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BC의 성우)] ||<-2>
{{{#ffffff ''' [[MBC 성우극회|{{{#fff MBC 성우극회}}}]] 11기 성우 [br] {{{+1 우정신}}}'''[br] '''禹貞新 | Woo Jeong-s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 우정신성우.jpg |width=100%]]}}} || ||<|2> '''출생''' ||[[1970년]] [[2월 19일]] ([age(1970-02-19)]세) || ||[[서울특별시]][* 한때 경남 사천 출신으로 알려졌으나 정작 성우 본인은 한 번도 사천에 가본 적이 없다고 했다. [[https://cafe.naver.com/purevoice/393|#]]]||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본관''' ||[[단양 우씨]] (丹陽 禹氏) || || '''혈액형''' ||[[B형]] || || '''가족''' ||남편, 아들 이성우[* 2018년 부천만화축제 성우 콘서트에 출연하여 우정신의 아들이라는 게 알려졌다. [[https://www.youtube.com/watch?v=HjVtbusF9kQ|#]] 대부분의 팬들은 미성년자로 추측했지만 실제로는 이미 장성한 '''20대 중반'''이라고 하여 놀라워 하는 반응. 참고로 'LILL'이라는 이름으로 가수 활동을 하고 있다고.] || || '''학력''' ||[[서초중학교]] {{{-2 (졸업)}}}[*A 선배 [[강수진(KBS 성우)|강수진]]이 운영하는 [[강수진과 빛의덕후단|유튜브 채널]]에서 밝혔다. [[https://www.youtube.com/watch?v=RxPtngpOs0E&t=34s|참조]]][br][[동덕여자고등학교]] {{{-2 (졸업)}}}[*A][br][[경기대학교]] {{{-2 (독어독문학 / 학사)}}}[* 89학번.] [br][[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 ([[연극영화학과]] / [[석사]])}}}[* 2011년 2월 취득.] || || '''종교''' ||[[개신교]]([[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예장통합]])[* [[홍시호의 홍SHOW]]에서 너무 운이 좋았던 것 같다며 하나님께 감사드린다고 언급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F6VUbHS0YE&feature=youtu.be&t=840|참조]]][*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과천교회의 홍보 영상 나레이션을 맡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b66Ms0QOGRk|#]]] || || '''소속''' ||[[MBC 성우극회]] 11기 ([[프리랜서]]) || || '''활동 시기''' ||전속: [[1993년]] ~ [[1995년]] [br] 프리랜서: [[1996년]] ~ 현재 || || '''MBTI''' ||[[ENTJ]] || || '''링크''' ||[[https://cafe.naver.com/purevoice/|[[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width=20]] 퓨어보이스]] [[https://www.youtube.com/@pure_voice219|[[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본인 계정이 아닌 팬 계정용이다.]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우정신 성우 서명.svg|width=130]]}}}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IMG_5426_copy.jpg]] [[명탐정 코난]]의 히로인 '''[[하이바라 아이]]''' 성우로 유명한 [[대한민국]]의 [[성우]]다.[* 많은 배역들을 맡은 베테랑 성우지만 그녀의 대표적인 캐릭터로 가장 인지도가 높은 배역은 역시 하이바라.] 1993년 [[MBC 성우극회]] 11기로 입사했으며 1996년부터 프리랜서로 활동 중이다. [[신경택]], [[안장혁]], [[안지환]], [[양희문]], [[최원형]], [[배주영]], [[이승현(성우)|이승현]], [[정소영(성우)|정소영]], [[조예신]], [[주현영(성우)|주현영]]과는 동기. 어렸을 때 유난히 웃음기와 밝은 성격이었기에 지나가는 사람들을 보면 한번도 두려워하지 않았고 노래를 잘 해서 가수의 꿈도 있었다고 한다. 경기대학교 독문과 시절에는 연극부 동아리에서 배우 외에도 무대 연출가로 활동했으며 이전까지는 교회에서 연극을 했었다. 대학교 졸업 후, 회사원이나 MBC 합창단 등 여러 일자리[* 그러나 연극 배우는 연습할 때 굉장히 힘들다는 이유로 거절했다.]를 찾기 위해 고민까지 했지만 연기에 대한 열정을 버릴 수 없어 성우 학원 광고가 실린 신문을 통해 본격적으로 배우기 시작한다. 그러던 차에 친구의 형부였던 [[김한희]][* 재미교포 출신의 성우로 2013년 식도암으로 세상을 떠났다.]의 도움으로 학원에 다니며 주말마다 연기 지도를 받았고, 이후 MBC 성우극회 공채 시험에서 합격해 11기로 입사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연기 == 낭랑하고 청아한 미성으로 성우들 중에서도 엄청나게 좋은 성대 조건을 가지고 있어 나이에 비해 목소리가 엄청나게 젊은데, 병원에서 검사를 해보니 성대 연령이 '''10세 여아 수준'''이라고 한다. 덕분에 현 시점에서 50대를 넘긴 여성 성우 중에서는 [[에이징 커브]]에 대한 우려는 딱히 되지 않는 편이다. [[배정미]]와 함께 [[츤데레]] 배역이 많아서 이를 두고 국내 츤데레계의 [[https://www.youtube.com/watch?v=LljNBs2TTKQ|양대산맥으로 칭하기도 한다.]][* 단 둘의 츤데레 연기 스타일은 확연히 다른데 배정미의 연기가 일본 성우계에서 흔히 말하는 날카로운 면이 많이 강조된 소위 정통파 연기인 반면, 우정신은 틱틱대는 감정선을 그대로 가져가면서도 자신의 목소리를 살린 나긋나긋함이 특징이라 이 덕분에 쿨데레 연기에서 더 빛을 발한다. 양 성우의 대표작이자 일본에서 [[하야시바라 메구미]]가 맡았던 [[쿄우야마 안나]]와 [[하이바라 아이]]를 비교하면 감이 올 것이다.][* 우정신과 배정미는 모두 [[애천사전설 웨딩피치]]에서 [[엔젤 사루비아]] 역을 맡기도 했다. 우정신은 투니버스 구판 및 MBC, 배정미는 SBS판에서 각각 담당했다.] 또 [[쿨데레]] 역할 치고는 연기폭이 상당히 넓은 편인데 어린 여자 아이, 남자 아이나 귀여운 동물 등 모든 역할도 소화가 가능하다. 그 외에 제피로스나 [[강기태(키테레츠 대백과)|강기태]]와 같이 매우 드물게 소년 연기를 하기도 한다.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로사(로켓단 삼인방)|로사]]같은 경우는 로켓단의 여성 멤버이자 작중에서도 핵심인 악역으로 꼽히지만 이쪽은 [[개그 캐릭터]]에 가깝다. 주로 애니메이션 쪽 더빙으로 친숙하지만 의외로 게임에도 꽤나 출연했는데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와는 인연이 없지만 [[블레이드 앤 소울]], [[클로저스]], [[엘소드]], [[원신]], [[쿠키런 킹덤]] 등 국내에서도 인지도가 꽤 있는 게임들에 다수 참여했다. == 활동 == 데뷔 후 굉장히 짧은 시간만에 주연을 맡은 성우. 데뷔한지 1년도 안돼 MBC에서 방영했던 [[핑크 팬더]]에서 주인공 핑크 팬더를 맡았으며 이 작품이 끝나고 방영한 [[요술소녀]]에서 주연인 진유리(토모미)를 연기하며 지상파에서는 매우 파격적인 대우를 가졌다.[* 같은 극회 후배인 [[김서영(성우)|김서영]], [[류승곤]]과 타사 극회 후배인 [[이용신]] 등도 데뷔 1년차에 주역을 맡긴 했지만 한꺼번에 주역을 2개 맡은 경우는 우정신이 유일하다. 성우계의 전설 [[최덕희]]도 데뷔 9년차에야 TV 애니메이션 주역을 맡았다는 걸 감안하면 엄청난 거다.] 선배 홍시호 성우의 유튜브 채널 [[홍쇼]]에 나와 이 부분에 대한 언급을 했는데, MBC에서 1985년에 10기를 뽑고 8년 뒤에 자신이 속한 11기(1993년)를 뽑아서 그렇다고 한다. 직속 선배기수와 데뷔년도 차이가 너무나니 당시 신입인 11기들에게 일감이 이례적으로 많이 몰렸는데, 그중에서도 자신이 운좋게 주인공 배역에 많이 캐스팅이 되었다고 밝혔다. 그 후 꾸준히 애니메이션의 주연 혹은 고정 배역 뿐만 아니라 라디오, 외화, 게임 더빙 등 각 분야로 종횡무진 연기 활동을 이어 왔으며 후진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2023년 데뷔 30주년을 맞이하였다. == 기타 == [[파일:external/kbau.co.kr/1890292918_cb65845f_3EB82A8EC9E90EC84B1EC9AB0.PDF%2B-%2BAdobe%2BAcrobat%2BPro%2BExtended.jpg]] * 1990년대에 찍은 증명사진[* 머리가 숏컷인 것도 있지만 당시보다는 오히려 지금이 더 어려보일 정도다.]을 보면 잘 안 느껴질지도 모르겠지만 1970년생 즉 50대 기준으로는 상당히 젊은 외모다. [[양정화]], [[윤성혜]], [[김장(성우)|김장]], [[이소영(성우)|이소영]], [[양석정]], [[박선영(성우)|박선영]], [[안용욱]]과 동갑이다. 즉, 동안. 2013년 중후반쯤 들어서자 나이가 들긴 했지만 여전히 어려보이는 외모이다. 2019년 12월 [[홍쇼]] 영상을 봐도 [[https://youtu.be/uF6VUbHS0YE|동안이라는 것을 볼 수 있다.]] 웃는 모습이 [[이효리]]와 닮은꼴이라는 댓글이 나올 정도. 지금 당장 구글에서 검색해보면 동안이라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다. --이 점에서도 [[배정미]]와 비슷하다.-- 일본 성우 중에서는 [[유키노 사츠키]]와 동갑이며 성우로써 데뷔 시기나 두각을 나타낸 시기까지 비슷하다. * 본인의 대표적인 배역인 [[명탐정 코난]]의 '''[[하이바라 아이]]'''에 대한 애착이 굉장히 큰데, 유튜브 인터뷰에서 애정이 말할 수 없이 크다고 언급할 정도.[[https://www.youtube.com/watch?v=GQKKlcj7FCo&t=334s|#]] 여담으로 해당 인터뷰에서 하이바라가 코난을 좋아하냐는 질문에 얼굴을 붉히기도 했다. * [[2005년]] 3월에 [[MBC]] [[일밤]]의 [[브레인 서바이버]] 성우 특집[* 근데 성우 특집이었는데도 전혀 상관없는 [[조성모]]에 너무 집착한다고 해서 시청자들한테 까였다.] 때는 '''성우계의 대모'''라고 나온 적이 있다. ~~차라리 성우계의 떠오르는 라이징스타라고 소개하는게 나았을듯~~ ~~소개할 게 그렇게도 없었나보다.~~ --[[박영남]] 선생님 두고...--[* 브레인 서바이버에 출연했을 당시에는 '''데뷔 12년차 & 나이 36세'''였는데 대모라고 하기엔 너무 이른 나이였다. 2020년대로 치면 [[서유리]]나 [[남도형]] 같은 성우들에게 대모, 대부 운운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사실 성우에 대해 모르는 일반인들에게 조금이라도 어필하기 위해 제작진에서 소개멘트를 일부러 과장했다고 보는게 타당하다. 이런 역 저런 역 했었다고 해봐야 알아듣기도 힘들다.]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한국 더빙판에서 유일하게 모든 시리즈에 출연한 성우이기도 하다.[* 여담이지만 우연찮게도 위에서 말한 츤데레 연기의 쌍방 중 하나인 [[배정미]]는 포켓몬의 라이벌격 시리즈인 '''[[디지몬 시리즈]]의 최대 출연자이다.'''] AG부터는 [[로사(로켓단 삼인방)|로사]]로 고정출연 중이고 AG 이전에는 [[포켓몬스터(애니메이션)|금은편]]에서 게스트로 4번 출연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엄밀하게 따지자면 [[포켓몬스터(애니메이션)|무인편]]은 석영리그 편-오렌지제도 편-금은 편으로 나뉘지만 타이틀은 모두 [[포켓몬스터(애니메이션)|포켓몬스터]]이므로 1개의 시리즈라고 볼 수 있다.] DP의 갤럭시단의 간부 [[마스(포켓몬스터)|마스]]로도 유명. 대신 [[포켓몬스터 베스트위시|베스트위시]]는 [[로켓단 삼인방]]의 등장이 확 줄어서 [[랭글레이]]처럼 칼칼한 캐릭터부터 덜렁대고 귀여운 레이라 선생, [[우정훈]]을 연상케 하는 [[로사(로켓단 삼인방)|배꼽티]]의 소년 등 여러 조단역들을 전담하고 있다. 이브이&프렌즈에서는 [[님피아]] 역으로 출연했다. XY에서는 데덴네를 맡으면서 상당히 귀여운 목소리를 선보이는 한편, 썬&문에서는 마마네의 어머니 같은 중년 여성를 맡고, W에서는 하루의 남동생을 같은 어린 남자 아이 목소리까지 내는 등 다양한 연기폭을 보여주고 있다. * 팬들이 부르는 애칭은 '''눈화'''. * 아주 오래 전에는 [[성우 갤러리]]의 대문에 처음으로 나올 정도로 성우갤의 여신이었으나 현재는 다른 여성 성우 ~~덕후~~팬들의 활약으로 예전보다는 성갤에서의 위세가 약한 편이다. 그래도 신작에 출연할 때마다 자주 언급되는 편이다. * 주로 [[정미숙]]이나 [[문선희]], [[양정화]], [[김서영(성우)|김서영]], [[최문자]], [[이미자(성우)|이미자]], [[이선호(성우)|이선호]]하고 엮이는 배역이 있는 편이다. * 남자 성우로는 주로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김영선(성우)|김영선]], [[엄상현]], [[구자형]], [[최원형]], [[홍시호]], [[김승준]], [[정재헌]], [[전태열]], [[이인성(성우)|이인성]] 등과 엮이는 편이다. * 일본 성우 중에서는 주로 [[하야시바라 메구미]], [[쿠와시마 호우코]] 등과 배역이 많이 겹친다. 다만 쿠와시마 호우코는 맡는 배역마다 사망하는 것으로 유명한데, 우정신은 사망전대 성우까지는 아니다. 본인은 일본 성우에 대해 많이 아는 편은 아니지만 자신의 배역과 겹치는 하야시바라 메구미를 굉장히 동경하는 편이며 그 외로는 [[야마구치 캇페이]], [[유키노 사츠키]], [[오키아유 료타로]], [[히야마 노부유키]], [[야지마 아키코]] 등을 높이 평가하였다. * 3대 탐정만화의 범인 역을 한번씩 맡은 경험이 있다.[*스포일러 [[그리고 인어는 사라져 버렸다]], [[상하이 인어전설 살인사건]], [[카미카쿠시 촌 살인사건]].] * 의외로 기나긴 성우 경력동안 누구나 한두번은 출연하는 [[소년 점프]] 작품에 나온적이 없었다.[* 이는 비슷한 케이스인 [[코로코로 코믹스]]도 마찬가지지만 대신 코로코로 코믹스의 대표작 중 하나인 [[도라에몽]]의 작가의 또다른 대표작인 [[키테레츠 대백과]]의 주인공인 강기태 역으로 출연했다.][* 이는 비슷한 시기에 활약한 [[문선희]]와 [[이선(성우)|이선]]도 마찬가지로, 문선희는 소년 점프 원작 애니 출연이라고는 1990년대에는 [[슬램덩크]], 2000년대에는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이 전부이며, 이선 역시 슬램덩크와 [[헌터×헌터(1999년 애니메이션)|헌터×헌터 구작]]의 [[이르미 조르딕]]이 전부이다.][* 물론 소년 점프 원작애니가 일본 애니메이션의 전부가 아니기에 이걸 평가절하의 근거로 삼아서는 안 될 것이다. 애초에 소년점프 원작애니에 10회 이상 출연한 한국 여성우는 [[양정화]], [[윤미나]] 정도에 불과하다. 일본 애니 덕후들도 우정신 정도의 명성과 경력을 가진 성우라면 당연히 인정한다.], [[원나블]]은 물론 다른 소년 점프 작품 중에서도 하나라도 나온 적이 없었다가 [[헌터×헌터]] 리메이크판에서 [[아스타]]를 맡으면서 40이 넘은 나이에 점프 만화에 첫 출연을 하였으며, 이후 [[원피스(애니메이션)|원피스]]에서도 [[비올라(원피스)|비올라]]를 맡았다. 본인과 [[이누야샤]]에 같이 출연했던 선배 성우인 [[서혜정]]과 함께 베테랑 국내 여성 성우 중 소년 점프 작품 커리어가 없는 성우로 꼽혔지만 우정신은 뒤늦게 소년 점프 만화에 출연해서 이 라인에서 벗어났다. 또한 우정신은 지금까지 [[프리큐어 시리즈]]와 특촬물인 [[가면라이더 시리즈]], [[슈퍼전대 시리즈]]에도 출연한 적이 한 차례도 없다.[* 단, 특촬물 같은 경우에는 [[초성신 그란세이저]]에서 세이저 미트라스 역으로 출연한 적이 있고 비록 프리큐어 시리즈는 아니지만 같은 제작사 작품이자 이전에 나온 [[꼬마마법사 레미 시리즈|꼬마마법사 레미]]에서(1기 한정) 출연한 적이 있으며 또한 2006년 [[울트라맨 다이너]]에서도 출연하였다. ]. 그리고 [[디즈니]] 작품에도 지금까지 출연한 적이 한 차례도 없다. 물론 애초에 디즈니 작품은 주로 KBS 출신 성우들이 많이 캐스팅되었고 MBC 출신이라고는 [[최원형]], [[이인성(성우)|이인성]] 같은 성우 정도만 디즈니 작품에 자주 나온 편이라서 KBS 외의 공채 성우들의 디즈니 더빙 출연이 많이 없긴 하였다. 하지만 소년 점프와 디즈니 작품에 출연한 적이 없다고 해도 우정신 정도면 국내 성우 중에서는 화려한 경력과 출중한 연기를 갖춘 명성우로 평가받을 만하다. 대신 양대 몬스터 애니인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포켓몬스터]]와 [[디지몬 시리즈]]는 모두 출연하였다. 일본 쪽에서는 몰라도 한국에서는 포켓몬과 디지몬에 모두 출연한 성우가 많지는 않은 편이라서 더욱 값진 커리어다. 오랜 경력에 비해 메이저한 애니메이션 커리어가 다른 베테랑 성우들에 비해 취약해보이지만 [[이누야샤]],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포켓몬스터]],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명탐정 코난]] 정도면 충분히 메이저 작품의 반열에 드니 그러한 편은 아니다. * 또한 위에 서술한 소년 점프 쪽 만화 외에도 [[문선희]]와 더불어서 [[거대로봇물]] 출연이 잘 없는 성우이다. [[용자 시리즈]]나 [[엘드란 시리즈]]같은 한국에서 친숙한 거대로봇물 애니메이션에 모두 출연하지 못했다. * [[김선혜]]와는 다른 작품에서 같은 포지션으로 만난 적이 있는데, [[김선혜]]는 [[메이플스토리]]에서 [[아란(메이플스토리)|아란]]과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명탐정 코난]]에서 [[에도가와 코난]]을, [[원신]]에서 [[감우]]를 맡았고, 우정신은 [[메이플스토리]]에서 [[핑크빈(직업)|핑크빈 플레이어 캐릭터]]과 [[아크(메이플스토리)|여성 아크]]를,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명탐정 코난]]에서는 [[하이바라 아이]]를, [[원신]]에서는 [[모나(원신)|모나]]와 [[디오나]]를 맡았다 맡았다. 두 명 다 플레이어블 캐릭터 + 같은 편인 흔치 않은 케이스다. * 미국 애니메이션 출연빈도가 다소 낮은 편인 반면 한국 애니메이션 출연빈도는 매우 높은 편이며 일본 애니메이션도 [[이누야샤]]나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명탐정 코난]]같은 대표작을 비롯해서 출연빈도가 높다. * SNS 같은 활동을 하지 않지만 성우가 참석하는 각종 행사에서도 꼬박꼬박 참여해서 팬들과는 꾸준히 소통을 나누고 있고 선후배나 동기 관계없이 다른 성우들과도 원만한 사이를 가지고 있지만 비슷한 시기에 MBC에 입사한 1기수 후배 성우이자 한국 성우계의 [[흑역사]]인 [[박조호]]는 별로 안 좋게 보는 편이다.[* 물론, 이것은 박조호가 그만큼 인간 쓰레기여서이기도하다. 오죽하면 신사로 유명한 [[강수진(KBS 성우)|강수진]]마저 대놓고 욕을 했을 정도였으니.] 여담이지만 일본판 기준 이누야샤의 산고 성우인 [[쿠와시마 호우코]]는 팬 서비스를 잘 하지 않기로 소문이 난 성우인데 우정신은 반대로 팬 서비스가 좋은 축에 들어간다. * 2020년 이후로는 본인도 나이가 50대에 접어들었고 조카뻘이나 자식뻘이 되는 신인 성우들의 활동이 왕성해져서 이전에 비하면 성우 활동이 좀 뜸해진 편이어서 팬들의 아쉬움만 더 커졌다.[* 그래도 고정 출연작이 다수 있어서 비슷하게 활동이 줄어든 케이스인 [[김장]], [[문선희]], [[이지영]] 등에 비하면 사정이 나은 편이다.] 물론 이누야사와 후속작인 [[반요 야샤히메]]에서 산고 역으로 출연했고 현재 포켓몬스터나 명탐정 코난같은 장기방영작에서도 레귤러 캐릭터를 맡고 있어서 이런 문제는 딱히 없다. 애초에 [[MBC 성우극회]] 소속 성우들은 2020년 이후로 [[CJ ENM 성우극회]][* 물론 이건 1~4기 쪽 성우들만 그렇고 5기 이후 성우들은 지금도 각종 애니나 게임에 자주 출연한다. 1~4기 쪽에서 성우 활동이 활발한 케이스라고는 [[양정화]], [[시영준]], [[여민정]] 정도 밖에 없다.]와 더불어서 활동이 매우 뜸해진 편인데도 MBC 성우치고는 성우 활동이 건재한 편이다. 그리고 2022년 8월 투니버스 측에서 [[네모바지 스폰지밥]] 방영을 시작했는데 재더빙이 많은 축에 속하는 방송사인 투니버스라도 스폰지밥의 성우진은 대체 불가라 기존의 스폰지밥 성우진을 유지한 채 방영을 하기 때문에 다람이 연기를 계속해서 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야샤히메가 2기까지 종영된 지 몇 개월 뒤에 [[아이의 노랫소리를 들려줘]]라는 출연하여 간만에 극장용 애니메이션에서도 출연하였는데 참여한 성우진 중에서도 가장 최고참이다. * 팬 사랑은 물론이고 후배 사랑도 지극한 편이다. 자신의 MBC 성우극회 후배에 해당되는 [[김서영(성우)|김서영]], [[문남숙]], [[박신희]], [[류승곤]], [[정재헌]], [[송준석(성우)|송준석]][* 다만 이쪽은 데뷔는 늦었지만 나이는 우정신보다 한살 위다.] 등이 신인 시절이었을 무렵부터 성우로써 성장할수 있는 것을 도와주고 누구보다 가깝게 지내며 후배들도 우정신에 대해 좋은 평을 받고 있다. 특히 나이 차가 거의 20년이나 차이나는 후배인 [[방연지]]가 우정신의 제자로 몸담은 적이 있어서 그런지 본인도 우정신을 매우 존경하는 성우로 꼽는다. * 2000년대 중반 대원 측에서 성우 관련 에피소드를 방영한 프로그램에도 나온 바가 있었다. * 강수진과 더불어 루미코 여사에게 극찬을 받은 얼마 안되는 한국 성우이기도 하다. 다만 이상하게도 [[김이경]] PD가 연출한 작품들과는 인연이 없고[* [[명탐정 코난]] 극장판, [[디지몬 프론티어]] 극장판 등 기존 캐스팅 유지 건을 제외하면 [[소년탐정 김전일]] 게스트 출연이 전부다.] 강수진은 그래도 김이경이 연출한 작품들에 소수라도 출연해본 적은 있지만 이쪽은 사실상 없다. * 한국의 유명 여자 배구선수이자 [[GS칼텍스 서울 KIXX]] 소속인 [[안혜진]]과 외모가 좀 닮은 편이다. 무표정일때보다는 웃을 때 모습이 매우 닮았다. 물론 안혜진은 목소리가 여타 여자 배구선수처럼 중저음이라서 음색은 전혀 닮지 않았다. 오히려 우정신의 목소리만 놓고 본다면 아나운서인 [[김선신]]이 많이 닮았다. * 커리어의 주요 배역들을 본다면 선역 쪽 비중이 좀 더 높은 편이지만 악역 연기도 잘하는 편이다.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포켓몬스터]]의 [[로사(로켓단 삼인방)|로사]]가 대표적인 악역 배역이며 악역 연기를 할때는 우아하면서도 대담한 악녀 역할이 많은 편이다. 호두까기 인형과 4개의 왕국[* 여담으로 실사 작품이긴 하지만 우정신에게는 몇 안되게 출연한 디즈니 제작 작품이다.]에서 슈가 플럼으로도 예쁘고 사악한 악녀 연기를 했다. * 자신과 같은 빠른 70년생 성우인 [[양석정]]과도 매우 친한 사이인데, 우정신은 93년 데뷔고 양석정은 99년 데뷔라서 성우로써의 커리어는 양석정 쪽이 훨씬 후배지만 사석에서는 서로 친구와 같이 지낸다고 한다. 또다른 동년배 성우인 [[서윤선]]은 생일이 3월이지만 우정신 본인도 2월 중순이 생일이라서 생일 차이가 한 달도 되지 않는다. * 특유의 음색 덕분에 노래를 부르면 예쁘게 들리지만 OST를 부르는 일이 많지 않다. 술은 분위기를 즐기는 정도로만 마시며 매운 음식은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 국내 성우 중에서는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을 즐겨보는 애청자 중 한명이다. 애초에 복면가왕은 우정신의 소속 방송사인 MBC에서 방영되는 경연 프로그램이며 동기 성우인 [[안지환]]도 이미 복면가왕에 출연한 바가 있다. 우정신 본인도 복면가왕에 나갈 기회가 있다면 나갈 의사는 있는 듯하다. * 2000년대까지만 해도 게임 출연이 많은 편은 아니었는데 2010년 이후로는 게임 출연도 매우 많아졌다. 나이가 든 이후로는 애니 출연보다는 게임 출연이 더 많아진 케이스다. 블리자드에서 제작한 게임 외에 한국에서 인지도가 좀 있는 게임들에는 대거 출연하였다. * [[김이경]] PD의 대표작과 인연이 없는 대신 한때 [[애니맥스]]의 페르소나인 성우였다. 물론 애니맥스가 자막 방영을 더욱 중점으로 둔 이후로는 이마저도 의미가 없어지고 말았다. [[대원방송]] 쪽도 2000년대까지는 [[이누야샤]]를 비롯하여 많이 출연했지만 페르소나로 보기에는 미묘하며 대원방송 성우극회 출범 이후로는 대원방송 출연이 빨간머리 앤 정도 외에는 거의 없을 정도다. 그나마 투니버스는 고정 출연작이 다수 있어서 대원보다는 사정이 괜찮은 편이다. * 서울 연고 구단인 [[두산 베어스]] 팬인데 실제로도 EBS에서 방영한 한국 프로야구 애니에서 두산 역할을 맡았었다. * 의외로 [[짱구는 못말려]]에서 비디오판으로 나온 극장판에 출연을 한 적이 있었다. 물론 비디오판이 더빙된 것을 아는 사람이 많지는 않다. *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 개봉 당시 관람객에게 랜덤으로 나누어주던 렌티큘러 캐릭터 카드에서 [[진(명탐정 코난)|진]]을 뽑았는데 영화 내에서 진의 중요 대사가 “보고 싶었다, [[하이바라 아이|셰리]].” 였던 것을 생각하면 신기한 뽑기 운. [[https://youtube.com/shorts/9rRO9fZQqHU?si=9nyZIg7YtPEMRlN8|렌티큘러 카드를 개봉하는 우정신 성우님.]] == [[우정신/출연작|주요 출연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정신/출연작)] == 관련 문서 == * [[성우/한국]] *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 [[김영선(성우)|김영선]] * [[정미숙]] * [[문선희]] [[분류:한국 여성 성우]][[분류:1970년 출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93년 데뷔]][[분류:단양 우씨]][[분류:서초중학교 출신]][[분류:동덕여자고등학교 출신]][[분류:경기대학교 출신]][[분류:서강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장로회 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