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EarthyWarmQuickestMailbox, 합의사항1=표제어는 '우크라이나 국제군단'으로 하기)] [include(틀: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7> '''{{{#FFF,#0057B7 {{{+1 우크라이나 국토방위 국제군단}}}[br]Інтернаціональний легіон територіальної оборони України[br]International Legion of Territorial Defense of Ukraine[br]Интернациональный легион территориальной обороны Украины}}}''' || ||<-7> [[파일:우크라이나 국제군단 상징.svg|width=250]] || ||<-7><#0057B7> '''{{{#FFF }}}''' || ||<-7><#FFDD00> '''{{{#FFF }}}''' || || '''{{{#FFF 창설일}}}''' ||<-6><(> [[2022년]] [[2월 27일]] || || '''{{{#FFF 국가}}}''' ||<-6><(>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우크라이나]] || || '''{{{#FFF 소속}}}''' ||<-6><(> [[우크라이나 국토방위군]] || || '''{{{#FFF 규모}}}''' ||<-6><(> 약 20,000명 || || '''{{{#FFF 홈페이지}}}''' ||<-6><(> [[https://theinternationallegion.org/|[[파일:우크라이나 국제군단 상징.svg|width=23]]]][[https://fightforua.org|#]]^^자원방법^^[[https://www.facebook.com/InternationalLegionOfTerritorialDefenseOfUkrain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BoKwTWlRvb0)] [[2022년]] [[2월 27일]] 결성된 [[우크라이나군]] 소속의 [[외인부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발발하면서 [[러시아]]에게 부당한 공격을 당한 [[우크라이나]]/[[우크라이나군]]을 돕기 위해 자발적으로 우크라이나군에 지원한 각국 외국인 자원병들로 이루어진 다국적 외인부대이다. 후방지원 및 훈련교육, 직접전투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우크라이나군의 항전에 기여하고 있다. 국내법의 국제군단 가담 허용 여부는 국가별로 달라서 [[대한민국]]과 같이 국제군단 참여가 불법인 국가가 있으며, [[영국]]이나 [[체코]]와 같이 참여를 허용한 국가들도 있다. 2022년 3월 3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에 의하면 16,000명의 외국인 자원자들이 국제군단 입대를 원하고 있다고 한다. [[https://www.washingtonpost.com/world/2022/03/03/zelensky-ukraine-16000-foreign-volunteers-russia/|#]] 2022년 3월 7일 기준 우크라이나 정부는 국제군단은 52개국, 2만 여명이 모였다고 밝혔다. [[https://gur.gov.ua/content/stvoreno-spetspidrozdil-internatsionalnoho-lehionu-pry-hur-mo-ukrainy-vin-vzhe-vykonuie-boiovi-zavdannia.html|#]] 그리고 국제 군단의 첫 지원병들이 키이우에 배치되었다. [[https://m.dcinside.com/board/war/2409072|#]] 국제 부대가 창설된 것은 [[스페인 내전]]의 [[국제여단]] 이후 86년 만이며, 우크라이나 정부는 외국인 의용군들에 대해 체류 허가 대신 군사용 여권을 발급했고, 종전 후 희망하는 인원들 위주로 우크라이나 [[국적]]을 부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edition.cnn.com/europe/live-news/ukraine-russia-putin-news-03-08-22/h_94e39cea2b9b7abf281683ed37d69f92|#]][[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257012?sid=104|#]] [[바그너 그룹]]을 포함한 러시아측에서는 우크라이나를 돕는 이들 의용군 등을 [[용병]]으로 매도하고 이들에 대해 '[[나치]] 협조자'라는 멸칭을 쓰며, 왜곡된 선전을 한다. 이는 의용군의 존재 자체가 러시아의 거짓된 명분과는 달리 우크라이나가 부당한 침략을 당해 전세계의 동정과 지원을 받는다는 증거이기 때문이다. == 편제 == 아무래도 인종, 가치관, 언어등이 다양한 사람들이 모이다보니 부대원과의 마찰을 줄이고자 비슷한 언어권이나 인종끼리 부대를 편성하여 운용하고 있다. === [[조하르 두다예프]] 대대 === ||<-3> '''{{{+2 {{{#008275 조하르 두다예프 대대}}}}}}[br]{{{+1 {{{#008275 Чеченський миротворчий батальйон імені}}}}}}[br]{{{#bbb Dzhokhar Dudayev Battalion}}}''' || ||<-2> [[파일:Dzhokhar Dudayev Battalion1.png|width=100%]] || [[파일:Dzhokhar Dudayev Battalion2.png|width=75%]] || ||<-2> {{{#008275 '''깃발'''}}} || {{{#008275 '''엠블럼'''}}} || || '''{{{#008275 창설일}}}''' ||<-2><(> [[2014년]] ,,([age(2014-03-01)]주년),, || ||<-1> '''{{{#008275 지휘관}}}''' ||<-2>아담 오스마예프(Adam Osmayev)(우크라인)[br]무슬림 마디에프(Muslim Madiev)(러시아인) || ||<-1> '''{{{#008275 규모}}}''' ||<-2>불명 || || '''{{{#008275 참전}}}''' ||<-2><(> [[돈바스 전쟁]][br][[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clearfix] 러시아의 [[제2차 체첸 전쟁|체첸 침공]]으로 [[덴마크]]로 강제 추방된 반러성향 체첸인들이 [[돈바스 전쟁|우크라이나 내전]]이 시작된 2014년 3월 초부터 [[덴마크]]에서 체첸 의용군을 창설하여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체첸인]], [[조지아인]], [[아제르바이잔인]], [[체르케스인]] 등 다양한 인종으로 구성되어 있는 외인부대이다. [[https://twitter.com/GwarWorin/status/1712430145431069075|특수부대 출신 체첸 의용군 2명이 참호속에 숨은 러 침략군 4명을 물리치는 영상(2023.10.12)]] === 캐나다 - 우크라이나 여단 === ||<-3> '''{{{+2 {{{#999 캐나다-우크라이나 여단}}}}}}[br]{{{+1 {{{#tan Канадсько-українська бригада}}}}}}[br]{{{#tan Canadian-Ukrainian Brigade}}}[br]{{{#999 Brigade ukrainienne‐canadienne}}}''' || ||<-7> [[파일:Canadian_Ukrainian_Brigade_Patch.png|width=200]] || || '''{{{#999 창설일}}}''' ||<-2><(> [[2022년]] ,,([age(2022-01-01)]주년),, || ||<-1> '''{{{#tan 규모}}}''' ||<-2>불명 || || '''{{{#999 참전}}}''' ||<-2><(> [[돈바스 전쟁]][br][[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1> '''{{{#999 웹사이트}}}''' ||<-2>[[https://www.canadian-ukrainian-brigade.org/|[[파일:Canadian_Ukrainian_Brigade_Patch.png|width=23]]]] || [clearfix]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결성된 [[우크라이나군]] 소속의 부대. [[우크라이나계 캐나다인]] 및 [[캐나다군]] 전역자로 이루어졌다. 현재 2명의 부대원이 전사하였다. Émile-Antoine Roy-Sirois(에밀앙투안 로이시루와) [[퀘벡]]주 출신 [[https://globalnews.ca/news/9021971/ukraine-canadian-soldier-death/|#]] Joseph Hildebrand(조셉 힐드브랜드) [[서스캐처원]] 주 출신 [[https://www.cbc.ca/amp/1.6686968|#]] === [[자유 러시아 군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자유 러시아 군단)]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푸틴 행정부]] 정권 증오 및 조국의 사회의모순점들과 뿌리 깊은 부패, [[러시아 연방군/문제점|러시아군의 썩을 대로 썩은 현 실태]]에 큰 환멸과 분노를 느껴 전향한 러시아군 포로나 러시아인 자원자가 주축인 푸틴 행정부 타도 및 러시아 민주화를 슬로건으로 하는 [[반체제]], [[자유주의]], [[민주화]] 운동가들로 구성된 부대이다. 이 부대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거짓말 탐지와 신원을 포함한 여러 광범위한 조사를 받아야 하며, 실제로 이 부대에 잠입한 러시아군 첩자들이 굉장히 많았다고 한다. [[https://youtu.be/GV5Jr0f4eZE|#]] === 러시아 의용군단 === ||<-3> '''{{{+2 {{{#fff 러시아 의용군단}}}}}}[br]{{{+1 {{{#fff Русский добровольческий корпус}}}}}}[br]{{{#fff Russian Volunteer Corps}}}''' || ||<-2> [[파일:러시아 의용군단기.svg|width=100%]] || [[파일:러시아 의용군단 엠블럼.svg|width=75%]] || ||<-2> {{{#fff '''깃발'''}}} || {{{#fff '''엠블럼'''}}} || || '''{{{#fff 창설일}}}''' ||<-2><(> [[2022년]] [[8월 5일]] ,,([age(2022-08-05)]주년),, || ||<-1> '''{{{#fff 지휘관}}}''' ||<-2>[[데니스 카푸스틴]](러시아인) || ||<-1> '''{{{#fff 규모}}}''' ||<-2>불명 || ||<-1> '''{{{#fff 구호}}}''' ||<-2>«Слава Украине! Слава Руси!»[br]우크라이나에 영광을! 러시아에 영광을! || || '''{{{#fff 참전}}}''' ||<-2><(>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2023년 브랸스크주 공격]] * [[드니프로강 공방전]] *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전투]] || ||<-1> '''{{{#fff SNS}}}''' ||<-2>[[https://t.me/rusvolcorps|[[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width=23]]]] || [clearfix] || [youtube(zYjK1PptFtA)] || || '''러시아 의용군단 선언식'''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우크라이나에 거주하는 [[아조우 연대]] 소속의 친우크라이나 러시아인들로 결성된 반푸틴, 우익~극우, 러시아 민족주의 성향의 부대로, 우크라이나 주재 러시아인판 [[아조우 연대]]격 부대로 볼 수 있다.[* 지휘관 카푸스틴부터 과거 [[네오 나치]] 활동을 공개적으로 해왔다.] [[자유 러시아 군단]]과는 다른 부대이다. 8월에야 창군됐을 정도로 늦어서 3월 초에 만들어진 자유 러시아 군단에 비해 규모가 작다. [[바그너 그룹 반란]]을 지지하는 성명을 냈다. === 노르만 여단 === 캐나다인, 호주인, 뉴질랜드인, 영국인의 [[영연방]] 국가들의 [[테러와의 전쟁]], [[이라크 전쟁]] 등의 참전용사들 위주로 편성되어 있으며 미국, 덴마크, 노르웨이, 네덜란드, 독일, 폴란드 등 타 유럽/아메리카권 대원들도 소속되어 있다. === 파호니아 연대 === 벨라루스인 위주로 편성. === 셰이흐 만수르 대대 === 체첸인 위주로 구성된 또다른 대대, 주로 [[체첸 전쟁]]에 참전한 경력이 있는 고참병사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름은 [[러시아 제국]]에 반기를 든 18세기 말의 인물인 셰이크 만수르에서 따왔다. [[마리우폴 전투]]에도 참가하였으나, 포위망이 닫히기 전 키이우 방향으로 탈출하였다. === 칼리노우스키 연대 === ||<-3> '''{{{+2 {{{#CD0000 칼리노우스키 연대}}}}}}[br]{{{+1 {{{#CD0000 Полк Каліноўскага}}}}}}[br]{{{#fff Kalinoŭski Regiment}}}''' || ||<-2> [[파일:칼리노우스키 연대기.png|width=100%]] || [[파일:칼리노우스키 연대 엠블럼.svg|width=75%]] || ||<-2> {{{#CD0000 '''깃발'''}}} || {{{#CD0000 '''엠블럼'''}}} || || '''{{{#CD0000 창설일}}}''' ||<-2><(> [[2022년]] ,,([age(2022-01-01)]주년),, || ||<-1> '''{{{#CD0000 사령관}}}''' ||<-2>지아니스 프로하라우(Dzianis Prokharaŭ)(벨라루스인) || ||<-1> '''{{{#CD0000 규모}}}''' ||<-2>약 [[http://svaboda.org/a/32490477.html|300]]~1,500명 || ||<-1> '''{{{#CD0000 참전}}}''' ||<-2>[[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안토노프 공항 전투 * [[키이우 전투]] * 이르핀 전투 * [[동부 우크라이나 공세]] * [[세베로도네츠크 전투]] * 리시찬스크 전투 || ||<-1> '''{{{#CD0000 웹사이트}}}''' ||<-2> [[https://www.kalinouski.org/en/|[[파일:Kalinouski_regiment.png|width=23]]]] [[https://www.youtube.com/channel/UCS8kTWKVCcM-DT8rzMsc9y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https://instagram.com/krama.kalinouskaha?igshid=YmMyMTA2M2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https://www.facebook.com/belwarrior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elwarriors, 크기=23)] [[https://www.reddit.com/r/belwarriors?utm_medium=android_app&utm_source=share|[[파일:레딧 아이콘.svg|width=23]]]] [[https://t.me/belwarriors|[[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width=23]]]] || [clearfix]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결성된 [[우크라이나 육군]] 소속의 [[벨라루스인]] 부대. 부대명의 칼리노우스키는 [[https://en.wikipedia.org/wiki/January_Uprising|1월 봉기]]의 지도자, [[https://en.wikipedia.org/wiki/Konstanty_Kalinowski|콘스탄티 칼리노우스키]]에서 따왔다. 이들은 친러정권이자 독재자 [[알렉산드르 루카셴코]]가 집권 후 독재하는 것에 반감을 품은 벨라루스인들로 구성되어있고 수가 늘어 1000명 가량의 규모이다. 당연히 이들은 독재자 루카셴코가 친러성향인만큼 러시아에 우호적이지 않으며 합류한 이들은 대다수가 벨라루스 국경을 넘어서 우크라이나 측에서 싸우겠다고 지원한 이들이다. 이들의 우선적인 목표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우크라이나의 최종적 승리에 일조하는 것으로, 전쟁이 종결되면 본국으로 돌아가 저항군을 창설하여, 최종적으로 루카셴코 정권을 [[혁명]]으로 무너뜨리는 것이다. === 이맘 샤밀 대대 === ||<-3> '''{{{+2 {{{#008275 이맘 샤밀 대대}}}}}}[br]{{{+1 {{{#008275 Дагестанский добровольческий батальон имени имама Шамиля}}}}}}[br]{{{#fff Imam Shamil Battalion}}}''' || ||<-2> [[파일:Flag_of_Free_Dagestan.png|width=100%]] || [[파일:Imam_Shamil_Battalion.png|width=75%]] || ||<-2> {{{#008275 '''깃발'''}}} || {{{#008275 '''엠블럼'''}}} || || '''{{{#008275 창설일}}}''' ||<-2><(> [[2014년]] ,,([age(2014-01-01)]주년),, || ||<-1> '''{{{#008275 규모}}}''' ||<-2>불명 || || '''{{{#008275 참전}}}''' ||<-2><(> [[돈바스 전쟁]][br][[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clearfix]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결성된 [[우크라이나군]] 소속의 [[다게스탄]]인 부대. 부대명의 이맘 샤밀은 북캅카스 독립 저항군의 지도자, 이맘 샤밀에서 따왔다. 이들의 우선적인 목표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우크라이나의 최종적 승리에 일조하는 것으로, 전쟁이 종결되면 본국으로 돌아가 저항군을 창설하여 최종적으로 러시아 연방으로부터 [[다게스탄 공화국]]을 독립시키려는 것이다. === 크림 대대 === ||<-3> '''{{{+2 {{{#F8D80E 크림 대대}}}}}}[br]{{{+1 {{{#F8D80E Батальйон Крим}}}}}}[br]{{{#F8D80E Crimea Battalion}}}''' || ||<-2> [[파일:크림 타타르 깃발.svg|width=100%]] || [[파일:Battlaion_«Крим».png|width=75%]] || ||<-2> {{{#F8D80E '''깃발'''}}} || {{{#F8D80E '''엠블럼'''}}} || || '''{{{#F8D80E 창설일}}}''' ||<-2><(> [[2014년]] ,,([age(2014-01-01)]주년),, || ||<-1> '''{{{#F8D80E 지휘관}}}''' ||<-2>이사 아카예프(Isa Akaev)(우크라인) || ||<-1> '''{{{#F8D80E 규모}}}''' ||<-2>약 600명 || || '''{{{#F8D80E 참전}}}''' ||<-2><(> [[돈바스 전쟁]][br][[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clearfix] 크림 타타르인으로 구성된 우크라이나 국제군단의 부대이다. === 투란 대대 === 튀르크인으로 구성된 부대로 추정된다. 규모는 600명 정도라로 한다.[[https://twitter.com/clashreport/status/1619293062718689283|#]] === 바시코르트 중대 === ||<-7> '''{{{+2 {{{#fff 바시코르트 중대}}}}}}[br]{{{+1 {{{#fff Рота "Башкорт"}}}}}}[br]{{{#fff Bashkort Company}}}''' || ||<-7> [[파일:바시코르트 중대 깃발.webp|width=200]] || || '''{{{#fff 창설일}}}''' ||<-6><(> [[2022년]] [[12월 1일]] ,,([age(2022-12-01)]주년),, || ||<-1> '''{{{#fff 지휘관}}}''' ||<-6> || ||<-1> '''{{{#fff 규모}}}''' ||<-6>불명 || || '''{{{#fff 참전}}}''' ||<-6><(>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clearfix]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결성된 [[우크라이나군]] 소속의 [[바시키르인]]으로 구성된 부대이다. === 카우카즈 무슬림 군단 === ||<-3> '''{{{+2 {{{#000 카우카즈 무슬림 군단}}}}}}[br]{{{+1 {{{#000 Мусульманский Корпус Кавказ}}}}}}[br]{{{#fff Caucasian Muslim Corps}}}''' || ||<-2> [[파일:검은 깃발.svg|width=100%]] || [[파일:캅카스 무슬림 군단 로고.png|width=75%]] || ||<-2> {{{#000 '''깃발'''}}} || {{{#000 '''엠블럼'''}}} || || '''{{{#000 창설일}}}''' ||<-2><(> [[2022년]] ,,([age(2022-01-01)]주년),, || ||<-1> '''{{{#000 지휘관}}}''' ||<-2>무아즈 KBK || ||<-1> '''{{{#000 규모}}}''' ||<-2>불명 || || '''{{{#000 참전}}}''' ||<-2><(>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1> '''{{{#000 웹사이트}}}''' ||<-2>[[https://t.me/muazkbk|[[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width=23]]]] || [clearfix]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결성된 [[우크라이나군]] 소속의 무슬림 부대. 튀르키예로부터 지원받는다. === 벨라루스 의용군단 === ||<-3> '''{{{+2 {{{#CD0000 벨라루스 의용군단}}}}}}[br]{{{+1 {{{#CD0000 Беларускі добраахвотніцкі корпус}}}}}}[br]{{{#fff Belarusian Volunteer Corps}}}''' || ||<-2>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width=100%]] || [[파일:벨라루스 의용군단 엠블럼.png|width=75%]] || ||<-2> {{{#CD0000 '''깃발'''}}} || {{{#CD0000 '''엠블럼'''}}} || || '''{{{#CD0000 창설일}}}''' ||<-2><(> [[2022년]] [[12월 27일]] ,,([age(2022-12-27)]주년),, || ||<-1> '''{{{#CD0000 사령관}}}''' ||<-2>[[이고르 노만]](벨라루스인) || ||<-1> '''{{{#CD0000 구호}}}''' ||<-2>벨라루스 만세! 우크라이나에 영광을![br]«Жыве Беларусь! Слава Украине!» || ||<-1> '''{{{#CD0000 참전}}}''' ||||<-2><(>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드니프로강 공방전]] || ||<-1> '''{{{#CD0000 웹사이트}}}''' ||<-2>[[https://www.youtube.com/@BelD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clearfix] 2022년 12월 27일, [[이고르 노만]]에 의해 창설된 우크라이나군 소속의 벨라루스인 부대이다. [[전술그룹 벨라루스]] 및 칼리노우스키 연대와는 다른 부대다. === 카렐리아 국민 대대 === ||<-3> '''{{{+2 {{{#008275 카렐리아 국민대대}}}}}}[br]{{{+1 {{{#008275 Карельський національний батальйон}}}}}}[br]{{{#fff Karelian National Battalion}}}''' || ||<-2> [[파일:Karelia_Flag.png|width=100%]] || [[파일:Karelian_National_Batallion_Roundel_Insignia.png|width=75%]] || ||<-2> {{{#008275 '''깃발'''}}} || {{{#008275 '''엠블럼'''}}} || || '''{{{#008275 창설일}}}''' ||<-2><(> [[2023년]] ,,([age(2023-01-01)]주년),, || ||<-1> '''{{{#008275 규모}}}''' ||<-2>불명 || || '''{{{#008275 참전}}}''' ||<-2><(>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clearfix]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결성된 [[우크라이나군]] 소속의 [[카렐리야]]인 부대다. === 시베리아 대대 === 2023년 10월 창설됐다. 지휘관은 전직 러시아군 정보장교이며 부대원은 모두 러시아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규모는 50명 내외로 추정된다. == 전망 == 2022년 3월 3일, 러시아 국방부 대변인 [[이고르 코나셴코프]]는 우크라이나의 지휘 하에 있는 외국인 군대가 억류될 경우, 그들에게 인도적 지위를 해주거나 전쟁 포로 지위를 부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https://www.newsweek.com/russia-vows-prosecution-foreign-fighters-after-16k-join-ukraine-1684671|#]] 러시아는 포로의 대우에 관한 협약인 제네바 제3협약에 서명한 국가이나, [[https://en.wikipedia.org/wiki/United_Nations_Mercenary_Convention|국제연합 용병협약]]에 서명하진 않았다. 2022년 3월 7일, 국제여단 지원자 집단의 약 8배 규모인 '''14만 명 이상의 우크라이나인들이 귀국'''한 상태라, 이들에게 먼저 무기를 우선적으로 공급하기로 해서 이후에 들어오는 자원봉사자들은 돌려보낼 것이라고 한다. [[https://www.foxnews.com/world/ukraine-military-turns-volunteers-away-as-140k-ukrainians-come-home-to-fight-russia|#]] 따라서 우크라이나에 국제여단까지 무장시킬 정도로 무기가 들어오거나 전쟁이 장기화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실제로 우크라이나의 전선에서 활동하는 외국인 의용단 수는 지원자에 비해 훨씬 소수일 것으로 보인다.[* 물론 외국인 의용병이라도 모두 일선 전투병으로 투입할 리는 없다. 세계 각지에서 온 외국인들이라 자국인만큼의 애국심은 없을 것이기 때문에 확실하게 전투병으로 근무시킬만큼의 병력이 증명되는게 아니라면 보급, 취사, 운전 등등 후방에서 각종 지원 활동을 하는 비전투 병과로 돌릴 가능성이 더 높다. 애초에 국제군단의 존재 의의는 일선 전투 병력의 보강이 아니라 세계 각지의 지지를 받는다는 상징성이다.] 다만 로이터의 취재에 따르면[[https://reut.rs/34o8Wuh|#]], 숫적 주력을 차지하는 영국과 미국의 의용병[* 약 6000명+3000명으로 타국 의용병을 배제해도 9000~10000명에 가깝다.]이 상당수 [[테러와의 전쟁]] 참전 경력이 있는 귀환병으로 실력이 검증된 병력들이라고 하니 우크라이나 예비군이 재무장과 훈련을 마칠 때까지 의용군이 활용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여담이지만 러시아도 이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바그너 그룹]] 등의 러시아계 [[용병]]들을 활용하고 있으며, 시리아에서 우크라이나에 갈 용병을 모집하고 있다. 2022년 3월 13일. 러시아군은 의용군 부대가 머무르고 있는 르비우주에 미사일 공습을 가했다. 러시아 국방부 대변인 이고르 코나셴코프는 "오늘 오전 장거리 정밀무기로 (우크라이나 서부 르비우주) 스타리치 지역의 우크라이나군 교육센터와 야보리우 훈련장에 대한 공습이 이루어졌다"고 밝혔다.[[https://www.yna.co.kr/view/AKR20220314001451111|#]] 공습결과 러시아측은 180명의 용병 및 대규모 외국 무기를 제거했다고 주장했으며 우크라이나측은 사망자 35명 부상자 134명 이라 주장했다.[[https://twitter.com/Liveuamap/status/1502975258852302848?s=20&t=dGmohSY3vULROIjVL_9d1Q|#]] 르비우 폭격 영향 때문인지, 국제군단 의무병에 의하면 지원병 다수가 [[폴란드]]로 도주했다고 한다.[[https://www.reddit.com/r/volunteersForUkraine/comments/tdnmlj/comment/i0ksza8/|#]] 정확히 말하면 단순히 낭만주의에 심취해 찾아왔던 무경력자 내지 실전경험 부족한 사람들은[[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57017|중앙일보]] 대부분 돌아가고 실전 경험이 있고 전투 의지가 강한, 우크라이나가 정말 원했을 사람들이 남았다. == [[우크라이나 국제군단/출신 국가|출신 국가 및 기타 반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크라이나 국제군단/출신 국가)] == 관련 보도 영상 == [youtube(S9JTz_G9wmE)] [youtube(QtGtbI18IYY)] [youtube(5fF5Lm3rtKc)] == 둘러보기 == [include(틀:우크라이나 관련 문서)]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편제, title=캐나다-우크라이나 여단, version=22, title2=칼리노우스키 연대, version2=25, title3=벨라루스 의용군단, version3=12, title4=캅카스 무슬림 군단, version4=7, title5=러시아 의용군단, version5=46, title6=바시코르트 중대, version6=8, title7=이맘 샤밀 대대, version7=7, title8=크림 대대, version8=7)] [[분류:우크라이나 국제군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