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포항12경)] [[분류:산]] ##산에 관한 지리 프로필 ||<-2> {{{#fff {{{+1 '''운제산'''}}}[br]雲梯山 | Unjae Mountai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어사절경_운제산.jpg |width=100%]]}}}|| ##이미지가 없을 경우 생략,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000,#ddd {{{-1 오어사의 절경.}}}}}} || ##이미지에 대한 적합한 설명이 없을 경우 생략, 삭제할 수 있습니다.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운제산, 너비=100%, 높이=200)]}}}|| || '''소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 ||<-2> ''' 최고봉''' || || '''이름''' ||대왕암 || [목차][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과 대송면에 걸쳐서 있는 산. 산은 완만한 편이며, 불국사의 말사인 오어사가 본 산에 위치해있다. == 역사(또는 자연사) == 운제산이라는 이름의 역사는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신라시대 [[혜공]]과 [[원효대사]]가 이곳 운제산에서 함께 수도를 하며 구름(雲)을 다리처럼 건너다녀 운제산이라고 하는 설이 있고, 삼국유사에 기재된 설인 [[운제부인]]으로부터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 다음은 운제산성모 설에 대한 삼국유사 기록이다. >제2대 [[남해왕]] >남해[[거서간]]은 또한 [[차차웅]]이라고도 한다. 이는 존장(尊長)의 칭호이니 오직 이 임금만 이렇게 불렀다. 아버지는 혁거세요 어머니는 알영부인이요 왕비는 [[운제부인]](雲帝夫人) (혹은 운제(雲梯)라고도 하는데 지금 영일현(迎日縣)서쪽에는 운제산 성모가 있어 가물 때에 기도를 드리면 영험이 있다.)이다. >---- >삼국유사 1권 기이, 제2대 남해왕에서 발췌 어찌됐던 간에, 신라시대때 부터 운제산이라는 호칭이 굳은 것으로 보인다. 지금도 운제산성모에게 기도를 하는 무속인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