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국회의장)] || '''{{{#cfa547 우원식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 [[노원구 갑|{{{#cfa547 노원구 갑}}}]])'''}}} || || ''선거구 통합''[br][[고용진]][* 선거구 통합 전 [[노원구 갑]] 선거구의 [[제21대 국회의원]] 이다.][br]'''우원식'''[* 선거구 통합 전 [[노원구 을]] 선거구의 [[제21대 국회의원]] 이다.] || → || '''제22대[br]우원식''' || → || ''현직'' || [include(틀:역대 예산결산특별위원장)]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cfa547 대한민국 국회}}}]] [[특별위원회#s-1.5.2|{{{#cfa547 가습기살균제 사고 진상규명과 피해구제 및 재발방지 대책마련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장}}}]]'''}}} || || ''신설'' || → || '''제20대 전반기[br]우원식''' || → || ''활동 종료''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임시전당대회 당대표 후보)]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서울특별시)] [include(틀:열린우리당 사무총장)]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 [[노원구 을|{{{#cfa547 노원구 을}}}]])'''}}} || || ''선거구 개편''[br][[함승희]][* 선거구 개편 전 [[노원구 갑]] 선거구의 [[제16대 국회의원]] 이다.][br][[임채정]][* 선거구 개편 전 [[노원구 을]] 선거구의 [[제16대 국회의원]] 이다.] || → || '''제17대[br]우원식''' || → || 제18대[br][[권영진]] || || 제18대[br][[권영진]] || → || '''제19-21대[br]우원식''' || → || ''선거구 통합''[br]'''우원식'''[* 선거구 통합 후 [[노원구 갑]] 선거구의 [[제22대 국회의원]] 이다.][br][[김성환(1965)|김성환]][* 선거구 통합 후 [[노원구 을]] 선거구의 [[제22대 국회의원]] 이다.]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580009)" '''{{{#cfa547 대한민국 제22대 전반기 국회의장[br]{{{+1 우원식}}}}}}[br]禹元植 | Woo Won-shik'''}}} || ||<-2> [[파일:우원식 프로필.jpg|width=100%]] || ||<|2> '''출생''' ||[[1957년]] [[9월 18일]] ([age(1957-09-18)]세) || ||[[서울특별시]] [[성동구]] [[신당동]][br](現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신당동]]) || || '''원적''' ||[[황해도]] [[연백군]][* 양친이 황해도 연백군 출신으로, 우원식은 [[실향민/대한민국|실향민]] 2세이다.] || || '''공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한남동 공관촌|국회의장 공관]] || || '''거주지'''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 || || '''본관''' ||[[우(성씨)|단양 우씨]][* 31세 ○식(植) 항렬.] || || '''현직''' ||[[제22대 국회의원]][br][[제22대 국회|제22대 전반기]] [[국회의장]][br]사단법인 여천[[홍범도]]장군기념사업회 이사장 || ||<|2> '''재임기간''' ||제22대 전반기 [[국회의장]] || ||[[2024년]] [[6월 5일]] ~ [[현직]]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우원식 서명.svg|width=130]]}}} || ||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wonsikw, 크기=20)] | [[https://www.facebook.com/wonshikw|[[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wonshik_on?igshid=1eqpom3w1ehz4|[[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youtube.com/channel/UCHRXeR8AU6dpmwrmXSifK8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m.blog.naver.com/reform111|[[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woowonshik.tistory.com/|[[파일:티스토리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우제화[* [[1913년]] ~ [[1986년]] (향년 73세)], 어머니 김례정[* [[1917년]] [[9월 16일]] ~ [[2020년]] [[9월 29일]] '''(향년 103세)'''] || || '''형제자매''' ||형 우영식[br]누나 우관혜, 우정혜, 우덕혜, 우승혜, 우난혜[* 우원식은 막내로 출생했다. 이 중 우정혜와 우덕혜는 북한에 있다.] || || '''배우자''' ||신경혜 || || '''자녀''' ||슬하 1남 1녀 || || '''학력''' ||[[서울경동초등학교|서울경동국민학교]] {{{-2 (졸업 / 57회)}}}[br][[성수중학교(서울)|성수중학교]] {{{-2 (졸업 / 3회)}}}[br][[경동고등학교]] {{{-2 (졸업 / 32회)}}}[br][[연세대학교 공과대학]] {{{-2 ([[토목공학]] / [[학사]])}}}[br][[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 ([[환경공학]]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1664738|거버넌스 관점에서의 물관리체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2008. 12).]}}} || || '''병역''' ||[[대한민국 육군]] [[수도방위사령부]][br][[제60보병사단|제60훈련단]] [[병장]] 만기전역 {{{-2 (야전건설[[공병]])}}}[br]{{{-2 ([[1978년]] [[2월 25일]] ~ [[1980년]] [[7월 24일]])}}} || || '''종교''' ||[[개신교]] {{{-2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예장합동]])}}}[*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500569&code=23111111&cp=nv|출처]].][* 현재 노원구 상계2동에 위치한 [[꽃동산교회]]의 안수집사이다. [[상계중학교]]에서 주차 봉사를 하고 있다. 다니는 [[교회]]에는 유명한 [[샤론의 꽃보다]] 춤으로 유명한 김용식 [[목사]]가 있다. 상당히 독실한 [[크리스천]]으로, 매주 다니는 지역 교회에서 [[일요일]]마다 교회 앞 교통 정리 봉사를 도맡고 있다. 그 교회 앞 대로변에서 교회 쪽은 [[노원구 병]]이고, 건너편은 본인의 지역구 쪽인 노원구 을인데, 기가 막히게도 '''자신의 [[지역구]]인 길 건너편에서 봉사를 한다'''. 또한 독실한 크리스천임에도 불구하고 [[제19대 국회]] 당시 민주당 대표인 [[김한길]]이 대표발의한 차별금지법에 공동발의했다. 개신교 단체와 신도 등이 공동발의한 의원들을 상대로 격렬하게 반대 운동을 펼쳐 대부분의 의원들이 공동발의를 철회했으나 우원식 의원은 끝까지 공동발의 의사를 철회하지 않았다. 이런 일 때문에 꽃동산교회 앞에서 반동성애단체가 시위를 벌이는 일이 있었고, 우원식 의원이 주보에 사과문을 싣는 일이 생겼다.] || || '''신체''' ||174cm, [[AB형]] || || '''소속 정당''' ||[include(틀:무소속)][* 국회법에 따라 국회의장으로 재직하는 동안 당적을 보유할 수 없다. 원소속 정당은 [[더불어민주당]]이다.] || || '''지역구''' ||[[서울특별시|서울]] [[노원구 갑]] || || '''의원 선수''' ||'''5''' || || '''의원 대수''' ||[[제17대 국회의원|'''17''']], [[제19대 국회의원|'''19''']], [[제20대 국회의원|'''20''']], [[제21대 국회의원|'''21''']], [[제22대 국회의원|'''22''']] || || '''경력''' ||[[연세대학교]] 기독교인 총학생회 회장[br][[평화민주당]] 민권부국장[br]평화민주통일연구회 총무국장[br][[신민주연합당]] 정책위원회 위원[br][[연세대학교]] 민주동문회 실행위원[br][[임채정]] 국회의원 보좌관[br]제4대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2 (민선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1]]기 / [[민주당(1991년)|민주당]])}}}[br][[김대중]]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자문위원[br][[한국환경공단|환경관리공단]] 관리이사 {{{-2 ([[국민의 정부]])}}}[br][[제17대 국회의원]] {{{-2 (초선 / [[서울특별시|서울]] [[노원구 을]] / [[열린우리당]])}}}[br]국회 서울균형발전국회의원모임 대표[br]대한장애인보치아연맹 회장[br][[열린우리당]] 수석사무부총장[br][[열린우리당]] [[사무총장]] 권한대행[br][[대통합민주신당]] [[최고위원]][br][[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br][[건국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 겸임교수[br][[박원순]] 서울시장 후보 선거대책본부 공동본부장[br][[제19대 국회의원]] {{{-2 (재선 / [[서울특별시|서울]] [[노원구 을]] / [[민주통합당]])}}}[br][[민주통합당]] 원내대변인[br]국회 탈핵 에너지전환을 위한 국회의원 모임 책임연구의원[br][[제18대 대통령 선거]]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총무본부장[br][[민주통합당]] 원내수석부대표[br][[제19대 국회]] 전반기 [[국회운영위원회]] 간사[br][[민주당(2013년)|민주당]] [[최고위원]][br][[민주당(2013년)|민주당]] 을지로위원회 위원장[br]신명나는 한반도 자전거에 사랑을 싣고 이사장[br][[새정치민주연합]] [[최고위원]][br][[새정치민주연합]] 을지로위원회 위원장[br][[새정치민주연합]] 서울특별시당 노원구 을 지역위원장[br][[제20대 국회의원]] {{{-2 (3선 / [[서울특별시|서울]] [[노원구 을]] / [[더불어민주당]])}}}[br][[제20대 국회]] 전반기 가습기살균제 사고 진상규명과 피해구제 및 재발방지 대책마련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위원장[br]제3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2017.05.16. ~ 2018.05.09.][br][[제21대 국회의원]] {{{-2 (4선 / [[서울특별시|서울]] [[노원구 을]] / [[더불어민주당]])}}}[br][[대한민국대전환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선대위원장[br][[제21대 국회]] 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br]제21대 국회 그린뉴딜연구회 대표의원[br]제21대 국회 생명안전포럼 대표의원[br][[더불어민주당]] 기본사회위원회 수석부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노원구 을]] 지역위원장[br][[제22대 국회의원]] {{{-2 (5선 / [[노원구 갑|서울 노원구 갑]] / [[무소속]])}}}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 출신 [[정치인]]. [[연세대학교]] 재학 시절인 1978년 [[박정희]] 전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퇴진 운동을 하다 우선 징집되어 [[수도방위사령부]] 예하 [[제60보병사단|제60훈련단]] 공병대에서 복무했다.[* [[병무청]] 공직자등의 병역사항열람 참조.] [[독립유공자]]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0941|김한]](1887~1938)의 외손자이다. [[김상옥]] 의사의 [[종로경찰서]] 폭탄투척사건에 연관된 김한은 과거 [[의열단]] 단원으로 활동하였고 2005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민평련]]의 좌장이며 현재는 [[친명]]에 속한 인물이기도 하다. [[제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으로 당선됐으며 2024년 6월 5일 국회 개원 후 열린 첫 본회의에서 재석 의원 192명[* [[국민의힘]] 국회의원 108명 전원이 본회의 참석을 거부했다.] 중 190명의 인준을 받아 [[대한민국 국회의장]]으로서 일하게 됐다. == 경력 == * 1970.2. [[서울경동초등학교|서울경동국민학교]] 졸업 {{{-1 (57회)}}} * 1973.2. [[성수중학교(서울)|성수중학교]] 졸업 {{{-1 (3회)}}} * 1976.2. [[경동고등학교]] 졸업 {{{-1 (32회)}}} * 1977. [[연세대학교]] [[기독교인]] [[총학생회]](총기독학생회) [[학생회장|회장]] * 1987. 알서점 사장 * 1988. [[평화민주당]] 민권국 부국장 * 1989. 평화민주통일연구회 총무국장 * 녹색의전화 환경문제상담실장 * [[신민주연합당]] 정책위원회 위원 * 도서출판 학민사 편집국장 * 1991.3. [[1991년 지방선거|1991년 광역의회의원 선거]] [[노원구 제4선거구]] 신민주연합당 [[서울특별시의회]]의원 후보 {{{-1 (낙선)}}} * 1992. [[제14대 국회]] [[민주당(1991년)|민주당]] [[임채정]] [[국회의원 보좌관]] * 민주개혁 정치모임 이사 * 한국환경사회정책연구소 연구위원 * 살기좋은 노원만들기 연구모임 대표 * 상계쓰레기소각장 주민공동대책위원회 위원 * 수도권매립지조합회의 실무위원회 위원장 * 1995.7. ~ 1998.6. 제4대 서울특별시의회의원 {{{-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민선 1기]] / [[노원구 제3선거구|노원 3]] / 민주당)}}} * 1995.7. 전반기 운영위원회 위원 * 1995.7. 생활환경위원회 위원 * 1995.8. 지방자치발전특별위원회 위원 * 1997.3. 환경보전대책특별위원회 위원 * 1997.12. 여성특별위원회 위원 * 1997.12. [[IMF 금융위기|경제위기]]극복대책특별위원회 위원 * 서울특별시의회 [[새정치국민회의]] 대변인 * 1997.2.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졸업, [[토목공학]] [[학사]] {{{-1 (76학번)}}} * 1997.12. [[김대중|제15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자문위원 * 1998.5. [[고건]] [[서울특별시장]] 인수위원회 자문위원 * 1998.11. 새정치국민회의 기획조정위원회 부위원장 * 1999.5. 제2의건국범국민추진위원회 제2심의관 {{{-1 ([[국민의 정부]])}}} * 국민정치연구회 정책연구실 부실장 * 2000.5. [[환경관리공단]] 관리이사 {{{-1 (국민의 정부)}}} * 환경을 사랑하는 [[중랑천]] 사람들 운영위원장 * 서울 의제21위원회 폐기물분과 위원 * 강남북 균형발전 주민연대회의 의장 * 반부패국민연대 정책위원 * 노원놀이마당 사랑회 운영위원 * 북부실업자사업단 자문위원 * [[여성민우회]] 멋있는 남편상 수상 * 2004.5. ~ 2008.5. [[제17대 국회의원]] {{{-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초선]] / 서울 [[노원구 을|노원 을]] / [[열린우리당]])}}} * 2004.5. [[환경노동위원회]] 위원 * 2004.12. 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위원 * 2004.6. 국회 서울균형발전 국회의원 모임 대표 * 2006.3. 대한장애인[[보치아]]연맹 회장 * 2006.6. 열린우리당 사무처 사무부총장 *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 2008.4.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노원 을 통합민주당 후보 {{{-1 (낙선)}}} * 2009.2. [[연세대학교/대학원|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졸업, [[환경공학]] [[석사]] * 2009.8.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학부/상허생명과학대학|생명환경과학대학]] 겸임교수 * 2011.10.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서울특별시장 선거 [[무소속]] [[박원순]] 후보 선거대책본부 공동본부장 * 2012.5. ~ 2016.5. [[제19대 국회의원]] {{{-1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재선]] / 서울 노원 을 / [[민주통합당]])}}} * 2012.7. 전반기 [[교육위원회|교육]][[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학기술위원회]] 위원 * 2012.7. 전반기 [[국회운영위원회]] 위원 * 2013.2. 전반기 국회운영위원회 간사 {{{-1 (야당 측)}}} * 2014.6. '14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2014.6. 후반기 환경노동위원회 위원 * 2012.5. 민주통합당 원내대변인 {{{-1 ([[이해찬]] 대표)}}} * 2012.6. 국회 탈핵 에너지전환을 위한 국회의원 모임 책임연구의원 * 2012.7. [[독립기념관]] 이사 * 2012.9. [[제18대 대통령 선거]]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총무본부장 * 2012.10. 민주통합당 원내수석부대표 * 2013.5. [[민주당(2013년)|민주당]] 최고위원 {{{-1 ([[김한길]] 대표)}}} * 2013.5. 민주당 乙을지키는 민생실천위원회 위원장 * 2013.6. 신명나는 한반도 자전거에 사랑을 싣고 이사장 * 2014.3. [[한국스카우트연맹]] 서울북부연맹 연맹장 * 2014.3. [[새정치민주연합]] 상임최고위원 {{{-1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 * 2015.6.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 위원 * 2016.5. ~ 2020.5. [[제20대 국회의원]] {{{-1 ([[제20대 국회의원 선거|3선]] / 서울 노원 을 / [[더불어민주당]])}}} * 2016.6. 전반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업통상자원위원회]] 위원 * 2016.7.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가습기 살균제 사고]] 진상 규명과 피해 구제 및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위원장 * 2017.5. 전반기 국회운영위원회 위원 {{{-1 (여당 원내대표)}}} * 2018.7. 후반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 * 2018.10. 남북경제협력특별위원회 위원 * 2016.6. 국회 탈핵 애너지전환을 위한 국회의원 모임 공동대표의원 * 2017.5. ~ 2018.5. 제3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1 ([[추미애]] 대표)}}} * 2018.8. 여천[[홍범도]]장군기념사업회 이사장 * 2018.9. 더불어민주당 당헌당규강령정책위원회 위원장 {{{-1 (이해찬 대표)}}} * 2018.10. 더불어민주당 기후변화대응 및 에너지전환산업육성특별위원회 위원장 * 2018.10. 더불어민주당 민생연석회의 민생정책교육홍보위원회 위원장 겸 편의점최저수익보장분과위원회 위원장 * 2020.5. ~ 2024.5. [[제21대 국회의원]] {{{-1 ([[제21대 국회의원 선거|4선]] / 서울 노원 을 / 더불어민주당)}}} * 2020.7. 전반기 [[기획재정위원회]] 위원 * 2022.7. 후반기 환경노동위원회 위원 * 2022.7. '22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 2020.5. 국회 생명안전포럼 대표의원 * 2020.5. 국회 기후위기그린뉴딜연구회 대표의원 * 2020.7. 더불어민주당 국가균형발전 행정수도완성추진단 단장 * 2020.11. 더불어민주당 민생연석회의 수석부의장 * 2020.12. 더불어민주당 국가균형발전특별위원회 위원장 {{{-1 ([[이낙연]] 대표)}}} * 2021.5. [[더불어민주당/2021년 전당대회|더불어민주당 임시전국대의원대회]] 당대표 후보 {{{-1 (낙선)}}} * 2022.11. [[제20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대한민국대전환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선거대책위원장 * 2023.2. 더불어민주당 기본사회위원회 수석부위원장 {{{-1 (이재명 대표)}}} * 2023.7. 더불어민주당 [[후쿠시마 ALPS 처리수 방류 논란|후쿠시마원전오염수 해양투기]]저지 총괄대책위원회 상임위원장 * 2024.5. ~ [[제22대 국회의원]] {{{-1 ([[제22대 국회의원 선거|5선]] / 서울 [[노원구 갑|노원 갑]] / 무소속)}}} * 2024.6. ~ '''[[제22대 국회]] 전반기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 == 생애 == === 실향민 2세 === 1957년 9월 18일, [[서울특별시]] [[성동구]]에서 아버지 우제화와 어머니 김례정 사이에서 9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아버지 우제화 옹은 [[황해도]] [[연백군]] 출신이고, 누나 둘은 [[북한]]에 살아 있다고 한다. [[http://5donews.co.kr/board_life/2943|#]] 2010년 [[남북 이산가족 상봉]] 때 모친인 김례정 씨가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3513362|남측 최고령자(당시 나이 96세)로 참석해 화제가 된 바 있다.]] 헤어진지 60년 만에, 상봉신청을 한지 15년 만에 누나 정혜 씨와 상봉이 이루어졌다. || [[파일:상봉2.png|width=100%]] || || {{{#152484 '''2010년, 누나와의 상봉'''}}} || [[서울경동초등학교]](57회), [[성수중학교(서울)|서울 성수중학교]](3회), [[경동고등학교]](32회),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를 졸업하고 2008년 12월 [[연세대학교 대학원|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에서 [[환경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연세대학교]] 재학 중이던 1978년 2월 25일 [[대한민국 육군|육군]]에 입대하여 [[수도방위사령부]] 예하 [[제60보병사단|제60훈련단]]에서 [[공병]](야전건설 특기)으로 복무하였으며, 1980년 7월 24일 [[병장]]으로 만기전역하여 병역을 마쳤다. === 정계 입문 ===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문익환]] 목사 등과 함께 [[김대중]] 지지운동에 참여했다. 이듬해인 1988년 문동환, 박영숙, [[임채정]], [[이해찬]] 등 재야민주화운동가 98명이 결성한 평화민주통일연구회(약칭 평민연)을 통해 [[평민당]]에 입당하면서 현실정치에 참여하게 되었다. || [[파일:2. 이희호여사와 박영숙 국회의원과 함께.jpg|width=100%]] || || {{{#152484 '''[[이희호|{{{#152484 이희호}}}]] 여사, [[박영숙|{{{#152484 박영숙}}}]] 국회의원과 함께'''}}} || [[평민당]] 인권위원회 민권부국장을 맡아 군부독재 정권의 인권유린 현장을 찾아다니면서 ’88-89인권백서‘를 편찬하기도 했다. 당시 김대중 총재가 [[노태우]] 대통령과의 회동 시에 전달했다고 한다. [[http://www.vop.co.kr/A00000264791.html|#]] === 서울시의원 === 1991년 서울 [[노원구 제4선거구]]에서 서울시의원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1992년 재검표 끝에 서울 [[노원구 을]]에서 당선된 임채정 [[국회의원]]의 보좌관을 거쳐,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서울]] [[노원구 제3선거구]]에서 [[서울특별시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92년 [[노원구]] 상계동 쓰레기 소각장 문제가 불거지자 주민대책위원으로 참여하면서 환경운동에 나선다. 시의원으로 당선된 후 폐기물 관련 조례 개정, 단식농성 등을 통해 문제해결에 앞장섰다. 결국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058507|1996년 [[서울시]]와 주민 간의 쓰레기 소각장 운영협의]]를 4년간의 분쟁의 마침표를 찍게 된다. 특히 1996년에 경실련 지방의회 평가에서 전문성 등 7개 항목 모두 만점을 받아 700점 만점으로 환경관련부분 [[서울시의회]] 1등 의원으로 선정되는 명예도 얻었다. === 제17대 국회의원 ===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노원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7대 국회]]에서 4년간 [[환경노동위원회]]에서 활동했으며, 2006년에 [[열린우리당]] 수석 사무부총장으로 활동했다. ‘서울균형발전을 위한 [[국회의원]] 연구모임’ (대표의원 [[임채정]], 연구책임의원 우원식)을 만들어서 강·남북간 재정불균형 해소를 위한 지방세법을 개정하여 강북지역에 자치 재정을 확대하는 데 기여했다. 2007년 4월, 당시 [[열린우리당]] 우원식 의원은 재산세 100%를 공동과세하는 ‘지방세법개정안’을 발의했지만, 당시 강남지역 구청장 및 [[한나라당]] 의원들의 [[https://www.ytn.co.kr/_ln/0101_200706221132413858| 법안처리 반대]]로 인해 결국 재산세 40~50%만을 공동과세하는 것으로 타협했다. 개정안의 주요내용은 [[서울시]] 자치구의 재산세를 [[서울시]]가 2008년도에는 40%, 2009년도에는 45%, 2010년도 이후에는 50% 공동과세하여 각 자치구의 재정력, 인구, 면적 등을 고려하여 각 자치구에 배분하는 것이다. 공공기관의 장애인을 전체 직원의 2% 이상 의무 고용을 법제화해 장애인도 교사가 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2005년 대표발의한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의해 의무고용 대상에서 제외됐던 법관, 헌법 연구관, 공립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사, 정무직 및 일부 기술직 공무원 분야에도 장애인 의무고용 원칙이 적용되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0108675|#]] 2007년 주한미군기지 반환 협상의 문제점과 미군의 기름 유출에 따른 환경오염 치유를 위한 [[국회]]청문회를 이끌어 냈고, 반환 협상의 부당함과 미군의 환경오염 은폐 사실을 밝혀냈다. [[https://www.nocutnews.co.kr/news/311296|#]] === 제18대 국회의원 낙선 === 이후 2008년에 재선 출마를 선언했다. 그리고 [[민주당(2008년)|민주당]] 공천을 받고 출마해 경선에 승리해 후보자가 되었다. 그러나 [[한나라당]] [[권영진]] 후보에게 5.7%차로 밀리며 낙선해 재선에 실패했다. === 제19대 국회의원 ===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통합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새누리당]] [[권영진]] 후보에게 설욕하였다. 2012년 원내대변인을 거쳐, [[18대 대선]] [[문재인]] 후보 총무본부장으로 캠프 살림살이를 맡기도 했다. 원내수석부대표를 거쳐 2013년 민주당 최고위원에 당선됐다. 2014년 세월호 참사([[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세월호 침몰 사고의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그 결과 세월호 특조위는 정부의 초동대응 실패, 해경 녹취록 공개, 해수부의 관리부실 등을 밝혀냈다. ==== 을지로위원회 위원장 ==== 2013년 ‘[[남양유업]] 갑질 사태’([[남양유업 대리점 상품 강매 사건]])와 같은 연이은 [[대기업]] 갑질 사건이 벌어지자 ‘갑의 횡포를 막고, 을의 눈물을 닦아주자’라는 목적을 갖고 ‘을지로위원회가 결성되었다. ‘을지로위원회’는 중구 을지로가 아니라 ‘乙’을 위한 길(路), 법(law), 노력(勞)라는 뜻이다. 을지로위원회는 각종 불공정·부당 행위로부터 [[자영업]], [[중소기업]], 간접고용 [[비정규직]] 등 을(乙)의 권리를 보호하고 갈등을 중재하며 2017년 전당대회 때 전국위원회로 승격되었다. 대표적인 갑질 사례인 [[남양유업]] 교섭을 이끌어 낸 것을 시작으로 [[대기업]] 기술편취로부터 [[중소기업]] 보호, 학교비정규직 처우개선 예산 확보 및 정규직화 추진, [[우체국 택배]] 기사 처우개선, [[국회]] 청소노동자 직접고용, 용산 화상경마도박장 폐쇄 타결, 삼성 반도체 백혈병 피해보상 중재, 간접고용 비정규직 위험의 외주화 개선 등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성과를 냈다. 더불어 2015년에는 자영업자와 비정규직 노동자 3,000명이 ‘을 당원’으로 입당하기도 했다. ‘을지로위원회’는 [[문재인]] 대통령의 제1호 경제민주화 공약이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당·정·청 을지로민생회의’를 만들어 민생과제 해결을 위한 당·정·청의 공조·협력체계를 구축했다. 또한 [[자영업]], [[중소기업]], 노동자 등 현장 전문가들이 함께 민생과제를 발굴하고 해결하는 ‘민생연석회의’출범을 주도하여 카드 수수료 1%대 인하, [[편의점]]주 최저수익보장 및 상생협력 확대, [[제로페이]] 활성화, 택배노동자 과로사 해결을 위한 사회적 합의 등 국민들이 체감하는 성과를 내는데 기여했다. || [[파일:국회 청소노동자 정규직전환.jpg|width=100%]] || || {{{#152484 '''국회 청소노동자와 함께'''}}} || === 제20대 국회의원 ===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 지역구에 현역 단수공천을 받아 출마한다. 그리고 당선되어 3선에 성공한다.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에 출마를 선언하였으나 [[http://woowonshik.tistory.com/2521|출마선언문]] [[우상호]] 후보에게 결선 투표에서 7표차로 낙선하였다. 2019년 한 언론사의 초선의원 대상 설문조사에서 [[https://www.sisaweek.com/news/articleView.html?idxno=117250|의정활동 롤모델로 삼고 싶은 선배의원 1위]]로 뽑혔다. 2016년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가습기살균제 사고]] 진상규명과 피해구제 및 재발방지 대책마련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특위 위원들과 함께 [[영국]]에 있는 [[옥시레킷벤키저]](RB코리아) 본사를 방문하여 [[옥시레킷벤키저]](RB코리아)의 [[영국]] 본사인 레킷벤키저(Reckitt Benckiser) 그룹 최고경영자(CEO)가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348513&ref=A|가습기 살균제 사태에 대해 피해자 가족들과 [[한국]] 사회에 처음으로 공식 사과했다.]] || [[파일:가습기살균제 특위 위원장.jpg|width=100%]] || || {{{#152484 '''가습기살균제 특위 위원장 시절'''}}} || ==== 원내대표 ==== 2017년 5월 16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선거에서 [[홍영표]] 의원을 61표 대 54표로 꺾고 원내대표에 당선되었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과 조기 대선([[제19대 대통령 선거]])으로 인수위도 없이 출범한 [[문재인 정부]]의 안정적인 출범을 뒷받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원내대표 당선 이후 야당과의 타협과 유화적 메시지에 앞장섰다. 가장 유명한 사례로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의 인준을 위해 당시 [[국민의당]] 당 색깔인 '''초록색 넥타이'''를 매고 야당과의 협치를 주문했던 게 있다. 정치인에게 넥타이의 색은 보이는 메시지 중에서는 가장 눈에 띄므로 일반적으로 자신의 당 색깔에 맞추는데, 대통령이 직접 야당의 색에 맞춘 것이다. 이를 근거로 추경안 통과, [[헌법재판소장]] 임명 등 [[문재인]] 대통령이 강조한 협치를 실현하기 위해서, 야당과의 협치 행보를 보였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 [[파일:이야기6_녹색넥타이.jpg|width=100%]] || || {{{#152484 '''[[대법원장]] 인준을 위해 맨 초록 넥타이'''}}} || 2018년 예산안 통과 과정에서 법정 시한은 지키지 못했지만 [[자유한국당]]을 패싱(...) 하고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에 올인한다는 전략을 세워 공무원 인원을 양보하고 거의 모든 정부 정책을 지켜내 우 원내대표를 미심쩍어 하는 강성 지지자들도 이번에 우 원내대표가 선방했다고 평가했다. 우 원내대표 개인적으로는 이번 협상에서 아동수당 지급 대상에서 상위 10%를 제외해 '보편 복지'의 의미가 퇴색된 것이 가장 아쉽다고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드루킹 특검]]으로 [[국회]] 파행이 장기화되자, [[드루킹 특검]]과 추경안 통과, [[판문점]] 선언 [[국회]] 비준, 그 외 민생 법안 처리 등을 맞바꾸는 '빅딜'을 제안했으나 야당에서 '무조건 특검 수용'을 주장하면서 성사되지 않았다. 다만, 일부 지점에서 여야 합의가 이루어졌고, [[국회]]가 정상화되나 싶었지만 5월 9일, [[유승민]] [[바른미래당]] 대표가 특검 대상에 [[문재인]] 대통령도 포함된다고 주장하여 판이 깨졌다. 우 원내대표는 야당의 본심이 드러났다며 "더 이상의 협의는 어렵겠다"고 하여 특검 관련 협의를 중단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11&aid=0003292046|#]] 2018년 5월 9일부로 원내대표 임기가 마무리되었다. 우 원내대표는 마지막 원내대표회의에서 "[[문재인 정부]]의 첫 원내대표 자리는 더없이 영광스러운 자리였지만 그 책무와 숙명이 참 무거웠다"고 소회를 밝혔다. 그리면서 "한국당의 정치 파업으로 6월 국민개헌의 기회를 놓친 것은 천추의 한"이라고 말한 뒤 한국당에 추경 및 민생입법에 대한 협조를 촉구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80510049851001?input=1195m|#]] 마지막 대표회의를 끝마치고 같은 날 오전 병원 응급실로 실려간 [[김성태]] 원내대표의 병문안을 갔다. 이때 김 원내대표가 “힘들어 죽겠다. (합의) 좀 해주고가”라는 말을 되풀이했지만, “그럴 수 없게 됐잖나. 어제 [[유승민]] [[바른미래당]] 대표가 (특검 수사범위를) [[문재인]] 대통령까지 해야 한다고 했는데 어떻게 하겠나”며 거절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18&aid=0004098789|#]] === 제21대 국회의원 === [[21대 총선]]에서는 예비후보로 등록하고 지역구에 단수공천을 받아 4선에 도전한다. 상대는 한때 [[민주당(2008년)|같은 당]] 동지로서 노원구 [[5회 지방선거]]를 지휘한 [[미래통합당]] [[이동섭]] 전 의원이었지만, [* [[이동섭]] 전 의원은 당시 민주당 [[노원구 병]] 지역위원장이었다. [[20대 총선]]에서 턱걸이로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된 뒤 지역구를 모교 [[용인대]]가 있던 [[용인시 갑]]으로 정했다가 [[21대 총선]] 직전에 노원구로 리턴한 상황. 자신의 [[노원구 병|원래 지역구]]에는 [[이준석]] 최고위원이 공천을 이미 받은 탓에 노원구 을로 대신 나오는 것.] 이변 없이 62%의 득표율로 큰 차이로 4선에 성공했다. 그리고 2020년 8월에 열릴 예정인 제4차 정기전국대의원대회에서 당 대표 선거에 출마 할 것을 시사했다. 그러나 [[이낙연]]의원과 [[김부겸]] 전 의원이 당대표로 출마하게 되자 “당 안팎의 많은 분들과 상의한 끝에 비상한 시국에 치열한 경쟁보다는 위기 극복을 위해 현장에서 당의 개혁을 일구며 뒷받침할 때라는 결론을 내렸다”며 불출마 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후 [[4.7 재보궐선거]] 참패 이후 열린 조기 전당대회에 출마했다. 그러나 총 득표율 29.38%를 기록하며 35.60%를 득표한 [[송영길]] , 35.01%를 득표한 [[홍영표]] 후보에게 밀려 3위로 낙선했다. [[20대 대선 민주당 경선]]에서는 [[이재명]] 지지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며 이재명 캠프에 합류했다. 그는 이재명과 회동에서 불평등, 불균형, 양극화 해소라는 시대 정신을 실천할 사람이 아니면 국민의 선택을 받을 수 없고 우리는 이길 수 없다며 강력한 사회경제적 개혁을 해낼 사람을 통해서만 우리는 승리하고 정권 재창출을 해낼 수 있다고 밝혔다.[[https://m.segye.com/view/20210714507516|#]] [[연세대학교]] 출신 우원식 의원은 동문 [[김성환(1965)|김성환]] 의원과 함께 2022년 7월 13일 [[연세대]]를 방문했다. 연세대에서 처우개선을 요구하며 파업하는 청소노동자들과 면담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5/0001539766?sid=102|#]] 2022년 9월 26일 '공짜노동금지법([[근로기준법]] 개정안 및 고용정책기본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노동현장에서 연장·야간수당을 주지 않기 위해 실제 근무 시간과 상관없이 정해진 임금만을 주는 [[포괄임금제]]를 금지하는 법이다. 2023년 6월 28일부터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반대하며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7월 10일 15일차 만에 [[이재명]] 대표의 요청을 받아들여 단식을 중단했다. 6일간 단식을 함께한 [[김한정]] 의원도 단식을 함께 중단했다. 민주당의 전략이 장기적 대응으로 바뀐 것으로 풀이 된다. 8월에는 민주당 후쿠시마 원전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총괄대책위원장을 맡아 일본을 방문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했다. 8월 24일 [[육군사관학교 독립유공자 흉상 철거 논란]]이 나오고 [[홍범도]]장군이 공산주의자였는가에 대한 논란이 나오며 [[홍범도]]장군 기념사업회 이사장인 우원식 의원도 라디오 매체 등에 불려다니며 유감을 표명했다. 9월 [[이재명]] 당대표가 단식투쟁을 실시하자 이재명의 왼편에서 자리를 지켰다. 이재명이 단식을 중단하고 국회에서 이재명 [[체포동의안]]이 가결되어 영장실질심사 일정이 잡히자 당 지도부가 사퇴하였는데 원내대표 유력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보궐선거에 출마하지 않았다. [[홍익표]] 원내대표 선출 직후에 [[SNS]]를 통해 이재명 대표를 지키자고 말하며 본인은 이미 원내대표 경험이 있고 주변에서 타인에게 양보해야 한다는 말이 나와 그를 따랐다고 밝혔다. === 제22대 국회의원 === 선거구 개편으로 3개였던 [[노원구]] 선거구가 2000년 [[16대 총선]] 이후로 '''24년 만'''에 2개로 줄어 [[노원구 갑]] 현역이던 [[고용진]] 의원과 공천장을 놓고 한판승부를 벌이게 되었다.[* 3개 지역구 다 민주당 의원이라 당시 상대의 지역구들에 플래카드를 걸어서 노원구 곳곳에서 의원 2명의 플래카드가 걸리는 진풍경을 연출하기도 했다.[[https://www.chosun.com/politics/assembly/2023/12/08/ZGITKI52TREULP7U76727YW2OI/?outputType=amp|#]]] 자신의 지역구가 분해되어서 각각 갑, 병에 붙은 만큼 어딜 가도 불리했지만 을구 행정동 7개 중 4개가 갑에 붙었고, 갑구의 공릉동은 을구의 중계, 하계동과 연계가 되어서 좀 더 나은데다가, 무엇보다 병구의 [[김성환(1965)|김성환]] 의원과 절친한 사이라 갑구 출마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김성환은 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선거에서 우원식이 깜짝 선출되어서 당원들의 거센 항의가 일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우원식에게 투표했음을 밝히며 그를 응원할 정도였다. 물론 친분을 떠나서 고용진도 지역에 상당한 기반을 구축한 지역 밀착형 정치인이긴 하지만 재선 구청장 출신인 김성환보다는 훨씬 쉬운 상대로 여겨졌을 것이다.] 조직싸움의 열세에도 불구하고 [[원내대표]]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예결위원장]]을 모두 지낸 중진의원인데다, 범[[친명]]계이기까지 해서인지 비명계로 분류되는 고용진 의원을 꺾은 것으로 보이며, 2004년 17대 총선부터 '''6회 연속'''으로 공천[* 다만 선거구가 개편되어 (구) 노원구 을 일부가 노원구 갑으로 편입되었기 때문에 동일 지역구라는 조건은 충족하지 못한다. 그리고 [[구로구 갑]]에 '''7회 연속''' 공천된 [[이인영]]의 사례가 있다.]되는 기록을 세웠다. 본선에서도 60%에 육박한 득표율로 전직 [[국회의원]]이었던 [[국민의힘]] [[현경병]] 후보를 무난하게 누르고 5선에 성공하였다. [[제22대 국회|22대 국회]] 전반기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에 출마했으나 하필이면 경선 상대가 6선의 [[추미애]] 당선인이라서 패배할 가능성이 크게 점쳐지고 있었다. [[추미애]] 의원이 선수가 앞서는데다 다른 친명계 후보들과의 단일화를 이뤄내는 모양새까지 연출해 추 의원의 의장 당선이 확실시되는 상황. 사실상 러닝메이트 느낌이 강했었다. 그러나 5월 16일, 모두의 예상을 뒤엎고 [[추미애]]를 제치고 [[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자로 선출되었다. [[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40516/124957118/1|#]] 언론에서도 의외라는 반응인데, 추미애는 초강성으로 분류되어 당 내 재선 이상 의원을 중심으로 반감이 상당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최측근 중진인 [[정성호(정치인)|정성호]] 의원이 21대 국회 시절 추미애에게 보였던 모습을 보면 의원들의 표심은 생각보다 쉽게 짐작 가능하다.] [[국회]]가 생산적으로 결과물을 내야 하는데 너무 강경 일변도로 갈 수 있다는 당 내 우려도 많았다고 한다. 사실 우원식 의원 역시 민주당 내에서는 꽤 강경한 성향이다. [[국회의장]] 선거 입후보 당시에도 "중립은 몰가치가 아니다"라며 강성임을 어필했을 정도였다. 그런데 이런 우원식을 상대적으로 온건하게 보이게 할 정도로 [[추미애]] 의원은 동료들 입장에서는 굉장히 강경파로 보였다는 것이다. 친명계에게 어필하는 측면에서도 사실 '명심'은 추 당선인에게만 쏠린 것이 아니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우원식 의원 역시 [[더불어민주당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 때부터 이재명을 지지했던 원조 [[친명]]으로 분류되면서도 당 내 신뢰가 높고 이 대표와 함께 21대 국회에서 개혁입법을 위해 호흡을 맞춰온 사이인 만큼 [[이재명]] 대표 입장에선 우원식 의원도 [[국회의장]]으로 적합하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또한 [[이재명]] 대표 역시 [[추미애]] 의원을 부담스러워한다는 소문이 공공연한 비밀로 돌아다니기도 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038983|#]]. 한 재선 의원 역시 언론사 인터뷰에서 "그간 의원들에게 전달된, 명확하게 '명심은 추미애'라는 확실한 시그널이 없었다"고 귀뜸했다. 이렇다보니 상대적으로 구설수 없이 자리를 지키고 있었던 우원식이 의도치 않게 반사이익을 얻은 측면도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일부 민주당원들의 여론은 썩 좋진 않은 편이다. "[[박병석]]과 [[김진표]]를 겪고도 아직도 협치 운운하며 국민의힘과 손잡길 원하다니 정신을 못 차렸다"는 비판적인 반응이 우세하며, [[정청래]] 의원 역시 "당원이 주인이어야 하는 정당이 당원을 무시하고 묵살하며 의견을 귀담아듣지 않는 현실이 착잡하다"며 우원식의 후보 당선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을 강하게 내세웠다.[[https://www.youtube.com/post/Ugkxq9WxH7A-fLU2sOGnxtKnfM5RG9rFXqzv|#]] 민주당 의원들끼리만 선거를 했음에도 당심과 판이하게 다른 결과가 나온 것은 의외로 볼 수 있다. 우원식 의원 입장에서는 가시적인 대정부 투쟁력을 보이면서 당원들의 반발을 달래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으며,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의장상을 요구받게 되었다. 이를 의식한 듯 당선 소감문에 <우리는 [[이재명]] 대표를 중심으로 하나 된 민주당입니다>라며 단합의 메세지를 냄과 동시에 "이번 의장선거를 두고 언론에서 명심, 당심에 대한 부풀리기 기사가 너무 많았습니다."라며 언론에 대한 강한 불쾌감을 표시하기도 했다.[[https://www.facebook.com/wonshikw|#]] 이에 [[정청래]] 의원은 "현재 당원들이 분노하는 것은 우원식 개인의 능력에 관한 문제가 아닌 [[더불어민주당]] 측에서 당원들의 여론과 의견을 묵살했다."라는 점이 논쟁점이지 이것을 당 갈라치기로 여기고 있다며 우원식 및 우원식의 지지자들이야 말로 당 갈라치기의 여론으로 몰고가지 말라며 요점을 제시함과 동시에 우원식 의원이 논점 흐리기를 하고 있다며 정면으로 재반박 및 비판하는 답변을 했다.[[https://www.breaknews.com/1032912|#]] ==== 국회의장 ==== 2024년 6월 5일 열린 제22대 국회 첫번째 본회의에서 전반기 국회의장으로 공식 선출되었다. 선출 직후 국민의힘과의 상임위원장 관련으로 충돌하자 합의를 위해 최대한 노력했지만 결국 의견 차이가 전혀 좁혀지지 않자 국회를 개원하여 논란의 중심이던 법사위원장을 포함하여 11개의 상임위원장을 선출 할 수 있게 했다. 민주당 주류인 친명계 지지자들은 이전 국회처럼 여야합의와 중립에만 매몰되어 제대로 일을 처리하지 못하는 국회의 악몽을 끊었다며, 그에 대한 의심과 부정적 반응들을 어느정도 거두었다. == [[/논란|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원식/논란)] == 소속 정당 == || '''소속''' || '''기간''' || '''비고'''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1988 - 1991 || 정계 입문 || || [include(틀:신민주연합당)] || 1991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1991 - 1995 || 합당[* [[민주당(1990년)|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1995 || 탈당[* [[새정치국민회의]]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1995 - 2000 || 창당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 - 2003 || 합당[*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3 || 탈당[*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3 - 2007 || 창당 ||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2007 - 2008 || 합당[*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 || 합당[* [[민주당(2007년)|민주당]]과 흡수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008 - 2011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1 - 2013 || 합당[*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13년))] || 2013 - 2014 || 당명 변경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 합당[*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5 - 2024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24 - || 탈당[*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 취임으로 인한 탈당]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1991 || [[1991년 지방선거|지방선거]] || 서울 [[노원구 제4선거구|노원 4]] || [include(틀:신민주연합당)] || - || 낙선 (2위) || || || 1995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 [[노원구 제3선거구|노원 3]]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17,037 (55.44%)''' ||<|2> '''당선 (1위)''' || '''초선'''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5> 서울 [[노원구 을|노원 을]] || [include(틀:열린우리당)] || ''' 44,720 (41.51%)''' || '''초선'''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38,104 (44.09%) || 낙선 (2위) ||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민주통합당)] || ''' 50,844 (49.72%)''' ||<|4> '''당선 (1위)''' || '''재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5~2024))] || '''55,687 (51.95%)''' || '''3선'''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71,708 (62.67%)''' || '''4선''' || || 2024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노원구 갑|노원 갑]]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91,986 (58.99%)''' || '''5선'''[* 전반기 국회의장] || || {{{#cfa547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파일:1991 광역의원 노원구을 신민당 낙선_1.png|width=100%]] || [[파일:1995 광역의원 노원구갑 민주당 당선.png|width=100%]] || || [[1991년 지방선거|{{{#000,#e5e5e5 1991년 지선}}}]] [[노원구 제4선거구|{{{#000,#e5e5e5 (서울 노원구 제4선거구)}}}]]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e5e5e5 1회 지선}}}]] [[노원구 제3선거구|{{{#000,#e5e5e5 (서울 노원구 제3선거구)}}}]] || || [[파일:2004 17대 국회의원 노원구을 열린우리당 당선_1.png|width=100%]] || [[파일:2008년 18대 국회의원 노원구을 통합민주당 낙선_1.png|width=100%]]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000,#e5e5e5 17대 총선}}}]] [[노원구 을|{{{#000,#e5e5e5 (서울 노원구 을)}}}]]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000,#e5e5e5 18대 총선}}}]] [[노원구 을|{{{#000,#e5e5e5 (서울 노원구 을)}}}]] || || [[파일:2012년 19대 국회의원 민주통합당 당선_1.png|width=100%]] || [[파일:2016년 20대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당선_1.png|width=100%]]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000,#e5e5e5 19대 총선}}}]] [[노원구 을|{{{#000,#e5e5e5 (서울 노원구 을)}}}]]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e5e5e5 20대 총선}}}]] [[노원구 을|{{{#000,#e5e5e5 (서울 노원구 을)}}}]] || || [[파일:2020년 21대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당선_1.png|width=100%]]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e5e5e5 21대 총선}}}]] [[노원구 을|{{{#000,#e5e5e5 (서울 노원구 을)}}}]]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000,#e5e5e5 22대 총선}}}]] [[노원구 갑|{{{#000,#e5e5e5 (서울 노원구 갑)}}}]] ||}}}}}}}}} || == 여담 == * 2004~2007년, 2012~2015년 국정감사 NGO 모니터단 국정감사 우수의원으로 선정됐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54375|#]] * [[주한미군]] [[THAAD]] 배치 논란에 대해서 반환도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http://m.news.naver.com/hotissue/read.nhn?sid1=100&cid=1045984&iid=26023191&oid=022&aid=0003174121|세계일보]], [[중국]]이 [[북한]] 도발은 냅두고 사드만 문제 삼는 건 안 된다고 하였다. [[http://naver.me/F9POr90O|연합뉴스]] * 언론에서는 민평련계, 비노계 혹은 비문계로 분류한다. 민평련은 [[김근태]] 의원이 정신적 구심점이 되어 [[이인영]], [[유은혜]] 등 재야 [[운동권]] 인사들이 함께하는 [[민평련|김근태계]] 모임이였다. 때문에 우원식 의원은 2012년 대선에서 [[손학규]] 캠프에 합류하기도 했다.[[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608071466596065|연합뉴스]] * 꽤나 [[늦둥이]]다. 우원식은 1957년 생인데, 우원식의 모친인 김례화 여사는 '''[[1917년]]''' 생[* [[박정희]] 전 대통령, [[윤동주]] 시인과 동갑이다. [[한국]] 근현대사의 살아있는 역사들이다.]으로 2020년 9월 사망하기 전까지의 나이는 '''103세'''였다. 덧붙여 모친은 실향민이다. 우원식의 두 누나는 현재도 [[북한]]에 있고, 2010년 남북 이산가족 상봉에서 큰누나와 상봉하기도 하였다. [[http://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8/read/31320694?search_type=subject_content&search_key=%EC%9A%B0%EC%9B%90%EC%8B%9D|#]] * 2013년 [[민주당(2013년)|민주당]] [[김한길]] 지도부 당시 최고위원을 역임하며 [[조경태]] 의원과 설전을 주고받은 바 있다. --[[조경태]] 의원이 "어디 재선이 3선한테..."라고 발끈했고, 우원식 의원은 "나이도 어린 X이..."라고 받아쳤다고 한다.-- [[https://www.news1.kr/articles/1429898|뉴스1]] * [[최저임금]] 개정 법률안에 반대표를 던진 [[더불어민주당]] 소속 중 몇 안 되는 의원이다. 나머지 한 명의 의원은 [[정재호(1965)|정재호]] 의원이다. * [[국민의힘]]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의 '내곡동 땅 셀프보상' 논란과 [[박형준]] [[부산시장]] 후보의 해운대 엘시티(LCT) 매매 특혜 의혹을 보면 'MB([[이명박]]) 시즌2' 같다며 진상 규명을 촉구했다.[[https://newsis.com/view/?id=NISX20210318_0001374994&cid=10303|#]] * 2021년 3월 26일 [[천안함 피격 사건]] 11주기이며 여섯 번째 [[서해수호의 날]]을 맞아 "[[제2연평해전]]과 [[천안함 피격 사건]], [[연평도 포격전]]으로 희생한 ‘서해수호 55용사’를 추모한다"고 입장문을 밝혔다. "11년이 지났지만 [[천안함 피격 사건]]의 고통은 현재 진행형이다. 사건의 트라우마, 사회적 냉대가 그들의 고통을 제대로 치유하지 못했다.”며, "[[더불어민주당]]은 [[천안함]] 장병 국가유공자 지정 및 예우에 더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해 밀접접촉자로 분류되어 [[4.7 재보궐선거]]를 돕기 어려운 상황이었지만 하루에만 전화를 300~400통을 걸 정도로 자택에서 대의원, 당원들에게 일일이 전화해 ‘연고자 찾기’를 독려하는 등 서울 선거운동을 집중적으로 지원했다고 한다. [[https://www.chosun.com/politics/assembly/2021/03/22/PINSB3B7EJFU3MMN3OBNXILTTI/|#]][[http://mobile.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1033019424146647|#]] * 과거 노원 을 지역에서 3번 맞붙었던 [[권영진]]과 [[제22대 국회]]에서 같이 일하게 되었다. 우원식은 17, 19대, [[권영진]]은 18대 때 당선되었으며 19대 총선에서 패한 후 [[대구]]로 내려가 민선 6-7기 [[대구광역시장]]을 거쳐 이번 총선 때 [[대구]] [[달서구 병]] 지역에 출마해 12년만에 원내 재입성을 하였다. * 노원의 한 시민단체가 국민권익위에 우 의원 부인이 운영하는 상담센터가 주민참여 예산사업을 수행하며 지방보조금을 허위로 청구해 부정으로 수급했다는 의혹 등을 제기하며 신고서를 제출했다. 또 센터에서 딸을 보조강사로 채용해 강사료를 횡령했다고도 주장했다. 노원바로세우기주민연대 김상민 대표는 "충분한 증거 자료를 경찰에 제출했는데도 내사종결됐다"며 "이른 시일 내 검찰에 정식으로 고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 의원은 입장자료를 내며 "해당 의혹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배우자가 수행한 사업은 주민 투표로 결정하는 주민참여사업으로 특정인은 선정 과정에 개입할 수 없다. 사업 수행 과정에서도 문제가 없음을 이미 지난 총선 과정에서 의혹을 제기한 [[국민의힘]] 구의원 질의에 [[노원구청]]이 답변한 바 있다"고 했다. 최종적으로 [[경찰]]에 따르면 우 의원 부인 A씨가 지방보조금을 부정수급했다는 의혹 등으로 고발된 사건을 최근 '증거 불충분'에 따라 내사 종결했다.[[https://newsis.com/view/?id=NISX20210616_0001477966&cID=10202&pID=10200|#]][[https://www.yna.co.kr/view/AKR20210615150600004?input=1195m|#]] * [[지방의원]]([[노원구 제3선거구|노원 3]]/[[1회 지선]]) 출신 최초의 [[국회의장]]이며[* 지방의원 출신 최초이자 유일한 [[국회부의장]]은 [[노웅래]] 前 의원의 부친인 [[노승환]] 前 부의장이다.], 노원구를 지역구로 둔 두 번째 국회의장이다.[* 최초는 [[임채정]] 前 국회의장. 공교롭게도 우원식과 같이 [[노원구 을]]지역구 국회의원을 역임했었다는게 공통점. 단, 임채정은 분구로 인해 [[노원구 병]]으로 이동했으며 우원식은 합구로 인해 [[노원구 갑]]으로 이동한 것이 차이점이다.] *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태년]], [[윤호중]], [[이인영]], [[정성호(정치인)|정성호]] 의원과는 17대 국회에서 첫 등원을 했으나 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낙선했다가 19대 국회에서 다시 당선되어 22대 국회까지 연임을 했다.[* 5선 의원들 가운데 18대 국회 이후로 내리 5선을 해온 의원은 [[국민의힘]] [[윤상현(정치인)|윤상현]], [[권성동]]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안규백]] 의원 뿐인데, [[권성동]] 의원은 [[2009년 재보궐선거|2009년 하반기 재보궐선거]]를 통해 당선되었기에 똑같이 18대 국회부터 5선을 해온 같은당 [[윤상현(정치인)|윤상현]]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안규백]] 의원과는 차이가 있다. 그리고 윤상현 의원과 권성동 의원은 지역구에서만 5선(윤상현:인천 남구 을(18~20대)→인천 동구, 미추홀구 을(21~22대), 권성동:강원 강릉시)을 역임했고 안규백 의원은 18대 국회에서는 비례대표를 역임하다가 19대 국회부터 서울 동대문구 갑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밖에 다른 5선 의원들 역시 징검다리 5선인데, [[박지원(1942)|박지원]], [[정동영]] 의원은 첫 등원이 각각 14대, 15대 국회인데다 중도에 낙선한 이력이 있다. [[국민의힘]]에서도 [[권영세]], [[조배숙]] 의원은 16대 국회에서, [[김기현]], [[나경원]] 의원은 17대 국회에서 첫 등원을 한데다 중도에 낙선 혹은 사퇴 등으로 인해 이력이 비는 경우가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7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22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17대 국회의원/통합민주당(2008년))]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제22대 국회의원/무소속)] [[분류:대한민국 국회의장]][[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1957년 출생]][[분류:단양 우씨]][[분류:성동구 출신 인물]][[분류:국민의 정부/인사]][[분류:제17대 국회의원]][[분류:제19대 국회의원]][[분류:제20대 국회의원]][[분류:제21대 국회의원]][[분류:제22대 국회의원]][[분류:열린우리당 국회의원]][[분류:대통합민주신당 국회의원]][[분류:통합민주당(2008년) 국회의원]][[분류:민주통합당 국회의원]][[분류:민주당(2013년) 국회의원]][[분류: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분류: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분류: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분류:경동고등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서울특별시의회의원]][[분류:민주당(1991년) 광역의회의원]][[분류:새정치국민회의 광역의회의원]][[분류:독립유공자 후손]][[분류:무소속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민주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분류: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분류:국회의원 보좌관 출신 정치인]][[분류:육군사관학교 독립유공자 흉상 철거 논란/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