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사이타마현지사)] ||<-5> [[중의원|[[파일:shuugiin_logo.png|width=100px]]]] {{{#000000 '''[[일본|{{{#000000 일본}}}]] [[중의원|{{{#000000 중의원}}}]] ([[사이타마현 제5구(중선거구)|{{{#000000 (구) 사이타마 5구}}}]])'''}}} || || '''제39대'''[br]사와다 히로시[br]후쿠나가 노부히코[br]와다 가즈히토 || → || '''제40대'''[br]'''우에다 기요시'''[br][[에다노 유키오]][br]와카마츠 가네시게[br]후쿠나가 노부히코 || → || ''선거제도 개편'' || ||<-5> [[중의원|[[파일:shuugiin_logo.png|width=100px]]]] {{{#000000 '''[[일본|{{{#000000 일본}}}]] [[중의원|{{{#000000 중의원}}}]] ([[사이타마현 제4구|{{{#000000 사이타마 4구}}}]])'''}}} || || ''선거제도 개편'' || → || '''제41~42대[br]우에다 기요시''' || → || '''제43대'''[br]진푸 히데오 || ||<-2>
'''[[사이타마현|{{{#ffffff 민선 제16-19대 사이타마현 지사}}}]]'''[br]'''{{{+1 {{{#ffffff [ruby(上, ruby=うえ)][ruby(田, ruby=だ)] [ruby(清, ruby=きよ)][ruby(司, ruby=し)][br]우에다 기요시}}}}}}'''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우에다 키요시.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48년]] [[5월 15일]] ([age(1948-05-15)]세) ||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 ||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ffffff 신체}}}''' ||[[AB형]] || || '''{{{#ffffff 가족}}}''' ||배우자 우에다 쓰네코, 2남 1녀 || || '''{{{#ffffff 학력}}}''' ||[[호세이대학]] {{{-2 (법학부 / 학사)}}}[br][[와세다대학]] [[대학원]] {{{-2 (정치학 / 석사)}}} || || '''{{{#ffffff 직업}}}''' ||[[정치인]] || || '''{{{#ffffff 소속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ffffff 현직}}}''' ||[[일본 참의원]] || || '''{{{#ffffff 경력}}}''' ||신자유클럽 정책위원[br]정책과학연구소 정책위원[br][[사이타마현 제4구]] [[중의원]][br]중의원 재해대책특별위원장[br]중의원 운영위원회 이사[br]민선 제16-19대 사이타마현 지사[br][[참의원(일본)|참의원 의원]] ([[사이타마현 선거구]])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정치인. [[사이타마현 선거구]] [[참의원(일본)|참의원 의원]]으로, [[사이타마현 제4구]] [[중의원]], 민선 제16-19대 사이타마현지사를 역임했다. == 생애 ==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에서 태어나 [[오무타시]]에서 자랐다. 후쿠오카현립 미이케 고등학교, [[호세이대학]] 법률학과를 졸업했다. 대학 재학 중 사법시험을 준비했으나 포기하고 대학 졸업 후 [[와세다대학]] 대학원을 수료한다. 대학원 재학 중에는 [[사이타마현]] [[토코로자와시]]에 학원을 열기도 했으며, 대학원 수료 이후에는 대학교에서 비상근 강사로 근무했다. 1976년 [[신자유클럽]] 창당에 참여해 당 정책위원으로 근무했고, 1980년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신자유클럽 소속으로 구 사이타마현 제5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한다. 이후 같은 지역구에서 총 4번의 낙선을 경험한다. 신자유클럽이 해산된 후에는 정책과학연구소 정책위원으로 활동하며 [[와타나베 미치오]] 전 농림수산대신[* [[와타나베 요시미]]의 아버지.]의 브레인으로 있다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에 입당한다. 그러다가 자민당을 탈당해 신생당에 합류하고 1993년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신생당]] 공천을 받아 구 사이타마현 제5구에 5번째 출마한 끝에 당선되었다. 이 당시 같은 지역구에서 같이 당선된 사람으로 [[에다노 유키오]]가 있다. 신생당 해산 이후에는 [[신진당]]에 합류했으며, 소선거구제로 전환된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부터는 [[사이타마현 제4구]]를 지역구로 [[중의원]]에 당선된다. 신진당 해산 이후에는 [[프롬 파이브]], 민정당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에서 활동한다. 쓰치야 요시히코 지사가 사임한 뒤 치러진 2003년 사이타마현지사 선거에 출마해 자민당이 지지한 후보를 포함해 7명의 후보들을 꺾고 당선되어 사이타마현지사에 취임한다. 이후 2007년, 2011년, 2015년 선거에서도 연거푸 당선되면서 4선을 기록한다. 2019년 사이타마현지사 선거에는 불출마하고 후임인 [[오노 모토히로]] 지사가 현지사 선거 출마로 사퇴하여 공석이 된 [[2019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사이타마현 선거구 참의원 보궐선거]]에 출마해 [[NHK로부터 국민을 지키는 당]] 대표인 [[타치바나 타카시]]를 꺾고 당선된다. 현지사 직과 참의원 직을 서로 맞바꾼 셈이다. 당시 상대 후보는 타치바나 밖에 없었으며, 자민당은 별도의 후보를 내지 않아[* 이는 후술할 우에다의 정치 성향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지역에서 인지도가 높은 우에다가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성향 == 강경 우파 성향으로 추정된다. 한때 자민당 소속이었다는 점에서 보면 이해(?)는 되지만, 본격적인 정치 활동을 민주당 소속이었을 때 했던 점을 생각하면 아이러니하다. 아무래도 같은 민주당 출신 지자체장인 [[카와무라 타카시]]와 비슷한 부류인 듯 하다.[* 게다가 둘 다 1948년 생으로 동갑인데다, 자민당에 있다가 신진당을 거쳐 민주당으로 넘어와 중의원을 역임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차이점이라면 카와무라는 민사당, 우에다는 신자유클럽에 있다가 넘어왔다는 점 정도가 있다. 또한 엄밀히 따진다면 카와무라는 기초자치단체장이지만, 우에다는 광역자치단체장이다. 물론 카와무라가 시장으로 있는 [[나고야시]]는 [[정령지정도시]]인데다 일본에서 열 손가락 안에 들어가는 주요 도시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영향력이나 권력은 우에다랑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쎌 것이다. 당장 둘 다 똑같은 역사 관련 망언을 했음에도 카와무라의 망언이 더 많이 알려진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 [[새역모]]에서 만든 역사교과서를 지지한 적이 있다. 또한 한국, 중국 등의 항의에 대해 내정간섭이라고 비난했다. 또한 새역모 부회장 출신 인사를 사이타마현의 교육위원으로 내정하기도 했다. [[http://naver.me/56levPfF|#]] * [[카와무라 타카시]] 나고야 시장이 [[난징 대학살]]을 부정하는 발언을 했을 당시, 카와무라를 옹호하면서 “인구 20만명인 곳에서 어떻게 희생자가 30~40만명이나 나올 수 있느냐.”, “[[장제스]]도 [[마오쩌둥]]도 아무런 성명을 내지 않았다.”[* [[난징 대학살]]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장제스와 마오쩌둥이 난징 대학살에 언급을 많이 안 한 것은 일본과의 외교 문제 때문에 언급을 안 한 것일 뿐이다.] “70년대까지 난징 대학살에 대해 중국은 교과서에 기재하지 않다가 어째서 80년대 들어서 갑자기 기재한 것이냐.”라는 [[망언]]을 했다. * 위안부 문제에 대해 “종군 위안부는 없었다.”, “동서고금 위안부를 데리고 행진하는 군대는 없었다. 위험 지역에는 위안부가 오지 않기 때문이다.”라는 [[망언]]을 하기도 했다. [[http://naver.me/5I4xDyKY|#]] * [[젠더블라인드]]에 반대하는 성향이다. 또한 고등학교의 남녀공학화를 반대한다. * [[조선학교]] 무상화 적용에 반대하면서 납치 사건과 관련된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산하에 있으므로 일반적인 고등학교와 다르다고 말했다.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신자유클럽)] || 1976 - 1986 || 정계 입문[br]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1986 - 1990 || 정당 해산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1990 - 1993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1993 || 신생당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신생당)] || 1993 - 1994 || 창당 || || [include(틀:신진당)] || 1994 - 1997 ||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1997 || [[호소카와 모리히로]]를 따라서 탈당 || || [include(틀:프롬 파이브)] || 1997 - 1998 || 창당 || || [include(틀:민정당(일본))] || 1998 || 합당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1998 - 2003 ||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3 - || 현지사 선거 출마로 탈당 ||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락''' || '''비고''' || || 1980 ||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5> [[사이타마현 제5구(중선거구)|(구) 사이타마현 제5구]] ||<|3> [include(틀:신자유클럽)] || 42,156표(9.0%) || 낙선(5위) || || || 1983 ||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39,056표(9.4%) || 낙선(5위) || || || 1986 ||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9,595표(14.8%) || 낙선(4위) || || || 1990 ||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include(틀:무소속)] || 54,418표(9.3%) || 낙선(5위) || || || 1993 ||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include(틀:신생당)] || '''110,606표(18.4%)''' || '''당선(1위)''' || '''초선''' || || 1996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 [[사이타마현 제4구]] || [include(틀:신진당)] || '''72,420표(39.3%)''' || '''당선(1위)''' || '''재선''' || || 2000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include(틀:민주당(일본))] || '''106,131표(49.3%)''' || '''당선(1위)''' || '''3선''' || || 2003 || 2003년 사이타마현지사 선거 ||<|4> [[사이타마현]] ||<|6> [include(틀:무소속)] || '''808,092표(40.80%)''' || '''당선(1위)''' || '''초선''' || || 2007 || 2007년 사이타마현지사 선거 || '''1,093,480표(69.77%)''' || '''당선(1위)''' || '''재선''' || || 2011 || 2011년 사이타마현지사 선거 || '''1,191,071표(84.29%)''' || '''당선(1위)''' || '''3선''' || || 2015 || 2015년 사이타마현지사 선거 || '''891,822표(58.5%)''' || '''당선(1위)''' || '''4선''' || || 2019 || [[2019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 ||<|2> [[사이타마현 선거구]] || '''1,065,390표(86.36%)''' || '''당선(1위)''' || '''초선''' || || 2022 ||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501,820표(16.6%)''' || '''당선(2위)''' || '''재선''' || == 기타 == * 취미는 독서, 등산, 낚시이다. 담배는 피우지 않는다. * 존경하는 사람은 [[사이고 다카모리]]. * [[파일:이노링과 우에다지사와 시미즈.jpg]] 사이타마현 [[치치부시]]를 배경으로 한 [[마음이 외치고 싶어해]]가 개봉되기 전 9월 10일 주인공 나루세 준을 연기한 성우 [[미나세 이노리]]와 기획을 맡은 시미즈 히로유키가 사이타마현청을 방문해 우에다와 만난 적이 있다. 우에다가 미나세에게 사이타마에 온 소감은 어떠냐고 묻자 미나세가 "지난달 치치부에 왔는데, (치치부 음식) 된장감자를 먹었습니다. 정말 맛있었습니다", "도쿄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아름다운 자연과 풍부한 경치가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라고 말했다고.[[https://www.animatetimes.com/news/img.php?id=1441938579&p=1&n=3|#]] * 2020년 12월 [[스즈키 요시히로]]를 추천하여 [[국민민주당(2020년)|국민민주당]]에 입당시켰다.[[https://www.sankei.com/politics/news/201225/plt2012250040-n1.html|#]] == 둘러보기 == [include(틀:기타칸토 지방의 국회의원)] [각주] [[분류:일본의 남성 정치인]][[분류:사이타마현지사]][[분류:제40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1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2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24대 일본 참의원 의원]][[분류:제26대 일본 참의원 의원]][[분류:신생당 국회의원]][[분류:신진당 국회의원]][[분류:프롬 파이브 국회의원]][[분류:민정당(일본) 국회의원]][[분류:민주당(일본) 국회의원]][[분류:1948년 출생]][[분류:후쿠오카시 출신 인물]][[분류:교육인 출신 정치인]][[분류:호세이대학 출신]][[분류: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일본/연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