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include(틀:대한민국의 경전철)] [include(틀:동남권 광역전철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노면전차]][[분류:울산광역시의 도시철도]] ||<-5>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울산 도시철도 3호선.svg|height=45]] ||{{{#00A598 {{{+1 '''울산 도시철도 3호선'''}}}[br]{{{-1 蔚山 都市鐵道 三號線}}}[br]Ulsan Metro Line 3 }}}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울산 트램.png|width=100%]]}}} || ||<-5> {{{#fff '''노선도'''}}}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울산 도시철도 3호선 노선도.svg|width=100%]]}}} || ||<-5> '''{{{#fff 노선 정보}}}''' || || '''분류''' ||<-4> [[대한민국의 도시철도|도시철도]]([[노면전차]]) || || '''총사업비''' ||<-4> 4,085억 원[*1 울산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추정] || || '''기점''' ||<-4> 효문역(가칭)[* 울산시 홈페이지에서는 [[효문역]]으로 표기되어 있다.][* 추후 호계 방향까지 연장 추진 예정.] || || '''종점''' ||<-4> 대왕암공원역(가칭) || || '''역 수''' ||<-4> 15개 || || '''구성노선''' ||<-4> 울산 도시철도 3호선 || || '''개업일''' ||<-4> 미정 || || '''소유자''' ||<-4> [[울산광역시|[[파일:울산광역시 휘장_국영문.svg|width=150]]]] || || '''운영자''' ||<-4> 미정 || || '''사용차량''' ||<-4> [[노면전차#수소전기트램|수소전기트램]] || || '''차량기지''' ||<-4> 남목사거리 인근(예정) || ||<-5> '''{{{#fff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4> 16.99㎞ || || '''선로구성''' ||<-4> [[복선]] || || '''동력원''' ||<-4> 수소연료전지, 전기 배터리 || || '''표정속도''' ||<-4> 26.01㎞/h[*1 울산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추정] || || '''지상 구간''' ||<-4> 전 구간 || || '''통행 방향''' ||<-4> 우측통행 || [목차] [clearfix] == 개요 == [[울산광역시]]에서 2029년 [[울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개통 이후 건설이 추진될 '''효문동 행정복지센터와 대왕암공원을 잇는 [[울산 도시철도]]의 세 번째 노선'''이다. == 상세 == 구체적으로 [[대왕암공원]], [[방어진순환도로]], [[염포로]], 효문사거리를 지나므로 [[울산 동구|동구]] 내부 중심지를 관통하는 노선이자 [[현대중공업]]과 [[현대자동차]]를 경유하는 노선이라 할 수 있다. 계획상으로는 3호선의 차량기지는 남목역(가칭) 근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른 울산 도시철도 노선들과 마찬가지로 '''[[노면전차#수소전기트램|수소전기트램]]'''이 투입되어 운영될 예정이다. 울산 동구의 남북축을 연결함과 동시에 동구와 울산 도심들을 이어주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 동구는 울산 도심과 연담화되어 있지 않아 지금까지 별개의 생활권으로 인식될 정도로 동떨어져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인지 울산 도시철도 네 개의 노선 중 가장 노선 길이가 길다.] 전 구간 도로 위에 철로가 지어질 예정이며 효문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울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과 연계하여 환승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역 목록 == 역번 및 역명 등은 모두 가칭이다. ||<|2> {{{#ffffff 역번}}} ||<|2> {{{#ffffff ㎞}}} ||<|2><-2> {{{#ffffff 역명}}} ||<-2> {{{#ffffff 승강장}}} ||<|2> {{{#ffffff 환승노선}}} ||<|2> {{{#ffffff 소재지}}} || || {{{#ffffff 형태}}} || {{{#ffffff 횡단}}} || || 206[* 울산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서 역번을 206으로 표시하였다.] || 0.0 || 효문행정복지센터[* 울산시 홈페이지에서는 효문역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동해남부선 [[효문역]]을 말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 新孝行政福祉센터 || || || --{{{#0065B3 ●}}} [[울산 도시철도 2호선|울산 2호선]]-- ||<|6> [[북구(울산)|북구]] || || 301 || ? || 효문사거리[* 이 일대에서 동해선과 교차한다.] || 孝門四街里 || || || || || 302 || ? || 율 동[* KTX 리무진버스 5002의 정류장과 비슷하게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율동 한신 더휴 또는 효문 코오롱하늘채 앞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 栗 洞 || || || || || 303 || ? || 양 정[* KTX 리무진버스 5002의 정류장과 비슷하게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양정 힐스테이트 앞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 楊 亭 || || || || || 304 || ? || 염 포[* KTX 리무진버스 5002의 정류장과 비슷하게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염포 성원상떼빌 앞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 鹽 浦 || || || || || 305 || ? || 성 내 || 城 內 || || || || || 306 || ? || 남 목 || 南 牧 || || || ||<|9> [[동구(울산)|동구]] || || 307 || ? || 청 운[* [[현대청운고등학교]]에서 따온 가칭.] || 靑 雲 || || || || || 308 || ? || 미 포[* [[해운대 해변열차]]의 [[미포역]]과 한자까지 중복된다.][* 선로상 [[미포(지명)#s-2|미포동]] 자체는 지나가지 않는다.] || 尾 浦 || || || || || 309 || ? || 명 덕 || 明 德 || || || || || 310 || ? || 전 하 || 田 下 || || || || || 311 || ? || 현대중공업 || 現代重工業 || || || || || 312 || ? || 일 산[* [[경의중앙선]] [[일산역]]과 무관하다. 고양시 쪽은 一山으로 표기.] || 日 山 || || || || || 313 || ? || 월 봉[* 월봉시장에서 따온 가칭.] || 月 峰 || || || || || 314 || 16.99 || 대왕암공원 || 大王岩公園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