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코단샤 만화상 종합부문)] ||<-2>
{{{#ffffff,#fafafa '''{{{+1 우주 형제}}}'''[br]宇宙兄弟}}}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우주형제.png|width=100%]]}}} || || '''{{{#ffffff,#fafafa 장르}}}''' ||[[드라마]] || || '''{{{#ffffff,#fafafa 작가}}}''' ||코야마 츄야 || || '''{{{#ffffff,#fafafa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코단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서울문화사]] || || '''{{{#ffffff,#fafafa 연재처}}}''' ||[[모닝#s-3]] || || '''{{{#ffffff,#fafafa 레이블}}}''' ||모닝 KC || || '''{{{#ffffff,#fafafa 연재 기간}}}''' ||2008년 1호 ~ 연재 중 || || '''{{{#ffffff,#fafafa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42권 ,,(2022. 12. 22.),,[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42권 ,,(2023. 05. 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드라마]] 만화. 작가는 코야마 츄야. == 줄거리 == >[[지네딘 지단|2006년 7월 9일]], 달에서 날아온 UFO를 보고 둘이서 우주비행사가 되자고 약속한 난바 뭇타, 히비토 형제. 때는 흘러 2025년. 그 때 맺은 약속대로 히비토는 나사의 우주비행사가 되어 달을 향하게 되었다. > >그에 반해 동생을 비웃은 상사에게 ~~지단과도 같이~~ 박치기를 하고 자동차 회사에서 짤려 무직이 된 뭇타. 재취직도 신통치 않은 채 의기소침해진 뭇타에게 사정을 들은 히비토에게서 메일이 온다. > >"그날의 테이프를 들어봐" > >메일에 적혀진 대로, 어렸을 때 녹음해 둔 테이프를 들어본 뭇타. 그 때, 뭇타가 미뤄두었던 약속이 선명히 기억나고 다시 한 번 꿈을 향해 도전을 하고자 하는데.. == [[/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주 형제/등장인물)] == 오역 == [[서울문화사]]에서 정발이 된 것까진 좋았지만, 전문용어가 많이 나오는 점도 있긴 하지만 도저히 그것만으론 봐주기 힘든 [[오역]]이 도처에 깔려 있다. 각 인물의 대화 등이 제법 자연스럽게 옮겨져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 たけのこ → 대나무 아가씨 1권 6페이지서부터 화려하게 등장. 나중에 이력서 등지에 등장하지만 주인공네가 사는 동네 이름이다. 지명인 만큼 음을 그대로 읽느냐 뜻을 직역하느냐의 견해차이는 있을 수는 있겠다. 근데 저걸 직역한다고 해도, たけのこ는 '''[[죽순]]'''이란 뜻이다. 아마도 竹の子라고 받아들인 모양이다. * 間違っても → 틀려도 이 역시 1권 1화에 나오며, 직역하지 말아야 할 관용어이다. 원문은 "間違っても俺のように… 上司に頭突きなんてしちゃダメだよ". 즉 "'''무슨 일이 있어도''' 나처럼 상사에게 박치기 하면 안 된다"란 뜻이다. * 賞味期限 → 상미기간 1권 후반부에 나온 뒤 5권에도 나온다. 물론 상미기간과 유통기한은 엄연히 말하자면 다른 뜻이다. 하지만 이 말을 한국사람에게 내밀 때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는 이는 얼마나 된단 말인가? 좀 더 뭥미한 건 2권에서는 '유통기한'이라고 번역해 두었다는 점. * シロナガスクジラ → 시로나가스 고래 나무위키 [[오역/만화]]에도 등재된 항목. 4권에 나온다. 학명은 Balaenoptera musculus. 한국어로는 '''흰긴수염고래'''이다. 전문용어가 나오면 딱 한 번만 인터넷을 뒤져서 번역하도록 하자. 근데 이건 직역해도 흰(白, 시로) + 긴(長, 나가) + 수염(須, 스) + 고래(鯨, 쿠지라)다. * 飛ばさないか → 타보지 않겠나 5권에 나온다. 원문의 뜻은 '날려보지 않겠나'. 전체 문장은 '日本初の有人宇宙ロケットを一緒に飛ばさないか(일본 최초 유인우주선을 함께 날려보지 않겠나)'로 3차 시험 뒤 후쿠다에게 일본 민간 기업이 건넨 제안이다. 내용상 앞뒤가 맞지 않는 치명적인 오역. * シャクルトンクレーター → 샤클톤 클레터 역시 5권에서 나온다. 영어로는 Shackleton Crater. 한국에서는 섀클턴 [[크레이터]], 혹은 섀클턴 충돌구라고 하는 게 일반적이다. 그런데 12권에서는 또 섀클턴 크레이터라고 제대로 번역해놨다. 하지만 같은 페이지의 바로 위 말풍선에는 크레타라고 해 놓았다는 게 개그. 크레이터 오역은 만화 초반부터 아주 그냥 줄창 나온다. * ショベルカー → 쇼벨카 5권에서 나온다. 영어로는 shovel car. 한국에서는 셔블카 혹은 [[굴착기]]로 불리우고 있다. ~~구글 이미지검색도 적절히 활용합시다~~ * フリ → 프리 6권에서 나온다. 원문 문장은 '面接はフリだ'. 즉 '''흉내''' 정도로 번역하는 게 맞다. 참고로 영어의 FREE는 일본어로 フリー라고 쓴다. * ちゃんと着いたよ → 제대로 입었어. 1권 3화 첫부분에 나온다. 원문 문장은 'ちゃんと着いたよ JAXAに…' 대사가 상황에 맞지 않고 영번역판의 arrived at, 애니메이션의 같은 부분 대사로 보아 '제대로 도착했어'의 오역. JAXA에 잘 도착했다는 의미다. 한자 着을 도착하다가 아닌 입었다로 잘못 번역한 듯 보인다. * 런젯 엔진(추정) 13권에 등장. 드닐 영이 자신의 비행기를 소개할 때 나오는데 여기저기 다 뒤져도 런젯 엔진이란 건 나오질 않는 걸 보니 아무래도 램제트 엔진의 오역이다. * ジブンら最高や → 난 최고야!! 8권에서 나온다. 저 문자를 날린 후루야는 교토 사람이라서 구어체는 물론 문자에서까지 칸사이 사투리를 날리는 청년. ジブン, ジブンら는 칸사이 사투리에서 '''너''', '''너희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바로 앞부분의 ジブン같은 단어는 '너'라고 잘 번역해 놓았는데 이 부분만 제대로 오역이 나고 말았다. * 달의 안쪽 샤론 월면 망원경을 설치하기 위해서 우주비행사들이 달의 뒷면으로 가야 하는데, 이 뒷면을 '안쪽'으로 번역해 버렸다. 졸지에 달 뒷편으로 가야 하는 우주비행사들을 달을 파고 들어가는 지하탐사대로 만들어 버린 셈. 이후에는 달의 뒷면으로 정상적으로 번역했다. * ソコール → 소코르 러시아의 선내 우주복인 소콜 우주복을 가타카나 그대로 소코르라고 써놨다. == 미디어 믹스 == ===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주 형제/애니메이션)] === 영화 === [[파일:external/www.honyaclub.com/uchukyodai_keyimg.jpg]] * 개봉일자: 2012년 5월 5일 * 감독: 모리 요시타카 * 배급: [[토호#s-3]] * 출연 * 난바 뭇타: [[오구리 슌]] * 난바 히비토: [[오카다 마사키]] * 주제가: Waterfall ~눈물 한 방울은 폭포와도 같이~ / [[Coldplay]] 제작에 [[NASA]], [[JAXA]]가 협력한다. 원작의 분량은 많고, 러닝타임은 2시간 정도라, 일단 히비토를 우주비행사로 만들어놓고 시작한다. 중간에 [[아폴로 계획#s-2.7|아폴로 11호]]의 우주비행사 [[버즈 올드린]]이 특별 출연한다. 인기 원작에 미국 로케에 일본 최초 Coldplay의 노래가 영화 엔딩으로 삽입되고, 유명한 배우들이 대거 출연([[아소 쿠미코]], [[츠츠미 신이치]] 등)하는 등 여러모로 화제를 불렀으나 일본에선 15억 엔을 겨우 넘기며 흥행에 실패했다. 보통은 히트했다고 할 수 있는 성적이겠지만 영화의 규모가 규모다보니... == 기타 == * '우윳우윳'으로 유명한 효과음 종결자 짤방도 이 작품 6권에서 나온 것.[* 기어이 애니메이션 25화에서 해당컷이 컬러와 소리를 붙여서 등장한다.] [[파일:우윳우윳.jpg]] 참고로 이건 원본부터가 이모양이었다. * 근미래를 배경으로 하다보니 작품이 연재되는 사이 작중 내용과 실제 역사가 달라져버린 부분이 있다. 작중에서 2026년에 히비토가 달에 갈때 사용한 우주선이 [[컨스텔레이션 계획|아레스V]]에 실려 발사되지만, 현실에서 아레스V는 개발이 중단되었다. 대신 아레스V의 구상을 넘겨받은 [[SLS]]가 개발중이긴 한데, 이마저도 민간 우주기업인 [[스페이스X]]에서 가성비 높은 우주발사체인 falcon heavy을 운용하고 있고, 발사 비용이 항공기 수준으로 낮은 [[스타십(스페이스X)|스타십]]을 개발중이라 프로젝트의 존립이 위태롭다. 잠깐 등장한 [[오리온]]우주선 역시 설계가 대대적으로 변경돼 작중의 모습과는 달라졌다. NASA가 이미 오바마 행정부 시절에 월면기지 건설 계획 취소 사태를 맞고 달 탐사 동력을 상실한 상태에다가 트럼프가 '오바마가 없앤 달 탐사 내가 살려냈습니다' 하며 조급하게 [[아르테미스 계획]]과 [[루나 게이트웨이]] 계획을 밀어붙이고 있고, 민간 우주기업들이 달과 화성에 눈독을 들이며 기술개발에 힘쓰고 있어서 실제 2020년대의 우주개발은 만화에서 그려진 것과는 분위기가 상이할 가능성이 높다. ~~뭣보다 각종 우주사업을 독식하고 있는 [[스페이스X]]가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비현실적이다.~~ 작중에서 뭇타는 우주비행사가 되기 위해 [[JAXA]]의 우주인 선발 프로그램에 지원하고 혹독한 훈련과 검증 과정을 거치지만 현실에서는 [[2021년]]에 이미 민간인이 지구 저궤도에 3일간 체류하거나 심지어 [[ISS]]에 방문하는 등 우주인이 되는 문턱이 상당히 낮아졌다. * 애니화가 되기 전에 [[마고코로 브라더스]]와의 콜라보레이션 기획이 있었다. 원작자의 강한 희망에 의한 것이라고. 이 때문에 마고코로의 새 앨범 자켓을 원작자가 담당하기도 하였으며[* 콜라보레이션 곡 "Sunny"가 실린 "Keep on traveling" 앨범], 이 인연은 5기 오프닝곡에서까지 이어진다. * 애니메이션 오프닝을 담당한 [[UNICORN(밴드)|유니콘]]도 작가의 희망이 있어서였다고. 스토리를 구상하면서 틀어놓는 음악 중에 유니콘의 비중이~~그것도 재결성 이후의 곡들이~~ 꽤 많다는 인터뷰를 하였다. 그래서인지 유니콘 멤버들이 작중 [[카메오]]로 등장하기도 하였다. [[http://twitpic.com/9etbf0|연장자 두 분]] 애니메이션에서는 멤버 몇몇만 등장한 듯.~~그리고 이런 인연은 [[오쿠다 타미오#s-4.1|지구삼형제]]라는 유니트명을 만드는 데 큰 일조를 하였다~~ * 7월 7일에 공개된 "Feel So Moon" PV는 [[UNICORN(밴드)|유니콘]]의 싱글, 우주형제 원작 18권, 그리고 [[무크]]인 "We are 우주형제 애니메이션 Spacial" 이 세 책을 한꺼번에 묶은 [[콜라보레이션]] 형식. 애니메이션보다 원작에 더 초점을 맞춘 이 뮤직비디오는 왜 우주형제 18권 속표지가 우주선인지, 왜 유니콘 멤버 전원이 [[카메오]]로 등장했는지, 맨 뒤쪽의 알 수 없는 문자들이 어떤 의미였는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원작 팬이라면 한 번쯤 봐도 후회는 없을 뮤직비디오. [[http://www.youtube.com/watch?v=YcNcYk-qYtc|외부링크]] * [[콩라인]] 만화였다가[* 2009년 '이 만화가 대단해!'상 남성독자 부문 2위, 만화 대상 2009년, 2010년 2위를 기록했으며 제 34회 고단샤 만화대상에서도 차점으로 아깝게 상을 놓쳤다. 작가는 그걸 이용해서 만화 홍보에 "2위 한 횟수 1위라 항상 '아까워도(お・し・い)', 가장 '재미있습니다(おもしろい)'!!"라는 말장난을 이용한 카피를 써먹었다.] 2011년 [[쇼가쿠칸]], [[코단샤]] 만화상 일반부문을 동시에 싹쓸이하며 콩라인에서 탈출하는 위업을 달성하였다. * 2012년 5월에는 [[반다이]]에서 1/10 스케일로 뭇타와 아포의 우주복 프라모델을 발매했다. [[파일:external/www.modelsale.com/BA175720_body.jpg]] 뭐 사실은 이 물건 전에 냈던 우주복 프라에서 머리의 뭇타 Ver.교체 & 아포 추가인 바리에이션 킷이지만.--스페이스 마린?-- * 애니 커뮤니티에서는 다소 잠잠한 반응이지만 일반인들에게는 먹혔는지 장기 방영이 확정되는 등 인기는 확실히 누리고 있는 중. 그래서인지 블루레이도 박스셋으로 나오고 있는 중이다. * 종영시 평균 시청률은 원피스 수준으로 원작이 진행된다면 애니메이션 2부가 나오는것은 확정인듯 하다. * 참고로 우주 형제는 실존 인물의 이야기를 모티브로 한 작품이다. 실제로 '''"우주에서 전합니다. 당신의 동료로부터"'''라는 책으로 나왔고 앞 [[띠지]]에 '''"만화 우주 형제의 실제 인물의 우주 체류기"'''라는 게 나온다. [[분류:일본 만화/목록]][[분류:2008년 만화]][[분류:SF 만화]][[분류:이 만화가 대단하다!]][[분류:2013년 영화]][[분류:일본의 SF 영화]][[분류:일본 만화 원작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