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나아와세의 오광)] [[파일:HanaAwase_Utsutsu.png]] ||<-2><:>'''하나아와세 시리즈의 등장인물'''|| ||<:>'''이름'''||<:>우츠츠[br]うつつ|| ||<:>'''성별'''|| [[남성]] || ||<:>'''키'''||<:>173cm|| ||<:>'''소속'''||<:>봉황조 3학년|| ||<:>'''생일'''||<:>불명|| ||<:>'''혈액형'''||<:>불명|| ||<:>'''취미'''||<:>불명|| ||<:>'''좋아하는 음식'''||<:>불명|| ||<:>'''싫어하는 음식'''||<:>불명|| ||<:>'''성우'''|| [[스기야마 노리아키]][* 원래 다른 오광들처럼 [[액셀원]] 소속이었으나 현재 다른 곳에 소속 중이다.] || >'''미코토는 나의 특별한 사람. 미코토만이 내 옆에 있어도 좋아.''' >-미즈치 편과 히메우츠기 편 >'''나의 처음은 모두 너. 나는, 미코의 단 하나 뿐인 남자가 된다.''' >-카라쿠레나이/우츠츠 편 [목차] == 개요 == [[오토메 게임]] [[하나아와세]]에 등장하는 [[공략]] [[캐릭터]]. 카라쿠레나이/우츠츠편부터 등장하며, 전편인 미즈치편과 히메우츠기편에서는 캐릭터송만 존재했었다.--본편에는 나오지도 않으면서 캐릭터송만 2개인 신기한 캐릭터--그러다, 첫 등장하는 카라쿠레나이/우츠츠편에서는 [[카라쿠레나이]]와 함께 메인 캐릭터로서 나오기 시작했다. == 특징 == 카센국립학원 3학년에 재학 중이었던 학생. 봉황조에 속한 카에이이며 오광 중 한 명. 봉황조(12월) 소속이지만, 상징하는 오광은 팔광(8월)이다. 2학년에 진급 때 오광에 선택되었으나 그 뒤 [[행방불명]]이 되었다. 현재 그를 아는 사람은 적고 모든 정보가 수수께끼 속에 감춰져있다. 그가 행방불명되면서, 그가 맡고 있었던 봉황조 또한 해체되었다는 듯. 일명 미코바라기. 미코토에 죽고 미코토에 산다. 루트 내내 미코토를 '''미코'''라고 부르며 미코토 한정 --메가--데레. 하지만 미코토를 제외한 인물들에게는 무관심 또는 싫어한다.[* 미코토에 대해 얘기하려던 모모토세보고 잡음이라고 하며 미코토를 생각해도 되는 건 자신뿐이며 미코토를 생각하는 녀석들은 죽인다고 했으니 말 다했다.][* 캐릭터송 가사 중에 「네가 없는 이 세계따위는 존재할 가치도 없다」 는 구절이 있다.] 이 때 미코토의 애칭인 미코는 일본어로 [[무녀]](巫女)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미즈치편, 히메우츠기편까지는 홈페이지 등장인물 소개에는 등장하지만, 실제 인게임 내에서는 등장하지 않았으며 캐릭터송만 존재했었다. 이 작품의 [[신비주의]], [[정체불명]] 기믹을 담당하고 있던 캐릭터. 그러다 카라쿠레나이/우츠츠편의 시동이 걸리기 시작하면서, [[비즈로그]]에서 우츠츠와 얼굴이 똑같은[* 성우 또한 동일하다.] [[이메]]라는 캐릭터가 등장하고, 결국 본편인 카라쿠레나이/우츠츠편에서 그의 [[정체]]가 드러나는데... == 작중 행적 == [include(틀:스포일러)] === 카라쿠레나이/우츠츠편 === 공통 루트와 카라쿠레나이 루트에서 등장하는 이메(夢)는 미코토가 우츠츠를 선택했던 첫번째 달의 4월 19일에 죽은 미코토를 살리기 위해 기원하고 생명을 되살리는 대가로 생기는 커다란 윤회[* 미코토를 살리기 위해 윤회의 새장에 가두고 미코토가 살 수 있는 운명을 기다리며 이 때부터 미즈치, 히메우츠기편의 반복.]의 업을 짊어진 채 이세상에서 이세상(현실)과 저세상(꿈)의 틈으로 쫓겨난[* 미코토가 죽었을 때의 충격으로 우시토라를 만들어 냈을 때 그걸 본 코노하나의 망령이 씌인 쿠레나이에 의해 한번 쫓겨났었지만 미코토를 살리기 위해 다시 현실로 돌아오고 또 다시 이로하에 의해 쫓겨난다. 카라쿠레나이와 이로하를 유독 싫어하는 이유가 이 때문.] 우츠츠(うつつ)를 대신하기위한 꿈에서 데려온 존재. 이메가 현실에 존재하는 한 우츠츠는 현실에 존재할 수 없었다.[* 미즈치, 히메우츠기편에서 봉황조의 오광이 계속 부재였던건 이 이유때문. 또한 모모토세가 우시가와 토라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이메를 시설에 맡겼고 오광들은 이메가 우시가의 사람인지 몰랐거나 존재 자체를 몰랐다.][* 둘의 이름으로 어느 정도 관계가 예상 가능하다.] 하지만 카라쿠레나이 루트에서 소생루프의 안에 포함되어 있던 이메가 죽지 않고 달로 갔기 때문에[* 현실에서 사라졌기에] 소생루프가 멈췄고 그동안 간섭만 해오던 우츠츠는 본래 본인이 있었어야할 이메의 자리에 돌아오는 것이 가능해졌다. == 기타 == 우츠츠의 전투진입 대사는 아래와 같다. || 九天応元雷声普化天尊[* きゅうてんおうげんらいせいふかてんそん][* 도교의 신. 뇌신 중에서도 최고신이며 뇌제라고도 불린다. 인간의 생사길흉화복을 모두 컨트롤하며, 삼청(옥청경, 상청경, 태청경) 이외의 것을 전부 지배하에 둔다고 한다.]。 世界の壊れる音がする。……さよなら、人類 구천응원뇌성보화천손. 세계가 부숴지는 소리가 나. ……잘 가, 인류. || --스케일 한 번 크다-- 여기서, 우츠츠 루트를 진행하다보면 후반에 이 전투진입 대사의 '인류' 부분이 조금씩 바뀌는 걸 볼 수 있는데 僕(나)[* 어렸을 때의 우츠츠]→紅(빨강)→俺(나)[* 미코토가 죽은 세계에서 미쳐버린 우츠츠]→祈り子(이노리고)순으로 대사가 변한다. 스토리를 생각해보면 눈물없이는 볼 수 없다. 그리고 이 전투진입 대사는 이로하 루트에서 아래와 같이 바뀐다. || 世界を創ろう、みこ。……ようこそ、人類。 세계를 만들자, 미코. ……어서와, 인류. || --본인 루트 초중반에서 그렇게 인류 멸망을 바라더니..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우리 우츠츠가 달라졌어요]]-- 우츠츠 루트에서 미코가 업을 없앴기 때문에 우츠츠는 우시가의 이노리고가 아니게 되었고 죽음이 아닌 사는 것, 축복을 바라는 것이 가능해졌다. 앞서 우츠츠 루트를 플레이하고나서 이 대사를 보면 그야말로 폭풍눈물(..)까지는 아니더라도 감동.--근데 이로하 루트-- --그 이로하도 본인 루트에서는...-- --일단 이로하편 발매부터 빌자-- [[분류:하나아와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