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울산광역시의 시내일반버스)] || [[파일:Ulsan_807.jpg|width=100%]] || [[파일:울산807.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000000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807번}}} || ||<-2> 기점 ||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덕현리(석남사) ||<-2> 종점 ||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태화강역) || ||<|2> 종점행 || 첫차 || 05:25 ||<|2> 기점행 || 첫차 || 06:35(평일)/06:40(주말.공휴일) || || 막차 || 21:00 || 막차 || 22:35(평일)/22:30(주말.공휴일) || ||<-2> 평일배차 || 30~50분 ||<-2> 주말배차 || 30~80분 || ||<-2> 운수사명 || [[남성여객]] ||<-2> 인가대수 || 평일 6대/주말, 공휴일 5대 || ||<-2> 노선 ||<-4> 석남사 - 궁근정 - 상북농공단지 - 상북면행정복지센터 - 면허시험장 - 삼성아파트 - 언양전화국 - 구.언양버스터미널 - [[언양시외버스터미널]] - 언양자동차학원 - 울산역 - 장촌상리 - 대방아파트 - 반천초등학교 - [[울산과학기술원]](입구) - 범서읍행정복지센터 - 선바위교 - 굿모닝힐 - 주공1단지 - 구영교 - 삼호지하차도 - 삼호교 - 학성여중 - 태화루 - 태화로터리 - 울산시청 - 달동사거리 - 번영사거리 - 시외고속버스터미널.신세계안과의원 - 태화강역 || ||<-6>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000000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807번(언양출발)}}} || ||<-2> 기점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남부리(구.언양버스터미널) ||<-2> 종점 ||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덕현리(석남사) || ||<|2> 종점행 || 첫차 || 06:20(평일)/06:35(주말.공휴일) ||<|2> 기점행 || 첫차 || 22:10(평일)/21:30(주말.공휴일) || || 막차 || 07:35(평일)/07:25(주말.공휴일) || 막차 || 22:10 || ||<-2> 평일배차 || 25~50분 ||<-2> 주말배차 || 50분 || ||<-2> 운수사명 || [[남성여객]] ||<-2> 인가대수 || 평일 3대/주말, 공휴일 2대 || ||<-2> 노선 ||<-4> 구.언양버스터미널 - 언양전화국 - 삼성아파트 - 면허시험장 - 상북면행정복지센터 - 상북농공단지 - 궁근정 - 석남사 || === 폐선된 노선 === ||<-6>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000000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807번(배내지원)}}} || ||<-2> 기점 ||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대리(배내골) ||<-2> 종점 ||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태화강역) || ||<|2> 종점행 || 첫차 || ?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 || 막차 || ? || ||<-2> 운행횟수 ||<-4> 1일 3회 || ||<-2> 운수사명 ||<-4> [[대우여객]] || ||<-2> 노선 ||<-4> 배내골 - 석남사 - 궁근정 - 상북농공단지 - 상북면주민센터 - 면허시험장 - 삼성아파트 - 언양전화국 - [[언양시외버스터미널]] - 언양자동차학원 - 울산역 - 장촌상리 - 대방아파트 - 반천초등학교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 범서읍주민센터 - 선바위교 - 굿모닝힐 - 주공1단지 - 구영교 - 삼호지하차도 - 삼호교 - 학성여중 - 태화루 - 태화로터리 - 울산시청 - 달동사거리 - 번영사거리 - 시외고속버스터미널 - 태화강역 || == 개요 ==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 왕복 운행거리는 85.6km다. [[http://naver.me/5NOlljkk|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대우여객이 농어촌버스였던 시절부터 오랫동안 언양과 [[석남사]]를 이어준 노선이다. 초기에는 양산여객(현 세원) 공동배차운행해왔으며 양산소속 세원 완행버스 철수하고 현재 [[울산 버스 1713|1713번]] 세원소속 운행중이다. * 1995년에 도농통합 후 시내버스로 전환되었고 언양에서 석남사까지 이어주는 370번과 석남사에서 울산 시내까지 완전히 이어주는 [[울산 버스 327|구 314번]]+[[울산 버스 328|구 370번]]의 통합노선이라고도 할 수 있는 구 317번이 신설되었다. * 2003년 8월에 번호가 807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7년]] [[12월 22일]]에 328번과 통합했고 배내골(이천) 지원운행(1일 3회)도 물려받았다. [[http://ulsanbus.or.kr/kboard/kboard.php?board=notice&act=view&no=106|관련 공지사항]] * [[울산과학기술원]]이 [[2009년]] [[2월 16일]]에 개교하면서 이 곳을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http://ulsanbus.or.kr/kboard/kboard.php?board=notice&act=view&no=9992|관련 공지사항]] * 본래 새벽에 언양정류장을 출발하여 배내골로 운행하는 첫차가 있었으나 2009년 상반기 노선 개편으로 폐지되었다. * [[2010년]] [[3월 1일]]에 공업탑 미경유로 변경되었다. [[http://ulsanbus.or.kr/kboard/kboard.php?board=notice&act=view&no=10024|관련 공지사항]] * [[울산역]]이 개업하면서 [[2010년]] [[10월 31일]]에 울산역 경유로 변경되었다. [[http://ulsanbus.or.kr/kboard/kboard.php?board=notice&act=view&no=10089|관련 공지사항]] * [[2011년]] [[2월 7일]]에 1대가 증차되었다. [[http://ulsanbus.or.kr/kboard/kboard.php?board=notice&act=view&no=10108|관련 공지사항]] * [[2011년]] [[10월 27일]]에 [[울산 버스 328|328번]]이 다시 신설되어 배내골 지원은 폐지되었다. 신설된 328번은 석남사를 출발하여 배내골까지 운행하였다. [[http://ulsanbus.or.kr/kboard/kboard.php?board=notice&act=view&no=10151|관련 공지사항]] * [[2011년]] [[11월 1일]]에 울산/남성여객에서 대우여객 언양영업소를 인수했다. * [[2011년]] [[12월 5일]]에 [[울산 버스 337|337번]]이 [[울산과학기술원|UNIST]] 안쪽까지 경유하게 되면서 울산과기대 입구만 경유하는 걸로 변경되었고 1대가 [[울산 버스 327|327번]]으로 넘어갔다. [[http://ulsanbus.or.kr/kboard/kboard.php?board=notice&act=view&no=10162|관련 공지사항]] * 남성여객으로 인수된 후 327, 337번에서만 운행하던 저상버스가 이 노선에도 운행하기 시작했다. * [[2017년]] [[7월 5일]]부터 종점에서 대기하지 않고 바로 회차하게 되었다. [[http://ulsanbus.or.kr/kboard/kboard.php?board=notice&act=view&no=10729|관련 공지사항]] * [[2019년]] [[8월 28일]]부터 [[울산 버스 857|857번]] 신설로 인해 4대가 감차되어 6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 [[2024년 ]] 1월까지 노선페계 개편 최종안을 확정하고, 게편 노선체계는 2024년 8월부터 시행된다고 한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sujinejejjs&logNo=223281037827&navType=by]] [* 한 시민의 블로그이다.] == 특징 == * 울산시내와 언양을 잇는 노선들 중 하나이며 가장 자주 다녔으나 [[2019년]] [[8월 28일]]에 감차되어 다른 노선과 비슷해졌다. * 첫차와 두번째 차,[* 평일: 07:10, 07:35, 주말 및 공휴일: 06:35, 07:25] 막전차와 막차는[* 평일: 21:50, 22:10, 주말 및 공휴일: 21:30, 22:10] 구.언양버스터미널 - 석남사 구간만 운행한다. 구간이 [[울산 버스 328|328번]]과 별로 다를 것이 없다.[* 단 석남사 -백련마을 구간과 가지산온천 구간은 제외.] * [[울산 버스 1713|1713번]]과 기종점이 같으며 이 노선과 함께 [[울산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도심지로 돌아가기 위해서 애용하는 노선이다. 1713번이 과거에는 [[울산고속도로]]를 이용했다가 지금은 [[울밀로]]를 이용하지만 중간정차를 하지 않고 자동차전용도로를 이용해 빠르게 언양까지 가는 직행노선이라면 이 노선은 그 반대로 수요점마다 찾아가는 완행 개념의 노선이다.[* 애당초 1713번의 전신이 울산터미널-(언양-석남사)-밀양 간 시외버스다. 다만 시외버스 시절부터 밥그릇을 뺏기게 생긴 대우여객(당시 언양 지역에 노선을 운영하고 있었음)은 시외버스 인가를 낸 경남도지사를 상대로 경업자소송을 내고... 해당되는 이야기는 [[대우여객]], [[주식회사 세원]]와 현 문서의 노선인 [[울산 버스 807|807번]]과 [[울산 버스 1713|1713번]]에 연관되어 있다.] 굴화~구영리에서 가는 경우라면 몰라도 삼산동~신정동 구간에서는 [[울산 버스 1713|1713번]]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이유로 수요를 왕창 뺏기게 되자 당시 이 노선(당시 노선버스 317번)운영 회사였던 대우여객이 [[세원(버스회사)|세원]]과 두 번이나 대법원까지 갔을 정도로 박터지는 싸움을 한 것이기도 하고 이 소송사건은 행정고시에까지 나와서 고시생과 법조계 종사자들에게 뜬금없이 엿을 먹이는 판례로 남아있다.(2001두4450 대판[* 원심에서는 시내버스 면허(대우여객 운행노선)와 시외버스 면허(경남버스 및 세원)가 적용되는 기준과 법조항이 다르기 때문에 원고(대우여객)에게 '시외버스에 왜 시내버스가 끼어드시오?.' 라고 패소판결을 내렸는데 대법원에서는 시내버스와 시외버스 사이에 경쟁관계(법률상으로는 자세히 분류하면 경업관계)라서 대우여객의 소송이 정당하다고 보면서 원고(대우여객)에게 승소판결을 내렸다. 기존에는 '적용되는 법 조항이 다르면 서로 다른 사안이므로 소송을 인정하지 않는다.' 라는 입장이었는데 이 판결에서는 '적용되는 법 조항이 다르더라도 경업관계라고 판단되면 소송을 인정한다.'라고 하면서 뜬금없이 엿을 먹인 판례가 되었다.], 2003두4355 대판[* 원심에서는 시외버스 노선이 사업변경계획(기존의 밀양-울산 간 시외버스 노선을 덕현(석남사)에도 정차할 수 있도록 변경)을 하려는데 해당 노선이 그 계획에 적용되는 행정규칙에 위반된다고 시내버스 업체인 대우여객이 태클을 건 것이라고 보면 된다. 여기에서 원심은 '해당 행정규칙은 시외버스에 대한 내규에 불과한 것인데 시외버스와 관계없는 3자인 당신(대우여객)이 왜 딴지 거세염?' 하면서 대우여객에 패소 판결을 내렸는데 대법원은 '그 시외버스에 대한 '''행정규칙도 법령이므로''' 대우여객이 소송을 건 것은 '''법령을 위반한 사항에 대해서 정당하게 건 소송'''이요.' 라고 하면서 대우여객에게 승소판결을 내렸다. 하지만 그 동안의 판결은 행정규칙을 내규로 보아서 법령이 아니라고 보았다보니 '''판례가 바뀌었나?''' 하겠지만 정작 대법원은 '''이건 이전에 있던 기존판례(94누14148,전합. 행정규칙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제재적 처분(하지말라는 것을 어겼을 때 과태료나 처벌을 내리는 것)을 하는 것에 대한 판단인데, 판례는 행정규칙은 법령이 아니라고 판결함)를 바꾸는 거 아님요.'''라고 해버린 터라 또 하나의 엿을 먹이는 판례가 되었다.]) * 운행시간은 편도 1시간 반~2시간 정도다. * 한때는 [[울산 버스 327|327번]]과 비슷하게 운행했다. 단 327번은 개편으로 산업은행을 경유하게 되어 완전히 똑같지는 않게 되었다. 예전에는 아예 327번에서 석남사까지 기점을 쭈욱 늘린 모습과 같았다. * 석남사종점에서 밀양행 시외버스와 연계된다.[* 위에서 언급된 대법원 판결로 밀양에서 출발하여 덕현(석남사)에서 중간정차하고 언양/울산까지 가던 시외버스회사(밀성여객, 천일여객) 노선들이 밀양-덕현(석남사)로 칼질 당한 것이다. 보통 이렇게 되면 그냥 시내버스로 전환해 버릴텐데 밀양의 경우 같은 시내를 오가는데도 시외버스를 이용할 정도로 버스 행정이 낙후되어서 지금까지도 별 말 없이 운행 중이다. 이들과 반대로 역시나 시외버스 면허로 해당 노선을 운행했던 세원은 밀양 쪽을 날리고 나머지는 울산시내버스 면허를 취득해서([[울산 버스 1713|1713번]]) 노선을 유지시킨 것과 대비된다.] === 노선 === ||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807번}}}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석남로(울주)|{{{#353535,#eee '''석남로'''}}}]] || || {{{-2 ▼}}}||{{{-2 ▲ 상북농공단지}}} || ||<-2> [[울밀로|{{{#353535,#eee '''울밀로'''}}}]] || || {{{-2 양등입구 ▼}}}||{{{-2 ▲}}} || ||<-2> [[상북로|{{{#353535,#eee '''상북로'''}}}]] || || {{{-2 경동청구 ▼}}}||{{{-2 ▲ 청구골든}}} || ||<-2> [[남천로(울주)|{{{#353535,#eee '''남천로'''}}}]] || || {{{-2 삼성아파트 ▼}}}||{{{-2 ▲ 혜원어린이집}}} || ||<-2> {{{#353535,#eee '''웃방천1길'''}}} || || {{{-2 언양성당 ▼}}}||{{{-2 ▲ 삼성아파트}}} || ||<-2> {{{#353535,#eee '''헌양길'''}}} || || {{{-2 남천교 ▼}}}||{{{-2 ▲ 언양전화국}}} || ||<-2> [[남천로(울주)|{{{#353535,#eee '''남천로'''}}}]] || || {{{-2 구언양버스터미널 ▼}}}||{{{-2 ▲ 언양알프스시장}}} || ||<-2> [[반구대로|{{{#353535,#eee '''반구대로'''}}}]] || || {{{-2 언양임시시외터미널앞 ▼}}}||{{{-2 ▲ 구언양버스터미널}}} || ||<-2> [[언양로(울주)|{{{#353535,#eee '''언양로'''}}}]] || || {{{-2 ▼}}}||{{{-2 ▲ 언양자동차학원}}} || || [[울산역로|{{{#353535,#eee '''울산역로'''}}}]]||{{{#353535,#eee '''도호1길'''}}} || || {{{-2 금아드림팰리스 ▼}}}||{{{-2 ▲ 금아드림팰리스}}} || || {{{#353535,#eee '''도호1길'''}}}||[[울산역로|{{{#353535,#eee '''울산역로'''}}}]] || || {{{-2 장촌상리 ▼}}}||{{{-2 ▲}}} || ||<-2> [[언양로(울주)|{{{#353535,#eee '''언양로'''}}}]] || || {{{-2 사연 ▼}}}||{{{-2 ▲ 무동}}} || ||<-2> [[울밀로|{{{#353535,#eee '''울밀로'''}}}]] || ||<|3> [[울밀로|{{{#353535,#eee '''울밀로'''}}}]]||{{{-2 ▲}}} || ||{{{#353535,#eee '''사연길'''}}} || ||{{{-2 ▲ 사연}}} || ||<-2> [[울밀로|{{{#353535,#eee '''울밀로'''}}}]] || || {{{-2 사연 ▼}}}||<|3>[[울밀로|{{{#353535,#eee '''울밀로'''}}}]] || || {{{#353535,#eee '''사연길'''}}}|| || {{{-2 ▼}}}|| ||<-2> [[울밀로|{{{#353535,#eee '''울밀로'''}}}]] || || {{{-2 입암 ▼}}}||{{{-2 ▲ 입암}}} || ||<-2> {{{#353535,#eee '''송현길'''}}} || || {{{-2 천상1교사거리 ▼}}}||{{{-2 ▲ 범서읍행정복지센터}}} || ||<-2> [[삼동로(울주)|{{{#353535,#eee '''삼동로'''}}}]] || || {{{-2 굿모닝힐 ▼}}}||{{{-2 ▲ 선바위교}}} || ||<-2> [[구영로|{{{#353535,#eee '''구영로'''}}}]] || || {{{-2 범서파출소 ▼}}}||{{{-2 ▲ 우미린2차 푸르지오2차}}} || ||<-2> [[대리로(울주)|{{{#353535,#eee '''대리로'''}}}]] || || {{{-2 구영교 ▼}}}||{{{-2 ▲ 대리}}} || ||<-2> [[울밀로|{{{#353535,#eee '''울밀로'''}}}]] || || {{{-2 ▼}}}||{{{-2 ▲ 삼호지하차도}}} || ||<-2> [[북부순환도로|{{{#353535,#eee '''북부순환도로'''}}}]] || || {{{-2 삼호교 ▼}}}||{{{-2 ▲}}} || ||<-2> [[태화로|{{{#353535,#eee '''태화로'''}}}]] || || {{{-2 ▼}}}||{{{-2 ▲ 태화루}}} || ||<-2> [[명륜로(울산)|{{{#353535,#eee '''명륜로'''}}}]] || || {{{-2 태화로터리 ▼}}}||{{{-2 ▲}}} || ||<-2> [[중앙로(울산)|{{{#353535,#eee '''중앙로'''}}}]] || || {{{-2 롯데마트 ▼}}}||{{{-2 ▲ 달동사거리}}} || ||<-2> [[삼산로(울산)|{{{#353535,#eee '''삼산로'''}}}]] || || {{{-2 태화강역(종점) ▼}}}||{{{-2 ▲ 이마트앞}}} || ||<-2> [[산업로(울산)|{{{#353535,#eee '''산업로'''}}}]] || }}}}}}}}} || || || ||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807번(지원3, 4)}}}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석남로(울주)|{{{#353535,#eee '''석남로'''}}}]] || || {{{-2 ▼}}}||{{{-2 ▲ 상북농공단지}}} || ||<-2> [[울밀로|{{{#353535,#eee '''울밀로'''}}}]] || || {{{-2 양등입구 ▼}}}||{{{-2 ▲}}} || ||<-2> [[상북로|{{{#353535,#eee '''상북로'''}}}]] || || {{{-2 경동청구 ▼}}}||{{{-2 ▲ 청구골든}}} || ||<-2> [[남천로(울주)|{{{#353535,#eee '''남천로'''}}}]] || || {{{-2 삼성아파트 ▼}}}||{{{-2 ▲ 혜원어린이집}}} || ||<-2> {{{#353535,#eee '''웃방천1길'''}}} || || {{{-2 언양성당 ▼}}}||{{{-2 ▲ 삼성아파트}}} || ||<-2> {{{#353535,#eee '''헌양길'''}}} || || {{{-2 남천교 ▼}}}||{{{-2 ▲ 언양전화국}}} || ||<-2> [[남천로(울주)|{{{#353535,#eee '''남천로'''}}}]] || || {{{-2 구언양버스터미널 ▼}}}||{{{-2 ▲ 언양알프스시장}}} || ||<-2> [[반구대로|{{{#353535,#eee '''반구대로'''}}}]] || }}}}}}}}} || || || == 연계 철도역 == * 일반 철도역: [[울산역]](KTX, SRT), [[태화강역]](무궁화호) *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width=17]] [[동해선 광역전철]]: [[태화강역]] ==# 둘러보기 #== [include(틀:구영리 경유 시내버스)] [include(틀:언양로 경유 시내버스)] [[분류: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