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보물)] [[파일:울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3.jpg]] [목차] == 개요 == 蔚州 澗月寺址 石造如來坐像. 현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등억알프스리 간월사 터에 있는 9세기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1점. 현재 울산광역시 울주군 알프스온천4길 15(상북면)에 소재하고 1963년 [[대한민국의 보물|보물]] 제370호로 지정되었다. == 내용 == [[파일:울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1.jpg]] 9세기 울산 지역에서 만든 신라시대 불상으로, 최초 발견 당시 오랫동안 노천에 방치되어서 [[광배]]가 완전히 소실되고 대좌도 일부 파손된 채였다. 지금은 아담한 법당을 하나 지어 그 안에 봉안하였다. 간월사(澗月寺)는 [[신라]] [[선덕여왕]] 5년(636)에 [[자장율사]]가 종남산 운제사에서 울산으로 와 세운 절이라는 기록이 있다. 간월사는 이후 천 년이 넘게 울주 일대의 대표적인 사찰로 기능하다가 [[조선]] 헌종 2년(1836)에 큰 흉년이 들자 폐사되어 세상에서 사라졌다. 현재는 1990년대 들어 복원한 삼층석탑 두 기만이 황량한 옛터를 지킬 뿐이다. 이 석조여래좌상은 9세기에 제작하여 법당 안에 모셨던 불상인데 헌종 2년(1836) 간월사가 파괴될 때 외부로 유출됐다. 훗날 학계에 존재가 처음 보고되었을 때 불상 뒤에 있던 광배는 완전히 파괴되어 사라졌고 대좌도 파손된 모습이었다. 불상 자체 또한 목과 오른손이 떨어져 나갔지만 복원하였다. [[파일:울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2.jpg]] 얼굴이 풍만하고 사실적이며, 상체가 약간 위축되었으나 불신이 실제 인체를 방불케 하므로 8세기 말-9세기 통일신라 시대 불상 양식이다.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제244호), 동국대학교 소장 법주사석불좌상 등과 양식이 비슷하므로 이 불상을 조성한 시기도 비슷하다고 추정한다. 통일신라 시대 석조여래좌상으로, 9세기 신라 하대 불상조각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에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 외부 링크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4884&cid=46659&categoryId=46659|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울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55876&cid=40942&categoryId=33375|두산백과 : 울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 * [[https://ko.wikipedia.org/wiki/울주_간월사지_석조여래좌상|한국어 위키백과 : 울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 * [[http://ulsan.grandculture.net/Contents/Index?local=ulsan&gcode=05&contents_id=GC80050647|울산역사문화대전 : 울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88149&cid=64865&categoryId=65317|향토문화전자대전 : 울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56906&cid=42840&categoryId=42844|답사여행의 길잡이 14 - 경남 :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29869&cid=42856&categoryId=42856|대한민국 구석구석 : 울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 == 보물 제370호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3700000,26&pageNo=1_1_1_0|문화재청 홈페이지 : 울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 (蔚州 澗月寺址 石造如來坐像)]] >경상남도 울산 울주군 상북면 등억리의 간월사지에 있는 석조여래좌상으로 약간의 파손은 있지만 비교적 잘 보관되어 있다. >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그 위로 상투 모양의 큼직한 머리(육계)가 자리잡고 있다. 얼굴은 둥글고 원만하며 단정한 입과 긴 눈, 짧은 귀 등의 표현에서 온화하고 인간적인 느낌을 준다. 어깨는 좁아지고, 몸은 양감이 줄어든 모습이다.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은 옷은 얇으며 U자형의 옷주름을 표현하고 있다. > >얼굴과 신체의 풍만함과 좁아진 어깨 등에서 9세기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보물]][[분류:신라의 공예]][[분류:울산광역시의 불상]][[분류:석조 불상]][[분류:좌불상]][[분류:울주군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