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운근)] [include(틀:원신 캐릭터 여담)] [목차] == 개요 == [[운근]]에 대한 [[여담]]을 정리한 문서. == 목록 == === 게임 외 === * 서비스 초창기부터 모델링이 존재했던 캐릭터이다. 2.1 버전에 전체 모델링이 통째로 유출된 후 소식이 없었으나[* 물론 관련 대사 추가, 축월절 스토리 컷신에서 모습을 드러낸 것으로 보아 아예 소식이 없었다고는 할 수 없다.] 2.3 버전 업데이트를 이틀 남겨놓고 [[신학(원신)|신학]]과 함께 정식으로 공개되었고, 2.4 버전에서 등장하였다. * 원신 서비스 이후 최초로 추가된 바위 여성 신규 캐릭터이며, '''1.1 버전'''의 [[종려]] 이후 등장한 바위속성 장병기 캐릭터이자, 최초의 바위 장병기 여성 캐릭터이다. 축월절 컷신에서 신의 눈이 하늘색으로 표현돼서 바람 혹은 얼음 원소로 변경되었다는 설이 있었지만 초기 유출대로 바위 원소로 등장한 것을 보면 단순히 작화 오류로 보인다. * 공식 일러스트에서 들고 있는 무기는 용학살창인데, 화려한 외형과 캐릭터 출신이 리월이라는 점에서 잘 어울리긴 하지만 바위 원소 캐릭터인 운근과는 스킬 메커니즘 상 시너지가 전혀 맞지 않는 무기다. 다만 용학살창의 팔레트스왑 무기인 천암장창과는 그럭저럭 어울리는 편이긴 하다. * 인게임 성능 메커니즘은 바위 [[북두(원신)|북두]]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다. 원소스킬은 차지 중에 실드를 펼치고 제자리에서 대기하는데, 일정 시간 차지를 하거나 혹은 피격 타이밍에 원소스킬을 사용한다면 풀차지 공격이 나가는 방식이다. 북두와는 달리 굳이 피격당하지 않아도 풀차지가 가능하다는 것이 차이점. 원소폭발은 파티원의 일반 공격에 횟수 제한이 있는 추가 데미지 버프를 부여하는 스킬로, 북두의 원소폭발은 미약하게나마 보호막이 있고 번개 내성 감소로 아군 번개 원소 캐릭터를 추가 서포팅하지만, 운근은 평타 공격속도와 피해 증가를 통해 속성 상관없이 아군의 평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방어력 기반의 바위 속성 서포터라는 점에서 고로와도 공통점이 있지만, 파티에 바위 캐릭터가 많아야 이득을 보는 고로와는 달리 운근은 파티를 다양한 속성으로 편성해야(=바위 캐릭터가 적어야) 이득을 보도록 설계되어 있다. 같은 바위 캐릭터끼리의 시너지를 중시하던 여태까지의 캐릭터와는 다른 바위 캐릭터. * [[경극]]이 모티브인 만큼 대기 모션, 일반 공격, 강공격 후의 동작에서 경극 특유의 음과 동작이 드러난다. 이벤트 때의 스탠딩 포즈도 손을 펼치는 운근만의 포즈가 있다. 그래서인지 원신 여자 캐릭터들 중에서 흔치않게 응광 다음으로 화장을 한 캐릭터이다. * 중국의 전통적인 경극[* 근현대로 넘어오며 여성의 사회적 영향력이 대두되면서 현재는 여성도 경극에 출연하고 있다.]은 모든 배역을 남자가 하기 때문에, 극중 여성 캐릭터가 등장한다면 그 캐릭터도 남성이 연기한다. 이를 잘 묘사하는 영화가 [[천카이거]] 감독의 [[패왕별희]]로, 여성 배역을 맡은 남자 주인공이 해당 역할을 부정하다가 점차 배역을 받아들이면서 나타나는 정체성의 변화를 그려낸 영화이다. 이 때문에 운근은 사실 남자라는 드립도 나오기도 했지만, 미호요에서 공식적으로 운근을 여성이라고 표기하고 있고 소개에서도 그녀라고 나오고 있다. 어디까지나 경극은 모티브일 뿐이기 때문. * 2.4 버전에서 [[응광]]과 함께 전설 임무가 공개되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unjin vs kuroneko.jpg|width=100%]]}}} || 캐릭터 디자인이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내여귀]]의 [[쿠로네코(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쿠로네코]]랑 묘하게 닮았다는 얘기가 있다. 마침 같은 게임의 [[각청]]도 [[캬루]]를 닮아 갹루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_V3alYqXG0)]}}} || 2021년 12월 10일, 공식 유튜브에 올라온 TGA 2021 참가 영상의 1분 20초 부분에서 짤막하게 등장했다. 영상에는 이나즈마 캐릭터들이 다수 나오지만 다 제치고 썸네일을 장식했다. * 운근을 끝으로 4.1 버전 현재까지 바위 속성 캐릭터들은 더 이상 출시되지 않고 있다. 이후 폰타인 지역이 출시되면서 주요 캐릭터로 등장한 [[나비아]]가 바위 속성 신의 눈을 가진게 확인되면서 실로 오랜만에 바위 속성 캐릭터의 등장이 예고되었다. * 운근의 영문 철자를 발음하면 '윤진'이 되는데, [[LE SSERAFIM]] 멤버 [[허윤진]]이 [[겁도 없꾸라]]에서 이걸 이용한 말장난을 한 적이 있다. * 캐릭터도 미형이고 모델링도 잘 나왔지만, 2차창작에서는 묘사하기 가장 어려운 캐릭터 중 하나. 흑발적안 장발 히메컷 캐릭터가 한둘이 아닌지라 복장만 바꿔도 운근인지 아닌지 분간조차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특징적인 경극 소품 모자를 쓰고 나오는 일러스트가 절대 다수로, 사실 모자 쪽이 본체라는 농담이 있을 정도다. R-18 일러스트에서조차 다 벗고 있어도 모자는 꿋꿋이 쓰고 있는 경우가 허다하다. ==== 경극 보이스 관련 이슈 ==== > 운근은...네가 보기에 그녀의 연극이 어때? '''처음에는 난해할 수도 있지만 조금만 참고 감상해봐.''' 이런 고상한 예술은 계속 전승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서 그녀의 극단에 투자한 거거든 >---- > [[응광]]의 "운근에 대해"에서 나오는 대사 운근의 컨셉에 맞춰 중국어 경극 노래 보이스가 삽입되었는데[[https://youtu.be/IMqby-Db2sk|#]], 중국어로 된 경극이 다른 언어 버전에서도 들린다.[* 때문에 각국 성우 표기에 '[[사문영]]&yangyang(한국어)', '[[코이와이 코토리]]&yangyang(일본어)' 과 같이 각국 성우와 중국 경극 성우가 병기된다.] 운근의 경극 노래는 각국 목소리를 맡은 성우가 경극 창법을 배워서 부르는 것도, 젊은 경극 연습생이 부르는 것도 아니라, 근본 경극 노래를 구현하기 위해 아예 상하이 경극원(上海京剧院) 소속 경극 여배우이자 원로 [[경극#s-1.1|경극 남단 배우]]인 송창롱(宋长荣)의 제자이기도 한 양양(杨扬)을 섭외해 녹음한 것이다. 그래서 경극 창법을 제외하고 보면 목소리 자체는 상당한 미성이다. 하지만 경극 발성이 완성도가 높다 한들, 운근이라는 캐릭터의 연기로는 좋은 평가를 내리기 힘들다. 평상시 발성과 노래할 때의 발성이 다른 경우는 뮤지컬처럼 음악을 다루는 매체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는 발성만이 바뀌기에 색다르다고 느낄지언정 어색하다고 느끼지는 않는다. 하지만 운근의 경우, 평상시 성우와 경극을 부르는 성우가 아예 다른데다 나이 차이까지 많아 굉장히 어색하다. 보통 이런 노래 파트가 있으면 [[로컬라이징]]을 시켜서 각국 성우들에게 직접 노래를 부르게 하거나, 노래는 전문가수가 대타를 하더라도 그 나라의 언어로 노래를 부르는데[* 아마데우스나 파리넬리 같은 오페라 영화에서 배우가 성악을 직접 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성악 부분은 배우의 목소리 대신 성악가를 쓰는 것이나,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 목소리 성우와 노래 성우가 따로 있는 것을 생각해보면 된다.], 경극 창법은 오랜 세월 전문적으로 갈고 닦아야 낼 수 있는 것이기에, 경극과 관련이 없는 연기자인 성우들에게 경극창법을 연습시켜 연기하게 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게다가 경극 창법 특유의 보이스[* 서양의 [[오페라]]처럼 전근대 시대에 마이크 없이 넓은 범위의 청중들에게 대사를 전달하기 위한 특유의 발성법이다.]는 현대의 창법과는 상당히 동떨어져있다. 경극에 익숙하지 않은 젊은 중국인들 역시 [[노국음|현대 중국어와 다른 발음이나 성조]]를 사용하는지라 이해하기 힘들다.[* 관련영상 [[https://youtu.be/wS1QLyqY1Fk|#]]]외국 입장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가 심화되었다. 넣은 것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겠다는 반응이 많았으며, 이와 관련된 기사가 나오기도 하였다. [[http://www.dailycnc.com/news/articleView.html?idxno=209581|#]] 운근이라는 캐릭터 자체가 중국의 [[문화대혁명]] 이후 몇 안남은 전통 문화인 경극을 알리기 위해 만들어진 캐릭터인 만큼 미호요가 경극적 요소를 교체하거나 삭제할 가능성은 낮다. 그리고 운근의 경극 보이스가 처음 나와서 비판 받았던 극초반(2.4버전 업데이트 전)에도 유튜브 경극 관련 영상에 원신 관련 댓글이 달리는 등, 실제로 운근 덕분에 경극의 인지도가 올라가긴 했다. 필드에서 들리는 경극의 비율은 낮다. '파티 가입 1', '잡담•무반주 노래', '눈이 올 때' 세 가지 뿐이기 때문에 필드에 장시간 방치하거나, 파티 가입시 ⅓ 확률, 눈이 오는 필드에 운근을 데리고 가지 않는 한 들을 일이 없다. 그외에도 운근이 비중있게 나온 마신 임무에서 반주까지 들어간 풀버전의 경극 '사원을 가른 신녀'[* 인게임 애니메이션의 연출, 신학이란 캐릭터를 잘 풀어낸 가사, 현대 밴드풍의 음악을 합친 퓨전형식의 경극이라는 점이 잘 어우러져서 국내외 모두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후 2022년 2월 4일에 방송된 원신콘서트에서 운근의 경극 음성을 맡은 양양 본인이 나왔다.]와 운근의 초대 이벤트 엔딩 중 하나의 경극 보이스는[* 이나즈마 마신임무 중에서 나오는 미션인 파란 옷 허수아비는 쓰러트리지 말고, 빨간 옷 허수아비만 쓰러트리는 미션인데, 이를 경극 노래 형식으로 풀어낸 것.] 적절한 반주가 들어가며 공연 느낌을 살린 덕에, 필드 보이스보다는 자연스러운 편이다. 여담으로 영화 [[패왕별희]]를 보고 난 후 운근의 경극 톤을 들은 유저와 그렇지 않은 유저간의 온도 차이도 큰 편이다. 대개 패왕별희를 먼저 접했던 유저들에게는 거부감이 훨씬 적은 편. === 게임 내 === * 공연을 다니면서 이름이 꽤나 많이 알려진 탓에 [[종려]]를 포함한 작중 등장인물들은 운 선생이라고 높여부른다. 그런데 초대 이벤트에서 여행자가 스승님, 선생님이라고 부를 때는 나이들어 보이지 않냐면서 부끄러워 한다. 운근이 여행자에게 호감을 느끼고 있기 때문. 운근이 여행자에게 리월극을 가르치면서 나중에는 '''선배'''라고 불러달라고 부탁한다. * 운근의 가문인 운씨 가문은 과거에는 리월의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단조 명가이기도 하였고, 8대 가주였던 운황은 흑암 시리즈 무기들과 깊은 인연이 있었다. 종려의 말에 의하면 운씨 가문이 가업을 바꾼 시기는 운근의 아버지때부터이며 그때부터 연극에 전념하고 리월 사람들은 점차 운씨 가문이 단조에 주로 종사했었다는 사실을 잊기 시작했다고 한다. * 인기 연예인 설정에 걸맞게 [[바바라(원신)|바바라]], [[닐루]]처럼 공식 미녀 중 한 명이다. 네이버 카페의 소개부터 '아름다운 외모를 가진 배우다', '팬이 많다'라고 언급되고 금사과 제도에서의 신염 비경에서 향릉과 함께 신염에게 '귀여운 얼굴'이라는 소리를 들었다. 경극 보이스를 싫어하는 유저들도 얼굴만은 정말 귀엽다는 호평이 많으며 팬들에게는 바바라, 닐루와(연예인 캐릭터는 아니지만 아이돌 캐스팅 전적이 있는 [[카미사토 아야카]]도 가끔 나온다)'티바트 아이돌'로도 자주 엮이며 해등절 단편 애니에서는 아예 셋이 같이 춤 연습을 하는 모습이 나왔다. === 성우 참여 공식 콘텐츠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코이와이 코토리]] - {{{-1 [[https://youtu.be/Cc5smCgAxXU|라디오 티바트 방송국^^(제7회)^^]], [[https://youtu.be/FP-LfB6BcQ4|라디오 티바트 방송국^^(제8회)^^]], [[https://youtu.be/EkO7-d8j1rM|라디오 티바트 방송국^^(제66회)^^]]}}}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허웬샤오/양양 - {{{-1 [[https://b23.tv/sQNb0Be|2주년 기념 코멘트]]}}}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운근, version=679)] [[분류:원신/등장인물/여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