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양성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분류:근절된 바이러스]] ||<-2> '''{{{#000,#fff {{{+1 우역바이러스}}}[br]Rinderpest viru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우역바이러스.jpg|width=100%]]}}} || || '''병명''' ||'''[[우역]]''' || ||<-2> '''분류''' || || {{{#000 '''미분류'''}}} ||[[바이러스]]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네가르나바이러스문(Negarnaviricota) || || [[생물 분류 단계#아문|{{{#000 '''아문'''}}}]] ||하플로바이러스아문(Haploviricotin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몬지바이러스강(Monjiviricetes)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모노네가바이러스목(Mononegaviral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파라믹소바이러스과(Paramyxoviridae) || || [[생물 분류 단계#아과|{{{#000 '''아과'''}}}]] ||파라믹소바이러스아과(Paramyxovirin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모르빌리바이러스속(Morbillivir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우역바이러스(Rinderpest virus) || ||<-2> '''특징''' || || '''분포 지역''' ||과거 -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br]현재 - '''없음''' || || '''감염 경로''' ||직접 접촉, 오염된 물 || || '''숙주''' ||유제류, 소 || || '''백신''' ||'''약독백신''' || [목차] [clearfix] == 개요 == 우역바이러스는 [[2011년]] [[절멸]]을 선언한 동물바이러스이다. [[게놈]]을 보면 18,000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8개의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 역사 == 우역은 수백년 동안 발생 사례가 보고되어온 질병으로, 대부분 우역바이러스로 발생된다. 린더페스트(Rinderpest, 독일어로 ‘우역’이라는 뜻)는 원래 [[아시아]]에서 시작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소]]를 통해 [[아프리카]]와 [[유럽]]으로 이동했다. 18~19세기는 유럽에서 우역이 자주 발생했다. 우역은 19세기 후반 아프리카에서 대규모로 발생했는데, [[남아프리카]] 지역에서 80~90%의 소가 우역으로 [[폐사]]했었다. == 백신 개발과 근절 과정 == 18세기부터 우역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을 생성하게 하려는 [[접종]] 실험이 이뤄졌다. 우역 통제 교육을 목적으로, [[1762년]] [[프랑스]]에서 최초로 [[수의과대학]]을 설립했다. 1918년 감염 장기 유제액을 화학 처리해서 바이러스를 죽여 만든 초기 백신이 개발되었다. 20세기 초반 우역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세계동물보건기구]](World Organization for Animal Health)가 설립되었다. 통제 방안은 주로 [[가축]]을 [[도살]]하는 것이었다. 1957년 예방 효과가 있는 백신을 개발하면서 실질적으로 질병을 통제할 수 있었다. 1990년대 중반 세계 우역 근절 계획에 착수했으며, 이 계획은 대성공을 거두었다. 2001년에 우역 사례가 마지막으로 보고되었으며, 2011년 우역바이러스는 2번째로 근절을 선포한 바이러스가 되었다. 최초로 근절을 선포한 바이러스는 천연두의 원인인 [[두창바이러스]]이다. (1980년 근절을 선포함) == 홍역바이러스와의 관계 == 우역바이러스는 사람을 감염시키는 [[홍역바이러스]]와 근연 관계에 있으며, 홍역바이러스의 원종으로 여겨지고있다. 우역바이러스 근절 선포는 홍역바이러스도 백신으로 근절할 수 있다는 희망을 심어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