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인천광역시 중구 운남동, rd1=운남동(인천))] [include(틀:광산구의 법정동)] ||<-2> '''[[광산구|{{{#000000,#dddddd 광산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운남동}}}'''[br]雲南洞 | Unnam-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광산구 운남dong,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광주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광산구 || || '''행정표준코드''' || 2920012000 || || '''관할 행정동''' || 운남동 || || '''면적''' || 2.10㎢ || [목차][clearfix] == 개요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부에 위치한 [[법정동]]. 동쪽과 북쪽은 [[신가동]], 남쪽으로는 [[영산강]] 너머 [[서구(광주광역시)|서구]] 덕흥동 및 [[치평동]], 서쪽은 [[풍영정천]] 너머로 광산구 [[월곡동(광산구)|월곡동]]과 [[우산동(광산구)|우산동]]에 접한다. 과거 ‘금구’와 ‘마지’라는 이름의 마을이 이 일대에 위치했으며, 두 지명 모두 초등학교 교명으로 남아있다. ‘금구’라는 지명은 중학교에도 쓰였다. 원래 운림동이었지만, [[동구(광주)|동구]] 운림동과 겹쳐 헷갈리므로 더 남쪽이라는[* 사실 위도 상으로 동구 운림동이 더 남쪽이다.] 이유로 운남동으로 개칭했으나 [[북구(광주)|북구]] [[운암동]]이랑 발음이 비슷해져버렸다.(...) 1994년 운남1지구를 시작으로 2003년 운남2지구에 영천마을아파트가 입주하면서 약 10년간 개발이 이뤄졌고 지금은 대규모 아파트 촌으로 변모했다. == 역사 == * 1995년 1월 1일: 광산구 비아출장소 신가지소로 개원 * 1997년 7월 1일: 광산구 [[신가동]] 신설 * 2003년 6월 30일: 신가동에서 운남동으로 분리 * 2005년 12월 05일: 운남동사무소(現 운남동행정복지센터) 신축 개청[* 광주광역시 광산구 목련로217번길 10] == 교통 ==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 ==== 급행 ==== * [[광주 버스 수완03]] ==== 간선 ==== * [[광주 버스 일곡10]] * [[광주 버스 문흥18]] * [[광주 버스 송정29]] * [[광주 버스 봉선37]] * [[광주 버스 문흥39]] * [[광주 버스 금호46]] * [[광주 버스 송정98]] ==== 지선 ==== * [[광주 버스 상무62]] * [[광주 버스 임곡89]] * [[광주 버스 첨단94]] * [[광주 버스 송정33]] * [[광주 버스 첨단40]] * [[광주 버스 진곡196]] ==== 마을 ==== * [[광주 버스 송정700]] * [[광주 버스 평동701]] * [[광주 버스 광산720]] 운남동의 북부 지역에만 개발이 밀집되어있지만, 대로들을 따라 버스가 상당히 많이 다닌다. 근처의 흑석사거리[* 수완12, 선운101, 첨단92, 첨단20 추가 이용 가능]와 신가사거리[* 첨단09, 수완49 추가 이용 가능]의 정류장을 이용하기 용이하다. [[하남대로(광주)|하남대로]]와 [[임방울대로]]가 교차하여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기 유리한 편. === [[광주 도시철도 2호선|도시철도]] ===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의 [[신가역]]과 [[운남역]]이 개통될 예정이다. == 주거 == || '''건설사''' || '''아파트명''' || '''입주날짜''' || '''규모''' || ||<|2> 송촌종합건설, [[남해종합건설]] || 운남주공1단지[*국민임대주택] || 1997.05 || 476세대 || || 운남주공2단지 || 1997.09 || 863세대 || || [[대주건설]] || 운남주공3단지 || 1996.09 || 894세대 || || 송촌종합건설, [[남해종합건설]] || 운남주공4단지 || 1996.06 || 1511세대 || || [[선경건설]], [[라인건설]] || [[운남주공5단지아파트|운남주공5단지]] || 1997.12 || 1106세대 || || [[금호건설]] || 운남주공6단지 || 2002.01 || 1148세대 || || [[남양건설]] || 운남주공7단지 || 2002.01 || 1673세대 || || [[호반건설]], [[남양건설]], [[중흥건설]] || 운남주공8단지 || 2000.11 || 1321세대 || || [[남양건설]] || 남양아파트 || 1998.11 || 298세대 || || [[삼성물산 건설부문]] || [[운남동 삼성아파트|삼성아파트]] || 1996.12 || 1956세대 || || [[우방(기업)|우방]] || 우방아이유쉘 || 2015.12 || 515세대 || || [[진아건설]] || 진아리채리버힐즈 || 2020.4 || 462세대 || == 관할 행정동 == === 운남동 === ||<-2> '''[[광산구|{{{#000000,#dddddd 광산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운남동}}}'''[br]雲南洞 | Unnam-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광산구 운남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광주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광산구 || || '''행정표준코드''' || 3630053 || || '''관할 법정동''' || 신가동, 운남동 || || '''하위 행정구역''' || 46통 174반 || || '''면적''' || 2.85㎢ || || '''인구''' || 29,688명[* 2023년 7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0,416.84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광산구 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용빈]] ,,(초선),, || ||<-2> '''광주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정무창]] ,,(재선),, || ||<-2> '''광산구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공병철 ,,(재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명수(1956)|김명수]] ,,(3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윤혜영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목련로217번길 10[* 운남동 387-25] || || [[https://www.gwangsan.go.kr/co/contentsView.php?pageID=gwangsan0709010100|운남동 행정복지센터]] || 행정동 운남동에 대한 설명은 [[광산구/행정#s-3.4|항목]] 참조. 행정동인 운남동이 법정동인 운남동 전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남대로(광주)|하남대로]]이남의 법정동 [[신가동]]의 영역을 관할한다.] 90년대 운남1지구로 [[주공아파트]]가1~5단지, 2000년대 운남2지구로 6~10단지가 지어져 주공아파트만 93동에 달한다.[* 9,10단지는 운남동 밖이기 때문에 8단지까지만 센다.][* [[임방울대로]]기준으로 동쪽이 1지구, 서쪽이 2지구이다.] 흔히 그냥 '운남지구'로 뭉뚱그려 부르지만, 개별적으로 개발된 이유인지 두 곳 간에 묘한 구분이 지어진다. 1지구 상권은 운남동 우체국 근방으로 신가동과 가까운편이고, 2지구 상권은 풍영정천을 끼고 월곡2동과 더 가까운 모습이다.그리고 삼성아파트는 1지구와 2지구사이라고 보면되지만 그건 정문기준이고 후문기준은 1지구와 가깝다.나이드신 분들은 운남1지구를 '[[신가동|신가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마지초등학교 부근 재개발 소식이 있다. [clearfix] == 기타 == * 광주에서 가장 [[국민의힘]]이 표를 받지 못하는 곳이다.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선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가 1.05%의 득표율을 받고, 광주 행정동에서 가장 낮은 지지를 받은 곳이다.[* 가장 높은 득표율은 봉선2동의 3.48%였다] 이유로는 작은 평수의 주공촌들이 즐비하기 때문으로 예측된다.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10%도 득표하지 못했다 * 운남동은 '목련마을'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고, 실제로도 아파트단지에 목련마을이라는 이름이 새겨져있는 것을 자주 목격할 수 있다.[* 월곡동의 주공 9,10단지는 풍영정천의 이름을 따서 영천마을이라고 부른다.] 동 중간을 관통하는 도로 또한 목련로이다. 운남동에 광산구어린이도서관과 광산구노인복지회관[* '더불어락' 이라는 이름을 사용중이다.]이 있고, 광산구의 구화가 목련인걸 보면 구 차원에서 신경을 쓰는 듯 하다. * 버스노선도 굉장히 많고, [[수완지구]], [[상무지구]], [[첨단지구]] 등 광주시내 전역으로 이동을 하기 위해서는 운남동을 거쳐야한다. 도로도 잘 발달되어 있고, 버스노선도 굉장히 많다. * 동 중간을 [[광주선]]이 뚫고 지나가며, 아파트는 전부 북쪽에 있다. 남쪽은 땅이 좁은 것은 아니지만 철길을 건너야 하는 부담스러운 접근성과, [[광주공항]]으로 인해 제한되는 개발환경으로 농촌의 모습을 유지중이다. 그 사이에는 운남동 근린공원이 있다. 농지 너머에는 [[영산강]]이 [[서구(광주)|서구]]와의 경계를 만들어준다. 그리고 [[풍영정천]]이 바로 여기서 합류한다. 나름 강변 뷰가 확실한 동네이다. 그리고 넉넉한 농지 덕분에 넓은 시야로 영산강 너머 광주 시가지가 한눈에 들어온다. 일부 세대에서는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와 [[상무지구]], [[서구(광주)|서구]] [[양동]]에 [[KDB생명빌딩]]과 [[무등산]]까지 훤히 보이기도 한다. 주공 3단지 서쪽으로 [[진아리채]] 리버힐즈가 입주 예정인데, [[영산강]] 강변 조망 때문인지 28층 높이로 지어져 운남 2지구의 20~25층 내외의 아파트들의 조망이 막힐 것으로 보인다. * [[택지개발]] 역사에서 [[수완지구]]보다는 한참 선배이지만, [[수완지구]]의 인지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가끔은 [[수완지구]]의 입구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 운남지구가 아파트가 많고, 주거단지의 역할을 하다보니 상대적으로 상권이 많이 형성되어 있지는 않다. 그나마 [[수완지구]]가 있어 대부분 식사, 쇼핑, 술을 마시러 수완지구로 많이간다. * 여담으로 운남대교의 밑에 '라비스키친'이라는 레스토랑이 있는데, 이 레스토랑의 주인이 [[하일(방송인)|로버트 할리]]의 막내아들이다. 가끔씩 [[하일(방송인)|로버트 할리]]가 직접 방문한다고 한다. 또한 마지초등학교 인근에는 전 [[해태 타이거즈]] 포수 [[최해식]]이 운영하는 최해식의 최고루가 있다. 이 곳이 본점이다.[* 본점을 시작으로 점포수를 늘려가며 광주광역시 권역에 약 10여개의 최고루가 있다. 맛이 조금씩 다른 것으로 알려져있다.] * 2018년 12월 [[스타벅스]] 광주운남DT점이 생겼다. (주소 : 광주 광산구 임방울대로 156) == 교육 == * '''초등학교''' * 운남초등학교 * 금구초등학교[* 운남초등학교에서 분리되어 개교함.] * 마지초등학교[* 운남초등학교에서 분리되어 개교함.] * 목련초등학교[* 금구초등학교에서 분리되어 개교함.] * '''중학교''' * 운남중학교 * [[금구중학교]][* [[운남고등학교]]와 담장하나를 두고 위치함.][* 운남중학교에서 분리함] * '''고등학교''' * [[운남고등학교]] [[분류:광산구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