는 [[울트라맨 넥서스]]에서 5대 듀나미스트 [[코몬 카즈키]]로 나왔다.] * 야마기시 타케루(山岸タケル) 배우는 TAKERU.[*voyager TAKERU와 세시모 치아키는 울트라맨X의 오프닝과 엔딩을 부른 츠부라야의 전속 그룹 voyager의 멤버로, 울트라맨 X에 특별 출연한 것이다. 예를 들어 [[울트라맨 오브]] 주제가 '오브의 기도'를 [[미즈키 이치로]]와 함께 부른 남녀의 목소리도 voyager다. 참고로 [[울트라맨 티가]] 재방송판의 오프닝도 voyager가 부른 버전으로 나갔다.] 국내판 성우는 [[민승우]]. 국내판 이름은 김태민. Xio 오퍼레이션 본부에서 관제, 통신 등을 담당하는 오퍼레이터. 직무에 충실한 청년으로, 통신 담당을 잘 해내기 위해 매일매일 보이스 트레이닝도 거르지 않는다. * 마츠도 치아키(松戸チアキ) 배우는 세시모 치아키(瀬下千晶).[*voyager] 국내판 성우는 [[권인지]]. 국내판 이름은 송채윤. Xio 오퍼레이션 본부에서 관제, 통신 등을 담당하는 오퍼레이터. 취미인 음악활동에서 의기투합한 타케루와는 공·사 양면에서 좋은 콤비이다. == 등장 레전드 울트라맨 == * [[넥서스(울트라맨 넥서스)|울트라맨 넥서스]] * [[울트라맨 맥스]] * [[울트라맨 제로]] * [[긴가(울트라맨 긴가)|울트라맨 긴가]] * [[울트라맨 빅토리]] == 등장 방위대 == * [[Xio]] == 등장 괴수 == * 등장하는 괴수와 우주인의 리스트는 [[울트라맨 X/괴수 & 우주인 일람]] 참조. * [[스파크 돌즈]] - 이 작품에 나오는 괴수들은 스파크 돌즈가 다시 괴수로 돌아온 것이다. * [[사이버 괴수]] - 본작의 키 아이템으로, Xio에서 만든 인공 괴수의 총칭. 사이버 카드에 괴수의 데이터가 담겨져 있으며 울트라맨 X는 이 카드를 변신기에 슬래시하는 것으로 괴수 아머를 장착할 수 있다. * 사이버 고모라 * 사이버 에레킹 * 사이버 테레스돈 * 사이버 벰스타 * 사이버 젯톤 == 평가 == [[츠부라야 프로덕션]]이 아직까지 건재하다는 걸 확실히 보여주는 동시에 '''죽어가던 울트라 시리즈를 회생시킨 명작.''' 이 작품 이후로 엑스-오브-지드로 이어지는 [[2010년대]] 뉴 제네레이션즈 명작의 시작이라 불린다. 뉴제네는 중간의 루브와 타이가는 평가가 좋지 못했지만, 제트는 레이와 시대의 진정한 개막작에 여러 가지 새로운 시도들, 떡밥 회수 등으로 평가가 높은지라 이 작품과도 비슷한 면이 있다. [[울트라맨 뫼비우스]]가 쇼와 시절 M78 세계관의 울트라맨 팬들에 대한 팬서비스였다면 엑스는 그 동안 조명받지 못했던 헤이세이 후기 울트라맨에 대한 팬서비스로 가득찬 작품이다.[* 제로, 맥스, 긴가/빅토리, 넥서스 등 그간 주목받지 못하거나 극장에서나 볼 수 있는데다 호불호가 엇갈리던 울트라맨들이 대거 재조명되었다. 특히 맥스에서 끌고 온 에피소드들 덕분에 맥스를 다시 보거나 [[스페이스 비스트]]의 재등장으로 넥서스를 다시 보는 사람들도 늘었다.] 정통 괴수 VS 신세대 히어로의 컨셉으로 신구팬을 모두 사로잡았으며 작품 전체에 걸쳐서도 호평이 자자하다. 방위대가 부활한 것도 특징으로 괴수들의 존재감을 강조하고 울트라맨이 방위대와 함께 싸워가는 연출은 고전 시리즈를 연상케하는 구성이다. 덕분에 정통파 괴수 드라마 팬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대신에 강호 괴수들이 워낙에 많이 나왔으며[* 2화부터 나온 괴수가 [[울트라맨 타로|쇼와 시리즈 최강의 울트라맨]]을 고전시킨 괴수고, 이후에도 선배 울트라맨이 고전한 괴수가 다수 출연한다. 거기에 울트라 시리즈의 괴수 중에서도 꽤나 랭크가 높은 [[울트라맨 넥서스]]의 괴수까지 나온다. 아무리 X가 강하다고 해도 고전을 안 하기가 힘든 상황이다.] 방위대의 비중도 높아서 울트라맨이 그렇게 강해보이지 않는다는 평을 받기도 했는데 이는 후속작 [[울트라맨 오브]]와 [[울트라맨 Z]]에서 보강된다. 오브에선 방위대 비중을 조금 줄이고 울트라맨 비중을 높였으며 이후 제트에서는 방위대의 성격을 로봇 기갑팀으로 바꾸어 방위대와 울트라맨이 서로 윈윈하도록 만들었다. 주인공인 다이치와 엑스가 한몸이 되어 함께 싸워나가는 묘사 역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종래의 울트라맨들은 신비감을 위해서 대사가 적은 경우가 대다수였는데, [[울트라맨 제로]]부터 시작된 친구 같은 울트라맨 컨셉이 신선하단 평가를 받는지라 차후에도 이러한 컨셉이 고정되었으면 하는 팬들도 다수. 더욱이 배우들의 연기력도 뛰어나다. 특히 주인공 오오조라 다이치 역의 타카하시 켄스케는 목소리가 날카롭고 하이톤이라는 점이 지적되었지만, 생각 이상으로 열혈 연기를 잘 소화해내서 엑스의 호평에 크게 기여한다는 평가를 듣는다. 히로인인 야마세 아스나 역의 사카노우에 아카네도 간만에 [[투희]] 속성에 드센 타입의 여캐라 인기가 높은 편. 이외에도 다른 캐릭터들도 쇼와풍을 인물 설정을 베이스로 헤이세이 특유의 심도 있는 심리 묘사를 적용하여 상당히 높은 수준의 인간 드라마를 만들고 있다. 거기다 기존에 팬들이 제시했던 세부적인 설정들이 정말 깨알같이 잘 반영되어 있는 편. 여러모로 그리드맨의 아이디어를 많이 차용한 듯 보이며, 메카 디자인도 괜찮은 데다 주역인 엑스도 방영 후에 디자인이나 설정이 훌륭한 편이다. 울트라맨 X만의 판매수익은 아니지만 울트라맨의 총 수익이 전작인 긴가S 시리즈를 방영했을 때보다 울트라맨 X 방영했을 때 10억 엔 더 높은 35억 엔이었다고 또한 츠부라야 프로덕션의 10년에 가까웠던 만성적자 경영은 울트라맨 X의 성공으로 흑자로 전환됐고 이후까지 유지되어서 [[울트라맨 티가]]와 함께 울트라맨을 살린 효자로 여겨진다. 그러나 의욕있게 부활한 방위대 상품은 별로 팔리지 않고 매상을 늘리는데 오히려 방해를 하였으며 이후 울트라맨 Z에서 스토리지가 나오기 전까지는 정석적인 방위대가 아니거나[* 오브, 지드, 타이가로 오브의 VTOL대는 일반대원들만 있는 지구방위군 비슷한 곳이며 SSP는 그냥 특종 취재팀일 뿐이다. 지드의 AIB 역시 외계인을 추적하는 비밀조직이라 극중 인공적으로 만든 존재인 괴수에 대응하진 못했고 타이가의 이지스 역시 민간 경비팀으로 외계인이 엮인 사건을 조사하지 거대괴수에는 대응하지 못한다. 여긴 민간 조직이라 일본 총포법의 규제가 심해서 무장이라고는 [[삼단봉]] 단 하나뿐이라 무장도 부실해 위험천만해지는 경우가 너무 많았다.] 아예 방위대가 나오지 않았다.[* 방위대 없이 울트라맨만 나오는 R/B가 있다. 아이젠 테크가 그나마 괴수를 연구하는 역할을 하는 기업이긴 하지만 행동부대는 없으며 [[아이젠 마코토]] 사장이 아이젠 테크에 정식으로 방위대를 조직할 구상'''만''' 하고 있었다.] 그러나 울트라맨 Z에서 스토리지의 세븐가 & 윈담 & 킹조 관련 상품이 초 대박을 치고 세븐가는 '''매진'''이 기본일 정도로 잘 팔려서 앞으로 다시 방위대가 전면에 나설 수 있도록 바뀌었다. 이는 기존의 항공 유닛 위주의 전통적 방위대 작전을 21세기에 걸맞게 거대로봇으로 바꾸고 익살스럽게 생긴 세븐가, 윈담이나 여러 작품에서 강렬한 인상을 보인 데다 분리결합으로 차량이나 전투기 변신까지 가능한 킹조가 등장한 덕이었다. 또한 과거의 괴수들도 초대나 [[울트라 Q]]등에서만 나오는 데다 그마저도 이미 나왔던 놈들의 재탕 수준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는 사용하는 소재가 바뀌면서 슈트 제작비가 천정부지로 치솟았기 때문이다. 하나 만드는데 돈이 엄청나게 들어가는데 예전 헤이세이 초기에 제작된 슈트들은 이미 열화되어서 쓸 게 못 되다보니 맥스와 뫼비우스에 제작된 과거 괴수들은 슈트를 재탕해서 돌려 사용함이 기본이 되었다. 울트라맨 시리즈는 제작비를 줄이라는 압박을 지속적으로 받았는데, 절감의 첫 타자가 슈트 제작비였던 것. 이 작품 이후로도 오브, 지드, 루브까지 전부 슈트 재탕, 고전 괴수 출현이 많은 것도 이러한 이유로 시리즈가 지금 이상으로 크게 회생하기까진 개선의 여지를 바라기 힘들고 팬들도 이해가 필요할 듯하였다. 심지어는 이런 경향 때문에 본 작품의 감독은 고전 괴수물의 팬이라 옛날에 나온 괴수만 내고 울트라맨을 소홀히 여긴다는 악성 루머가 돌기도 했다. 이 사람이 감독한 뒤로 울트라Q, 울트라맨, 울트라 세븐 3작품의 괴수의 재출연도가 유독 높다는 점에서는 그쪽 괴수를 편애하는 것 같아보일 수는 있어도, 울트라맨을 무시한다는 건 과도한 해석이다. 그리고 이러한 항간의 비판은 같은 타구치 감독의 레이와 개막작 [[울트라맨 Z]]의 흥행으로 모두 불식되었다. 게다가 동시기의 [[수리검전대 닌닌자|토에이]] [[가면라이더 고스트|특촬물]]이 혹평을 받다보니 압도적으로 고평가를 받고 있다. 어쨌든 이 작품으로부터 시작된 울트라 시리즈의 [[2010년대]] 제3 전성기 덕에 [[2010년대]]가 지나고 코로나 시국에서도 흥행에 성공해 수익을 짭짤이 거둔 [[울트라맨 Z]]가 나올 수 있었다. [[https://gall.dcinside.com/ultraseries/8323|감독의 인터뷰]] == 각 화 목록 == ||'''방영일'''||'''방영 화수'''||'''열전 방영화'''||'''에피소드 제목'''||'''등장 괴수/우주인'''||'''괴수 라보의 등장 캐릭터'''|| ||2015/7/14||1화||106화||성공(星空)의 목소리[br](星空の声)||[[허공괴수 그리저|수수께끼의 발광 생명체]][br][[우주괴수 베무라|베무라]][br][[적색화염괴수 바닐라|바닐라]][br][[청색발포괴수 아보라스|아보라스]][br][[지저괴수 마그라|마그라]][br][[유수 페스타|페스타]][br][[냉동괴수 페기라|페기라]][br][[용철괴수 데마가|데마가]]||[[용철괴수 데마가]][br][[울트라맨 X]]|| ||2015/7/21||2화||107화||가능성의 덩어리[br](可能性のかたまり)||[[화산괴조 바돈#s-7|바돈]]||[[고대괴수 고모라]][br][[고대괴수 고모라|사이버 고모라]]|| ||2015/7/28||3화||108화||밤을 부르는 노래[br](夜を呼ぶ歌)||[[흉악지저괴인 지저인#s-2|지저여자]][br][[지저괴수 테레스돈#s-1.4|테레스돈]]||[[지저괴수 테레스돈#s-1.4|테레스돈]][br][[우주괴수 에레킹|사이버 에레킹]]|| ||2015/8/04||4화||109화||올 포 원[br](オール・フォー・ワン)||[[우주대괴수 벰스타|벰스타]][br][[흉악우주인 자라브 성인|자라브성인]]||[[우주대괴수 벰스타]][br][[지저괴수 테레스돈|사이버 테레스돈]]|| ||2015/8/11||5화||110화||이지스 빛나는 순간[br](イージス 光る時)||[[경호원괴수 블랙킹|블랙킹]](블랙킹 드릴 커스텀)[br][[암살우주인 너클 성인#s-5|너클 성인 반데로]]||[[울트라맨 제로]]|| ||2015/8/18||6화||111화||별의 기억을 가진 남자[br](星の記憶を持つ男)||[[메카수호수 루디안]][br][[망명우주인 골드 성인|테르]][br][[석화마수 가고르곤]]||[[메카수호수 루디안]]|| ||2015/8/25||7화||112화||별을 초월한 맹세[br](星を越えた近い)||[[메카수호수 루디안]][br][[망명우주인 골드 성인|망명우주인 골드 성인 테르]][br][[석화마수 가고르곤]]||[[석화마수 가고르곤]][br][[우주대괴수 벰스타|사이버 벰스타]]|| ||2015/9/8||8화||114화||표적이 된 X[br](狙われたX)||[[고속우주인 스란 성인#s-4|스란 성인 쿠와이라]][br][[우주공룡 젯톤]][br]||[[우주공룡 젯톤|사이버 젯톤]][br][[울트라맨 맥스]]|| ||2015/9/15||9화||115화||우리들 성운![br](われら星雲!)||[[유괴괴인 케무르인]][br][[삼면괴인 다다]][br][[변신괴인 젯톤 성인]][br][[4차원우주인 이카루스 성인]][br][[암살우주인 너클 성인|너클성인 그레이]][br][[우주어부 벌키 성인]][br][[우주악령 아쿠마니아 성인]][br][[암흑성인 바바루우 성인]]|| || ||2015/9/22||10화||116화||괴수는 움직이지 않는다[br](怪獣は動かない)||[[부동괴수 호링가]]||[[부동괴수 호링가]]|| ||2015/9/29||11화||117화||미지의 친구[br](未知なる友人)||[[우주로봇 킹죠#s-8]][br][[고대괴수 고모라#s-7|전뇌괴수 사이버 고모라]]||[[우주로봇 킹죠#s-8]][br][[고대괴수 고모라#s-7|전뇌괴수 사이버 고모라]]|| ||2015/10/6||12화||118화||무지개의 목적지[br](虹の行く先)||[[변신괴수 자라가스#s-4]][br][[용철괴수 데마가#s-1|용철괴수 츠루기 데마가]][br][[사벨폭군 마그마 성인]][br][[암흑성인 샤프레 성인]][br][[우주여왕 기나|환영 우주여왕 기나 스펙터]]|| || ||2015/10/13||13화||119화||승리의 검[br](勝利への剣)||[[암흑성인 샤프레 성인]][br][[사벨폭군 마그마 성인]][br][[우주여왕 기나|환영 우주여왕 기나 스펙터]][br][[우주대왕 모르도|환영 우주대왕 모르도 스펙터]]|| || ||2015/10/20||14화||120화||빛나는 하늘, 이어지는 대지[br](光る大空、繋がる大地)||메카 고모라[br][[우주상인 마킨도 성인]][br][[암흑성인 샤프레 성인]][br][[우주여왕 기나|환영 우주여왕 기나 스펙터]][br][[우주대왕 모르도|환영 우주대왕 모르도 스펙터]][br][[우주제왕 쥬다|환영 우주제왕 쥬다 스펙터]][br][[합신대마제 구아|환영 합신대마제 구아 스펙터]]|| || ||2015/11/03||15화||122화||전사의 등[br](戦士の背中)||[[고대괴수 고메스|고대괴수 고메스(S)]]|| || ||2015/11/10||16화||123화||취재! XIO 밀착 24시[br](激撮! Xio密着24時)||[[삼면괴인 다다]][br][[유괴괴인 케무르인]][br][[심해괴수 구비라]][br][[유성인 세미녀]] || || ||2015/11/17||17화||124화||친구들은 괴수[br](ともだちは怪獣)||[[우호진수 피그몬]][br][[바다짐승 게스라|바다짐승 킹 게스라]]|| || ||2015/11/24||18화||125화||와타루의 사랑[br](ワタルの恋)||[[해골괴수 레드킹]][br][[혜성괴수 드라코]][br][[우주괴묘 타마·미케·케로|우주괴묘 무]]|| || ||2015/12/01||19화||126화||함께 살아 가자[br](共に生きる)||[[고대괴수 고모라#s-7|EX 고모라]][br][[인공생명 M1호]]|| || ||2015/12/08||20화||127화||인연 -UNnite-[br](絆 -Unite-)||[[바그바즌 브루드]] || || ||2015/12/15||21화||128화||아름다운 종말[br](美しき終焉)||<|2>[[허공괴수 그리저]] || || ||2015/12/22||22화[* 최종화]||129화||무지개의 대지[br](虹の大地)|| || == 관련 작품 == * [[울트라맨 열전]] * [[극장판 울트라맨 X - 왔다! 우리들의 울트라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