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3리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D61 20%, #002c87 20%, #002c87 80%, #000D61 80%)" [[파일:울산시민축구단 엠블럼.svg|width=270]]}}} || ||<-2> '''{{{#d6c677 {{{+1 울산시민축구단}}}}}}''' || ||<-2> '''{{{#002c87 {{{+1 ULSAN CITIZEN FC}}}}}}''' || || '''{{{#d6c677 정식 명칭 }}}''' ||울산시민축구단 || || '''{{{#d6c677 영문 명칭 }}}''' ||Ulsan Citizen Football Club || || '''{{{#d6c677 창단}}}''' ||[[2018년]] [[12월 22일]]^^([age(2018-12-22)]주년)^^ || || '''{{{#d6c677 구단 형태 }}}''' ||[[시민 구단]] || || '''{{{#d6c677 소속 리그 }}}''' ||[[K3리그]] || || '''{{{#d6c677 연고지 }}}''' ||[[울산광역시]] || || '''{{{#d6c677 홈구장 변천 }}}''' ||[[울산종합운동장]] (2018~ / 19,665석)[br][[울산문수축구경기장]] 보조경기장 (2022 / 2,590석)[* 2022년 10월 울산종합운동장이 [[전국체육대회]] 및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전용으로 사용함에 따라 2022 시즌 잔여 경기는 9월 24일부터 문수 보조구장에서 경기했다.] || || '''{{{#d6c677 구단주 }}}''' ||[[김두겸]] ([[울산광역시장]]) || || '''{{{#d6c677 단장 }}}''' ||정태석 (울산광역시축구협회장) || || '''{{{#d6c677 감독 }}}''' ||[[윤균상(축구)|윤균상]] || || '''{{{#d6c677 주장 }}}''' ||[[박동혁(1992)|박동혁]] || || '''{{{#d6c677 상징색 }}}''' ||청색 || || '''{{{#d6c677 상징물 }}}''' ||울산광역시 로고[br][[백로]][* 울산광역시조]의 날개짓 '''모양'''[br][[장미]][* 울산광역시화 ([[철쭉]]^^구 울산시^^/[[배나무|배꽃]]^^구 울산군^^ → 배꽃 → 장미)][br][[대나무]][* 울산광역시목 ([[은행나무]] → 대나무)]의 '''잎''' || ||<|2> '''[[http://www.ulsancitizen.com/_img/sub/sub05_03_pic02.jpg|{{{#d6c677 유니폼}}}]]''' ||'''<홈>'''[br]'''골키퍼''': 황색+청색[* 황색 토르소와 황색+청색 무늬 소매, 황색 하의와 양말][* 평창 FC와의 홈경기에서는 어웨이 측 선수들의 복색이 상하의 모두 노랑이라 형광 연두색의 서드킷을 입었다.][br]'''기타''': 청색+백색[* 청색 토르소와 백색 소매, 청색 하의와 양말] || ||'''<어웨이>'''[br]'''골키퍼''': 분홍색[* 코랄핑크 토르소와 분홍색+연분홍색 무늬 소매, 코랄핑크 하의와 양말. 딱 [[마미손]] [[고무장갑]]의 그 색이다. 이전에 어웨이 킷으로 적혀 있던 형광 연두색 (연두색 토르소와 연두색+풀색 무늬 소매, 연두색 하의)은 서드 킷이지만, 홈경기에서 분홍색 옷을 입고 오기도 하는 등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br]'''기타''': 백색+청록색[* 백색 소매와 백색(위)~민트그린(아래) 그라데이션 토르소, 민트그린 하의와 양말] || || '''{{{#d6c677 유소년 }}}''' ||[[학성고등학교]] ^^(U18)^^[br]울산축구학생공공스포츠클럽 ([[울산광역시교육청]]) ^^(U15, U12)^^ || || '''{{{#d6c677 웹 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 }}}''' ||[[http://ulsancitizen.com|[[파일:울산시민축구단 엠블럼.svg|width=20]]]] ,,([[https://web.archive.org/web/20191128021920/http://www.ulsancitizen.com/|아카이브]]),, [br] [[https://www.facebook.com/ulsancitize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www.instagram.com/ulsancitize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post.naver.com/my.nhn?memberNo=45194450|[[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width=20]]]] [[https://band.us/band/73321595|[[파일:네이버 밴드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N0IaNiLplAg0FGTKvjxAW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bj.afreecatv.com/dotreen|[[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0]]]] [[https://tv.naver.com/ulsancitizen|[[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https://m.dcinside.com/board/ulsanfc|[[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width=20]]]] || ||<-2> '''{{{#fff 우승 기록}}}''' || ||<#002c87> '''[[K3리그 베이직|{{{#d6c677 K3리그 베이직}}}]] [br] {{{#d6c677 (1회)}}}''' ||2019 || ||<#002c87> '''[[전국체육대회|{{{#d6c677 전국체육대회}}}]] [br]{{{#d6c677 (1회)}}}''' ||2022 || ---- ||<-6> '''{{{#d6c677 2022 시즌 울산시민축구단 스폰서}}}''' || ||<-2> '''{{{#002c87 셔츠 프린팅}}}''' ||<-2> '''{{{#002c87 유니폼 메이커}}}''' || || [[태화강 국가정원|[[파일:태화강 국가정원 BI.svg|width=100%]]]] || [[NH농협은행|[[파일:NH농협 로고.png|width=100%]]]] ||<-2> [[브이-엑스|[[파일:브이엑스 로고.png|width=40%]]]] || [목차] == 개요 == [[울산광역시]]를 연고로 하는 [[세미프로]] 축구단. '''[[울산종합운동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2018년 12월 창단 직후 2019년부터 4~5부격 리그인 [[K3리그 베이직]]에 본격적으로 참가했고 이듬해 [[K3리그(2007~2019)|구 K3리그]]와 [[한국 내셔널리그|내셔널리그]]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리그를 개편한 이후 [[2021년]]에는 대한민국 3부 축구 리그인 [[K3리그]]에 참여하고 있다. 약칭은 '''울산시민.''' [[전국체육대회]](전국체전)는 남자 일반부[* 전국체전은 고등부/대학부/일반부 등이 있는데 울산 지역은 (남자 기준) 고등부 대표는 1강 [[현대고등학교(울산)|현대고등학교]]와 추격자 [[학성고등학교]]의 경쟁 체제고 대학부는 [[울산대학교]]뿐이다. 일반부의 경우 [[울산 현대]]는 프로 구단이기 때문에 전국체전에 참가할 수 없으므로 세미프로(실업) 구단인 미포조선이 항상 일반부 대표로 전국체전에 참여해 왔다.] 그런데 [[2016년]]까지 존속한 [[한국 내셔널리그|내셔널리그]]의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의 해체로 지역 내 구단이 아예 없는 상황이었기에 공백을 메우기 위해 [[울산광역시]]청이 주도하여 새롭게 [[시민 구단]]을 창단했다. 따라서 [[현대중공업그룹]](現 [[HD현대]]) 소유의 기업 구단이었던 미포조선과는 연관이 없다. 역시 기업 구단인 [[K리그1]] 소속의 [[울산 현대]]와도 연관이 없다. 그러나 상징색[* 울산광역시 상징 로고타입 이외에 2010년대 후반부터 주로 사용하는 U자 로고타입이 파란색이라서 이쪽을 봤을 수도 있지만...]나 로고의 방패 모양 등을 보았을 때 창단 과정에서 울산 현대의 CI를 어느 정도 참고한 듯하다. == 시즌별 일람 == ||<-1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울산시민축구단|[[파일:울산시민축구단 엠블럼.svg|height=60]]]]||'''{{{-1 [[울산시민축구단|{{{#d6c677 울산시민축구단}}}]]}}}[br]{{{+1 {{{#white 시즌별 일람}}}}}}''' || }}} || ||<|2> '''{{{#fff 시즌}}}''' ||<-10> '''{{{#fff 리그}}}''' ||<|2> '''{{{#fff FA컵}}}''' ||<|2> '''{{{#fff 전국체육대회}}}''' || || '''리그''' || '''{{{#fff 순위}}}''' || '''{{{#fff 경기}}}'''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fff 득실차}}}''' || '''{{{#fff 승점}}}''' || || [[K4리그/2020년|2020]] || [[K4리그]] || '''2''' || 24 || 16 || 3 || 5 || 50 || 29 || +21 || '''51''' || 3라운드 || 연기 || || [[K3리그/2021년|2021]] || [[K3리그]] || '''6''' || 28 || 9 || 11 || 8 || 32 || 24 || +8 || '''38''' || 1라운드 || 축소 || || [[K3리그/2022년|2022]] || [[K3리그]] || '''15''' || 30 || 6 || 10 || 14 || 29 || 40 || -11 || '''28''' || 16강 || '''금메달''' || == 스폰서 == 2022 시즌 기준. * 메인 스폰서: [[울산광역시]], NH울산농협 * 오피셜 파트너: 울산광역시체육회, 사단법인 울산광역시축구협회 * 오피셜 스폰서: BNK 경남은행, V-EXX, 동강병원 동천동강병원, 신라스테이 울산 * 로컬 스폰서: KL 네트웍스, 해성종합광고, (주)현대응급이송센터, 필드터프승목(주), 자연애마트 울산동동점, 티와이미디어그룹 == 유소년 == [[2021년]] [[K3리그]] 승격에 맞춰, [[울산광역시]] 내의 축구명문인 [[학성고등학교]] 축구부를 울산시민축구단 산하 유소년팀(U-18)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784344|#]] 울산광역시는 유소년축구 육성 혁신시스템 '울산 축구학생 공공스포츠클럽' 운영 계획을 발표하며 이를 확정지었다. [[파일:12532524.png|width=600]] 관련 계획에는 울산시교육청과 시가 협력하여 공공 유소년축구 육성 체계를 구축하는것도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2021년부터 학성고가 울산시민축구단의 U-18로 들어가는 것을 시작으로 중학교 3개팀이 [[2022년]]부터 울산시민축구단 U-15로, 초등학교 5개팀이 [[2023년]]부터 울산시민축구단 U-12로 들어가는 형태이다.[[https://youtu.be/N9SaOuBW674|#]] 이 계획이 완료되면 울산시민축구단은 [[K리그1]]의 [[울산 현대]]가 U-18/15/12 각 연령별로 1개씩 총 3개의 유소년팀을 가진 것을 넘어 '''총 9개의 학교를 산하 유소년팀으로 두게 될 전망'''이다. 다만 구체적으로 이 계획은 특정 "학교"를 대표하는 유소년 팀을 만드는게 아니라 울산시민축구단의 산하 학교에 어디든 들어가면 같은 울산시민 산하 유스가 되는, 말 그대로의 "공공스포츠클럽"을 목표로 하고 있기에, 실제로는 연령별 유소년팀의 수 자체는 울산 현대와 같더라도 그 선수풀은 훨씬 더 넓어지는 형태이다. 2021년도 학성고등학교가 울산시민축구단 u18로 개편된 후에 성적은 그다지 좋지 않다. 어수선한 분위기속에서 거의 재창단에 가까울 수준으로 선수들이 나가고 들어왔기 때문. 허나 완전히 새로 시작한 2022 시즌부터 상황이 달라졌으며 2022년도 부산&울산 권역 리그 3위, 저학년부 우승을 차지하며 다시 한번 학원축구 최고의 명문 학교임을 입증했다. 사실상 재창단된지 3년이 된 2023년 학성고는 부산&울산 권역 리그 우승을 차지하였고 전국체전 선발전에서 울산현대 산하팀 현대고를 승부차기 끝에 이기며 원래의 명성을 찾아가고 있는 중이다. == 프로화 == [[https://naver.me/51QxHcQg|#]] 울산시민축구단 감독인 윤균상 감독의 인터뷰에 따르면 울산시민축구단 역시도 장기적으로 프로화가 목표인 구단이다. 이외 기사에 따르면 울산시민축구단은 길게 보았을 때 3~4년 안에 프로화가 완료된다는 이야기가 존재하기도 한다. 2022년 총선에서 울산시장에 당선된 [[김두겸]] 당선인과 해당 캠프에서 예전부터 울산에 시민구단을 만들고자 한다는 인터뷰를 한 바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김두겸 당선인은 울산 현대의 시민구단화를 주장했다. 이 경우 두 개의 프로 구단을 한 지역에서 광역시가 관리하는 것은 예산 상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울산시민축구단은 자연스럽게 해체 또는 울산시 프로 구단으로의 흡수가 될 가능성이 높았다. 허나 김두겸 당선인의 이 의견은 울산 현대의 팬들에게 멀쩡히 잘 돌아가는 기업구단을 굳이 늘 예산 부족에 시달려야 하는 시민구단으로 바꿀 이유가 없기 때문이고 또한 김두겸 시장 본인도 다른 지자체장들과 달리 남구청장 재직시절부터 최근까지 울산 현대를 포함한 다른 울산 지역 스포츠등에 대해서 전혀 무관심한 태도로 일관하였기 때문에 비판받고 있고 울산 현대 구단 역시도 시민구단 전향을 전혀 고려하지 않으며 울산시민축구단 자체의 프로화 가능성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2023년 3월 19일 울산kbs와의 인터뷰에서 윤균상 감독이 다시 한번 프로화를 언급했다. 아직 공식적으로 선언하진 않았지만 장기적으로 보고 천천히 진행중인듯 하다. == 역대 감독 == [include(틀:울산시민축구단 감독)] == 팀컬러 == 울산시민축구단은 울산 지역 출신의 학창 시절 뛰어난 활약을 보이고 재능이 좋지만 많은 기회를 받지 못한 어린 선수들을 영입하여 충분한 시간과 기회를 주며 발전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지역에 명문 고등학교가 많다는 점은 이 과정에서 구단이 좋은 선수들을 영입하는 데에 좋은 영향을 주고 있다.] 창단 당시 선수단 전원이 울산과 인연이 있는 사람들이었고, 현 시점에서도 외국인 선수를 제외하면 여전히 절대다수가 울산에서 출생하거나 학창시절을 보낸 등 울산과 인연이 있는 선수들인 만큼 단결심과 충성심, 조직력이 매우 뛰어난 팀이기도 하다. 스페인리그의 명문팀 [[아틀레티코 빌바오]]와 매우 유사한 정책이다. == 코칭 스태프 명단 == ||<-3> '''{{{#d6c677 울산시민축구단 2021 시즌 코칭 스태프 명단 }}}''' || || {{{#002c87 직책}}} || {{{#002c87 이름}}} || {{{#002c87 국적}}} || || 감독 || [[윤균상(축구)|윤균상]]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코치 || [[윤원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GK 코치 || 석형곤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 선수단 == [include(틀:울산시민축구단/간략)] [include(틀:울산시민축구단)] == 입장권 == ||<-3> '''{{{#d6c677 2022시즌 울산시민축구단 입장권}}}''' || || '''{{{#002c87 구분}}}''' || '''{{{#002c87 판매금액}}}''' || '''{{{#002c87 비고}}}''' || || 일반권(성인) || 3,000원 || - || || 일반권(청소년) || 2,000원 || - || || 시즌권(15매) || 30,000원 || CMS 후원자에게는 무료 지급 || ||<|4> 무료관람대상자 || 초등학생 이하 || - || || 65세 이상 경로 || - || || 군경 (휴가증 지참) ||<|2> 본인 한정 || || [[장애인]] ([[복지카드]] 지참) || ||<-3> 출처 : '''{{{#d6c677 울산시민축구단 공식 웹 사이트}}}''' [[http://ulsancitizen.com/wave/?MM=01&SM=01|#]] || == 타팀과의 관계 == === [[울산 현대]] === 사실 두 팀은 같은 [[울산광역시]]를 연고로 하긴 하지만, 라이벌이라고 부를 수는 없는 관계이다. 팀의 역사도 한참 차이나고, 선수단의 규모나 수준 또한 달라서 같은 그룹에 엮기 위한 카테고리는 지역 밖에 없기 때문. 하지만 울산시민축구단의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두 팀은 나름 접점을 가지고 있다. 일례로, [[2020년]] [[울산 현대]]는 [[K리그1]]에서 준우승을, [[대한축구협회 FA컵]]에서도 준우승을 차지하며 그해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을 차지하기 전까지는 다른 팀 팬들로부터 "[[홍진호|더블콩]]"이라는 조롱성 별명으로 불려져야 했는데, 같은해 [[K4리그]]에서 울산시민축구단도 리그 준우승을 차지하며 [[에펨코리아 국내축구 게시판]] 등 여러 축구 커뮤니티에서는 "울산의 콩레블이다.", "울산은 콩의 도시"라며 더한 놀림을 받기도 할 정도였다. 심지어 2020년에는 울산과학대 여자축구부, 울산현대고 등이 온갖 대회에서 줄줄이 준우승을 기록하는 등 울산시 연고 축구팀 전체가 준우승 악령에 시달렸다. 반면 2022년에는 울산현대가 17년만의 우승을 이루고, 울산시민축구단이 전국체전 남자 축구 부문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연고지 내의 프로팀과 세미프로팀이 모두 트로피를 들어올리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2021년]]에는 울산시민축구단이 [[K3리그]] 승격과 동시에 [[울산 현대]]에서 수비수 [[이기운]]과 미드필더 [[장재원]]을 자유계약으로 영입해오고, 울산 현대의 유스 [[현대고등학교 축구부]]의 지역 라이벌인 [[학성고등학교]] 축구부를 울산시민축구단 U-18 유스 학교로 지정하는 등 움직임을 보이며 두 팀간 관계의 끈이 점점 생겨나고 있다. 또한 라이벌이라 부르기 민망할 정도로 큰 차이가 났던 현대고-학성고 관계였지만 2023년 학성고가 현대고를 승부차기 끝에 잡아내며 유스팀 사이에서의 라이벌 의식도 커지고 있다. == [[서포터즈]] == [include(틀:K3리그/서포터즈)] 편집일 현재 창단부터 함께 한 '베르사유'가 있다. 울산의 시화가 [[장미]]라서 [[베르사이유의 장미(만화)|베르사유의 장미]]를 노린 듯. [[파일:DFC9CF9D-C39B-416B-9B2E-5E29B21F086D.png]] == 응원가 == 따로 없다. 2라운드와 14라운드에서 베르사유 및 응원단에 낀 팬들이 [[We Will Rock You]]의 후렴구를 개사하여 ("울~산~시~민~ 파이팅!") 부르기는 했지만 단발성에 그쳤다. 별도의 응원가가 없었을 때부터 응원가와는 별도로 굿바이 콜로 [[잘 있어요|잘가세요]]를 부르고 있기는 하다. == 여담 == 이 정도 규모의 축구단쯤 되면 갖출 법한 합숙 체제를 갖추고 있지 않다. 시민 구단 특성상 예산 규모상 명문 프로 축구단 수준의 [[클럽하우스]]를 제공하기 위한 재정이 부족하고 선수들 연봉을 더 주는 것으로 합의되었다. 자율성과 간절함을 강조하는 윤균상 감독의 운영 철학과도 결이 같다. [[https://www.kfa.or.kr/layer_popup/popup_live.php?act=news_tv_detail&idx=21657&div_code=news|윤균상 감독 인터뷰]] == 둘러보기 == [include(틀:울산광역시/스포츠/기타 구단)] [include(틀:K4리그/과거 참가 구단)] [[분류:울산시민축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