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파일:attachment/울산 버스 507/Ulsanbus507_3.jpg]] 서창 용당마을. [목차] == 노선 정보 == ||<-6> {{{#000000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507번}}} || ||<-2> 기점 ||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태화강역) ||<-2> 종점 || 경상남도 양산시 용당동(용당마을) || ||<|2> 종점행 || 첫차 || 05:45 ||<|2> 기점행 || 첫차 || 07:10 || || 막차 || 19:50 || 막차 || 21:25 || ||<-2> 배차간격 ||<-4> 1일 5회(180~200분) || ||<-2> 운수사명 || [[대우여객]] ||<-2> 인가대수 || 1대 || ||<-2> 노선 ||<-4> [[태화강역]] - 울산세무서 - [[울산고속버스터미널]].[[울산시외버스터미널]] - 반구1동주민센터 - 학성공원 - (→ 신중앙시장 →/← 학성배수장 ←) - 성남동 - 우정지하도 - 태화로터리 - [[울산대공원]](동문) - 상개동크로바아파트 - [[덕하역]] - 덕하시장 - 청량초교 - 남구예비군훈련장.청량농협 - 망양LG하우시스 - 외고산옹기마을 - 온양읍사무소 - 남창 - 아랫귀지 - 귀지마을회관 - 교동입구.외광보건진료소 - 내광마을 - 내광종점 - 용당마을 || == 개요 ==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였다. 총 거리는 34.8km다.[* 원래는 32.7km였으나 종점이 내광에서 용당마을로 연장됨에 따라 2.1km 늘어났다.] == 역사 == * 구 325번이 전신이다. 당시에는 내광에서 연암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었다. * 2003년 3월 개편으로 연암에서 울산역(현 [[태화강역]])까지 단축되었다. * 2003년 8월 개편 때 번호가 507번으로 바뀌었다. * 2008년 5월 30일에 노선이 변경되었다. * 2008년 12월 29일에 [[남창역]] 미경유로 변경되었다. * 2012년 3월에 내광종점에서 용당마을까지 연장되었다. * 2018년 12월 22일부터 울산도서관을 경유하게 되었다. * 2019년 7월 20일에 폐선되었다. 대신 마실버스[* 현재 [[경기도]]에서 운행 중인 따복버스를 일부 모방한 것으로 추정된다.] [[울산 버스 울주01|울주01번]]으로 대체하는데 전 구간 대체가 아닌 일부 구간만 대체하여[* 내광종점~남창 구간만 운행하게 된다.] 환승을 유도할 것으로 보인다. 이 노선이 단독으로 지나는 [[용당내광로]], [[광청로]] 연선은 주로 노인들의 거주 비율이 높은 만큼 [[환승저항]]이 예상된다. == 특징 == * 주로 50대 이상의 노인들이 많이 이용했다. 그러다 보니 시내에서는 빈 자리가 많았다. * 언양권을 제외한 울산시내버스 노선들 중 하루 운행횟수가 가장 적었다. * '외광리 - 삼광리 - 내광리' 구간은 단독 구간이었다. * [[태화강역]]에서 신중앙시장 일대로 바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울산 버스 137|137번]]도 있었으나 폐선되었고 이 노선도 폐선되었다. 현재는 411번과 421번이 있다.] 다만 용당 방향만 경유하며 반대 방향으로 이 곳에서 [[태화강역]]으로 바로 가는 노선은 [[울산 버스 949|732번]][* 현재는 태화강역에서 농소차고지 구간을 단축시키고 949번 지선버스 노선으로 전환. 마찬가지로 현재는 411번과 421번이 있다.]이 유일했다. * [[울산 버스 225|225번]], [[울산 버스 715|715번]][* 개편 전에는 성남동부터 남창까지 완전히 똑같은 구간이었으나 2011년 11월 개편을 통해 715번이 울산시청을 경유하게 되어 약간의 차별화가 주어졌다.]과 함께 온양읍과 성남동을 이었다. * [[공영버스]] 노선이다.([[http://www.ulsan.go.kr/executive/InfoHelper.do?method=select&func=list&PGM_GBN=infoHelper&FIELD_S=60#n5|시정백과 3번 참조]]) 그래서 [[울산 버스 734|734번]]과 다르게 꿋꿋하게 운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2019년 7월 20일 폐선되었다. * 종점 용당마을은 부산 방향 버스들이 정차하는 곳과는 전혀 다른 곳(용당내광로 안쪽)으로, 울산 버스 507번과 양산 마을버스 웅진10번이 정차하는 곳이었다.[* 울산교통관리센터에는 제대로 표시되어 있지 않다.][* 정차는 하지 않지만 1147번이 통신사로로 가면서 해당구간을 지나간다.] 좀 걸어가면 용당마을 정류장에서 울산버스(714, 1127, 1137, 검단마을버스61번), 양산시내버스(2100, 2300번)를 이용할 수 있었다. 근처 용당공영차고지에서는 부산시내버스(302, 1002)와 양산시내버스(52, 56, 58, 59, 61)를 이용할 수 있었다. 환승할인은 울산버스 노선들과만 가능했다. == 연계 철도역 == * 일반 철도역: [[태화강역]], [[덕하역]](이하 무궁화호) [[분류: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폐선]][[분류:2019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