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남유다 국왕)] ||<-5> [[파일:uzziah.jpg|width=100%]] || ||<#00008B> {{{#FFFFFF '''이름'''}}} ||<-4>우찌야^^공동번역, 가톨릭^^, 웃시야^^개신교^^[br]아자리야^^공동번역^^,아자르야^^가톨릭^^, 아사랴^^개신교^^ || ||<|2><#00008B> {{{#FFFFFF '''출생'''}}} ||<-4>기원전 801년경 || ||[[예루살렘]] || ||<|2><#00008B> {{{#FFFFFF '''사망'''}}} ||<-4>기원전 733년경 || ||[[예루살렘]] || ||<#00008B> {{{#FFFFFF '''소속'''}}} ||<-4>유다 지파 소속 || ||<#00008B> {{{#FFFFFF '''재위년도'''}}} ||<-4>기원전 767년 ~ 기원전 715년[br]약 52년 || ||<#00008B> {{{#FFFFFF '''국적'''}}} ||<-4>[[남유다 왕국]] || ||<#00008B> {{{#FFFFFF '''아버지'''}}} ||<-4>[[아마지야]] || ||<#00008B> {{{#FFFFFF '''자녀'''}}} ||<-4>[[요담]] || ||<#00008B> {{{#FFFFFF '''이전 국왕'''}}} ||<-4>[[아마지야]] || ||<#00008B> {{{#FFFFFF '''다음 국왕'''}}} ||<-4>[[요담]] || [목차] == 개요 == > '''우찌야'''는 십육 세에 왕위에 올라 예루살렘에서 오십이 년간 다스렸다. 그의 어머니는 예루살렘 출신으로서 이름을 여골리야[* 가톨릭 성경에서는 '여콜야'라고 표기한다.]라고 하였다. > ---- > [[역대기]] 하권 26:3 (공동번역성서) [[유다 왕국/역대 국왕|유다의 제10대 왕]](재위 기원전 791년 ~ 기원전 739년). '[[야훼]]는 나의 힘이다' 라는 뜻으로, 부친은 [[아마지야]]였고, 할아버지는 아달리야의 대학살로부터 살아남아 다윗 왕실을 부흥시킨 [[요아스(유다)|요아스]]였다. == 행보 == === 종교개혁 === 남유다 왕국에서 종교개혁을 실시한 5명의 왕 중 3번째 왕이었다.[* 1: [[아사(유다)|아사]] 2: [[여호사밧]] 3: [[웃시야]] 4: [[히즈키야]] 5: [[요시야]]] 기독교적인 시점으로 볼 때, 이 무렵부터 신의 축복을 듬뿍 받아 유다 왕국은 다시금 강건해진다.[* 현실적인 관점에서 보면 웃시야는 능력있는 명군이며 주변국들도 다 고만고만한 나라들이기에 웬만한 명군 1번 나오면 나라가 강건해지고 암군이 나오면 쇠퇴하는 그런 구조였다고 볼 수 있다. 성경이든 역사든 이스라엘이나 그 주변국이나 서로를 완전히 정복할 힘은 없었고 이정도쯤 되는 나라는 기껏해야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같은 일부에 한정된다. 그래도 웃시야 이전의 남유다가 꽤나 혼란스러웠던터라[* 여호람(형제 학살)-아하시야(예후에게 피살)-아달리야(처형)-요아스(피살)-아마샤(피살) 이 기간까지 무려 100년 넘게 걸렸다.] 이를 극복한 웃시야의 능력은 대단하다고 할 수 밖에 없겠지만.] === 각종 전쟁에서의 승리 === [[블레셋]]과 [[아랍인]]과도 전쟁하여 대승을 거두었다. 또 [[암몬|암몬인]]들은 유다 왕국에 양털 조공을 바쳤고, 그의 막강한 명성은 [[이집트]] 근방까지 널리 퍼지게 되었다. 요즘으로 치자면 별 볼일 없는 [[아웃사이더]] 나라가 신 강대국으로 떠올라 각종 나라들의 주목을 끌게 된 것과 같은 것이다. === [[나병]]으로 인한 평생 [[격리]], [[죽음]] === 하지만 웃시야는 나라가 강건해지자 곧 [[교만]]해졌다. 그래서 [[제사장]]의 권한을 폄하하고, 제 맘대로 제사드리려 한 죄로 [[하느님]]은 '''그에게 평생 죽을 때까지 나병에 걸리게''' 하였다. 나병은 그 당시 엄청나게 위험한 [[전염병]]으로 요즘으로 치자면 [[코로나바이러스-19]]에 걸려 사회와의 격리를 가지게 되었다는 뜻. 그렇게 웃시야는 죽어서도 유다 왕들의 무덤에 묻히지 못하고 왕궁 별관에 묘지터를 잡게 되었다.[* 오만해진 결과를 비싸게 치른 셈이며 세속적인 관점으로만 보면 동시기의 북이스라엘의 여로보암 2세보다 훨씬 비참해진 셈이다.] == 여담 == 웃시야 왕은 1세대 문서 예언자들이 활동하던 시대에 재위했다. [[아모스]] 그리고 [[호세아]]가 웃시야의 재위기간에 활동하던 선지자이다. 그가 죽은 이후 선지자 [[이사야]]가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 '''우찌야 왕이 죽던 해'''에 나는 야훼께서 드높은 보좌에 앉아 계시는 것을 보았다. 그의 옷자락은 성소를 덮고 있었다.[* 보통 선지자들은 환상으로 하느님을 만나면서 본격적인 선지자 활동을 한다.] > ---- > [[이사야서]] 6:1 (공동번역성서) [[아모스]]를 죽인 장본인이다. 당시 아모스는 웃시야의 아버지 [[아마샤]]에게 고문 당하고 있었는데 그 후 아마샤는 아모스를 [[관자놀이]]로 죽인다. 그러나 실제로는 동명이인으로 추정되는데 이 경우 이름은 아마샤가 맞는데 남유다 왕 아마샤가 아닌 아모스가 비판한 제사장 아마샤로 여겨진다 [[유딧]]기에도 베툴리아 사람 '우찌야'라는 동명이인이 등장한다. [[분류:유다 국왕]][[분류:기원전 801년 출생]][[분류:기원전 733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