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극점 거주지)]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Ushuaia_port.jpg|width=100%]]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Ushuaia_city_view.jpg|width=100%]] || ||||<#77AADB><:>{{{#gold {{{+3 우수아이아 (티에라델푸에고) [br] Ushuaia}}}}}}|| ||<-3><:> [include(틀:지도, 장소=아르헨티나 티에라델푸에고 우수아이아, 높이=224px, 너비=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페인어]]: Ushuaia 우수아이아는 [[아르헨티나]]의 [[티에라델푸에고]] 섬 남단의 세계에서 가장 남쪽에 있는 도시이다.[* 다만 세계 최남단 마을은 [[칠레]]의 인구 2,000여 명의 푸에르토 윌리엄스(Puerto Williams)이다. 또한 우수아이아보다 약간 북쪽에 있는 도시인 [[푼타아레나스]](Punta Arenas;인구 약 127,000명)도 최남단 도시로 불리기도 한다. 푼타아레나스는 당연히 10만 명 이상 도시 중에는 가장 남쪽에 있다.] == 역사 == 원래 야간(Yaghan) 족[* [[Mamihlapinatapai]]라는 단어가 있는 걸로 유명하다.]이 살던 지역이었다. 19세기 영국의 선교사들이 이 지역에서 활동했으며, 1869년부터 영국 선교사들이 거주하였다. 1873년엔 아르헨티나인이 최초로 이 도시를 방문했고, 이어 1885년 우수아이아는 티에라델푸에고의 수도가 되었다. 1880년대 골드러시[* 다만 금이 없었다.]로 인해 우수아이아의 인구는 늘어나 1893년이 되면 백인 인구는 149명까지 늘어났다. 이후 이 지역은 [[태즈메이니아]]를 모델로 개발되었으며[* 다행히 여긴 태즈메이니아와 달리 원주민이 전멸당하진 않았다.] 1911년이 되면 원주민이 거의 사라졌고, 1914년 인구는 1,568명까지 늘어났다. 2010년 인구는 5만 6천 명 정도에 면적은 2,500제곱킬로미터이다. 한편 변방답게 감옥이 여기에 세워지기도 했다. 그 당시 세워졌던 감옥은 이제는 박물관으로 쓰이고 있다. == 기후 == 우수아이아 일대는 겨울평균기온 -1.3℃[* 서울 겨울 평균기온보다 0.5~1도정도 높다.], 여름평균기온 9.6℃[* 서울의 3월과 11월보다는 따뜻하며 4월보다는 춥다. 이상저온이 심한 [[2010년]] 4월의 서울 평균기온과 딱 0.1°C 차이]로 [[툰드라]] 기후(ET)를 띠고 있지만[* 지구온난화가 지속되면 훗날 아극 해양성 기후(Cfc)로 바뀔 것이다.], 만약 우수아이아의 최난월 기온이 10℃보다 높았으면 [[툰드라기후]]가 아니라 바로 [[온대기후]]로 올라간다.[* 아르헨티나령인 우수아이아와 달리, 칠레령 부분에 위치한 [[푼타아레나스]]는 이미 Cfc기후로 넘어갔다.] 겨울 기준으로는 [[서울]]보다 따뜻하다. 이러한 이유로 원주민들은 옷을 입지 않았지만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항상 불을 피워야 했고 이것이 티에라 델 푸에고라는 지명의 어원이 된 것이다. 이 지역의 주산업은 어업이며, 관광업과 목양도 발달했으며 석유와 천연 가스도 채굴된다. == 교통 == [[알래스카]]에서 시작한 [[팬 아메리칸 하이웨이]]의 종착지이기도 하다. [[칠레]]의 [[발파라이소]](Valparaiso)에서 분기한 노선이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 아이레스]]를 지나 이곳까지 다다른다. 아르헨티나 내의 다른 지역과는 [[마젤란 해협]] 및 [[칠레]]로 인해 분리되어 있는 사실상의 [[월경지]] 중 한 곳이다.[* 마젤란 해협을 건너는 페리는 [[칠레]] 영토 내에 있으며 칠레 회사에서 운영한다.] 우수아이아에서 육로로 티에라델푸에고 섬을 벗어나는 데만 하루를 다 잡아먹을 만큼 섬이 크기도 하지만 그만큼 아르헨티나의 다른 지역과도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다. 심지어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비행기로 가도 우수아이아까지 4시간이나 걸릴 정도다. == 미디어에서 == * [[탑기어]]가 여기서 자동차 축구를 하려다가 시위대에 막혀서 돌을 맞으면서 쫓겨났다. 자세한 것은 [[탑기어#s-6.5|H982 FKL 사건 파타고니아 스페셜 (시즌 22)]]참조. * [[대항해시대 온라인]]에서는 보급항으로 구현되어 있다. 초보 유저의 경우, 마젤란 해협을 최초로 지나갈 때 들르게 되는 항구로서 인지도가 있는 편이다. 하지만 보급에 큰 걱정이 없게 되는 중급 이상 유저에게는 보급항의 존재감 자체가 제로에 가깝고, 도시 자체보다 이 도시 옆을 지날 때 자기장 이상이 걸리는 것으로 더 유명하여, 이 항구의 존재 자체를 잊게 되는 편이다. 파도가 높으므로 침수에 주의하자. * 2022년 [[빠니보틀]] 아메리카 여행의 마지막 도시로 선택되었다. 본래 여기서 [[남극]]을 가려다 [[https://www.youtube.com/watch?t=261&v=k9AGD9FGjiU&feature=youtu.be|고심 끝에 여행을 끝내기로 했다.]] * [[해피 투게더(1997)|해피 투게더]]에서 장([[장첸(배우)|장첸]] 분)의 목적지가 이곳이다. == 기타 == * 1980년대에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우수아이아에 정착한 남미 이민 1세대인 문명근 씨는, 이곳에서 처음으로 [[비닐하우스]] 농법으로 채소를 재배하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외지에서 값싼 채소가 들어오면서 하우스 농사는 망하게 되고, 그의 가족들은 채소 농사를 포기하고 꽃 재배를 시작한다. 문명근 씨의 아들 문병경 씨와 그의 아내 임영선 씨가 꽃 재배를 시작했고, 남편 문병경 씨가 갑자기 세상을 뜨면서, 임영선 씨는 혼자 [[화훼]] 공부를 하면서 노력한 끝에 성공한다. 결국 20년 만에 그녀의 농장 '[[https://instagram.com/viverocoreano?igshid=YmMyMTA2M2Y=|비베로 로스 코레아노스(Vivero Los Coreanos)]]'는 우수아이아에 없어서는 안 될 최고의 농장으로 [[https://youtu.be/gI346Q9VGno|자리 잡는다]]. 이후 아들 문다빈(David Moon) 씨도 의과대학을 그만두고 우수아이아로 와서 어머니와 함께 [[화훼]] 사업을 [[https://youtu.be/TTae5W1-Dis|하고 있다]]. [[분류:아르헨티나의 도시]]