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 청사]][[분류:울릉군]] [include(틀: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 청사)] ||<-3>
[[파일:울릉군 CI.svg|width=20]][br] {{{+2 {{{#000 '''울릉군청'''}}}}}}[br]{{{#000 鬱陵郡廳 | Ulleung County Offic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울릉군청.jpg|width=100%]]}}} || ||<-3>{{{#!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울릉군청, 너비=100%, 높이=100%)]}}} || || '''주소''' ||<-2>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2길]] 66[* 도동리 206-1] || || '''국가'''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 || '''관할구역''' ||<-2> [[경상북도]] [[울릉군]] || || '''직원 수''' ||<-2> 180명[* 울릉군 일반현황] || || '''예산''' ||<-2> 2,000억원 (2021년) || || '''군수''' || [[남한권]] || [include(틀:국민의힘)] || || '''부군수''' ||<-2> 박상연 || || '''상급기관''' ||<-2> [[경상북도청]] || || '''홈페이지''' ||<-2> [[https://www.ulleung.go.kr/k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 '''SNS''' ||<-2> [[https://www.facebook.com/ulleunggu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www.instagram.com/ulleungstor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Eimjrj1TmbS367s4NokUW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blog.naver.com/ullgongbo|[[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울릉군]]의 행정을 총괄하는 기관이자 그 기관이 입주한 건물. [[울릉군의회]]와는 도보로 5분 정도 거리에 위치한다. [[대한민국]]의 [[기초자치단체]] 청사 중 가장 동쪽에 위치한 청사이기도 하며, 이는 [[북한]] 지역까지 포함해도 변하지 않는다. == 역사 == [[신라]] 시기 [[이사부]] 장군이 [[우산국]]을 정벌한 이래, 한반도 육지의 국가들에 편입되어 그 역사를 함께 해 왔으며, 우산국 정벌로부터 1400여년 가량 흐른 [[1900년]]에 [[울도군]]으로 개칭되는 동시에 [[강원도]]로 편입되었으며, 이때 하위 행정구역으로 남면(현 [[울릉읍]] 및 [[서면(울릉)|서면]] 남양리·남서리)과 북면(현 [[북면(울릉)|북면]] 및 서면 태하리)을 두었다. 이어 [[1906년]]에는 강원도에서 [[경상남도]]로 이관되고, 남면 남양동, 남서동과 북면 태하동[* 당시 경상북도에서는 읍면의 하위 행정구역으로 '리' 대신 '동'을 쓰는 곳이 많았으며, 1988년 일괄적으로 '리'로 개칭됐다.]을 분리하여 서면이 신설됐다. 이후 [[경술국치]]로 [[일제강점기]]가 시작된 후인 [[1914년]] [[경상북도]]로 이관되고, 이어 [[1915년]] [[조선총독부|총독부]]가 [[전라남도]] [[제주도|제주군]]과 경상북도 [[울도군]]에 한해 군을 폐지하고 도(島)제를 실시함에 따라 울도군청은 울릉도청(島廳)이 되었고 울릉군수 또한 울릉도사(島司)로 개칭되었다. 이 행정구역은 [[광복]] 이후 [[미군정]]기까지 유지되었으며,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인 [[1949년]] 다시 군제로 환원되며 울릉군청으로 바뀌어 현재에 이른다. 현재 사용중인 청사는 [[1982년]]에 준공되었기에 현재 울릉군은 심각한 청사 협소문제를 겪고 있어 적극적으로 청사 이전 사업을 진행하였고 이 결과 구 [[울릉중학교]] 교사 부지에 [[https://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856691|새 군청을 신축]]하게 되었다.[* 울릉중학교는 울릉군 관내의 다른 중학교(우산중, 울릉서중, 울릉북중)과 통폐합되어 사동리의 새 교사로 이전했다. 물론 구 울릉중 부지가 현 청사보다 넓은 건 사실이지만, [[http://kko.to/drZiTE8zG|지도에서 보듯이]] 주변이 주택과 상점가가 자리했기 때문에, 만약 자리를 잡는다면 주변까지 아울러서 정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군청 이외의 울릉군으로써의 더 자세한 역사는 [[울릉군/역사]] 문서를 참고. 근대 시기 울릉도에 위치한 행정구역은 [[울도군]] 문서를 참고. === 역대 군수 === ||<-3> 경상북도 울릉군수(관선)[* 이 시기의 군은 지금과 다르게 자치단체가 아니였고 오히려 군 예하의 읍,면이 자치단체로 1950년대엔 읍/면 의회 의원들을 통한 간접선거로, [[1960년 지방선거]]땐 직접선거로 선출할동안 군수는 얄짤없이 도지사 임명제였기에, 민선군수는 [[1995년]]에야 탄생한다.] || ||초대||서이환||1945.12.13 ~ 1948.4.6|| ||2대||허필||1948.4.6.~1949.1.8.|| ||3대||홍성국||1949.1.8.~1952.8.7.|| ||4대||최징||1952.9.7.~1953.1.9.|| ||5대||임상옥||1953.2.22.~1955.8.29.|| ||6대||김동섭||1955.9.10.~1958.1.9.|| ||7대||박홍갑||1958.12.16.~1959.8.25.|| ||8대||석기일||1959.8.31.~1960.6.24.|| ||9대||최우균||1960.6.25.~1960.11.12.|| ||10대||이진상||1960.12.10.~1962.6.7.|| ||11대||김일규||1961.6.20 ~ 1961.7.21|| ||12대||김한엽||1961.7.21 ~ 1962.5.9|| ||13대||박창규||1962.5.10 ~ 1964.4.9|| ||14대||이태화||1964.4.10 ~ 1964.9.17|| ||15대||송동섭||1964.9.18 ~ 1966.5.12||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 신경균 || 한정석 || 우병운 || 이병희 || 오세진 || || 1966.5.13 ~ 1967.11.14 || 1967.11.15 ~ 1970.3.2 || 1970.3.3 ~ 1971.8.20 || 1971.8.21 ~ 1973.8.3 || 1973.8.4 ~ 1974.10.27 || || 관선([[김인(1924)|김인 도정]]) ||<-2> 관선([[양택식|양택식 도정]]) ||<-2> 관선([[구자춘|구자춘 도정]]) || || 21대 || 22대 || 23대 || 24대 || 25대 || || 고정환 || 박종휴 || 곽춘식 || 안강모 || 김호동 || || 1974.10.28 ~ 1976.4.2 || 1976.4.3 ~ 1978.2.26 || 1978.2.27 ~ 1979.5.13 || 1979.5.14 ~ 1980.7.16 || 1980.7.25 ~ 1981.7.6 || ||<-3> 관선([[김수학(1927)|김수학 도정]]) ||<-2> 관선([[김무연|김무연 도정]]) || || 26대 || 27대 || 28대 || 29대 || 30대 || || 신태근 || 신승국 || 권혁대 || 이숙현 || 김대호 || || 1981.7.13 ~ 1982.9.20 || 1982.9.21 ~ 1985.3.25 || 1985.3.25 ~ 1986.6.8 || 1986.6.9 ~ 1988.6.9 || 1989.6.15 ~ 1989.12.16 || || 관선([[김성배(1927)|김성배 도정]]) || 관선([[정채진|정채진 도정]]) || 관선([[이상희(1932)|이상희 도정]]) || 관선([[이상배|이상배 도정]]) || 관선([[김상조|김상조 도정]]) || || 31대 || 32대 || 33대 || 34대 || 35대 || || 이남철 || 김두동 || 고철환 || 구태서 || 강채규 || || 1989.6.15 ~ 1989.12.16 || 1989.12.27 ~ 1990.6.25 || 1990.7.5 ~ 1990.11.28 || 1991.1.14 ~ 1992.7.2 || 1992.7.3 ~ 1993.6.2 || ||<-2> 관선([[김상조|김상조 도정]]) ||<-2> 관선([[김우현(정치인)|김우현]]) || 관선([[이판석|이판석 도정]]) || || 36대 || 37대 || 38~39대 || 40대 || 41~42대 || || 장경곤 || 한희섭 || [[정종태]] || [[오창근]] || [[정윤열]] || || 1993.6.3 ~ 1994.8.8 || 1994.8.9 ~ 1995.6.30 || 1995.7.1 ~ 2001.7.31 || 2002.7.1 ~ 2006.6.30 || 2006.7.3 ~ 2011.6.9 || || 관선([[이의근|이의근 도정]]) || 관선([[우명규|우명규 도정]]) || [[1995년 지방선거|민선 1기]] [include(틀:민주자유당)][br][[1998년 지방선거|민선 2기]] [include(틀:한나라당)] || [[2002년 지방선거|민선 3기]] [include(틀:한나라당)] || [[2006년 지방선거|민선 4기]] [include(틀:무소속)][br][[2010년 지방선거|민선 5기]] [include(틀:한나라당)] || || 43~44대 || 45대 || 46대 || || [[최수일]] || [[김병수(1954)|김병수]] || [[남한권]] || || 2011.10.27 ~ 2018.6.30 || 2018.7.1 ~ 2022.6.30 || 2022.7.1 ~ || || [[2011년 재보궐선거|재보선]] [include(틀:무소속)][br][[2014년 지방선거|민선 6기]]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8년 지방선거|민선 7기]] [include(틀:자유한국당)] || [[2022년 지방선거|민선 8기]] [include(틀:국민의힘)] || == 조직 == * 군수 * 부군수 * 기획감사실 * 행정복지경제국 * 총무과 * 주민복지과 * 재무과 * 환경위생과 * 일자리경제교통과 * 관광건설해양국 * 관광문화체육과 * 안전건설과 * 해양수산과 * 지역개발과 === 직속기관/사업소 === * 보건의료원 * 보건사업과 * 원무과 * 농업기술센터 * 농업산림과 * 기술보급과 * 독도박물관 * 독도관리사무소 * 상하수도사업소 * 시설관리사업소 * 대외협력사무소 === 소관 읍/면 [[행정복지센터]] === * 울릉읍사무소 * 서면사무소 * 태하출장소 * 북면사무소 == 논란 == * 남성 9급 공무원이 울릉군청 내 관광문화체육과에서 근무하는 동안 자신에게만 사무실 아침 청소를 시키자 남자 직원에게만 청소를 시키는 것은 과도한 업무분장이므로 여직원도 같이 할 것을 요구했으나 "관행"이라는 이유로 묵살 당했으며 부서원들이 뒷담화와 폄훼발언들을 하고 부서장은 "군내 소문이나 낙인이 찍히니 알아서 퇴직하는게 어떻겠냐"라고 퇴직을 종용했다. 결국 해당 남성 공무원은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다가 사직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629&aid=0000106202|#]] == 여담 ==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군청]] 문서 중 가장 먼저 작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